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카이쿄선

덤프버전 :

新幹線
신칸센 / Shinkansen
[ JR 홋카이도 ]

노선홋카이도 신칸센
연계 노선도호쿠 신칸센
등급하야부사 / 하야테
운행 차종H5
차량기지하코다테 신칸센 종합차량소
운전지령소삿포로 종합지령소

[ JR 동일본 ]

노선도호쿠 신칸센 / 조에츠 신칸센 / 호쿠리쿠 신칸센(타카사키~조에츠묘코)
연계 노선홋카이도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조에츠묘코~카나자와)
신칸센 직통 특급
야마가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
등급도호쿠~홋카이도하야부사 / 하야테 / 야마비코 / 나스노 / 아오바
야마가타&아키타츠바사 / 코마치
조에츠토키 / 타니가와 / 아사히
호쿠리쿠카가야키 / 하쿠타카 / 아사마
운행 차종200 / 400 / E1 / E2 / E3 / E4 / E5 / E6 / E7 / E8
차량기지신칸센 종합 차량센터 / 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야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아키타 차량센터 /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 / 도쿄 신칸센 차량센터 / 오야마 신칸센 차량센터 / 모리오카 신칸센 차량센터 / 아오모리 신칸센 차량센터 / 나스시오바라 신칸센 차량센터
운전지령소신칸센 종합지령소

[ JR 도카이 ]

노선도카이도 신칸센 / 츄오 신칸센
연계 노선산요 신칸센
등급노조미 / 히카리 / 코다마
운행 차종0 / 100 / 300 / 700 / N700 / N700S / L0
차량기지오이 차량기지 / 미시마 차량소 / 시나가와 차량기지 / 토리카이 차량기지
차량 공장하마마츠 차량공장
운전지령소신칸센 제2종합지령소

[ JR 서일본 ]

노선산요 신칸센 / 호쿠리쿠 신칸센(조에츠묘코~카나자와)
연계 노선도카이도 신칸센
큐슈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도쿄~오미야)
조에츠 신칸센(오미야~타카사키)
호쿠리쿠 신칸센(타카사키~조에츠묘코)
등급도카이도-산요노조미 / 히카리 / 코다마
산요-큐슈미즈호 / 사쿠라 / 츠바메
호쿠리쿠카가야키 / 하쿠타카 / 츠루기
운행 차종0 / 100 / 300 / 500 / 700 / N700 / N700S / W7
차량기지하쿠산 종합 차량소 / 하카타 종합 차량소 / 오카야마 신칸센 운전소 / 히로시마 신칸센 차량기지
운전지령소카나자와 신칸센 지령소 / 하카타 종합지령센터

[ JR 큐슈 ]

노선큐슈 신칸센 / 니시큐슈 신칸센
연계 노선산요 신칸센
등급산요-큐슈미즈호 / 사쿠라 / 츠바메
니시큐슈카모메
운행 차종800 / N700 / N700S
차량기지쿠마모토 종합 차량소 / 오무라 차량기지
운전지령소하카타 신칸센 종합지령소

JR 총연 / 노선 계획 / 기타 사항


파일:JRH_Wlogo.svg
JR 홋카이도
철도 노선
||



파일:JRH_Wlogo.svg
海峡線(かいきょうせん
Kaikyō Line | 카이쿄선
파일:EH800-11.jpg

세이칸 터널을 통과하는 화물열차(EH800형)
노선 정보
분류지방교통선 (신칸센 규격 재래선)
기점나카오구니역
종점키코나이역
역 수3
개업일1988년 3월 13일
소유자파일:JRTT_logo.svg
철도 건설 · 운수 시설 정비 지원기구
[1]
운영자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
JR 홋카이도

파일:JR 화물 로고.svg
JR 화물
차량기지고료카쿠 기관구
노선 제원
노선연장87.8km
궤간1067mm
(나카오구니 - 오다이 분기부,
키코나이 분기부 - 키코나이)
1067mm&1435mm 듀얼게이지
(오다이 분기부 - 키코나이 분기부)
선로구성단선, 복선
사용전류교류 20000V 50Hz 가공전차선
교류 25000V 50Hz 가공전차선
폐색방식자동폐색식, 차내신호폐색식
신호장비DS-ATC[2], RS-ATC[3]
최고속도140km/h[4]

파일:JR_Kaikyo_Line_linemap.png
실측지도상의 카이쿄선
1. 개요
1.1. 노선 데이터
2. 운행
2.1. 신칸센 개통 이전
2.2. 신칸센 개통 이후
3. 역 목록



1. 개요[편집]


아오모리현 나카오구니역에서 홋카이도 키코나이역을 잇는 JR 홋카이도의 철도 노선으로, 세이칸 터널을 통해 혼슈홋카이도를 잇는 중요한 노선이다.

