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비례대표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1. 개요
2. 당선인 결정 방식
2.1. 의석 할당 정당
2.2. 의석 수 배분
2.2.1. 30석(준연동형)
2.2.2. 17석(병립형)
2.3. 예시
3. 정당 기호
4. 개표 결과
4.1. 의석 수 배분
4.2. 계산
6. 광역자치단체별 개표 결과
6.1. 서울특별시
6.2. 부산광역시
6.3. 대구광역시
6.4. 인천광역시
6.5. 광주광역시
6.6. 대전광역시
6.7. 울산광역시
6.8. 세종특별자치시
6.9. 경기도
6.10. 강원도
6.11. 충청북도
6.12. 충청남도
6.13. 전라북도
6.14. 전라남도
6.15. 경상북도
6.16. 경상남도
6.17. 제주특별자치도
7. 시군구별 1위 정당
8. 기타


1. 개요[편집]


제21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
비례대표
비율
19석
40.4%
17석
36.2%
5석10.6%
3석6.4%
3석6.4%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비례대표 국회의원 선출 방식을 설명하고 후보자 명단, 개표 결과를 서술하는 문서.

2. 당선인 결정 방식[편집]


비례대표 의석 배분 계산기(엑셀)
비례대표 의석 배분 계산기(사이트)

2.1. 의석 할당 정당[편집]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정당(의석할당정당)에 대하여 비례대표국회의원의석을 배분한다.

1. 임기만료에 따른 비례대표국회의원선거에서 전국 유효투표총수의 100분의 3 이상을 득표한 정당

2. 임기만료에 따른 지역구국회의원선거에서 5 이상의 의석을 차지한 정당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와 동일하게 지역구 당선인을 5석 이상 배출하거나, 비례대표 득표율 3% 이상 득표하는 정당에만 비례대표 의석을 배분하도록 하는 봉쇄조항이 적용되었다.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의석 할당 정당에 대해서만 비례대표 의석이 배분된다.

2.2. 의석 수 배분[편집]



2.2.1. 30석(준연동형)[편집]


공직선거법의 개정으로 이번 선거부터 지역구 선거 결과가 비례대표 의석 배분에 제한적으로 연동되는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 한해서는 공직선거법 부칙에 의하여 연동형으로 배분되는 의석은 최대 30석으로 제한한다.

다음과 같은 계산값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산정한 연동 배분 의석 수만큼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의석을 각 의석 할당 정당에 배분한다. 이 경우 연동 배분 의석 수가 1보다 작으면 해당 정당의 연동 배분 의석 수는 0으로 한다.

  • 연동 배분 의석 수 = {(국회의원 정수 - 의석할당정당이 추천하지 않은 지역구(무소속) 국회의원 당선인 수) × 해당 정당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 득표비율-해당 정당의 지역구 국회의원 당선인 수} ÷ 2

각 의석 할당 정당별 연동 배분 의석 수의 합계가 비례대표 국회의원 의석 정수에 미달할 경우 각 의석 할당 정당에 배분할 잔여 배분 의석 수는 다음 계산식에 따라 산정한다. 정수의 의석을 먼저 배정하고 남은 의석은 소수점 아래 숫자가 큰 순으로 각 의석 할당 정당에 1석씩 배분하되, 그 수가 같은 때에는 해당 정당 사이의 추첨에 따른다.

  • 잔여 배분 의석 수 = (30 - 각 연동 배분 의석 수의 합계) ×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 득표비율

반면 각 정당별 연동 배분 의석 수의 합계가 비례대표 국회의원 의석 정수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음 계산식에 따라 산출된 조정 의석 수를 각 의석 할당 정당의 연동 할당 의석으로 한다.

  • 조정 의석 수 = 30 × 연동 배분 의석 수 ÷ 각 연동 배분 의석 수의 합계

2.2.2. 17석(병립형)[편집]


비례대표 국회의원 의석 정수에서 30석을 뺀 수(17석): 각 의석 할당 정당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 득표비율에 17을 곱하여 산출된 수의 정수의 의석을 해당 정당에 먼저 배분하고 잔여 의석은 소수점 이하 수가 큰 순으로 각 정당에 1석씩 배분하되, 그 수가 같은 때에는 해당 정당 사이의 추첨에 따른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8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8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3. 예시[편집]


의석
할당
정당
새누리당(지역구 105석, 비례 33.5%)
더불어민주당(지역구 110석, 비례 25.5%)
국민의당(지역구 25석, 비례 26.7%)
정의당(지역구 2석, 비례 7.2%)
비할당기타(지역구 0석, 비례 7.1%)
무소속(지역구 11석)

