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득구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안양시 만안구)
제16-20대
이종걸
제21대
강득구
현직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경제부지사
[ 펼치기 · 접기 ]

정무부지사
이인제 도정
임창열 도정
초대
남재우
제2대
최경선
제3대
김덕배
제4대
김성수
제5대
유선호
임창열 도정
손학규 도정
김문수 도정
제6대
신극정
제7대
한현규
제8-9대
김성식
제10대
원유철
제11대
표철수
김문수 도정
제12대
유연채
제13대
이재율
경제부지사사회통합부지사연정부지사
김문수 도정
남경필 도정
초대
이재율
제2대
김희겸
제3대
남충희
초대
이기우
초대
강득구
연정부지사평화부지사경제부지사
남경필 도정
이재명 도정
김동연 도정
제2대
장경순
초대
이화영
제2대
이재강
초대
김용진
제2대
염태영
파일: 민선8기 경기도 도정슬로건 가로.png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경기도의회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1대 의회
제1대 의회
제1대 의회
제2대 의회
노재억김정순이중섭양재범
제3대 의회
제3대 의회
제4대 의회
제4대 의회
유석보한근이유재언김규배홍성호
제5대 의회
제5대 의회
제6대 의회
제6대 의회
이계석이규세홍영기유형욱
제7대 의회
제7대 의회
제8대 의회
제8대 의회
양태흥진종설허재안윤화섭김경호
제9대 의회
제9대 의회
제10대 의회
제10대 의회
강득구윤화섭정기열송한준장현국
제11대 의회
염종현
파일:민선8기 경기도의회 슬로건.png[각주]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4><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f2023><#008CCD> {{{#fff 도당위원장}}} || ||<-4><bgcolor=#ffffa0,#2d2f34> [[임종성]] || ||<rowbgcolor=#008CCD><width=25%> [[수원시 갑|{{{#fff 수원 갑}}}]] ||<width=25%> [[수원시 을|{{{#fff 수원 을}}}]] ||<width=25%> [[수원시 병|{{{#fff 수원 병}}}]] ||<width=25%> [[수원시 정|{{{#fff 수원 정}}}]] || ||<rowbgcolor=#ffffa0,#2d2f34> [[김승원(정치인)|김승원]] || [[백혜련]] || [[김영진(1967)|김영진]] || [[박광온]] || ||<rowbgcolor=#008CCD> [[수원시 무|{{{#fff 수원 무}}}]] || [[성남시 수정구(선거구)|{{{#fff 성남 수정}}}]] || [[성남시 중원구(선거구)|{{{#fff 성남 중원}}}]] || [[성남시 분당구 갑|{{{#fff 성남 분당 갑}}}]] || || [[이병진(1968)|이병진]] ^^대행^^ ||<bgcolor=#ffffa0,#2d2f34> [[김태년]] ||<bgcolor=#ffffa0,#2d2f34> [[윤영찬]] || [[김병관(정치인)|김병관]] || ||<rowbgcolor=#008CCD> [[성남시 분당구 을|{{{#fff 성남 분당 을}}}]] || [[의정부시 갑|{{{#fff 의정부 갑}}}]] || [[의정부시 을|{{{#fff 의정부 을}}}]] || [[안양시 만안구(선거구)|{{{#FFF 안양 만안}}}]] || ||<rowbgcolor=#ffffa0,#2d2f34> [[김병욱(1965)|김병욱]] || [[오영환]] || [[김민철(정치인)|김민철]] || [[강득구]] || ||<rowbgcolor=#008CCD> [[안양시 동안구 갑|{{{#fff 안양 동안 갑}}}]] || [[안양시 동안구 을|{{{#fff 안양 동안 을}}}]] || [[부천시 갑|{{{#fff 부천 갑}}}]] || [[부천시 을|{{{#FFF 부천 을}}}]] || ||<rowbgcolor=#ffffa0,#2d2f34> [[민병덕]] || [[이재정(1974)|이재정]] || [[김경협]] || [[설훈]] || ||<rowbgcolor=#008CCD> [[부천시 병|{{{#fff 부천 병}}}]] || [[부천시 정|{{{#fff 부천 정}}}]] || [[광명시 갑|{{{#fff 광명 갑}}}]] || [[광명시 을|{{{#FFF 광명 을}}}]] || ||<rowbgcolor=#ffffa0,#2d2f34> [[김상희(정치인)|김상희]] || [[서영석]] || [[임오경]] || [[양기대]] || ||<rowbgcolor=#008CCD> [[평택시 갑|{{{#fff 평택 갑}}}]] || [[평택시 을|{{{#fff 평택 을}}}]] || [[동두천시·연천군|{{{#fff 