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재난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분류
2.1. 자연재난
2.2. 사회재난
2.3. 종합적인 국가 단위의 재난
3.1. 재난 통신원
4. 조선시대 이후 한반도 각종 재난 상황
4.1. 정부 수립 이전
4.2. 정부 수립 이후
5. 역대 재난 순위
5.1. 해외 인재 사고 (전쟁 제외)
5.2. 국내 인재 사고 (전쟁 제외)
6. 관련 문서
6.1. 생존 방법


1. 개요[편집]


/ Disaster, Calamity, Catastrophe, Cataclysm, Debacle[1]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는 재난을 국민의 생명·신체·재산과 국가 전체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단, 피해 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예상되거나 이미 발생한 경우에만 재난으로 정의한다. 비슷한 의미로 재해라는 용어도 사용하나 일반적으로 재난에 의한 피해를 더 강조하며, 자연재해와 같이 자연 현상으로 인한 경우에 자주 쓰인다. 반면에 사람으로 인한 재난은 인재라고 말하기도 한다.


2. 분류[편집]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 재난을 3가지로 분류하다가 최근 인적 재난과 사회적 재난을 사회재난으로 통합하였다.


2.1. 자연재난[편집]


자연 현상으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하거나 예상되는 경우를 자연재난이라 한다. 홍수·호우·강풍·태풍·풍랑·해일·대설·낙뢰·가뭄·지진·황사·적조 등이 이에 해당된다. 자세한 내용은 자연재해 문서로.


2.2. 사회재난[편집]


인간이 일으킨 대형 사고와 국가 인프라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전염병 확산도 사회재난에 해당한다. 전자를 인적 재난, 후자를 사회적 재난으로 정의하였으나 최근 구분이 어려워지며 사회재난으로 통합하였다. 인적 재난에는 화재·붕괴·폭발·교통사고·화생방 오염 사고·환경오염 사고 등이 포함되며, 대표적인 사례로 태안 앞바다 일대에서 터졌던 삼성 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모리셔스에서 터진 와카시오 호 기름유출 사고가 있다. 사회적 재난에 해당하던 것은 에너지·통신·교통·금융·의료·수도 등 인프라의 마비나 전염병이다. 전자의 대표적 사례가 9.15 정전사태, 이태원 압사 사고이고, 후자의 대표적인 사례가 구제역,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다.


2.3. 종합적인 국가 단위의 재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국가 멸망/사례/위험 국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재난방송[편집]


재난이 발생했거나 발생할 예상이 될때 종합적으로 시청자들에게 고지를 하고 방재를 하기 위해 방송사들은 재난방송을 실시한다.


3.1. 재난 통신원[편집]




4. 조선시대 이후 한반도 각종 재난 상황[편집]



역대 대한민국의 대형 사고 및 참사
[ 202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22년 10월 29일
159이태원 압사 사고
2020년 4월 29일
38

[ 201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19년 5월 29일
27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
2018년 1월 26일
47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
2017년 12월 21일
29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2014년 12월 1일
27501오룡호 침몰사고
2014년 5월 28일
21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
2014년 4월 16일
299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2010년 3월 26일
46천안함 피격 사건

[ 200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2008년 1월 7일
40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
2003년 2월 18일
192대구 지하철 참사
2002년 4월 15일
130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2001년 9월 25일
25제7호 태창호 사건
2001년 7월 24일
20진주 관광버스 추락사고
2000년 10월 27일
22장수 88올림픽고속도로 추돌 참사