국회의원
정수
-비할당 정당 및
무소속 당선인 수
=연동
대상
30011289

연동
대상
×정당 득표율=비율에 따른
의석수
289● 33.5%
● 25.5%
● 26.7%
7.2%
● 96.8
● 73.7
● 77.2
20.8

비율에 따른
의석 수
-지역구
당선인
=연동형
의석수
● 96.8
● 73.7
● 77.2
20.8
● 105
● 110
● 25
2
● 0
● 0
● 52.2
18.8

연동형
의석수
×연동률
적용
=준연동형
의석수
● 52.2
18.8
50%● 26.1
9.4
(합 35.5)

CAP
적용 여부

(35.5)
30 이하→적용 안 함
30 초과🚩→적용

준연동형
의석수
×CAP
적용
=조정
의석수
● 26.1
9.4
84.5%● 22
8
(합 30)

정당지역구준연동형
(CAP 조정)
병립형총합
새누리105석0석6석111석
더민주110석0석5석115석
국민25석22석5석52석
정의2석8석1석11석
무소속11석0석0석11석
합계253석30석17석300석

의석
할당
정당
새누리당(지역구 105석)
비례위성(비례 33.5%)
더불어민주당(지역구 110석)
비례위성(비례 25.5%)
국민의당(지역구 25석, 비례 26.7%)
정의당(지역구 2석, 비례 7.2%)
비할당기타(지역구 0석, 비례 7.1%)
무소속(지역구 11석)

국회의원
정수
-비할당 정당 및
무소속 당선인 수
=연동
대상
30011289

연동
대상
×정당 득표율=비율에 따른
의석수
289● 33.5%
● 25.5%
● 26.7%
7.2%
● 96.8
● 73.7
● 77.2
20.8

비율에 따른
의석 수
-지역구
당선인
=연동형
의석수
● 96.8
● 73.7
● 77.2
20.8
● 0
● 0
● 25
2
● 96.8
● 73.7
● 52.2
18.8

연동형
의석수
×연동률
적용
=준연동형
의석수
● 96.8
● 73.7
● 52.2
18.8
50%● 48.4
● 36.9
● 26.1
9.4
(합 120.8)

CAP
적용 여부

(120.8)
30 이하→적용 안 함
30 초과🚩→적용

준연동형
의석수
×CAP
적용
=조정
의석수
● 48.4
● 36.9
● 26.1
9.4
24.8%● 12
● 9
● 7
2
(합 30)

정당지역구준연동형
(CAP 조정)
병립형총합
새누리105석0석0석123석
위성0석12석6석
더민주110석0석0석124석
위성0석9석5석
국민25석7석5석37석
정의2석2석1석5석
무소속11석0석0석11석
합계253석30석17석300석

3. 정당 기호[편집]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정당투표용지에는 기호 1번기호 2번이 없다. 총선에 정당투표제가 도입된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원내 1당과 2당이 비례대표 후보를 내지 않은 것은 사상 초유의 일이다.

120석의 원내 1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자당의 비례대표 후보를 비례대표 위성정당더불어시민당에 파견했고 95석의 원내 2당 미래통합당은 단독 비례대표 후보를 내지 않고 위성정당미래한국당이 비례대표 전담 정당으로 후보를 냈다. 따라서 후보 등록 마감 시점의 20대 국회의원 현역 의석 수에 따라 20석을 보유한 민생당이 기호 3번이면서 정당투표 가장 윗 순번을 차지하게 됐다. 이어 17석을 보유한 미래한국당이 기호 4번, 8석을 보유한 더불어시민당이 기호 5번, 6석을 보유한 정의당이 기호 6번, 2석을 보유한 우리공화당이 기호 7번을 받게 됐다.

민중당, 한국경제당, 국민의당, 친박신당, 열린민주당 등 현역 의석이 1석인 정당들 중 지난 선거인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했던 민중당(전 민중연합당)과 한국경제당(전 친반통일당)은 비례대표 득표수 순에 따라 각각 8번과 9번으로 확정되었고, 그 외의 세 개 정당은 마감일 저녁에 추첨을 통하여 10번에 국민의당, 11번에 친박신당, 12번에 열린민주당이 배정받았다. 13번부터는 비례대표 후보를 낸 원외정당들이 가나다 순으로 배정된다.