홋카이도 신칸센 개업 이전에는 모든 열차가 직통하는 JR 동일본 츠가루선에사시선 등과 함께 츠가루 해협선이라는 애칭이 있었다. JR 시간표 등에서 전부 츠가루카이쿄선으로 안내하여, 그냥 카이쿄선으로 안내하는 일은 없었다.

1.1. 노선 데이터[편집]


  • 노선거리: 나카오구니~키코나이 87.8km
  • 관할: 홋카이도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일본 화물철도 (제2종 철도사업자)
  • 궤간
    • 1067mm (나카오구니~오다이 분기부, 키코나이 분기부~키코나이)
    • 1067mm 1435mm 듀얼게이지 (오다이 분기부~키코나이 분기부)
  • 역수
    • 여객역: 3역
    • 신호장: 2개소
  • 복선: 신나카오구니 신호장~키코나이
  • 전화
    • 나카오구니~신나카오구니 신호장: 교류 20000V 50Hz
    • 신나카오구니 신호장~키코나이: 교류 25000V 50Hz
  • 폐색방식
    • 자동폐색식: 나카오구니~신나카오구니 신호장
    • 차내신호식: 신나카오구니 신호장~키코나이
  • 보안장치
    • ATS-Sn: 나카오구니~신나카오구니 신호장
    • DS-ATC: 신나카오구니 신호장~키코나이
  • 최고속도
    • 100km/h: 나카오구니~신나카오구니 신호장
    • 140km/h: 신나카오구니 신호장~키코나이
  • 운전 지령소: 하코다테 지령센터

2. 운행[편집]



2.1. 신칸센 개통 이전[편집]


세이칸 터널 개통 당시에는 아오모리와 하코다테를 잇는 보통열차(쾌속 카이쿄)와 모리오카-아오모리-하코다테를 잇는 특급열차(하츠카리), 도쿄오사카 등지에서 홋카이도를 잇는 야행열차(하마나스, 호쿠토세이, 니혼카이, 그리고 나중에 추가된 카시오페이아, 트와일라이트 익스프레스 등), 혼슈와 홋카이도를 잇는 화물열차 등이 운행되었다. 최고속도는 140km/h.

2002년에는 도호쿠 신칸센하치노헤역 연장을 계기로 보통열차 카이쿄는 폐지했고, 세이칸 터널을 운행하는 열차는 하치노헤-아오모리-하코다테를 잇는 특급열차 하쿠초로 일원화했다.

이 구간은 화물열차도 1일 50편 정도로 활발하게 운행한다. 혼슈에서 홋카이도까지 가장 안정적으로 대량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방법은 세이칸 터널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카이쿄선 개통 당시에 세이칸 터널 내에는 탓피해저역, 요시오카 해저역이 설치되어 있었다. 이들은 터널의 피난 시설을 활용한 견학 시설이며, 관람객이 아닌 일반승객은 이용할 수 없는 특수역이었다.

카이쿄선은 신칸센 규격으로 만든 것을 재래선으로 전환한 것이라 선로와 전기 종류를 뺀 모든 것이 신칸센과 호환된다. 심지어 신호장치도 ATC로 당시의 신칸센과 같았다.[5] 그리고 이것은 현재의 '신칸센철도규격신선'의 기초가 된다.


2.2. 신칸센 개통 이후[편집]


세이칸 터널의 본래 목적인 신칸센 운행은 홋카이도 신칸센으로 실현되었다. 이미 터널 개통 당시부터 신칸센 규격으로 만들어놨기에 터널 구체는 그대로 쓸 수 있었지만, 신칸센은 표준궤를 쓰기 때문에 신칸센과 화물열차가 같이 다닐 수 있도록 1435mm 레일을 각선 외측에 부설했다. 또한 신칸센은 교류 25000V/50Hz의 전력을 사용하므로 공급 전력을 25000V/50Hz로 바꿨으며, JR 화물에서는 세이칸 터널 운행 전용으로 20000V/25000V 모두에 대응하는 EH800형 전기기관차를 도입하였다.

요시오카 해저역은 홋카이도 신칸센 건설자재 기지로 사용되기 때문에 2006년 3월 18일에 정기열차의 정차를 종료했고, 같은해 8월 28일부터 견학코스가 중지되어 전 열차가 통과하었다. 탓피해저역도 2013년 11월 11일부터 견학 코스가 종료되고, 전 열차가 통과하였다. 2014년 3월 14일에는 중간의 해저역들과 시리우치역이 모조리 폐지되었다.