동두천·연천}}}]] || [[안산시 상록구 갑|{{{#FFF 안산 상록 갑}}}]] || ||<bgcolor=#ffffa0,#2d2f34> [[홍기원]] || [[김현정(정치인)|김현정]] || 남병근 ||<bgcolor=#ffffa0,#2d2f34> [[전해철]] || ||<rowbgcolor=#008CCD> [[안산시 상록구 을|{{{#fff 안산 상록 을}}}]] || [[안산시 단원구 갑|{{{#fff 안산 단원 갑}}}]] || [[안산시 단원구 을|{{{#fff 안산 단원 을}}}]] || [[고양시 갑|{{{#FFF 고양 갑}}}]] || ||<bgcolor=#ffffa0,#2d2f34> [[김철민(정치인)|김철민]] ||<bgcolor=#ffffa0,#2d2f34> [[고영인]] || 박현탁^^대행^^ || [[문명순]] || ||<rowbgcolor=#008CCD> [[고양시 을|{{{#fff 고양 을}}}]] || [[고양시 병|{{{#fff 고양 병}}}]] || [[고양시 정|{{{#fff 고양 정}}}]] || [[의왕시·과천시|{{{#FFF 의왕·과천}}}]] || ||<rowbgcolor=#ffffa0,#2d2f34> [[한준호(1974)|한준호]] || [[홍정민]] || [[이용우(1964)|이용우]] || [[이소영(정치인)|이소영]] || ||<rowbgcolor=#008CCD> [[구리시(선거구)|{{{#fff 구리}}}]] || [[남양주시 갑|{{{#fff 남양주 갑}}}]] || [[남양주시 을|{{{#fff 남양주 을}}}]] || [[남양주시 병|{{{#FFF 남양주 병}}}]] || ||<rowbgcolor=#ffffa0,#2d2f34> [[윤호중]] || [[조응천]] || [[김한정]] || [[김용민(1976)|김용민]] || ||<rowbgcolor=#008CCD> [[오산시(선거구)|{{{#fff 오산}}}]] || [[시흥시 갑|{{{#fff 시흥 갑}}}]] || [[시흥시 을|{{{#fff 시흥 을}}}]] || [[군포시(선거구)|{{{#FFF 군포}}}]] || ||<rowbgcolor=#ffffa0,#2d2f34> [[안민석]] || [[문정복]] || [[조정식(1963)|조정식]] || [[이학영]] || ||<rowbgcolor=#008CCD> [[하남시(선거구)|{{{#fff 하남}}}]] || [[용인시 갑|{{{#fff 용인 갑}}}]] || [[용인시 을|{{{#fff 용인 을}}}]] || [[용인시 병|{{{#FFF 용인 병}}}]] || ||<bgcolor=#ffffa0,#2d2f34> [[최종윤]] || 이우일^^대행^^ ||<bgcolor=#ffffa0,#2d2f34> [[김민기(정치인)|김민기]] ||<bgcolor=#ffffa0,#2d2f34> [[정춘숙]] || ||<rowbgcolor=#008CCD> [[용인시 정|{{{#fff 용인 정}}}]] || [[파주시 갑|{{{#fff 파주 갑}}}]] || [[파주시 을|{{{#fff 파주 을}}}]] || [[이천시(선거구)|{{{#FFF 이천}}}]] || ||<bgcolor=#ffffa0,#2d2f34> [[이탄희]] ||<bgcolor=#ffffa0,#2d2f34> [[윤후덕]] ||<bgcolor=#ffffa0,#2d2f34> [[박정]] || [[엄태준]] || ||<rowbgcolor=#008CCD> [[안성시(선거구)|{{{#fff 안성}}}]] || [[김포시 갑|{{{#fff 김포 갑}}}]] || [[김포시 을|{{{#fff 김포 을}}}]] || [[화성시 갑|{{{#FFF 화성 갑}}}]] || || [[윤종군]]^^대행^^ ||<bgcolor=#ffffa0,#2d2f34> [[김주영(1961)|김주영]] ||<bgcolor=#ffffa0,#2d2f34> [[박상혁(1973)|박상혁]] ||<bgcolor=#ffffa0,#2d2f34> [[송옥주]] || ||<rowbgcolor=#008CCD> [[화성시 을|{{{#fff 화성 을}}}]] || [[화성시 병|{{{#fff 화성 병}}}]] || [[광주시 갑|{{{#fff 광주 갑}}}]] || [[광주시 을|{{{#FFF 광주 을}}}]] || ||<rowbgcolor=#ffffa0,#2d2f34> [[이원욱]] || [[권칠승]] || [[소병훈]] || [[임종성]] || ||<rowbgcolor=#008CCD> [[양주시(선거구)|{{{#fff 양주}}}]] || [[포천시·가평군|{{{#fff 포천·가평}}}]] ||<-2> [[여주시·양평군|{{{#fff 여주·양평}}}]] || ||<bgcolor=#ffffa0,#2d2f34> [[정성호(정치인)|정성호]] || [[박윤국]] ||<-2> [[최재관]] || ||<-4>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서울특별시|{{{#fff 