4. 개표 결과[편집]


파일:국회휘장.svg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기호정당순위할당
여부
득표수득표율
3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6X
758,7782.71%
4
ta-hash-start=w-16e064167ef793f58aed5ba0d1f1629c[[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O
(19석)
9,441,52033.84%
5
ta-hash-start=w-4d3515f670beb14cc76159cd3881151b[[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2O
(17석)
9,307,11233.35%
6
ta-hash-start=w-ebd9dc98957b723ce7be035e56dfcfe9[[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3O
(5석)
2,697,9569.67%
7
ta-hash-start=w-7dcaf28989f03f0a85f05eb8d4a96b1d[[파일:우리공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9X
208,7190.74%
8
ta-hash-start=w-778a9e8792003bf61d7fd289975e3213[[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8
295,6121.05%
9
ta-hash-start=w-6cabc1fcfce6836519b76a0ce20d67da[[파일:한국경제당 흰색 로고타입.svg
18
48,8070.17%
10
ta-hash-start=w-a6357a1a79db54c9e29099296d07d1dd[[파일:국민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4O
(3석)
1,896,7196.79%
11
ta-hash-start=w-b21376ad4cebc51c2c0d2de9839dfcbb[[파일:친박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12X
142,7470.51%
12
ta-hash-start=w-526014fa0f4b6d65e82252e2f24441a1[[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O
(3석)
1,512,7635.42%
13
ta-hash-start=w-17f5e6db87929fb55cebeb7fd58c1d41[[파일:가자코리아 로고타입.svg
20X
34,0120.12%
14
ta-hash-start=w-6a67ad49461a5940715c8257a5902b79[[파일:가자평화인권당_글자.png
33
9,2450.03%
15
ta-hash-start=w-b7ba782f97ac3731ed52debd95b04317[[파일:가자환경당 흰색 로고타입.svg
30
11,0400.03%
16
ta-hash-start=w-d882cdd325a9cea02b8a693daba786f8[[파일: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svg
11
200,6570.71%
17

29
12,3760.04%
18
ta-hash-start=w-50523d9bd9d5d9a44bbc2f778954c5ae[[파일:국민참여신당.png
27
15,9980.05%
19
파일:기독자유통일당 흰색 로고타입.svg

7
513,1591.83%
2028
14,2420.05%
2132
10,8330.03%
2219
34,2720.12%
2317
58,9480.21%
2435
4,8550.01%
2524
19,2460.06%
2615
71,4230.25%
2716
71,2970.25%
2814
80,2080.28%
2910
208,6970.74%
3034
6,7730.02%
3122
20,5990.07%
3213
101,8190.36%
3323
19,4440.06%
3431
10,8410.03%
3526
17,4050.06%
3625
19,1590.06%
3721
22,5830.08%
선거인 수43,994,247투표율
66.21%
투표 수29,126,396
무효표 수1,226,532

4.1. 의석 수 배분[편집]



정당조정
의석수
병립
의석수
총합
미래한국당12석7석19석
더불어시민당11석6석17석
정의당3석2석5석
국민의당2석1석3석
열린민주당2석1석3석
30석17석47석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와 비교해 다음과 같은 변동이 있었다.

4.2. 계산[편집]


의석
할당
정당
더불어민주당(지역구 163석)
더불어시민당(비례 33.4%)
미래통합당(지역구 84석)
미래한국당(비례 33.8%)
정의당(지역구 1석, 비례 9.7%)
국민의당(비례 6.8%)
열린민주당(비례 5.4%)
비할당기타(지역구 0석, 비례 10.9%)
무소속(지역구 5석)

국회의원
정수
-비할당 정당 및
무소속 당선인 수
=연동
대상
3005295

정당
득표율
÷할당 정당
득표율
총계
=비례대표
득표비율
● 33.4%
● 33.8%
9.7%
● 6.8%
● 5.4%
89.1%● 37.4%
● 38.0%
10.9%
● 7.6%
● 6.1%

연동
대상
×비례대표
득표비율
=비율에 따른
의석수
295● 37.4%
● 38.0%
10.9%
● 7.6%
● 6.1%
● 110.5
● 112.1
32.0
● 22.5
● 18.0

비율에 따른
의석 수
-지역구
당선인
=연동형
의석수
● 110.5
● 112.1
32.0
● 22.5
● 18.0
● 0
● 0
1
● 0
● 0
● 110.5
● 112.1
31.0
● 22.5
● 18.0

연동형
의석수
×연동률
적용
=준연동형
의석수
● 110.5
● 112.1
31.0
● 22.5
● 18.0
50%● 55
● 56
16
● 11
● 9
(합 147)

CAP
적용 여부

(147)
30 이하→적용 안 함
30 초과🚩→적용

준연동형
의석수
×CAP
적용
=조정
의석수
● 55
● 56
16
● 11
● 9
20.4%● 11
● 12
3
● 2
● 2
(합 30)

비례대표
득표비율
×병립형
의석수
=병립
의석수
● 37.4%
● 38.0%
10.9%
● 7.6%
● 6.1%
17● 6
● 7
2
● 1
● 1
(합 17)

정당지역구준연동형
(CAP 조정)
병립형총합
더민주163석0석0석180석
더시민0석11석6석
통합84석0석0석103석
한국0석12석7석
정의1석3석2석6석
국민0석2석1석3석
열린0석2석1석3석
무소속5석0석0석5석
합계253석30석17석300석


