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천안시 을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천안시 을.svg
선거인 수280,172명 (2020)
상위 행정구역충청남도 천안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서북구 일부
부성1동, 부성2동, 불당동, 백석동, 성환읍, 성거읍, 직산읍, 입장면
신설년도1996년
국회의원
무소속

[1]
박완주



1. 개요[편집]


천안시에서 신시가지 지역과 서북구 읍면 지역으로 이뤄진 곳이다. 본래 충남권의 전체적인 흐름을 따라가는 지역구였으나, 2010년대 들어 불당동, 백석동, 부성동 쪽에 외지인이 폭발적으로 유입되면서 충남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지지도가 가장 높은 선거구가 되었다.

현 국회의원은 무소속 박완주 의원이다.


2. 선거구 조정의 역사[편집]


  • 본 선거구의 관할 구역을 일원으로 한 일반구 천안시 서북구가 출범하였다. 하지만 인구 편차 조정 때문에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천안시 갑에 쌍용2동을 넘겼다.[2]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천안시 병이 신설되면서 쌍용동의 나머지 부분인 쌍용1동과 쌍용3동을 신설된 천안시 병으로, 성정1동과 성정2동을 천안시 갑으로 넘겼다.
천안시 을(개편 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천안시 을(개편 후, 현재)
파일:국회선거구 천안시 을(2012년).svg
파일:국회선거구 천안시 을.svg

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제13대정일영
ta-hash-start=w-64df840b26595a635df3e0d98ea514a4[[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천안시
김종식천원군
제14대성무용
무소속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천안시
함석재
ta-hash-start=w-0e6930d35e9a52977d5bd93c414ce3b2[[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천안군
제15대
ta-hash-start=w-59f0551cd55e5761260ad066a45fe5d7[[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천안시 을
제16대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박상돈
ta-hash-start=w-e2e092985007a1e33dd712a6df38af98[[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ta-hash-start=w-7c0e0786e89b8c415a99a69a062cb358[[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0년 5월 4일
김호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0년 7월 29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박완주
ta-hash-start=w-ec6add58983ece9b953f7a3dc04248f2[[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2020년 5월 30일 ~


3.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천안시 을
성환읍, 성거읍, 직산면, 입장면, 성정1동, 성정2동, 쌍용동, 부성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한곤(金漢坤)10,2362위

ta-hash-start=w-a5468f4a8a184cd13696974d780a32a2[[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6.50%낙선
2정재원(鄭在原)6,7753위

ta-hash-start=w-19fadb255d5df879f17dc1cfb7d9969d[[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0.92%낙선
3박동인(朴東仁)4,9194위


7.93%낙선
4함석재(咸錫宰)37,5091위

ta-hash-start=w-5af253dd8a4836311da685376fee32c6[[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60.47%당선
5정세용(鄭世溶)2,5943위

무소속

4.18%낙선
선거인 수107,459투표율
59.20%
투표 수63,616
무효표 수1,583


3.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천안시 을
성환읍, 성거읍, 직산면, 입장면, 성정1동, 성정2동, 쌍용1동, 쌍용2동, 부성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동인(朴東仁)10,8233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6.56%낙선
2정재택(鄭在澤)13,9072위
21.27%낙선
3함석재(咸錫宰)26,5421위
40.60%당선
4최기덕(崔基德)1,2146위
1.86%낙선
5이용길(李鏞吉)7,3914위
11.31%낙선
6한종술(韓鍾述)5,4995위
8.41%낙선
선거인 수138,247투표율
47.79%
투표수66,062
무효표수686


3.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천안시 을
성환읍, 성거읍, 직산읍, 입장면, 성정1동, 성정2동, 쌍용1동, 쌍용2동, 쌍용3동, 부성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함석재(咸錫宰)22,7712위
24.90%낙선
2정재택(鄭在澤)4,4385위
4.85%낙선
3박상돈(朴商敦)41,6151위
45.51%당선
4장상훈(張相勳)12,1183위
13.25%낙선
5최기덕(崔基德)2668위
0.29%낙선
6이용길(李鏞吉)7,8314위
8.56%낙선
7안선원(安宣源)3517위
0.38%낙선
8이성만(李成萬)2,0466위
2.24%낙선
선거인 수167,422투표율
55.06%
투표 수92,188
무효표 수752



3.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천안시 을
성환읍, 성거읍, 직산읍, 입장면, 성정1동, 성정2동, 쌍용1동, 쌍용2동, 쌍용3동, 백석동, 부성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완주(朴完柱)12,8143위
14.84%낙선
2김호연(金昊淵)30,8982위
35.79%낙선
3박상돈(朴商敦)36,9491위
42.80%당선
4선춘자(宣春子)4,4554위
5.16%낙선
6김명운(金明運)1,2055위
1.40%낙선
선거인 수211,251투표율
41.16%
투표 수86,960
무효표 수639

3.5. 2010년 상반기 재보궐선거[편집]


천안시 을
성환읍, 성거읍, 직산읍, 입장면, 성정1동, 성정2동, 쌍용1동, 쌍용2동, 쌍용3동, 백석동, 부성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호연(金昊淵)25,2761위
46.91%당선
2박완주(朴完柱)20,9262위
38.83%낙선
3박중현7,6813위
14.25%낙선
선거인 수222,626투표율
24.28%
투표 수54,058
무효표 수175


