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구분명칭
프로1군KBO 리그
2군KBO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 남부리그) | KBO 교육 리그 | 낙동강 교육 리그
국제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독립
실업한국실업야구
아마추어
KBO 챌린저스 | KBSA 리그 | 권역별 지역 대회
여자
한국여자야구대회
(챔프리그 | 퓨처리그)
학생 · 유소년
대학KUSF 대학야구 U-리그 및 왕중왕전 | 대학야구선수권 | 대통령기 | 전국체전
고교고교야구 주말리그
대통령배 | 봉황대기 | 청룡기 | 황금사자기 | 신세계 이마트배 | 명문고 야구열전 | 전국체전
중학
전국소년체육대회 | 대통령기 중학야구대회 | 전국중학야구선수권대회 | 백호기전국중학야구대회 | U-15 전국유소년야구대회
초교
박찬호기 전국초등학교야구대회 외 3개 대회
리틀야구 주니어부 | 리틀야구 리틀부
폐지독립KIBA 드림 리그
실업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
대학회장기 춘계리그 | 회장기 하계리그
고교야구대제전 | 대붕기 | 무등기 | 화랑대기 | 미추홀기
국제한일 슈퍼게임 | 아시아 시리즈 | 한일 클럽 챔피언십 | 한대 클럽 챔피언십 | 아시아 윈터 베이스볼 리그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72v3jpgxR1sqk8veo8_r2_500.png
정식명칭黃金獅子旗 全國高校野球大會™
창설1947년
주관 단체동아일보, 스포츠동아,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참가 자격고교야구 주말리그 전반기 각 권역 1위.
서울A 2·4·6위, 서울B 3·5위, 서울C 2·4·6위, 서울·인천 2·4·6위, 경상A 3·5·7위, 경상B 2·4·6·8위, 부산·제주권 3·5·7위
경기A 2·4·6위, 경기B 3·5·7위, 경기C 2·4·6위, 경기·강원 3·5위, 대전·충청 2·4·6·8위, 광주·전라 3·5·7·9위, 전년도 우승 구단
최근 우승파일:부산고등학교 야구부 로고.svg 부산고등학교 (2023)
최다 우승파일:fRIop3N.gif 신일고등학교 (8회)
최다 MVP박준태(광주일고), 양창섭(덕수고)
웹 사이트홈페이지

1. 개요
2. 역대 대회 결과
3. 학교별 우승 횟수
4. 70주년 기념 올스타
5. 대회 일람
5.1. 2020년도 대회
5.2. 2021년도 대회
5.2.1. 8강 이후(+TV외 시청권 관련 이슈)
5.3. 2022년도 대회
5.4. 2023년도 대회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www.donga.com/01.jpg
황금사자기 우승기

파일:external/goldlion.donga.com/1400308566.jpg
우승 트로피

1947년에 창설한 대한민국고교야구 대회. 현재 동아일보에서 주최하고 있다. 1년 먼저 시작된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고교야구대회이며 단일 언론사가 주최한 대회로는 황금사자기가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1]

1990년대 후반까지는 그 해 성적이 우수한 팀을 매년 9월에 초청해서 여는[2] 지역별 최강전[3] 성격의 대회였고 2000년부터 대회 시점을 매년 5~6월로 옮겨 치렀다. 2008년부터는 대회 시점을 3월로 앞당겨 시즌 첫 대회로 열리게 됐고 봉황대기와 같이 전국 모든 고교야구 팀이 참가하는 대회로 변경되었었다.

2011년부터 청룡기, 대통령배, 봉황대기, 화랑대기, 대붕기, 무등기, 미추홀기와 더불어 고교야구 주말리그로 통합되면서 폐지될 예정이었으나 전반기 왕중왕전으로 변경되어 남게 되었으며 2015년 주말리그 일정이 축소되면서 유일한 왕중왕전이 되었다가 2016년 주말리그가 종전의 전후반기로 환원되면서 다시 전반기 왕중왕전이 되었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는 주말리그의 취지에 맞춰 주말과 공휴일에만 경기를 치렀으나 일정이 과도하게 늘어나는 부작용이 발생하면서 다시 종전대로 돌아갔다.

72회째를 맞는 2018년 대회는 투구 수 제한 강화가 적용되는 첫 전국대회로, 고교야구 문서의 혹사 문단에서 언급했듯이 선수 층이 두텁고 일정을 먼저 치러 휴식일이 넉넉한 팀이 유리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아울러 자동 고의사구도 도입되었다.

2019년부터 출전 팀 결정 방식이 바뀌면서 왕중왕전의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희석되었다. 2019년 대진표 및 결과

2021년부터 비디오 판독을 도입하였다. 다만, TV중계가 있는 8강전부터 시행된다.


