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천시·가평군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포천시/정치
, 가평군/정치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포천시·가평군
포천시, 가평군
抱川市·加平郡
Pocheon–Gapyeong
||
파일:국회선거구 포천시·가평군.svg
선거인 수209,901명 (2020)
상위 행정구역경기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포천시 전역
포천동, 선단동, 소흘읍, 군내면, 내촌면, 가산면, 신북면, 화현면, 영중면, 일동면, 이동면, 영북면, 창수면, 관인면

가평군 전역
가평읍, 북면, 상면, 청평면, 조종면, 설악면
신설년도2016년
이전 선거구포천시·연천군, 여주시·양평군·가평군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최춘식
1. 개요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3. 역대 선거 결과



1. 개요[편집]


19대(지역구 의원) → 20대(지역구 의원)
양주시·동두천시 (정성호)
포천시·연천군 (김영우)
여주시·양평군·가평군 (정병국)
양주시 (정성호)
동두천시·연천군 (김성원)
포천시·가평군(김영우)
여주시·양평군 (정병국)
20대 총선 전에 선거구 조정에 의해 기존의 양주시·동두천시, 포천시·연천군, 여주시·양평군·가평군 세 곳을 다시 네개의 선거구로 개편하였다.[1]

과거 포천시/연천군으로 묶였을 때는 이한동 전 총리의 지역구가 되기도 했었고, 16대 총선까지 자유민주연합 소속으로 이 지역구를 지켜내기도 했다. 보수표가 제대로 갈렸던 17대 총선에서는 열린우리당이 잠시 이곳을 차지하기도 했으나, 그 이후에는 보수정당이 일관되게 승리해온 선거구. 물론 속사정을 따져보면 인구가 많고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포천은 어느 정도 균형이 맞는데 반해 농촌 지역인 가평은 보수정당을 일관적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민주당이 포천에서 크게 이기거나 보수표가 분열되지 않는 이상 민주당이 여기서 승리하기는 힘들어보인다.[2]

경춘선 연선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복합선거구이다. 현재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최춘식이다. 이 선거구는 경기도에서 천주교 춘천교구에 소속된 동네들로만 편성되어 있다. 인접한 동두천시·연천군 선거구 유권자 규모가 점점 줄고 있기에 선거구가 조정될 가능성이 있는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선거구 관할 지역과 명칭이 변경될 여지가 있다. 경우에 따라선 포천시, 동두천시, 연천군이 하나의 선거구로 묶일 수도 있기에 귀추가 주목된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편집]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3.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포천시·가평군
포천시 일원[포천], 가평군 일원[가평]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우(金榮宇)55,3241위

ta-hash-start=w-6fae6ab8933b3bd8c6072baf767f6c5a[[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62.22%당선
2김창균(金昌均)33,590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7.78%낙선
선거인 수181,119투표율
50.4%
투표 수91,313
무효표 수2399

완벽한 양자구도가 되어 보수정당에 압도적으로 유리하게 되었다. 재선 국회의원이었던 새누리당 김영우 후보가 관내 모든 읍면동에서 승리하며 3선 고지에 올랐다. 김영우 후보는 포천과 가평 두 지역 모두 6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가평군에서는 66.85% 득표를 하며 더불어민주당 김창균 후보를 더블스코어 이상으로 눌렀다.

이때 더불어민주당으로 출마한 김창균씨는 현재 국민의힘에 입당한 상태이다. 공교롭게도 21대 총선에 출마한 이철휘 후보는 새누리당에서 활동하다가 2018년 더불어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3.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포천시·가평군
포천시 일원[포천], 가평군 일원[가평]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철휘(李哲徽)50,875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6.78%낙선
2최춘식(崔春植)54,7711위

ta-hash-start=w-15709800bdacf685676ca21dad559a45[[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50.25%당선
7이명원(李明原)2,0923위

ta-hash-start=w-c3ff4b2cf6f15f3b0c5427e342e43920[[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1.91%낙선
8원승헌(元勝憲)1,2414위

ta-hash-start=w-064bfce82c04a5c71b88dddde319ea71[[파일:국가혁명배당금당 흰색 로고타입.svg
1.13%낙선
선거인 수183,991투표율
60.2%
투표 수110,811
무효표 수1,832

21대 총선 포천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포천시·가평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8dd831e4a369590fd04f354d960b2967[[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철휘최춘식
득표수
(득표율)
36,251
(48.70%)
35,803
(48.10%)
+ 448
(△0.60)
75,631
(58.67%)
포천동50.49%46.03%△4.4659.37
선단동51.11%45.61%△5.5052.13
소흘읍53.30%43.51%△9.7954.31
군내면46.21%51.14%▼4.9456.76
내촌면40.31%57.17%▼16.8660.07
가산면44.83%52.56%▼7.7356.22
신북면46.53%49.91%▼3.3855.50
화현면40.64%56.34%▼15.7062.29
영중면41.92%55.24%▼13.3262.14
일동면43.74%53.49%▼9.7457.63
이동면44.90%52.06%▼7.1760.21
영북면43.46%53.78%▼10.3156.15
관인면35.88%61.79%▼25.9167.26
창수면42.02%53.93%▼11.9168.82
후보이철휘최춘식격차
거소·선상투표54.26%35.27%△18.99
관외사전투표58.11%37.82%△20.29
재외투표73.75%23.75%△50.00