서울}}}]] ·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부산광역시|{{{#fff 부산}}}]] ·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대구광역시|{{{#fff 대구}}}]] ·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인천광역시|{{{#fff 인천}}}]] ·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광주광역시|{{{#fff 광주}}}]] ·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대전광역시|{{{#fff 대전}}}]] ·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울산광역시|{{{#fff 울산}}}]] ·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세종특별자치시|{{{#fff 세종}}}]] ·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충청북도|{{{#fff 충북}}}]] ·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충청남도|{{{#fff 충남}}}]] ·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전라북도|{{{#fff 전북}}}]] ·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전라남도|{{{#fff 전남}}}]] ·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경상북도|{{{#fff 경북}}}]] ·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경상남도|{{{#fff 경남}}}]] ·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강원특별자치도|{{{#fff 강원}}}]] · [[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제주특별자치도|{{{#fff 제주}}}]]
||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경기도의회의원 (경기 안양시 제2선거구)
제4대
이병택
제5대
강득구
제6대
김순덕
제7대
이천우
제8-9대
강득구
제10대
김종찬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강득구
姜得求 | Kang Deuk-gu
파일:강득구.jpg
출생1963년 5월 27일 (61세)
경상남도 김해군
(現 경상남도 김해시)[1]
거주지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코오롱하늘채[2]
현직제21대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안양시 만안구 지역위원장
국회세계한인경제포럼 구성의원
재임기간제9대 경기도의회 전반기 의장
2014년 7월 1일 ~ 2016년 1월 14일
초대 경기도 연정부지사 (남경필 도정)
2016년 10월 1일 ~ 2018년 3월 13일
링크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학력만안국민학교 (졸업)
신성중학교 (졸업)
신성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한국철학 / 학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 석사)[1]
병역대한민국 육군 일병 소집해제
종교천주교 (세례명: 요셉)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경기 안양시 만안구
의원 선수1
의원 대수21
소속 위원회교육위원회
경력제5대 경기도의회 의원 (문교위원)
제8대 경기도의회 의원
이종걸 의원실 보좌관
제8대 경기도의회 전반기 기획위원회 위원장
제8대 경기도의회 후반기 운영위원회 위원장
제8대 경기도의회 후반기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원
제9대 경기도의회 의원
제9대 경기도의회 전반기 의장
더불어민주당 전국 광역의원협의회 대표
더불어민주당 당무위원
더불어민주당 전국자치분권민주지도자회의 공동대표
경기도 연정부지사
경기복지재단 이사장
경기가족여성연구원 이사장
경기도청소년 수련원 이사장
민주연구원 자치발전연구센터 본부장
경기교육주민참여협의회 대표
더불어민주당 포용국가비전위원회 위원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교육연수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의제)