2. 역대 대회 결과[편집]


회수연도우승스코어준우승최우수선수
1회1947부산 경남중9-3서울 경기중-
2회1948부산 경남중4-1서울 경기중-
3회1949부산 경남중7-3부산 동래중어우홍(동래)
4회19506.25 전쟁으로 중단[4]
5회1951
6회1952
7회1953
8회1954인천고10-2부산 경남고정병섭(경남고)
9회1955부산 경남고3-2인천고김수갑(경남고)
10회1956서울 운동장 확장공사로 중단
11회1957인천 동산고3-2대구 경북고김창영(경북고)
12회1958서울 경기공고[5]5-0부산 경남고박노희(경기공고)
13회1959서울 경동고4-0서울 경기공고이재환(경동고)
14회1960서울 경동고3-2부산상고주성현(경동고)
15회1961서울 성동고2-0(12회)서울 중앙고백수웅(성동고)
16회1962서울 경기공고2-1서울 중앙고김태영(경기공고)
17회1963서울 선린상고4-1부산 경남고박동수(선린상고)
18회1964성남고2-1마산상고김윤겸(성남고)
19회1965서울 중앙고7-0부산고이원국(중앙고)
20회1966서울 선린상고4-0부산고윤효상(선린상고)
21회1967부산 경남고3-2대구 경북고조홍기(경남고)
22회1968대구 경북고7-2인천 동산고임신근(경북고)
23회1969서울 선린상고12-5대구 경북고박준영(선린상고)
24회1970서울 성남고4-2대구상고노길상(성남고)
25회1971대구 경북고6-0서울 중앙고정현발(경북고)
26회1972군산상고5-4[6]부산고양종수(군산상고)
27회1973대구상고4-3(10회)서울 배명고김한근(대구상고)
28회1974부산 경남고3-1(10회)대구상고차동열(경남고)
29회1975부산상고1-0서울 중앙고김영만(부산상고)
30회1976서울 신일고2-0서울 선린상고김남수(신일고)
31회1977광주상고3-2인천고박상진(광주상고)
32회1978서울 신일고6-0서울고김경표(신일고)
33회1979대구 경북고1-0인천고김성래(경북고)
34회1980서울 선린상고5-3광주제일고유지홍(선린상고)
35회1981대구 경북고6-0광주 진흥고홍순호(경북고)
36회1982청주 세광고4-3부산 경남고박희종(세광고)
37회1983광주제일고3-2대구고박준태(광주제일고)
38회1984광주제일고4-0부산 경남고박준태(광주제일고)
39회1985전주고9-2광주 진흥고임기정(전주고)
40회1986군산상고2-1광주 진흥고권순구(군산상고)
41회1987서울 신일고4-3(10회)부산 경남고권오성(신일고)
42회1988인천 동산고6-0수원 유신고박기복(동산고)
43회1989인천고4-2서울 선린상고박종일(인천고)
44회1990서울 충암고13-0서울 배재고심재학(충암고)
45회1991서울 신일고14-2광주제일고설종진(신일고)
46회1992서울 배명고2-0부산고이경필(배명고)
47회1993서울 신일고7-2서울 덕수상고조현(신일고)
48회1994서울 덕수상고7-1부산 경남고한규식(덕수상고)
49회1995서울 덕수상고3-1마산고김민기(덕수상고)
50회1996서울 신일고6-2서울 덕수상고안치용(신일고)
51회1997서울 신일고8-7광주제일고김광삼(신일고)
52회1998대구상고13-0순천 효천고권도영(대구상고)
53회1999군산상고11-3부산상고한동희(군산상고)
54회2000서울 경기고10-7서울 신일고이동현(경기고)[7]
55회2001서울 휘문고6-4인천 동산고지석훈(휘문고)[8]
56회2002천안 북일고12-3인천 동산고남상준(북일고)[9]
57회2003서울 신일고9-5천안 북일고최진택(신일고)[10]
58회[11]2004서울 덕수정보고7-0성남 야탑고김문호(덕수정보고)
59회[12]2005광주제일고10-0성남서고나승현(광주제일고)
60회[13]2006서울 장충고2-1수원 유신고전진호(장충고)
61회[14]2007서울 장충고3-0천안 북일고최원제(장충고)
62회[15]2008광주제일고3-0서울 덕수고정성철(광주제일고)
63회[16]2009서울 충암고3-0천안 북일고문성현(충암고)
64회[17]2010광주제일고1-0서울 장충고유창식(광주제일고)
고교야구 주말리그 전반기 왕중왕전
65회[18]2011서울 충암고6-1광주제일고변진수(충암고)
66회[19]2012천안 북일고4-2서울 장충고윤형배(북일고)
67회2013서울 덕수고4-1마산고한주성(덕수고)
68회[20]2014서울고11-3마산 용마고남경호(서울고)
69회2015서울 선린인터넷고7-2대구 상원고김대현(선린인고)
70회2016서울 덕수고4-2마산 용마고양창섭(덕수고)
71회2017서울 덕수고7-3마산 용마고양창섭(덕수고)[21]
72회2018광주제일고10-2대구고조준혁(광주제일고)
73회2019수원 유신고10-4마산 용마고소형준(유신고)
74회2020김해고4-3강릉고김준수(김해고)
75회2021강릉고13-4대구고최지민(강릉고)
76회2022부산 경남고7-2평택 청담고나윤호(경남고)
77회2023부산고12-3서울 선린인터넷고안지원(부산고)