3.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천안시 을
성환읍, 성거읍, 직산읍, 입장면, 성정1동, 성정2동, 쌍용1동, 쌍용3동, 백석동, 부성동[3]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호연(金昊淵)40,0482위
40.02%낙선
2박완주(朴完柱)41,9451위
41.91%당선
3박상돈(朴商敦)18,0753위
18.06%낙선
선거인 수208,336투표율
48.34%
투표 수100,718
무효표 수650


3.7.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천안시 을
서북구 백석동, 불당동, 부성1동, 부성2동,
성환읍, 성거읍, 직산읍, 입장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민기(崔民基)26,0962위
29.03%낙선
2박완주(朴完柱)47,3641위
52.70%당선
3정재택(鄭在澤)13,2513위
14.74%낙선
4박성필(朴晟弼)3,1554위
3.51%낙선
선거인 수170,020투표율
53.40%
투표 수90,795
무효표 수929


3.8.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천안시 을
서북구 백석동, 불당동, 부성1동, 부성2동,
성환읍, 성거읍, 직산읍, 입장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완주(朴完柱)78,2231위
58.83%당선
2이정만(李廷萬)46,3892위
34.89%낙선
6박성필(朴晟弼)6,4133위
4.82%낙선
7이영남(李榮南)1,0184위
0.76%낙선
8김성용(金星容)9035위
0.68%낙선
선거인 수221,716투표율
60.74%
투표 수134,675
무효표 수1,729

국회의원 선거 (천안시 을)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완주이정만
득표수
(득표율)
78,223
(58.83%)
46,389
(34.89%)
+ 31,834
(△23.95)
134,675
(60.74%)
구 천안시
득표율52,680
(61.31%)
27,681
(32.21%)
+ 24,999
(△29.10)
86,771
(59.45%)
백석동60.90%33.00%△27.8963.73
불당동61.98%31.62%△30.3564.02
부성1동58.93%34.31%△24.6154.87
부성2동62.62%30.68%△31.9454.61
구 천원군
득표율15,529
(52.04%)
12,672
(42.47%)
+ 2,857
(△9.58)
30,338
(55.64%)
성환읍48.16%47.01%△1.1557.60
성거읍56.20%37.95%△18.2552.35
직산읍[4]53.20%40.81%△12.3956.45
입장면47.25%47.96%▼0.7157.09
후보박완주이정만격차
거소·선상투표49.82%38.59%△11.23
관외사전투표62.32%30.48%△31.84
재외투표59.32%33.89%△25.42
여당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박완주 의원이 무난히 단수공천을 받고 3선에 도전한다.

제1야당 미래통합당에서는 박찬주 전 육군 제2작전사령관, 신진영 전 당협위원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는데, 대전지검 천안지청장 출신의 이정만 변호사가 새롭게 대두되면서 박찬주 예비후보가 컷아웃되고 신진영과 이정만의 2인 경선이 벌어졌다. 결국 이정만 예비후보가 승리하며 공천을 받았다. 한편 컷오프 된 박찬주는 무소속이라도 출마를 강행하겠다고 의사를 밝혔지만 3월 25일 불출마 선언하며 뜻을 접었다.

그 외 정의당에서는 박성필 치과의사가 예비후보로 등록해 재출마했고, 민중당에서는 이영남 충남도당 위원장이 출마했다.

개표 결과, 민주당 박완주 후보가 24%p라는 압도적인 차이로 통합당 이정만 후보를 누르고 3선에 성공했다.# 박완주 후보가 소소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20대 국회에서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간사직을 맡으며 나름 호평을 받았던 반면 통합당에서는 박찬주 예비후보를 둘러싸고 벌어진 공천 잡음이 강하게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3.9.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천안시 을
서북구 백석동, 불당동, 부성1동, 부성2동,
성환읍, 성거읍, 직산읍, 입장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박완주 후보가 성범죄에 관련[5]되어 더불어민주당에서 제명된 상태인데 박완주 의원에 대한 검찰 수사 및 재판 결과, 그리고 박완주 의원의 무소속 신분 출마 여부가 변수로 꼽힌다. 현재 더불어민주당 천안시 을 지역위원장은 천안시 갑 20대 국회의원이었던 이규희 전 의원이 맡고 있다. 이 외에 양승조 전 도지사의 출마 가능성도 있지만, 험지[6]로 출마할 가능성이 더 높은데, 양 전 지사는 지역 기반은 천안으로 확정된 상황이다.

후보와는 별도로 현 충청남도의 선거구 중 유일하게 상한선을 넘어선 만큼, 주변 지역과의 조정이 불가피하다.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는 동남구 단일 선거구에 서북구의 읍·면 지역과 부성1동과 부성2동, 성정1동과 성정2동을 서북구 갑, 백석동과 불당동, 쌍용동을 중심으로 서북구 을 선거구로 조정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1] 2022.5.12.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제명 의결,
2022.5.16. 제명
[2] 이 때문에 천안시 동남구, 천안시 서북구는 선거구 명칭으로 사용된 적이 한 번도 없다.[3] 쌍용2동을 동남구 선거구로 넘기는 바람에 '천안시 을'이 되었다.[4] 박완주 후보의 고향[5] 현재 강제추행치상 혐의로 검찰에 송치된 상황이다.[6] 충청남도청 소재지가 위치한 지역구인 홍성군·예산군을 비롯한 충남 서해안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