신칸센 운영에 대비한 설비최종전환확인 작업이 2015년 12월 31일 저녁부터 2016년 1월 2일 오전까지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이 기간 동안에는 모든 열차가 운휴했다. 그리고 2016년 3월 21일에 카이쿄선을 다니는 모든 여객열차의 운행이 종료되었으며, 5일간의 설비 전환 기간을 거쳐 2016년 3월 26일에 홋카이도 신칸센이 개통되었다.

2016년에 홋카이도 신칸센의 개통에 따라 재래선 정기 여객열차는 모두 폐지되고 홋카이도 신칸센으로 대체되었으나 화물열차는 신칸센 열차와 선로를 공유하여 운행된다. 홋카이도 신칸센과 재래선의 분기점은 혼슈 쪽이 신나카오구니 신호장이며, 홋카이도 쪽이 키코나이역 서쪽에 설치되었다.

카이쿄선을 다니는 여객열차가 신칸센밖에 존재하기 않기 때문에, 해당 구간에 한해 청춘 18 티켓으로 신칸센을 이용할 수 있다는 특례가 있다. 다만, 티켓 전용 신칸센옵션권을 구입해야 이용 가능하며 가격은 2,300엔. 홋카이도 신칸센은 전석 지정석이지만, 빈 자리에 앉아서 가면 된다.[6] 이 가격에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 구간의 편도요금이 포함되어있다.


3. 역 목록[편집]


JR 홋카이도 카이쿄선
전압역명km환승노선소재지
20kV나카오구니
(中小国)
0.0JR 동일본 츠가루선[7]



히가시츠가루군
소토가하마정
25kV신나카오구니 신호장
(新中小国信号場)
2.3츠가루선과 카이쿄선의 실질적인 분기점
(오다이 분기점)
(大平分岐部)
2.8신나카오구니 신호장 구내취급, 공용구간 시작점
오쿠츠가루이마베츠
(奥津軽いまべつ)
13.0여객용 승강장은 신칸센 선로에만 존재.
화물 및 협궤열차는 역사 양쪽의 대피선 사용
히가시츠가루군
이마베츠정
(탓피 정점)
(竜飛定点)
32.5비상 대피시설, 구 탓피 해저역히가시츠가루군
소토가하마정
세이칸 터널
(요시오카 정점)
(吉岡定点)
55.5비상 대피시설, 구 요시오카 해저역


마츠시마군
후쿠시마정
유노사토시리우치 신호장
(湯の里知内信号場)
76.0협궤선로 대피선로로 사용카미이소군
시리우치정
(키코나이 분기점)
(木古内分岐部)
85.9키코나이역 구내 취급, 공용구간 종착점카미이소군
키코나이정
키코나이
(木古内)
87.8JR 홋카이도 파일:JRH-SKS.svg홋카이도 신칸센
도난 이사리비 철도 파일:Isaribi_line_logo.png도난 이사리비 철도선 (sh0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2:11:08에 나무위키 카이쿄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철도 건설 · 운수 시설 정비 지원기구 채권설명서 17페이지 (2023년 2월 10일 현재, 일본어 문서) [2] 야마노테선과 케이힌토호쿠선 및 도에이 신주쿠선 등지에서 사용하는 D-ATC의 신칸센용 버전이며, JR 동일본의 신칸센에 적용되어있는 주력 신호장비이다.[3] DS-ATC 작동불능시에 사용하며 궤도회로를 사용할수 없어 110km/h로 제한된다. 일종의 대용신호장치인셈.[4] 화물열차 110km/h[5] 도호쿠 신칸센 (1988년 기준) 도쿄역~모리오카역 구간에서 사용되고 있던 아날로그 ATC-2형 호환되는 ATC-L형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JR 동일본이 도호쿠 신칸센의 신호시스템을 2007년 7월 22일에 디지털 DS-ATC로 바꾸었기 때문에 신칸센과 호환한다는 의미는 없어졌다. 이후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에 맞춰 카이쿄선도 디지털 DS-ATC를 도입하였다.[6] 하야부사와 코마치는 전석 지정석이긴 하지만, 모리오카 이후 구간에서는 특정특급권으로 빈 자리에 앉아갈 수 있다.[7] 다먼 카이쿄선 개통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카이쿄선을 지나는 정기 열차를 여기서 탈 수 있는 경우는 단 한번도 없었으므로, 여기서 츠가루선으로 환승하는 것은 불가능. 카이쿄선에 여객열차가 운영되었을 당시에는 츠가루선 카니타역에서 환승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