3. 학교별 우승 횟수[편집]


신일고등학교가 이 대회에 유독 강하다. 마산용마고등학교는 2010년대에 들어 결승전에 자주 진출했음에도 매번 우승 문턱에서 넘어졌다. 부산고등학교는 준우승만 4번 기록하다가 2023년에 드디어 우승을 맛보았다.

학교횟수연도
서울 신일고등학교8회'76, '78, '87, '91, '93, '96~'97, '03
부산 경남고등학교7회'47~'49, '55, '67, '74, '22
서울 덕수고등학교6회'94~'95, '04, '13, '16~'17
광주제일고등학교6회'83~'84, '05, '08, '10, '18
서울 선린인터넷고등학교5회'63, '66, '69, '80, '15
대구 경북고등학교4회'68, '71, '79, '81
군산상업고등학교3회'72, '86, '99
서울 충암고등학교3회'90, '09, '11
서울 경동고등학교2회'59~'60
서울 경기공업고등학교[22]2회'58, '62
서울 성남고등학교2회'64, '70
인천 동산고등학교2회'57, '88
인천고등학교2회'54, '89
대구 상원고등학교2회'73, '98
서울 장충고등학교2회'06~'07
천안 북일고등학교2회'02, '12
서울 성동고등학교1회'61
서울 중앙고등학교1회'65
부산 개성고등학교1회'75
광주 동성고등학교1회'77
청주 세광고등학교1회'82
전주고등학교1회'85
서울 배명고등학교1회'92
서울 경기고등학교1회'00
서울 휘문고등학교1회'01
서울고등학교1회'14
수원 유신고등학교1회'19
김해고등학교1회'20
강릉고등학교1회'21
부산고등학교1회'23


4. 70주년 기념 올스타[편집]






2016년 주최측인 동아일보가 70주년을 기념해 OB 올스타와 현역 올스타를 뽑았다. 온라인 팬투표를 진행했으며 팬투표 70%, 전문가 30%의 비율로 반영해 선정했다고 밝혔다.


5. 대회 일람[편집]



5.1. 2020년도 대회[편집]


2020년에는 위에 표시된 것과 같이 출전 팀을 결정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 여파로 주말리그가 연기되면서 권역별로 추첨해 참가 팀을 결정한다. 일단 5월 8~19일 개최 예정이었으나# 4월 15일 회의에서 일정을 추후에 다시 결정하기로 했다. 결국 6월 11~22일 대회를 치르기로 했다. #

2020년 5월 27일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에서 황금사자기와 청룡기 추첨 결과를 발표하였다. 6월 11일~22일 목동야구장과 신월야구장에서 41개팀이 황금사자기에 참가하고, 나머지 40팀은 청룡기에 참가하며 7월 23일~8월 3일 동일한 장소에서 개최된다. 2020 황금사자기 대진표 1학년 선수들은 6월 17일부터 출전이 가능하다.

2020년 대회부터 중계를 SPOTV에서 맡게 되는데 8강 1경기와 준결승 2경기, 결승 1경기로 중계가 제한되어[23] 아마야구 팬들의 불만이 나오고 있다. 신월구장인 경우는 별 수가 없긴 하지만(...)[24][25]

2020년 대회는 16강을 가리는 시점에서 우승 후보로 꼽혔던 팀들 및 전통의 강호들이 줄줄이 탈락하는 양상이 이어지고 있다. 강릉고만 16강에 안착했을 뿐 광주일고(강릉고와 첫 판에 만나 탈락), 경북고, 인천고, 상원고, 경남고, 성남고, 야탑고, 부산고, 충암고가 줄줄이 탈락했다. 반면 상대적으로 전력이 떨어진다는 평을 받았던 경기상고, 소래고, 율곡고, 부경고, 강원고가 16강에 진출했고 새로 창단한 서울컨벤션고도 16강에 오르는 등 이른바 언더독의 반란이 이어지고 있다.
16강 안착팀들의 결과1일차2일차
8강진출마산고
대전고
경기상고
강릉고
김해고
부경고
율곡고
광주진흥고
8강좌절소래고
인상고
경주고
컨벤션고
배명고
강원고
청원고
중앙고
준결진출강릉고
대전고
김해고
광주진흥고
준결좌절경기상고
마산고
부경고
율곡고
결승진출강릉고 / 김해고[26]
결승좌절대전고 / 광주진흥고