[ 1990년대 ]
[ 198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89년 9월 17일
24전북 모래재 버스 추락 사고
1989년 7월 27일
79대한항공 803편 추락 사고
1987년 11월 29일
115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년 8월 29일
32오대양 집단자살 사건
1987년 6월 16일
29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6년 7월 30일
21고창 거룻배 전복 사고
1985년 1월 11일
38양강교 버스 추락사고
1984년 1월 14일
38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3년 10월 9일
25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년 9월 1일
269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1983년 4월 18일
25대구 초원의집 화재
1982년 6월 1일53청계산 C-123 추락사고
1982년 4월 26일
62우순경 사건
1982년 2월 5일53제주 C-123 추락사고
1981년 11월 22일
33부산 금정산 버스 추락사고
1981년 5월 14일
55경산 열차 추돌사고

[ 197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79년 10월 27일
26은성탄광 화재
1979년 4월 14일
44함백 탄광 폭발사고
1978년 7월 23일
33한강대교 버스 추락 사고
1977년 11월 11일
59이리역 폭발사고
1976년 10월 28일
34동해 어선 조난 사고
1976년 5월 18일
23답곡리 버스 추락사고
1976년 2월 28일
32화천 버스 추락사고
1974년 11월 3일
88대왕코너 화재사고
1974년 2월 22일
159YTL30호 침몰 사건
1973년 8월 12일
32영동역 유조열차 폭발 사고
1973년 5월 16일
22영일 건널목 열차 추돌사고
1972년 12월 2일
53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 8월 1일
26의암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12월 25일
166대연각호텔 화재
1971년 10월 13일
20남원역 열차 추돌사고
1971년 5월 10일
80청평호 버스 추락 사고
1971년 5월 10일
31질자호 침몰 사고
1970년 12월 15일
326남영호 침몰사고
1970년 11월 5일
31의암호 선박 전복 사고
1970년 10월 14일
46모산 수학여행 참사
1970년 8월 21일
25추풍령 고속버스 추락 참사
1970년 4월 8일
33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


[ 196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69년 9월 17일
76창녕 남지읍 나룻배 전복사고
1969년 9월 17일
37창녕 기관선 - 남지교 충돌 사고
1969년 1월 31일
41천안 열차 추돌사고
1968년 1월 8일
41함양 버스 추락사고
1967년 10월 16일
42금릉 버스 추락 사고
1967년 9월 15일
29삼양수산 원양어선 침몰 사고
1967년 4월 8일
80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
1967년 1월 14일
93한일호-충남함 충돌 사고
1967년 1월 1일
41서문시장 화재
1964년 7월 29일
95+서해 어선단 실종 사고
1963년 10월 23일
49여주 조포 나룻배 침몰 사고
1963년 6월 25일
70거제 장승포 산사태
1963년 1월 18일
140연호 침몰 사건
1962년 9월 7일
36한남동 나룻배 침몰 사고
1960년 3월 2일
62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
1960년 1월 26일
31서울역 압사 사고

[ 195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59년 7월 17일
67부산 공설운동장 압사 사고
1956년 1월 12일
66태신호 화재
1955년 3월 2일
42부산역 열차 화재
1953년 11월 27일
29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 1월 31일
56오산 건널목 추돌 사고
1953년 1월 25일
66행운환 침몰사고
1953년 1월 9일
330창경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94제5편리호 침몰 사고
1951년 7월 11일
30+제13호 침몰 사고

[ 1940년대 ]

발생일사망사건명
1949년 10월 5일
71평해호 침몰 사고
1949년 8월 18일
51대강 터널 질식 사고
1947년 8월 19일
23태양환호 침몰 사고
1946년 11월 13일
42영등포역 열차 충돌 사고
1945년 8월 24일
549​~� 이상
우키시마호 사건




  • 조선시대~대한민국 (1392~2022)의 재난 상황표
  • 참사의 경우 한 번에 1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사건을 의미한다.
  • 출처: 조선왕조실록, 네이버 뉴스 아카이브


4.1. 정부 수립 이전[편집]