5. 후보자 및 당선인[편집]




6. 광역자치단체별 개표 결과[편집]



6.1. 서울특별시[편집]


서울특별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8,477,244
투표수 : 5,775,433
투표율 : 68.37%
무효표수 : 213,102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135,4342.43
4미래한국당1,841,54433.10
5더불어시민당1,846,90233.20
6정의당541,5839.73
7우리공화당34,3140.61
8민중당38,8470.69
9한국경제당6,5980.11
10국민의당459,4798.26
11친박신당20,9750.37
12열린민주당327,1095.88
13가자코리아4,3240.07
14가자!평화인권당1,3050.02
15가자환경당1,6900.03
16국가혁명배당금당31,8260.57
17국민새정당1,8460.03
18국민참여신당2,5590.04
19기독자유통일당106,4641.91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2,2420.04
21남북통일당1,4970.02
22노동당3,9600.07
23녹색당15,1800.27
24대한당5220.00
25대한민국당2,2970.04
26미래당12,6860.22
27미래민주당11,1160.19
28새누리당13,2220.23
29여성의당58,0111.04
30우리당9730.01
31자유당2,8760.05
32자유의새벽당22,6520.40
33중소자영업당3,3480.06
34충청의미래당1,0540.01
35통일민주당2,1550.03
36한국복지당2,4600.04
37홍익당3,2810.05

6.2. 부산광역시[편집]


부산광역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 2,958,290
투표수 : 2,001,838
투표율 : 67.67%
무효표수 : 89,855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41,6142.17
4미래한국당836,59943.75
5더불어시민당543,47428.42
6정의당140,8227.36
7우리공화당15,0480.78
8민중당14,4050.75
9한국경제당3,0460.15
10국민의당118,5706.20
11친박신당9,6810.50
12열린민주당87,9654.60
13가자코리아2,2100.11
14가자!평화인권당5900.03
15가자환경당7200.03
16국가혁명배당금당15,8780.83
17국민새정당7230.03
18국민참여신당9640.05
19기독자유통일당30,4651.59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8820.04
21남북통일당6600.03
22노동당1,9070.09
23녹색당3,5790.19
24대한당3170.01
25대한민국당1,2520.06
26미래당4,9050.25
27미래민주당4,1270.21
28새누리당5,5920.29
29여성의당12,1690.63
30우리당4250.02
31자유당1,4100.07
32자유의새벽당6,9130.36
33중소자영업당1,2360.06
34충청의미래당2170.01
35통일민주당1,0160.05
36한국복지당1,1960.06
37홍익당1,4060.04

6.3. 대구광역시[편집]


대구광역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 2,071,120
투표수 : 1,387,494
투표율 : 66.99%
무효표수 : 53,806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19,8051.48
4미래한국당730,77554.79
5더불어시민당216,49616.23
6정의당84,9866.37
7우리공화당23,8281.78
8민중당6,7690.50
9한국경제당3,4550.25
10국민의당115,4168.65
11친박신당9,2870.69
12열린민주당40,4873.03
13가자코리아1,7550.13
14가자!평화인권당3880.02
15가자환경당3780.02
16국가혁명배당금당11,6270.87
17국민새정당5240.03
18국민참여신당7460.05
19기독자유통일당27,4182.05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5600.04
21남북통일당4350.03
22노동당1,1230.08
23녹색당2,5750.19
24대한당2580.01
25대한민국당1,0310.07
26미래당4,5710.34
27미래민주당2,7790.20
28새누리당5,9200.44
29여성의당8,4730.63
30우리당3550.02
31자유당1,1600.08
32자유의새벽당6,5620.49
33중소자영업당9010.06
34충청의미래당2030.01
35통일민주당6150.04
36한국복지당1,0170.07
37홍익당1,0100.07

6.4. 인천광역시[편집]


인천광역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 2,500,690
투표수 : 1,581,223
투표율 : %
무효표수 : 70,344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34,9782.31
4미래한국당473,34331.32
5더불어시민당522,42034.57
6정의당178,60111.82
7우리공화당9,7290.64
8민중당11,7310.77
9한국경제당2,2780.15
10국민의당101,0626.68
11친박신당7,3600.48
12열린민주당78,8055.21
13가자코리아1,8940.12
14가자!평화인권당4600.03
15가자환경당5870.03
16국가혁명배당금당11,3900.75
17국민새정당6500.04
18국민참여신당9100.06
19기독자유통일당31,2312.06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6810.04
21남북통일당6190.04
22노동당1,5600.10
23녹색당2,5340.16
24대한당2340.01
25대한민국당1,0250.06
26미래당4,3730.28
27미래민주당4,2550.28
28새누리당4,3550.28
29여성의당12,6320.83
30우리당3660.02
31자유당1,1840.07
32자유의새벽당5,6310.37
33중소자영업당8970.05
34충청의미래당3250.02
35통일민주당8950.05
36한국복지당9360.06
37홍익당9480.06