1. 개요
2. 생애
2.1. 정치 활동
2.1.1. 경기도의회 도의원 시절
2.1.3. 경기도 연정부지사 시절
2.1.6. 제21대 국회 의정활동
3. 여담
4. 선거 이력
5. 소속 정당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강득구슬로건.jpg

사람중심 민생중심

대한민국정치인이다. 소속정당은 더불어민주당. 안양시 제2선거구(석수동, 박달동, 안양2동)에서 제2대, 제5·6대 경기도의원을 지냈으며, 제9대 전반기 경기도의회 의장과 남경필 경기도지사 시절 경기도 초대 연정부지사를 역임하였다. 2020년 4월 15일 실시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안양시 만안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만 35세의 젊은 나이에 도의원에 당선되어 비교적 어린 나이에 정치에 입문한 케이스.

2. 생애[편집]


1963년 5월 27일, 경상남도 김해군에서 태어났다. 태어난지 얼마 안되어 현재의 박달동 우성아파트 자리로 이사와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 안양시에서 50년 넘게 살아왔으며, 만안초등학교, 신성중학교를 졸업하고, 신성고등학교를 중퇴했다. 부모님은 3교대 공장 노동자였으며, 본인은 중학교 시절 신문배달 등 각종 아르바이트를 해야 할 정도로 넉넉지 못한 환경에서 자랐다고 한다. 이후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를 졸업한 후,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1. 정치 활동[편집]



2.1.1. 경기도의회 도의원 시절[편집]


평화민주당 시절부터 민주당계 정당과 함께해오면서, 정치적 커리어를 쌓아왔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도의회 의원 선거[3]에 출마하여 35살의 나이에 당선되었다.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경기도의원 재선에 도전했으나 낙선했다.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안양시 만안구에 공천받았지만 지도부 내홍으로 인해 공천을 반납하였다.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열린우리당 후보로 도의원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4]

이후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민주당 소속으로 57.95%를 득표하며 도의원 재선에 성공하였고, 전반기에는 기획위원장을, 후반기에는 민주당 대표의원과 운영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이후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도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으로 출마, 55.4%를 득표. 3선 도의원의 자리에 오르며 전반기 경기도의회 의장으로 선출된다. 의장 재임시 대표적으로 의회 미화원들의 직접고용을 실천하였고, 본회의에 수화통역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의정활동에 헌신하였다.#


2.1.2.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와 좌절[편집]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본인의 지역구인 안양시 만안구 총선 출마를 위하여 의장직을 중도 사퇴하였다. 당시 같은 당이종걸 원내대표와의 경선 여부가 지역 사회의 초유의 관심사로 떠올랐는데, 이종걸 의원의 경우 지역에서 4선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필리버스터 정국에서 맹활약을 하는 등 전국적으로 높은 지명도와 인지도를 가진 상황이었다. 그러나 문재인 대표 시절 원내대표로서 당무거부 사태를 일으키는 등 당 내외의 거센 비난에 직면하였으며,[5] 게다가 안양의 경우 지역구 3구 모두 중진 국회의원들이 의석을 점하고 있는 등[6] 지역구 국회의원 교체 여론이 팽배한 상황이었다. 또한 평촌신도시로 인한 개발효과를 받은 동안구지역에 비해 만안구의 중심인 안양1번가는 그 명성을 잃은 지 오래된 상황이며,[7] 이로 인한 지역구 국회의원 교체 여론이 어느 때 보다 높은 상황이었다. 실제로 지역언론에서 발표한 강득구 후보와 이종걸 의원의 후보 적합도 여론조사에 따르면, 강득구 후보는 이종걸 의원에 비해 오차범위를 상회하는 우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지역의 여론 또한 심상치 않은 조짐이라는 것이 감지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경선을 하리라는 예상을 뒤엎고 이종걸 의원이 경선도 아닌 단수공천으로 결정되었다.# 특히 이종걸 의원은 당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인 비상대책위원회의 위원 중 한 명으로, 공천 과정에서 특혜를 받은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었다.[8] 강득구 후보 측은 본 결정에 강하게 반발, 경선 불발시 중대결단을 내리겠다는 선언을 하였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강득구후보는 이종걸의원의 보좌관 출신인데, 신의, 도의가 없다라고 했다. 이종걸의원은 강후보가 도의원에 낙선하여 힘들게 살아갈 때 보좌관으로 채용하여 오늘에 이르게 한 사람이라는 것이다. 총선을 며칠 앞두고 "선당후사의 정신으로 공천결과에 깨끗이 승복하고 백의종군하겠다. 이종걸 후보의 선거승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하며, ‘선당후사유세단’을 꾸려 이종걸 의원의 5선 고지 점령에 힘을 보탰다.# 라고 하지만, 당시 이종걸 캠프에서는 강후보를 거의 본적이 없다고 한다.