지도자 / 정부재난 종류비고
권력
투쟁
민란/
항쟁
외침기근/
위기
참사합계
태조11위화도 회군[2]
정종
태종1135왕자의 난, 조사의의 난
세종1010한양 대화재
문종33
단종1이징옥의 난
세조1124계유정난, 이시애의 난
예종112
성종99
연산군156홍길동의 난
중종111618중종반정
인종
명종11314임꺽정의 난
선조232227임진왜란, 정유재란, 니탕개의 난, 이몽학의 난, 정여립의 난
광해군1414
인조112913인조반정, 병자호란, 정묘호란, 이괄의 난
효종44
현종22527경신대기근
숙종151925을병대기근, 장길산의 난
경종
영조11920임오화변, 이인좌의 난
정조77
순조156홍경래의 난
헌종
철종111임술농민봉기
고종43411병인양요, 신미양요, 을사조약, 동학농민운동, 갑신정변, 임오군란, 신축민란
순종11경술국치
일제강점기221419일제강점기, 3.1 운동, 제암리 학살사건, 3693호 태풍, 2353호 태풍
미군정444.3 사건


4.2. 정부 수립 이후[편집]


정부재난 종류비고
권력
투쟁[3]
소요/
항쟁
외침경제위기/
전염병[4]
참사[5]합계
이승만 정부[6]211484.3 사건, 여순사건 / 4.19 혁명 / 6.25 전쟁 / 국민방위군, 보도연맹 사건, 창경호 침몰 사고, 태풍 사라
제2공화국[7]115.16 군사정변
박정희 정부[8]22241010월 유신, 10.26 사건 / 6.3 항쟁, 부마항쟁 / 1, 2차 오일 쇼크 / 연호 침몰 사고, 남영호 침몰 사고, 대연각호텔 화재, YTL30호 침몰 사고
최규하 정부[9]21312.12 사태, 5.17 내란 / 5.18 민주화운동
전두환 정부1456월 항쟁 / KAL기 폭파 사건, 삼청교육대,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태풍 셀마
노태우 정부11청명계획
문민정부145IMF /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국민의 정부134카드 대란 / 태풍 루사,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대구 지하철 참사
참여정부[10]1113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및 심판 /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 태풍 매미
이명박 정부22대침체, 2009년 인플루엔자 범유행
박근혜 정부[11]11114박근혜 대통령 탄핵 / 박근혜 정부 퇴진 운동 / 메르스 사태 / 세월호 참사
문재인 정부22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봉쇄
윤석열 정부1122022년 세계 원숭이 두창 확산 사태[12] / 이태원 압사 사고


5. 역대 재난 순위[편집]


인명 피해 규모에 따라 정리한다. 재난의 범위는 해외 재난은 500명 이상의 사망자가, 국내 재난은 1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사고에 한정한다. 단, 전투 행위로 인한 사건[13], 개인 또는 단체가 의도한 테러(대량살인)[14] 및 학살[15]의 경우 제외한다.


5.1. 해외 인재 사고 (전쟁 제외)[편집]


년도재해명발생국(지역)종류사망부상, 장애, 후유증비고
1986.4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소련산업재해42명[16]20만 이상
1984.12보팔 가스 누출 사고인도산업재해3,787~
16,000명
50만 이상산업재해 중 최대
1952.121952년 런던 그레이트스모그[17]영국환경재해12,000명단기 환경재해 중 최대
1987.12도냐 파즈호 침몰 사고필리핀해상사고4,375명26명[18]비전시 해상사고 중 최대
1917.12핼리팩스 대폭발캐나다폭발사고2,000명9,000명핵무기 개발 이전의 폭발 중 최대
1990.7사우디아라비아 성지순례 압사 사고사우디아라비아압사1,426명압사 사고 중 최대
2013.4라나 플라자 붕괴사고방글라데시건물붕괴1,129명2,500명건물 붕괴 사고 중 최대
2015.9사우디아라비아 성지순례 압사 사고사우디아라비아압사717명~863명~
1977.3테네리페 참사스페인령 카나리아 제도항공사고583명61명항공사고 중 최대