6.5. 광주광역시[편집]


광주광역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 1,208,263
투표수 : 795,844
투표율 : %
무효표수 : 23,637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49,1886.36
4미래한국당24,6003.18
5더불어시민당470,69860.95
6정의당76,0429.84
7우리공화당1,0620.13
8민중당22,5812.92
9한국경제당5060.06
10국민의당37,6594.87
11친박신당6100.07
12열린민주당63,2038.18
13가자코리아7920.10
14가자!평화인권당1980.02
15가자환경당3270.04
16국가혁명배당금당4,0060.51
17국민새정당2420.03
18국민참여신당3150.04
19기독자유통일당5,6140.72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1,3580.17
21남북통일당2290.02
22노동당1,1300.14
23녹색당1,3620.17
24대한당810.01
25대한민국당3630.04
26미래당4330.05
27미래민주당1,9470.25
28새누리당5230.06
29여성의당4,0160.52
30우리당1110.01
31자유당3290.04
32자유의새벽당9000.11
33중소자영업당4250.05
34충청의미래당410.00
35통일민주당5310.06
36한국복지당2810.03
37홍익당5040.06

6.6. 대전광역시[편집]


대전광역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 1,237,183
투표수 : 810,576
투표율 : %
무효표수 : 36,137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17,6262.27
4미래한국당249,77132.25
5더불어시민당260,90833.68
6정의당75,9339.80
7우리공화당5,3000.68
8민중당6,9020.89
9한국경제당1,1590.14
10국민의당61,4787.93
11친박신당3,5850.46
12열린민주당42,3235.46
13가자코리아9020.11
14가자!평화인권당2360.03
15가자환경당2820.03
16국가혁명배당금당6,4270.82
17국민새정당3100.04
18국민참여신당4900.06
19기독자유통일당18,7542.42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3900.05
21남북통일당2760.03
22노동당6810.08
23녹색당1,4320.18
24대한당1170.01
25대한민국당4880.06
26미래당2,2720.29
27미래민주당2,1630.27
28새누리당1,9300.24
29여성의당5,7310.74
30우리당1780.02
31자유당5430.07
32자유의새벽당2,6550.34
33중소자영업당5370.06
34충청의미래당1,2050.15
35통일민주당4100.05
36한국복지당4460.05
37홍익당5990.07

6.7. 울산광역시[편집]


울산광역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 953,648
투표수 : 654,379
투표율 : %
무효표수 : 25,458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13,0902.08
4미래한국당249,04639.59
5더불어시민당168,33026.76
6정의당64,65910.28
7우리공화당4,8040.71
8민중당17,0882.71
9한국경제당1,0850.17
10국민의당38,9456.19
11친박신당3,2530.51
12열린민주당27,6074.38
13가자코리아9810.15
14가자!평화인권당2280.03
15가자환경당2160.03
16국가혁명배당금당6,3831.01
17국민새정당2750.04
18국민참여신당3860.06
19기독자유통일당9,7551.55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3050.04
21남북통일당2500.03
22노동당5,9610.94
23녹색당1,5480.24
24대한당1150.01
25대한민국당4660.07
26미래당2,0990.33
27미래민주당1,5720.24
28새누리당2,2820.36
29여성의당3,7010.58
30우리당1350.02
31자유당5060.08
32자유의새벽당2,0080.31
33중소자영업당4480.07
34충청의미래당930.01
35통일민주당3660.05
36한국복지당4500.07
37홍익당4850.07

6.8. 세종특별자치시[편집]


세종특별자치시 비례대표
선거인수 : 263,388
투표수 : 180,395
투표율 : %
무효표수 : 5,861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4,0712.33
4미래한국당44,64225.57
5더불어시민당63,76136.53
6정의당21,42312.27
7우리공화당7760.44
8민중당1,1870.68
9한국경제당1910.10
10국민의당16,0979.22
11친박신당6300.36
12열린민주당12,7807.32
13가자코리아1850.10
14가자!평화인권당390.03
15가자환경당430.03
16국가혁명배당금당1,3111.01
17국민새정당480.02
18국민참여신당950.05
19기독자유통일당3,1791.82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530.03
21남북통일당310.01
22노동당1100.06
23녹색당2800.16
24대한당180.01
25대한민국당700.04
26미래당4690.26
27미래민주당3560.20
28새누리당3060.17
29여성의당1,1460.65
30우리당320.01
31자유당690.03
32자유의새벽당6230.35
33중소자영업당880.05
34충청의미래당1360.07
35통일민주당740.04
36한국복지당890.05
37홍익당1260.07