김해고와 강릉고가 만난 결승에서는 강릉고가 9회 1사까지 앞섰으나 김진욱이 한계 투구 수에 도달한 직후 김해고가 역전을 하며 팀 창단 17년 만에 메이저 전국대회 첫 우승을 달성했다. 이는 마산고도, 용마고도 달성하지 못했던 경상남도 지역 팀의 첫 메이저 전국대회 우승 기록이다. 반면 강릉고는 2019년 청룡기와 봉황대기에 이어 또 다시 준우승 기록을 추가했다.


5.2. 2021년도 대회[편집]


2021년도 대회는 6월 1일부터 14일까지 열린다. 참가 팀은 아래와 같다.

  • 서울권 A - 장충고, 서울디자인고, 경기고, 서울컨벤션고, 성지고
  • 서울권 B - 충암고, 서울고, 배명고, 경동고
  • 서울·인천권 - 인천고, 휘문고, 동산고, 청원고, 세현고
  • 경기권 A - 율곡고, 야탑고, 백송고, 상우고
  • 경기권 B - 안산공고, 청담고, 소래고, 비봉고, 우성베이스볼클럽AC
  • 경기·강원권 - 유신고, 강릉고, 설악고, 강원고
  • 대전·충청권 - 세광고, 공주고, 청주고, 한국K-POP고, 대전제일고
  • 전라권 - 인상고, 광주동성고, 진흥고, 화순고
  • 경상권 A - 김해고(전년도 우승 팀), 마산용마고, 물금고, 야로베이스볼클럽
  • 경상권 B - 경북고, 대구고, 포철고, 도개고
  • 부산·제주권 - 경남고, 부산고, 부산공고, 부경고

그러나 경동고와 물금고, 부산고의 대진상대가 확정되지 않고 끝나버렸던 탓에 5월 27일에 추가로 대진추첨이 진행됐다.

6월 7일자 TV중계일정_확정 Ver. 대진표

경기장 구분개막전 대진나머지 대진(시간순)
목동부경고경북고서디고강릉고휘문고청주고
마산용마고부산고
(No.21 Pot)
K-POP고유신고
동산고대전일고야로BC컨벤션고
부산공고
(2회전)
경기고
(2회전)
화순고
(2회전)
야탑고
(2회전)
상우고
(2회전)
김해고
(2회전)
포철고
(2회전)
경남고
(2회전)
도개고
(2회전)
동성고
(2회전)
배명고
(2회전)
백송고
(2회전)
대구고
(2회전)
충암고
(2회전)
안산공고
(2회전)
신월인천고성지고인상고설악고소래고서울고
진흥고장충고강원고세광고
청담고세현고청원고경동고
(No.39 Pot)
비봉고공주고우성AC율곡고
물금고
(2회전[27])

2회전까지의 탈락팀[28]
탈락 시점1일차2일차 이후
1회전경북고(목) / 성지고(신)
서디고(목) / 설악고(신)
청주고(목) / 소래고(신)
부산고(목) / 장충고(신)
K-POP고(목) / 강원고(신)
대전제일고(목) / 세현고(신)
<3일차>
야로BC(목) / 청원고(신)
-
<4일차(신월/지연경기)>
비봉고, 우성AC
2회전(32강)경기고(목) / 인상고(신)
-
야탑고 / 부경고
화순고
동산고 / 포철고
김해고 / 상우고
<3일차>
경동고 / 청담고
동성고 / 도개고
-
<4일차>
안산공고 / 율곡고 / 공주고

통상적으론 2회전부터 목동구장에만 경기가 배정되었지만, 6월 3일 서울지역 비 예보로 인해 일정이 조금 밀렸다.[29] 이 때문에 종전 목동에 치러질 예정이던 인상고 - 물금고 경기가 신월에서 치러지게 되며 유일한 신월 2회전 경기가 되었다.
김해고가 첫 출전라운드인 2회전에서 광탈하게 되었는데 에이스 선수의 부재 문제도 있겠으나 그 전에 있었던 암적인 요소가 여파를 크게 했다.


8강부터 SPOTV 측의 중계가 잡혀있어 KBSA측 유튜브 중계는 16강을 끝으로 마무리된다. 그런데...(중계 관련으로 하술)
16강에서 광주전라지역 팀들이 전부 탈락하게 되기 전부터 안그래도 부정적인 반응들이 있었는데[30], 광주진흥고가 탈락하며 부채질한 격이 되었다.