2.1.3. 경기도 연정부지사 시절[편집]


이후 남경필 경기도지사 재임 시절, 경기도 연정부지사에 취임하였다.[9] 또한 남경필 지사는 경기도 연정(聯政) 2기를 맞아 이기우 부지사가 역임하던 ‘사회통합부지사’의 명칭을 ‘연정부지사’로 개칭하여 그동안 보건복지국·환경국·여성가족국 등 3개 실·국만을 소관하던 업무에서 보다 나아가 옛 정무부지사처럼 전체 실·국 업무를 아우르게 되는 강한 권한을 부여하였다. 이후 연정의 공식 종료를 선언한 2018년 2월까지 경기도 연정부지사 업무를 수행하였고, 훗날 인터뷰에 의하면 ‘싸움이 만연했던 도의회에서 싸움이 사라져서 기자들이 심심해 하더라’ 라는 평을 남길 정도로 성공적인 도정 운영을 이끌어 갔다. 이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안양시장 출마설이 제기되었으나, 본인은 이번 지선에 불출마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며# 결국 안양시장에는 최대호 후보가 더불어민주당의 공천을 받아 당선되었다.


2.1.4. 2018년~2019년[편집]


안양 만안구 관내에서 '검찰개혁은 꼭 이루어져야 합니다. 조국 법무부 장관을 응원합니다.'라는 내용의 지지 현수막을 내걸고#, 출판기념회를 개최#하는 등 총선을 앞두고 출마를 위한 정치적 행보를 지속했으며, 예상대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안양시 만안구 예비후보로 등록하여 선거운동을 진행하였다.#


2.1.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 및 당선[편집]


경선에서 안양시 만안구 현역 국회의원인 이종걸 의원을 누르고 공천을 받아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확정되었다. 4년 전의 좌절을 설욕한 셈. 당시 민주당 비주류에서는 이종걸의원이 문재인과 대립했던 악연으로 문재인 친위세력의 강력한 견제로 탈락되었고 해도해도 너무했다고 뒷말이 무성했다. [10]

그리고 본선에서는 미래통합당 후보인 이필운 전 안양시장과 경쟁하게 되었다. 총선 당일 개표 당시 초반에는 양 후보 간 득표순위가 역전에 재역전을 거듭하였는데 밤 10시를 넘긴 후에는 강득구 후보가 여유롭게 표차를 벌렸고 마침내 당선을 확정했다.

동별로 보면 석수동박달동에서 많은 표차로 우세를 점했다. 경기도의원 안양시 제2선거구가 석수동, 박달동, 안양2동인데 도의원 시절의 좋은 평가가 한 몫 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 동 중에서는 안양5동에서만 이필운 후보에게 열세를 보였으며[11] 안양4동에서는 매우 근소한 표차로 우세였다.


2.1.6. 제21대 국회 의정활동[편집]


2020년 5월 30일 국회의원에 취임하자마자 아들이 군대를 갔다고 한다. 동년 6월 5일 개원 이래 2021년 9월 18일 현재까지는 본회의, 교육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모두 개근을 하고 있다. 소속 위원회는 교육위원회이다. 90년대 후반부터 25년째 방치중이던 안양역 앞 흉물인 원스퀘어의 철거에 힘 쓰며 철거 작업이 드디어 진행중이다.