6.9. 경기도[편집]


경기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11,067,819
투표수 : 7,193,937
투표율 : %
무효표수 : 287,235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164,7742.38
4미래한국당2,168,60531.39
5더불어시민당2,398,04134.72
6정의당720,17410.42
7우리공화당43,5580.63
8민중당61,3490.88
9한국경제당9,4990.13
10국민의당502,4917.27
11친박신당33,8410.48
12열린민주당408,4765.91
13가자코리아8,1710.11
14가자!평화인권당1,8600.02
15가자환경당2,3200.03
16국가혁명배당금당46,6290.67
17국민새정당2,6900.03
18국민참여신당3,8240.05
19기독자유통일당142,8462.06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3,0220.04
21남북통일당2,2240.03
22노동당6,0420.08
23녹색당13,2650.19
24대한당8740.01
25대한민국당3,9780.05
26미래당17,1790.24
27미래민주당17,2350.24
28새누리당17,4930.25
29여성의당55,9460.81
30우리당1,3700.01
31자유당4,4740.06
32자유의새벽당28,0010.40
33중소자영업당4,1050.05
34충청의미래당1,3030.01
35통일민주당3,3350.04
36한국복지당3,5140.05
37홍익당4,1940.06

6.10. 강원도[편집]


강원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1,323,766
투표수 : 874,184
투표율 : %
무효표수 : 43,835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19,5702.35
4미래한국당324,87339.12
5더불어시민당239,77728.87
6정의당80,9509.74
7우리공화당7,6440.92
8민중당8,8021.06
9한국경제당2,3220.27
10국민의당48,5425.84
11친박신당6,9700.83
12열린민주당38,4354.62
13가자코리아1,3830.16
14가자!평화인권당3770.04
15가자환경당4090.04
16국가혁명배당금당7,6930.92
17국민새정당5230.06
18국민참여신당6010.07
19기독자유통일당13,9701.68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5370.06
21남북통일당5170.06
22노동당1,1800.14
23녹색당2,1750.26
24대한당2570.01
25대한민국당9710.11
26미래당2,2730.27
27미래민주당2,9230.35
28새누리당3,8750.46
29여성의당4,9720.59
30우리당3010.01
31자유당8730.10
32자유의새벽당2,9210.35
33중소자영업당7610.09
34충청의미래당2570.03
35통일민주당8150.09
36한국복지당9990.12
37홍익당9010.10

6.11. 충청북도[편집]


충청북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1,354,046
투표수 : 865,923
투표율 : %
무효표수 : 42,815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23,8642.89
4미래한국당298,54036.26
5더불어시민당254,08530.86
6정의당85,28210.36
7우리공화당7,2220.87
8민중당6,8370.83
9한국경제당1,8870.22
10국민의당50,6546.15
11친박신당6,1150.74
12열린민주당38,2114.64
13가자코리아1,2500.15
14가자!평화인권당3490.04
15가자환경당3710.04
16국가혁명배당금당7,0690.85
17국민새정당5340.06
18국민참여신당5400.06
19기독자유통일당13,5961.65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4730.05
21남북통일당4590.05
22노동당1,0850.13
23녹색당1,8740.22
24대한당2170.02
25대한민국당8320.10
26미래당2,7730.33
27미래민주당2,7570.33
28새누리당2,6050.31
29여성의당4,9120.59
30우리당2790.03
31자유당7330.08
32자유의새벽당2,7580.33
33중소자영업당7950.09
34충청의미래당1,7770.21
35통일민주당7440.09
36한국복지당8050.09
37홍익당8240.10

6.12. 충청남도[편집]


충청남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1,781,956
투표수 : 1,112,253
투표율 : %
무효표수 : 60,994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26,7422.54
4미래한국당372,22936.40
5더불어시민당328,36431.23
6정의당101,8579.68
7우리공화당8,8130.83
8민중당14,8231.41
9한국경제당2,5850.24
10국민의당67,2286.39
11친박신당8,1280.77
12열린민주당48,8184.64
13가자코리아1,5930.15
14가자!평화인권당4570.04
15가자환경당5070.04
16국가혁명배당금당9,1500.87
17국민새정당6460.06
18국민참여신당8090.07
19기독자유통일당23,9392.27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6200.05
21남북통일당6010.05
22노동당1,4000.13
23녹색당1,6120.15
24대한당2750.02
25대한민국당1,0260.09
26미래당3,3100.31
27미래민주당3,6020.34
28새누리당3,4480.32
29여성의당6,6850.63
30우리당3510.03
31자유당1,0120.09
32자유의새벽당4,0020.38
33중소자영업당9570.09
34충청의미래당2,5350.24
35통일민주당9530.09
36한국복지당1,0920.10
37홍익당1,0900.10