5.2.1. 8강 이후(+TV외 시청권 관련 이슈)[편집]



유튜브 중계를 마무리하고 SPOTV로 이관한 것까지는 괜찮았다. 문제는 PC나 모바일 한정으로 일반채널인 SPOTV이 아니라 PC/모바일 유료시스템인 SPOTV NOW[31]로 한정시킨 것. 화질에 민감하지 않은 한 결제를 하지 않아도 볼 수 있기는 하다. 다시보기나 주요장면에 제한이 있어서 그렇지..[32]
학부모나 진짜 고교야구 팬이 아닌 이상은 일부러 시청할 가능성은 0에 가깝다. 물론 어그로 등의 문제에 있어선 쾌적하긴 하겠으나, 이로 인해 양날검과 같은 판단이 되고 말았다.

해설진이 서울컨벤션고의 8강 진출에 대해서 "의외의 8강 진출팀" 및 "돌풍의 팀"으로 언급했지만, 그 돌풍은 8강에서 잠잠해지고 말았다.

결승 결과
(6. 14)
강릉고등학교13-4대구고등학교
"전기 준우승팀, 이번엔 우승?""광주일고가 어디에 참가하게 됐다고?
혹시 우승 가능할까?"[33]
대구고는 통산 결승에서 만났던 광주일고가 없는 결승에서조차 강릉고의 위세에 눌려 또다시 준우승을 거두고 말았다.


5.3. 2022년도 대회[편집]


2022년도 대회는 5월 19일부터 30일까지 열린다. 참가 팀은 아래와 같다.

  • 서울권 A - 덕수고, 경동고, 서울자동차고
  • 서울권 B - 배재고, 서울컨벤션고, 우신고
  • 서울권 C - 선린인터넷고, 청원고, 서울동산고
  • 서울·인천권 - 휘문고, 인천고, 동산고, 덕적고
  • 경기권 A - 라온고, 안산공고, 경기항공고
  • 경기권 B - 율곡고, 신흥고, 충훈고, 상우고
  • 경기권 C - 장안고, 구리인창고, 여주IDBC
  • 경기·강원권 - 강릉고(전년도 우승 팀), 청담고, 경민IT고, 설악고
  • 대전·충청권 - 대전고, 북일고, 천안CS, 한국K-POP고
  • 전라권 - 광주일고, 순천효천고, 광주동성고, 화순고
  • 중부권 - 세광고, 전주고
  • 경상권 A - 마산고, 물금고, 야로고BC, TKBC, 밀양BC
  • 경상권 B - 대구고, 포철고, 예일메디텍고, 도개고
  • 부산·제주권 - 경남고, 개성고, 부산공고, 부산정보고

1회전의 빅매치는 5월 20일에 열리는 경남고와 덕수고의 경기다. 경남고는 매년 전국대회 우승 후보로 거론되지만 마지막 우승이 2010년 청룡기이고 황금사자기에서는 1974년을 마지막으로 우승이 없으며 마지막으로 결승에 오른 것도 1987년이다. 덕수고는 2021년 4월부터 몸 상태 문제가 이어지고 있는 심준석의 회복 여부가 최대 관건이다.

대진표를 추첨하는 과정에서 배명고와 충암고는 청룡기 참가대상학교으로 확인되어 대진표가 수정되었다.[34]

원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략)

고교야구 주말리그 전반기 우승팀만 황금사자기와 청룡기 왕중왕전에 모두 참가할 수 있으며, 나머지 팀은 성적에 따라 참가 대회가 결정되고, 각 대회 전년도 우승교는 해당 대회에만 참가가 가능한 대전제에 의거, 충암고는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 참가할 수 없으며, 청룡기 전국고교야구선수권대회에 전년도 우승교로 참가하게 됩니다.

이에, 해당 결과를 반영하여 제76회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대진표를 붙임과 같이 수정해 다시 안내해 드립니다.

아울러, 이미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대진 추첨이 완료된 상황을 고려하고 참가팀의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명고의 청룡기 전국고교야구선수권대회 참가는 유지함을 알려드립니다.

전국고교야구대회 참가팀 결정 방식에 혼선을 드리게 되어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드리며, 향후 동일한 사안이 발생하지 않도록 동 결정 방식을 개선하고 관련 내용을 충분히 안내해 참가팀들에게 피해가 가는 일이 재차 발생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겠습니다.