21대 총선 가평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포천시·가평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72b8ade48bd53ac615b67923ece11593[[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철휘최춘식
득표수
(득표율)
14,624
(42.32%)
18,968
(54.89%)
- 4,344
(▼12.57)
35,180
(63.85%)
가평읍44.15%53.56%▼9.4261.86
청평면40.73%56.83%▼16.1060.57
상면37.14%60.26%▼23.1263.82
조종면43.29%52.60%▼9.3059.90
북면38.18%59.55%▼21.3764.35
설악면37.71%59.65%▼21.9461.00
후보이철휘최춘식격차
거소·선상투표50.41%36.56%△13.85
관외사전투표51.89%45.26%△6.63
재외투표71.79%28.20%△43.59
이 지역에서 3선한 김영우 의원이 21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유는 정치에 대한 환멸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한다.

미래통합당에서는 고조흥 전 의원, 박종희 전 의원, 장병윤 변호사, 차상구 전 미국 공인회계사, 최춘식 전 경기도의회 의원, 허청회 전 국회의원 보좌관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가 최종적으로 최춘식 전 도의원이 공천장을 얻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철휘 전 육군 제2작전사령관, 최호열 포천신문 명예회장이 예비 후보로 등록했다. 경선 끝에 이철휘가 공천을 얻었다.

민중당에서는 이명원씨가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선거 결과 최춘식 후보가 50.2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이철휘 후보도 약 47%나 되는 득표율을 얻으며 선전하며 저번 선거보다는 격차가 매우 많이 줄어 들었는데,[3] 이 후보가 장성#將星() 출신인 것이 보수 유권자에게 어느 정도 호응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4]

3.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포천시·가평군
포천시 일원[포천], 가평군 일원[가평]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00.00%
2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00.00%
30

ta-hash-start=w-9e7630aa9a1e1c5205eae26134aef2c1[[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01:24에 나무위키 포천시·가평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실 가평 지역은 의정부·양주 지역과 노는 포천 지역과 생활권이 분리되어 있고 오히려 거의 경춘 라인인 남양주(+춘천)나 아니면 남부의 설악 쪽으로는 양평과 생활권이 더 가깝다고 평가되기 때문에(조종면 쪽 일부와 왕래가 있을지도 모르지만 대다수의 가평군민에게 포천은 '남의 동네' 일일 뿐이다. 다만, 가톨릭 교구는 함께 묶여 있다.), 추후 동두천·연천 지역의 단일 선거구 인구하한선 붕괴 여부에 따라서 선거구가 어떻게 변동될 것인지 지켜봐야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포천시와 가평군이 맞닿아 있기는 해도 같은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지는 않다. 특히 설악면청평면양평군남양주시와 같은 경제권이며 의정부시, 동두천시, 연천군, 양주시와는 접근성이 상당히 거리도 멀다.[2] 사실 포천시도 더불어민주당에 있어서 험지인건 매한가지다. 휴전선과 가까운 도시의 특성상 직업군인과 실향민 후손 비중이 높아서 보수정당에 웃어주기 때문. 최근 들어 서울과 가까운 위치 덕분에 조금씩 인구 유입이 되고 있으나 아예 더불어민주당 강세 지역이 되어버린 의정부시나 양주시에 비해서는 아직도 전방 지역의 특성이 강하게 남아 있다.[포천] A B C 포천동, 선단동, 소흘읍, 군내면, 내촌면, 가산면, 신북면, 화현면, 영중면, 일동면, 이동면, 영북면, 창수면, 관인면.[가평] A B C 가평읍, 북면, 상면, 청평면, 조종면, 설악면.[3] 포천시에서는 이철휘 후보가 근소한 차이로 승리하였으나, 가평군에서 10% 이상 차이로 패배하였다.[4] 또한 보수 초강세 지역인 가평군 쪽에서의 득표율이 낮아진 것도 원인인데 이는 20대 국회 당시 김영우 전 의원이 인구가 많은 포천시만 챙기다보니 가평군 쪽에서는 표를 몰아주는건 우린데 인구적다고 개무시한다며 평판이 안좋았던게 한 몫 했다. 사실 김영우 전 의원 입장에선 억울할만 한게 선거구 개편 이전에 같이 묶여있었던 연천군은 포천과 생활권이 겹치는데 반해 가평군은 뭔가 동떨어진 느낌인데다 20대 총선 때 끼워팔기식으로 붙여버린지라 적극적으로 챙기기 어려운 측면도 없지 않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