6.13. 전라북도[편집]


전라북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1,542,579
투표수 : 1,033,976
투표율 : %
무효표수 : 45,166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62,6076.33
4미래한국당56,6665.73
5더불어시민당553,96756.02
6정의당118,78312.01
7우리공화당5,9080.59
8민중당15,6071.57
9한국경제당1,5880.16
10국민의당40,5124.09
11친박신당2,0390.20
12열린민주당89,2129.02
13가자코리아1,2700.12
14가자!평화인권당3890.03
15가자환경당6540.06
16국가혁명배당금당5,3150.53
17국민새정당6330.06
18국민참여신당6770.06
19기독자유통일당11,1451.12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4110.04
21남북통일당4740.04
22노동당1,2030.12
23녹색당1,5580.15
24대한당1720.01
25대한민국당7100.07
26미래당9650.09
27미래민주당3,2290.32
28새누리당1,1640.1
29여성의당4,8800.49
30우리당2960.02
31자유당7170.07
32자유의새벽당1,6490.16
33중소자영업당9320.09
34충청의미래당2150.02
35통일민주당1,2230.12
36한국복지당7380.07
37홍익당1,3020.13

6.14. 전라남도[편집]


전라남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1,592,850
투표수 : 1,079,454
투표율 : %
무효표수 : 50,201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76,2987.41
4미래한국당43,1224.18
5더불어시민당621,10060.34
6정의당98,4319.56
7우리공화당4,2930.41
8민중당31,4423.05
9한국경제당2,4540.23
10국민의당39,8623.87
11친박신당1,8780.18
12열린민주당71,6726.96
13가자코리아1,4350.13
14가자!평화인권당5170.05
15가자환경당1,0180.09
16국가혁명배당금당4,5940.44
17국민새정당7110.06
18국민참여신당6090.05
19기독자유통일당8,4100.81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5560.05
21남북통일당5180.05
22노동당1,3660.13
23녹색당1,4340.13
24대한당2260.02
25대한민국당8070.07
26미래당7930.07
27미래민주당3,1590.30
28새누리당1,1000.10
29여성의당4,0540.39
30우리당3350.03
31자유당6330.06
32자유의새벽당1,4130.13
33중소자영업당8830.08
34충청의미래당2710.02
35통일민주당1,5020.14
36한국복지당6780.06
37홍익당1,6790.16

6.15. 경상북도[편집]


경상북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2,282,938
투표수 : 1,516,135
투표율 : %
무효표수 : 73,396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23,4341.62
4미래한국당818,95256.76
5더불어시민당232,92316.14
6정의당94,2516.53
7우리공화당19,4191.43
8민중당12,3920.85
9한국경제당5,2350.36
10국민의당80,4285.57
11친박신당15,9661.10
12열린민주당41,3342.86
13가자코리아2,3410.16
14가자!평화인권당7750.05
15가자환경당5620.03
16국가혁명배당금당12,7150.88
17국민새정당8980.06
18국민참여신당1,0100.07
19기독자유통일당32,8212.27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8990.06
21남북통일당8710.06
22노동당1,8350.12
23녹색당1,9950.12
24대한당5460.03
25대한민국당1,7640.12
26미래당5,5470.38
27미래민주당3,6750.25
28새누리당7,8950.54
29여성의당7,3740.51
30우리당5480.03
31자유당1,9790.13
32자유의새벽당5,8960.40
33중소자영업당1,1130.07
34충청의미래당5980.04
35통일민주당1,0720.07
36한국복지당1,9850.13
37홍익당1,6910.11

6.16. 경상남도[편집]


경상남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2,823,511
투표수 : 1,914,323
투표율 : %
무효표수 : 89,498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38,2622.09
4미래한국당813,95844.60
5더불어시민당467,01925.59
6정의당171,1429.37
7우리공화당14,6180.80
8민중당20,6841.13
9한국경제당4,1880.22
10국민의당98,6105.40
11친박신당10,5820.57
12열린민주당75,4594.13
13가자코리아2,9670.16
14가자!평화인권당9520.05
15가자환경당8180.04
16국가혁명배당금당16,6000.90
17국민새정당9260.05
18국민참여신당1,2230.06
19기독자유통일당29,7321.62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1,0960.06
21남북통일당9840.05
22노동당3,1410.17
23녹색당3,2490.17
24대한당5400.02
25대한민국당1,8580.10
26미래당5,5630.30
27미래민주당5,0370.27
28새누리당7,4300.40
29여성의당11,7230.64
30우리당6090.03
31자유당1,7970.07
32자유의새벽당6,3190.34
33중소자영업당1,5190.08
34충청의미래당5090.02
35통일민주당1,3650.07
36한국복지당2,1430.11
37홍익당2,2030.12