3. 여담[편집]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8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 안양 2
ta-hash-start=w-1c3e364cbbce8b2c102bf0dd90ca89fa[[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23,172 (58.52%)당선 (1위)초선
2002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ta-hash-start=w-d58b87277b4c279fccb3dde7c545f27c[[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8,889 (49.16%)낙선 (2위)
2004제17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안양 만안후보 사퇴
2006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 안양 2
ta-hash-start=w-92c50cf422ff3aa91114677c489b12f8[[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17,022 (35.33%)낙선 (2위)
2010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ta-hash-start=w-5e1c1540e4009cf2e4e7a380d55ba300[[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32,570 (57.95%)당선 (1위)재선
2014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ta-hash-start=w-ecb565cd82de68494c294dc8d4b419a0[[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33,741 (55.40%)3선[12]
2020제21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안양 만안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5,266 (53.60%)초선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a4510f07382abb2dd361528d3dd5ed5b[[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5 - 2000정계 입문

ta-hash-start=w-1c04abeb85a834a19e1ace9220311fe2[[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 - 2004합당[13]

무소속

2004 - 2006탈당

ta-hash-start=w-820e694038fadbf9b60b834215b46fdb[[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6 - 2007입당

ta-hash-start=w-08b106ded9fd25e9b8dbf57452fb1912[[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7 - 2008합당[14]

ta-hash-start=w-0113d87cf102cca53bf9b0d1531442aa[[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합당[15]

ta-hash-start=w-f27741a893bdde2c08d1ca1cfb90d4a1[[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 - 2011당명 변경

ta-hash-start=w-334736a47dc03950c42c0caa51048df3[[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1 - 2013합당[16]

ta-hash-start=w-b24d516bb65a5a58079f0f3526c87c57[[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3 - 2014당명 변경

ta-hash-start=w-b210d3789a96350fb4b8e79720ea5976[[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014 - 2015합당[17]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5 -당명 변경


6. 둘러보기[편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
[ 펼치기 · 접기 ]








[1] 당시 경상남도 김해군. 출생 후 현재의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 우성아파트 자리로 이사했다고 한다.[2] 국회공보 제2020-98[3] 안양시 제2선거구, 만안구 안양2동·박달동·석수동[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경우, 정권 말기에 접어든 노무현 정부의 지지율 하락과 열린우리당의 거듭되는 실책으로 인하여 경기도의회 지역구 의석 108석 중 108석 전석을 한나라당이 싹쓸이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였다.(...)[5] 실제로 최고위에서 징계논의까지 오가는 등 친노, 친문을 막론한 진보진영 대다수는 이종걸 의원의 본 행위에 대한 깊은 유감을 표명하였다.[6] 안양만안-4선 이종걸, 안양동안갑-5선 이석현, 안양동안을-4선 심재철. 공교롭게도 이들 세 의원 모두 20대 총선에서 승리하여, 도합이 16선이라는 어마어마한 선수를 자랑하게 되었다.[7] 대표적인 예로 안양역 앞의 현대코아 건물은 20년이 넘게 방치되어 있는 상황으로 안양1번가의 대표적인 흉물이다.[8] 실제로 비대위원 7인 중 6인은 해당 지역구에 복수 신청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원 단수공천을 받았으며, 나머지 1인은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으로, 그 또한 비례대표 2번으로 공천되어 ‘셀프공천’ 논란을 낳는 등의 논란을 빚었다.[9]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의원총회 무기명 투표 결과, 총 65표 중 강득구 후보 47표, 이기우 부지사 18표[10] 여담으로 이종걸 의원은 경선 탈락 이후 더불어민주당이 참여한 비례연합정당인 더불어시민당으로 당적을 옮기고 선대위원장을 맡아 총선기간 동안 전국 유세에 나서기도 했었다.[11] 안양5동은 동안구까지 합쳐도 안양시 전체에서 유일하게 미래통합당이 이긴 행정동이다.[12] 2016. 1. 1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 선언 및 도의원직 사퇴[13]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14]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15] 민주당과 신설 합당[16]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17]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