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토세선

덤프버전 :

||




파일:JRH_Wlogo.svg
파일:JRH-H.svg파일:JRH-AP.svg千歳(ちとせ(せん
치토세선
Chitose Line
||
파일:7333000_B3105.jpg

733계 전동차
노선 정보
분류간선
기점누마노하타역 (본선)
미나미치토세역 (지선)
종점시로이시역 (본선)
신치토세 공항역 (지선)
역 수15
역 기호H (누마노하타-시로이시)
AP (신치토세 공항)
개통일1926년 8월 21일
소유자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
JR 홋카이도
운영자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
JR 홋카이도

파일:JR 화물 로고.svg
JR 화물
사용차량785계 전동차, 789계 전동차,
721계 전동차, 733계 전동차,
731계 전동차, 735계 전동차,
키하 261계 동차, 키하 283계 동차,
키하 141계 동차, 737계 전동차
차량기지삿포로 운전소, 나에보 운전소
토마코마이 운전소, 하코다테 운수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56.6km (본선)
2.6km (지선)
궤간1067mm
선로구성복선 (본선), 단선 (지선)
사용전류교류 20000V 50Hz 가공전차선
폐색방식자동폐색식
신호방식ATS-DN
최고속도120km/h (본선)
95km/h (지선)

파일:JR_Chitose_Line_linemap.png
실측지도 상의 치토세선
쾌속 '에어포트' 신치토세 공항~오타루 간 주행영상'특급 호쿠토' 치토세선 구간 주행영상

1. 개요
1.1. 노선 데이터
2. 역 목록
2.1. 본선
2.2. 지선
2.3. 폐선 구간 (구선(旧線))



1. 개요[편집]


JR 홋카이도의 노선 중 하나로, 삿포로시와 남부의 키타히로시마시, 치토세시 등의 위성도시들을 이어 주는 역할을 하는 노선이다. 원래 처음 개통할 당시에는 '삿포로선'이라는 이름의 노선이었다. 본선은 전구간 복선이며 신치토세 공항으로 가는 지선은 단선이다. 특급의 경우 '호쿠토'와 '스즈란'을 비롯한 하코다테 방면 특급과 토카치오조라세키쇼선 연락 특급들이 다니며, 보통의 경우 무로란 본선토마코마이역까지 운행하거나, 혹은 치토세역까지만 운행하는 계통도 있다. 그 외에 신치토세 공항역-하코다테 본선 오타루 구간에서 '쾌속 에어포트'를 운행 중이다.

JR 홋카이도의 재래선 노선 중 유일하게 본선 전 구간이 복선 전철화가 되어 있고 그만큼 운행 편수도 많다. 그럼에도, 장사 잘 될 거 같은 이 구간마저도 적자라고 한다. 신치토세 공항 - 삿포로라는 황금 노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자인 이유는 시로이시역 까지만 치토세선인지라 삿포로행 승객의 매출이 치토세선의 것으로 온전히 집계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미나미치토세역 - 누마노하타역 간의 연선 인구가 거의 없어 평균을 열심히 깎아먹고, 그나마 많은 이용객이 있는 토마코마이역이 역시나 치토세선 관할이 아니기 때문에 이 매출이 무로란 본선의 것으로 집계가 된다. 이런 이유로 치토세선도 적자가 되는 것.

여담으로, RealRailway 사이트에서 치토세선 시로이시-신삿포로 5.1km 구간을 플레이해볼 수 있다. 공개 시기는 2003년, 리마스터 시기는 2016년이다.[1]


1.1. 노선 데이터[편집]




2. 역 목록[편집]



2.1. 본선[편집]


표기이름
특급 '오조라'
특급 '토카치'
특급 '호쿠토'
특급 '스즈란'
특별쾌속 '에어포트'
쾌속 '에어포트'
통과하는 열차는 흐리게 표기되어 있다.
일부 열차만 정차하는 역은 밑줄로 표기되어 있다.
해당 구간을 운행하지 않는 열차는 표기되어 있지 않다.