6.17. 제주특별자치도[편집]


제주특별자치도 비례대표
선거인수 : 554,956
투표수 : 349,029
투표율 : %
무효표수 : 15,192
기호정당득표수득표율[A]
3민생당7,4212.22
4미래한국당94,25528.23
5더불어시민당118,84735.60
6정의당43,03712.89
7우리공화당2,3830.71
8민중당4,1661.24
9한국경제당7310.21
10국민의당19,6865.89
11친박신당1,8470.55
12열린민주당20,8676.25
13가자코리아5590.16
14가자!평화인권당1250.03
15가자환경당1380.04
16국가혁명배당금당2,0440.61
17국민새정당1970.05
18국민참여신당2400.07
19기독자유통일당3,8201.14
20깨어있는시민연대당1570.04
21남북통일당1880.05
22노동당5880.17
23녹색당3,2960.98
24대한당860.02
25대한민국당3080.09
26미래당1,2120.36
27미래민주당1,3650.40
28새누리당1,0680.31
29여성의당2,2720.68
30우리당1090.03
31자유당3040.09
32자유의새벽당9160.27
33중소자영업당4990.14
34충청의미래당1020.03
35통일민주당3340.10
36한국복지당3300.09
37홍익당3400.10

7. 시군구별 1위 정당[편집]


파일: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 비례대표 결과.svg
시군구별 비례대표 1위 정당

8. 기타[편집]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인해 다음날 오전 11시 경에 개표가 마무리되었다. 신생 정당들이 많아 개표용지가 약 48cm가 되어 수개표를 해야 하고, 또 정당별 의석 산정과 배분 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당선자 확정이 늦어진 것이다. #

비례대표 배분을 받은 정당 중에 지역구 당선인이 있는 정당은 정의당 뿐으로, 나머지 당 중 세 당은 위성 정당[1], 한 당은 비례대표 전용 정당이기 때문이다. 정의당도 피치 못하게 지역구를 배출하지 못할 뻔 했으나 심상정 대표가 가까스로 당선되며 지역구 의석을 배출하였다. 하지만 위성 정당의 난립으로 연동형 의석이 (당연히) 30석을 넘어가므로 결국 47석을 배분 의석으로 나누게 되었고, 기존 17석 배분에서 16석 배분으로 줄었으나 최종 결과에는 미미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결국 준연동형으로는 똑같은 3석을 얻게 되었다.

연동제 취지가 무색하리만큼 연동제를 적용하지 않은 21대 총선 결과와 비슷하게 나왔다. 그러나 1석 정도 득실차가 있는 경우도 있다.

여담으로 지난 총선의 비례대표 무효표가 67만여표 정도 나왔었지만 이번에는 그의 두배 가까이 되는 120만표가 조금 넘는 무효표가 나왔는데, 이는 위성정당의 난립으로 인해 유권자의 혼란이 가중된 반증으로 보인다.[2]

지도만 놓고 보면, 일부 지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이 2년 뒤에 치뤄지는 대선 결과와 일치하며[3][4] 모두 보수정당이 접전승을 거두었다.


[A]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비례대표 기준은 소수점 둘째자리까지(셋째자리에서 반올림) 나온 것으로 판정.[1] 이러한 위성정당 난립으로 인해 군소정당들이 위축되고, 이로인하여 소수 의견이 제대로 제기되지 못해 민주주의를 해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 우려되었고, 우려는 현실이 되었다. 그나마 더불어시민당같은 경우는 이런 비판을 감안해 소수정당 후보를 포함시키는 식으로 운영했으나 취지가 무색해진 것은 부정할 수 없다.[2] 실제로 선거 후 SNS 및 커뮤니티에서 '우리 어머니가 비례대표에 미래통합당이 없어서 그냥 안 찍으셨다더라(...)'는 식의 글이 많이 올라왔다.[3] 참고로 21대 총선 비례대표가 20대 대선과 불일치한 지역은 서울 동작구, 양천구, 마포구, 중구,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경기 수원시 팔달구, 용인시 처인구, 고양시 일산동구, 덕양구, 평택시, 안성시, 양주시, 대전광역시 서구, 유성구, 대덕구,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울산광역시 북구 단 19곳에 불과하다. 이 19개 지역들 중 울산 북구와 경기도는 비례대표는 미래한국당이 승리했지만 대선에선 이재명이, 나머지 서울과 충청 지역에선 비례대표는 더불어시민당이 승리했지만 대선에선 윤석열이 승리한 지역들이다.[4] 광역단체로만 놓고 보면 서울, 대전만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