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페가수스자리

덤프버전 :

분류

현대 88개 별자리 목록
국제천문연맹 공인
[ 펼치기 · 접기 ]

[국제천문연맹의 공인을 받지 못한 별자리]
파일:국제천문연맹 로고.svg
⁂ : 황도 12궁 / 밑줄 :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
※ 공인되지 않은 별자리의 경우 공식적인 한국어 명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알파벳 순서를 따른다.



페가수스자리
Pegasus / Peg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peg.gif
학명Pegasus
약자Peg
주요 별 수9, 17
가장 밝은 별Enif (ε Peg , 2.38 등급)
가장 가까운 별ι Peg (38 광년)
한자명
인접 별자리도마뱀자리, 백조자리, 여우자리, 돌고래자리, 조랑말자리, 물병자리, 물고기자리, 안드로메다자리
관측 가능 여부O

1. 개요
2. 상세
3. 심원 천체
4. 대중매체에서의 페가수스자리



1. 개요[편집]


Pegasus, Peg

가을철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커다란 별자리. 몸통의 커다란 사각형은 '가을의 대사각형' 또는 '페가수스 사각형'으로 불리며, 가을철의 대표적인 길잡이별로 꼽힌다.


2. 상세[편집]


그리스 신화의 천마 페가수스의 별자리이다. 메두사페르세우스의 손에 퇴치된 후 그 피에서 탄생했다 하며, 벨레로폰과 함께 키메라를 쓰러뜨리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으나, 벨레로폰이 교만에 빠져 제우스의 번개를 맞은 후 사후에 하늘로 올라가 별자리가 되었다 한다.

북쪽을 위로 할때 몸이 뒤집혀 있다는 것과 상반신만 나온다는 것에 유의하면 모양을 그리는 것은 어렵지 않다. 또한 사각형의 북동쪽 별은 안드로메다자리와 공유하니 참고하면 좋다.[1]

델타별이 누락되어 있는데 이는 본래 사각형의 북동쪽 별 알페라츠에 이 부호가 부여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안드로메다자리와 페가수스자리 경계에 있어 바이어 부호가 중복으로 붙었는데 나중에 별자리의 경계를 분명히 정하게 되자 알페라츠는 안드로메다자리에 속하는 것으로 확정되어서 중복으로 붙은 두 이름 중 안드로메다자리 알파만 남기고 페가수스자리 델타는 버리게 되어 델타별이 누락된 된 것.

유명한 천체로 구상성단 M15가 있다. 말머리 끝에 해당하는 엡실론 별 서쪽에 위치한다.

주계열성 공전궤도에서 최초로 발견된 외계 행성페가수스 자리 51 b가 속한 자리이기도 하다. 기존 관념을 깨는 이 별의 발견은 많은 천문학자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3. 심원 천체[편집]


충돌 은하 Arp 298 (NGC 7469, IC 5283) 이 이 별자리 방향에 있다.
NGC 1, NGC 2도 이 별자리 방향에 있다.


4. 대중매체에서의 페가수스자리 [편집]





[1] 다만 후술하듯이 이 별(알페라츠)은 현대에는 안드로메다자리에만 속하는 별로 취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