경기장 구분개막전 대진나머지 대진(시간순)
목동마산고세광고인천동산고예일메디텍고강릉고전주고
경기항공고율곡고대구고여주IDBC
청담고부산정보고상우고경민IT고
경남고덕수고라온고물금고
부산공고광주제일고서울컨벤션고선린인터넷고
TKBC(2회전)청원고(2회전)경동고(2회전)설악고(2회전)
배재고(2회전)개성고(2회전)도개고(2회전)
신월밀양BC인창고충훈고대전고신흥고서울동산고
장안고한국K-POP고북일고포항제철고
서울자동차고인천고우신고휘문고
광주동성고(2회전)안산공고(2회전)천안CS(2회전)덕적고(2회전)
야로고BC(2회전)화순고(2회전)순천효천고(2회전)

2회전까지의 탈락팀[35]
탈락 시점1일차2일차 이후비고
1회전세광고(목) / 밀양BC(신)
인천동산고(목) / 충훈고(신)
전주고(목) / 서울동산고(신)
경기항공고등학교(목)
여주IDBC(목) / 한국K-POP고(신)
부산정보고(목) / 포항제철고(신)
상우고(목) / 서울자동차고(신)
덕수고등학교(목)
물금고(목) / 우신고(신)
부산공업고등학교(목)
서울컨벤션고등학교(목)
32강예일메디텍고등학교
광주동성고등학교
신흥고(목) / 경민IT고(신)
경동고(목) / 천안CS(신)
인창고(목) / 대구고(신)
밀양TanKBC(목)
1일차는 신월구장에서만 진행됨
도개고(목) / 순천효천고(신)
개성고(목) / 화순고(신)
배재고(목) / 야로고BC(신)
장안고등학교(목)
신월구장 사용 마지막날



결승전은 48년 만에 이 대회 우승을 노리는 전통 강호 경남고와 창단 후 처음으로 전국대회 결승에 오른 평택청담고의 대결로 압축되었다. 그 결과 경남고가 48년만의 황금사자기 우승에 성공하게 된다.


5.4. 2023년도 대회[편집]


2023년도 대회는 5월 14일부터 27일까지 열린다. 참가 팀은 아래와 같다. 앞의 팀은 각 권역별 1위 팀으로, 청룡기에도 참가한다.

  • 서울권A - 충암고, 휘문고, 서울자동차고, 서울동산고
  • 서울권B - 장충고, 선린인터넷고, 신일고
  • 서울권C - 덕수고, 배재고, 성남고, 서울디자인고
  • 서울·인천권 - 서울고, 인천고, 청원고, 덕적고
  • 경기권A - 안산공고, 부천고, 상우고, 충훈고
  • 경기권B - 비봉고, 진영고, 여주ID BC, TNP
  • 경기권C - 경기항공고, 율곡고, 장안고, 신흥고
  • 경기·강원권 - 강릉고, 소래고, 설악고
  • 대전·충청권 - 대전제일고, 공주고, 세광고, 대전고, 천안CS
  • 광주·전라권 - 전주고, 순천효천고, 광주동성고, 광주제일고, 나주광남고
  • 경상권A - 물금고, 야로고BC, 김해고, 창원공고
  • 경상권B - 대구상원고, 대구고, 도개고, 경주고, 예일메디텍고
  • 부산제주권[36] - 부산고, 경남고(전년도 우승 팀), 부산공고, 제주고

5월 10일 대진표가 나왔다. 1회전 빅 매치는 덕수고:휘문고, 경남고:충암고 경기다. 또한 이번 해 대회부터 신월구장도 중계하게 된다.[37]

경기장 구분개막전 대진나머지 대진(시간순) / 2회전부터 진행=(2)
목동공주고덕적고제주고서울고예일메디텍고부천고
충암고경남고전주고천안CS
부산공고야로고BC상우고진영고
비봉고대전제일고물금고부산고
신일고(2)경주고(2)광주제일고(2)인천고(2)
김해고(2)서울자동차고(2)설악고(2)
신월선린인터넷고순천효천고BC휘문고덕수고장안고서울동산고
나주광남고대구상원고대구고창원공고BC
광주동성고청원고세광고충훈고
경기항공고대전고소래고성남고
강릉고도개고안산공고신흥고
장충고율곡고BC배재고(2)TNP(2)
서울디자인고(2)여주IDBC(2)
신월에 한해 하루 늦게 2회전에 돌입한다.

2회전까지의 탈락팀[38]
탈락 시점1일차2일차 이후비고
1회전덕적고(목, 8회) / 순천효천고BC(신)
제주고(목, 6회) / 휘문고(신)
예일메디텍고(목) / 장안고(신)
경남고(목, 7회P) / 나주광남고(신, 6회)
천안CS(목) / 창원공고BC(신)
야로고BC(목) / 청원고(신)
상우고(목) / 충훈고(신)
대전제일고(목) / 대전고(신)
물금고(목, 7회) / 소래고(신, 8회)
<5월 16일>
도개고 / 신흥고(6회P) / 장충고
<5월 17일, 신월만>
[39][40]
2회전
(32강전)
부천고등학교(7회)
신일고등학교(7회)
경주고등학교(8회)
<5월 17일, 목동만>
서울동산고(목) / 광주동성고(신)
전주고(목, 6회P) / 부산공고(신)
덕수고(목) / TNP(신, 7회)
5월 18일 2경기2회2사2볼
상태에서 소나기가 지나가기도
김해고(목) / 안산공고(신)
서울자동차고(목) / 서울디자인고(신, 8회)
진영고(목) / 여주IDBC(신, 7회P)
<5월 19일>
설악고등학교
(5월 20일 목동구장 잔여경기, 8회)
[41]
5월 19일 신월구장 일정종료