JR 홋카이도 치토세선
노선역번호역명km우등환승노선소재지
직통운행특급 스즈란: 파일:JRH-H.svg무로란 본선 무로란까지 직통
특급 호쿠토: 파일:JRH-H.svg무로란 본선 경유 파일:JRH-H.svg하코다테 본선 하코다테까지 직통




H18토마코마이
苫小牧
8.8お と エ アJR 홋카이도 파일:JRH-H.svg무로란 본선 (특급 직통운행), 히다카 본선토마코마이시
-토마코마이 화물
苫小牧貨物
5.4お と 北 す エ ア
H17누마노하타
沼ノ端
0.0お と エ アJR 홋카이도 무로란 본선[2]



H16우에나에
植苗
6.4お と エ ア
H15비비 신호장
美々信号場
13.9お と 北 す エ ア치토세시
특급 오조라: 파일:JRH-K.svg세키쇼선 경유 파일:JRH-K.svg네무로 본선 쿠시로까지 직통
특급 토카치: 파일:JRH-K.svg세키쇼선 경유 파일:JRH-K.svg네무로 본선 오비히로까지 직통
쾌속 에어포트/보통: 파일:JRH-AP.svg치토세선 공항지선 신치토세 공항까지 직통
H14미나미치토세
南千歲
18.4 JR 홋카이도 파일:JRH-AP.svg치토세선 공항지선 (직통운행)
JR 홋카이도 파일:JRH-K.svg세키쇼선 (특급 직통운행)
H13치토세
千歳
21.4お と
H12오사츠
(기린맥주 홋카이도치토세 공장 앞)

長都
(キリンビール北海道千歳工場前)
24.9お と 北 す エ ア
H11삿포로비루테이엔
サッポロビール庭園
27.1お と 北 す エ ア에니와시
H10에니와
(홋카이도분쿄대학 앞)

恵庭
(北海道文教大学前)
29.4お と 北 す エ
H09메구미노
恵み野
31.9お と 北 す エ ア
H08시마마츠
島松
34.1お と 北 す エ ア
H07키타히로시마
北広島
40.6お と 北 す エ 키타히로시마시
-(홋카이도 볼파크 (가칭))
(北海道ボールパーク(仮称))
-2027년 개업예정
-니시노사토 신호장
西の里信号場
42.1お と 北 す エ ア
H06카미놋포로 파일:JR_area_SATSU.svg
上野幌
48.6お と 北 す エ ア


아츠베츠구
H05신삿포로 파일:JR_area_SATSU.svg
新札幌
51.5 삿포로 시영 지하철 파일:SPRSub-Tz.svg도자이선(T19)
-삿포로 화물터미널
札幌貨物ターミナル
53.6お と 北 す エ ア시로이시구
H04헤이와 파일:JR_area_SATSU.svg
平和
54.4お と 北 す エ ア
H03시로이시 파일:JR_area_SATSU.svg
白石
56.6お と 北 す エ JR 홋카이도 파일:JRH-A.svg하코다테 본선[3]





H02나에보 파일:JR_area_SATSU.svg
苗穂
60.5お と 北 す エ ア주오구
01삿포로 파일:JR_area_SATSU.svg
札幌
62.4 JR 홋카이도 파일:JRH-S.svg하코다테 본선 (직통운행), 파일:JRH-G.svg삿쇼선
삿포로 시영 지하철 파일:SPRSub-N.svg난보쿠선(N06), 파일:SPRSub-Th.svg토호선(H07)
키타구
직통운행쾌속 에어포트/보통: 파일:JRH-S.svg하코다테 본선 오타루까지 직통


2.2. 지선[편집]


JR 홋카이도 치토세선 공항지선
역번호역명km우등환승노선
전 열차: 파일:JRH-H.svg치토세선 본선 경유 파일:JRH-S.svg하코다테 본선 오타루까지 직통
H14미나미치토세
南千歲
0.0エ アJR 홋카이도 파일:JRH-H.svg치토세선 본선 (직통운행)
JR 홋카이도 파일:JRH-K.svg세키쇼선
AP15신치토세 공항
新千歳空港
2.6エ ア


2.3. 폐선 구간 (구선(旧線))[편집]


1973년 폐선 직전까지 나에보역이 기점이었으나 통일성을 위해 반대로 돌려놓는다.
역명km환승노선 및 비고소재지
키타히로시마
北広島
40.6키타히로시마시
니시노사토 신호장
西の里信号場
44.9(현재의 역과 다른역)
카미놋포로
上野幌
50.1


아츠베츠구
오야치
大谷地
53.6시로이시구
츠키삿푸
月寒
56.7
히가시삿포로
東札幌
59.4
나에보
苗穂
62.5일본국유철도 하코다테 본선주오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8:54:47에 나무위키 치토세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RealRailway 치토세선 시뮬레이터[2] 이와미자와 방면[3] 아사히카와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