5.2. 국내 인재 사고 (전쟁 제외)[편집]


년도재해명발생국(지역)종류사망실종부상, 장애, 후유증, 구조비고
1995.06.29삼풍백화점 붕괴 사고서울특별시 서초구붕괴502명30명977명붕괴 사고 중 최다 사망
1970.12.15남영호 침몰 사고전라남도 여천군 해상해상 사고326명12명해상 사고 중 최다 사망
2014.04.16세월호 침몰 사고전라남도 진도군 해상해상 사고299명5명172명
1993.10.10서해훼리호 침몰 사고전라북도 부안군 해상해상 사고292명70명
1953.01.18창경호 침몰 사고경상남도 부산시 해상해상 사고269명~[19]8명
1971.12.25대연각호텔 화재 사고서울특별시 중구화재166명25명63명화재 사고 중 최다 사망
1974.02.22YTL30호 침몰 사고경상남도 충무시 해상해상 사고159명157명해군 평시 사고 중 최다 사망
2022.10.29이태원 압사 사고서울특별시 용산구압사159명196명압사 사고 중 최다 사망
1963.01.18연호 침몰 사고전라남도 영암군 해상해상 사고140명1명
2002.04.15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경상남도 김해시항공 사고130명36명항공 사고 중 최다 사망[20]
1995.04.28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대구광역시 달서구폭발101명202명폭발 사고 중 최다 사망


6. 관련 문서[편집]



6.1. 생존 방법[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4:53:29에 나무위키 재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Disaster'는 별을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astro(라틴어 astrum)에 나쁜 것을 뜻하는 dis가 붙어 만들어진 이탈리아어 disastros에서 온 것으로 재앙을 가져오는 불길한 별을 의미하며 'Calamity'는 라틴어로 피해, 재앙을 의미하는 Calamitas에서 유래했다. Catastrophe와 Cataclysm은 고대 그리스어 kata에 각각 변화를 의미하는 strepho, 씻겨나가다라는 kluzein이 붙어 급격한 변화를 의미하는 Katastrophe, 홍수를 의미하는 Kataklusmos가 되었고 여기서 재앙이란 의미가 생겨났다. Debacle은 주로 산사태, 눈사태 등을 의미하는 단어로 막다라는 의미의 프랑스어 bacler에 부정을 의미하는 de-가 붙어서 만들어진 Debacler에서 나온 단어이다.[2] 다만 이건 태조가 조선 왕조를 열기 전이다.[3] 반란 및 내란, 탄핵 등[4] 대규모 경제 위기, 범유행 질병 등[5] 100명 이상의 사망자를 유발한 사고 및 재해[6] 허정 권한대행 체제 포함[7] 허정 내각, 장면 내각국가재건최고회의 주도의 군정 포함[8] 최규하 권한대행 체제 포함[9] 박충훈 권한대행 체제 포함[10] 고건 권한대행 체제 포함[11] 황교안 권한대행 체제 포함[12] 대한민국 확진자가 발생한 날짜는 2022년 6월 22일이다.[13] 빌헬름 구스틀로프 사건, 도쿄 대공습[14] 9.11 테러, 대구 지하철 참사[15] 홀로코스트, 보도연맹 사건[16] 사고 특성상 피해 규모 추정이 극과 극을 오간다. 사고 당시 현장에서 사망한 인원은 수십 명 수준이지만, 피폭에 따른 장기적인 사망자(암 발병 등)는 적게는 1만 단위에서 많게는 20만을 이야기하기도 한다.[17] 4~50년대 런던에서 발생한 여러 스모그 중 가장 심각했던 스모그.[18] 사고를 당한 사람 중 99% 이상이 죽었다는 뜻이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로.[19] 269명은 공식적인 수치로, 실제로는 300명 가량으로 추정되기도 한다.[20] 사망자가 더 많이 발생한 국외에서 일어난 대한민국 국적의 항공 사고를 포함하면 228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