앞서 이마트배와는 달리 황금사자기는 1회전부터 로봇 심판을 활용하고 있는데 1회전부터 몇몇 경기에서 사사구가 대량으로 나오면서 이대로 로봇 심판을 전면 도입해야 하느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물론 로봇 심판의 스트라이크 존 범위에 대한 공지가 있기는 했지만, 결국 문제가 심각해지자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에서 스트라이크존을 수정,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공지

준결까지의 탈락팀[42]
탈락 시점1일차2일차 이후(16강)
2일차(8강)
비고
16강공주고등학교
인천고등학교
대구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
비봉고등학교
경기항공고등학교
세광고등학교
율곡고BC
8강서울고등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배재고등학교
성남고등학교(7회)
준결대구상원고등학교
강릉고등학교
패배시 공동3위

2023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FINALS
선린인터넷고등학교3-12부산고등학교
FOCUS
-
1. 15년도 우승 이후로 오랜만인 선린인고와 우승이 하고 싶은 부산고![43]
2. 57년만의 패배 설욕![44] 과연?
부산고가 황금사자기 우승을 최초 달성하게 되면서, 통산 9번째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학교가 되었다[45].


6.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순서우승 구단우승 연도우승 횟수
1파일:경남고 야구부_배경제거.png경남고등학교1947년, 1948년, 1949년, 1955년
1967년, 1974년, 2022년
★★★★★★★
7회
2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j59qdJcK1sqk8veo9_r1_100.png인천고등학교1954년, 1989년★★
2회
3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8kax4zrJR1sqk8veo1_250.png동산고등학교1957년, 1988년★★
2회
4-경기공업고등학교[*]1958년, 1962년★★
2회
5파일:경동고등학교 로고.png경동고등학교1959년, 1960년★★
2회
6파일:성동고 야구부.png성동고등학교(해단)1961년
1회
7파일:선린인터넷고.png선린인터넷고등학교1963년, 1966년, 1969년
1980년, 2015년
★★★★★
5회
8파일:성남고등학교 로고_배경제거.png성남고등학교1964년, 1970년★★
2회
9파일:중앙고 로고_배경제거.png중앙고등학교1965년
1회
10파일:경북고등학교 로고.jpg경북고등학교1968년, 1971년, 1979년, 1981년★★★★
4회
11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8n8v2LQ4t1sqk8veo4_r1_250.png군산상일고등학교1972년, 1986년, 1999년★★★
3회
12파일:QiXxmjQ.jpg대구상원고등학교1973년, 1998년★★
2회
13파일:smPNVat.jpg개성고등학교1975년
1회
14파일:신일고 야구부.jpg신일고등학교1976년, 1978년, 1987년, 1991년
1993년, 1996년, 1997년, 2003년
★★★★★★★★
8회
15파일:D0GcVeV.jpg광주동성고등학교1977년
1회
16파일:MQL5Oe0.png세광고등학교1982년
1회
17파일:FzeX4gI.png광주제일고등학교1983년, 1984년, 2005년
2008년, 2010년, 2018년
★★★★★★
6회
18파일:ImVr0SY.png전주고등학교1985년
1회
19파일:external/azine.kr/201103281617123257.jpg충암고등학교1990년, 2009년, 2011년★★★
3회
20파일:attachment/baemyunggo_logo.png배명고등학교1992년
1회
21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j7lw8dMb1sqk8veo5_r1_540.png덕수고등학교1994년, 1995년, 2004년
2013년, 2016년, 2017년
★★★★★★
6회
22파일:경기고등학교 투명로고.png경기고등학교2000년
1회
23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j59qdJcK1sqk8veo7_r2_250.png휘문고등학교2001년
1회
24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8n8v2LQ4t1sqk8veo1_400.png북일고등학교2002년, 2012년★★
2회
25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o8j7lw8dMb1sqk8veo3_r1_400.png장충고등학교2006년, 2007년★★
2회
26파일:서울고등학교 로고 (Another).png서울고등학교2014년
1회
27파일:유신고등학교_로고.jpg유신고등학교2019년
1회
28파일:r542oyv.gif김해고등학교2020년
1회
29파일:his_img0277.jpg강릉고등학교2021년
1회
30파일:부산고등학교 야구부 로고.svg부산고등학교2023년
1회
[*] 학제 개편을 통해 고등교육기관으로 승격하며 해단. 現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0:34:05에 나무위키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황금사자기는 동아일보가 1회 때부터 줄곧 주최했지만 청룡기는 원래부터 조선일보 주최 대회가 아니었다. 1회부터 5회 대회까지는 자유신문사에서 주최했으나 6.25 전쟁을 거쳐 조선일보가 이 대회를 인수했고 현재까지 대회를 운영하고 있다.[2] 이 당시 서울 개최 메이저 대회를 보면 대통령배가 3~4월, 청룡기가 5~6월, 봉황대기가 8월에 열렸기 때문에 시즌을 정리하는 왕중왕전의 성격이 강했다.[3] 위에 나온 우승기가 그 증거. 이 당시 황금사자기의 정식 명칭은 황금사자기쟁탈 전국 지구별 초청 고교야구 쟁패전이었다.[4] 이후에는 학제 체계의 변경 등으로 참가대상 학교들이 고등학교로 바뀐다.[5]서울과학기술대학교[6] 군산상고에게 '역전의 명수'라는 별칭을 안겨준 고교야구 역사상 레전드급 결승전이 나온 대회다. 1회말 군산상고가 1점을 선취했지만 3회초 부산고가 동점을 만들었고 8회초에서 3점을 더 뽑아 9회까지 부산고가 4-1로 앞서고 있었다. 그러나 9회말 기적적인 연속 적시타가 연달아 터졌고 결국 김준환의 끝내기 안타로 5-4로 뒤집기 승리를 거뒀다. 이때 김준환과 더불어 같은 팀에서 활약한 유명 선수로는 김봉연, 김일권이 있다. 김봉연은 나이로 김준환보다 많지만 어린 시절 몸이 아파서 학교를 늦게 들어가는 바람에 김준환과 동기가 됐다.[7] 경기고는 이 해 개교 100주년을 맞아 우승에 목말라하고 있었으며, 대통령배에서는 추신수-김백만-정근우가 버틴 부산고에 패퇴하였으나, 황금사자기에서 감격의 첫 우승을 차지한다. 참고로, 고교야구대회 중 가장 늦게 열리던(9월)대회가 이 해부터 6월에 열렸다.[8] 휘문고의 에이스는 성질 우규민, 동산고의 에이스는 풍류 송은범이다.이 둘은 1학년때부터 주축 투수로 활약 하였다.[9] 천안북일고는 황금사자기 우승을 시작으로 부산 화랑대기,봉황대기,전국체전을 제패하며 4관왕에 등극한다.[10] 당시 신일고에는 나지완, 임훈 등이 있었다.[11] 야탑고의 투수는 윤석민이었다.[12] 광주일고의 유격수는 김성현(SK), 넥센의 강정호는 포수!!로 활약하였다. 때에 따라 투수로 투입되기도 하였다.[13] 9회말 1-1 상황에서 김원태의 끝내기 안타로 우승한다.[14] 동대문야구장에서 열린 마지막 황금사자기 대회다.[15] 이 해부터 목동야구장에서 개최된다.[16] 이 해 야탑고-충훈고 경기 후, 참가 선수들 간 폭행사고가 발생했다. 배민관 항목 참고.[17] 결승전을 잠실야구장에서 개최하였다.[18] 결승전을 잠실야구장에서 개최하였다. 주말리그가 열리는 매주 토/일요일마다 충암고는 변진수가 완투하며, 혹사 논란을 일으킨다.[19] 66회와 67회 대회는 마산야구장에서 개최되었다.[20] 결승전을 잠실 야구장에서 개최하였다. 도무지 우승운이 없었던 서울고는 이 해에 시즌 2관왕을 차지했다.[21] 5경기 등판하여 5승 달성[22]서울과학기술대[23] 단, 2회전(6월 15일) 때 1경기 정도는 선택중계가 있었다.[24] 종전 중계방송사에서는 가능한한 목동구장 전경기를 중계해주는 방향으로 노력해왔었는데, 중계방송사가 바뀌면서 중계경기 수를 확 줄인거나 마찬가지가 되어서 그런 듯하다. 더군다나 무관중으로만 진행되는 바람에 학부모 조차도 입장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적게 배정된 중계경기 수는 더더욱 불쾌하게 느껴질 정도. 유튜브에 협회 자체중계가 있긴 하지만 중계방송사의 그것에 비하면 최소사양(?)처럼 느껴질 수 있는 건 넘어가자..[25] 앞 각주에 설명된 협회 자체중계의 경우는 단순히 게임원 플레이 라는 것을 통해서 중계해줄 뿐인데다가, 무해설이라는 것이 가져다주는 답답함의 문제 등으로 인해 '어떻게 된게 발전이 1도 없냐'는 소리가 나오고 있다. 물론 피드백을 그때그때 받고 있긴 한 모양인지 점차 나아지고 있긴 하다. 남은 건 아무래도 '잦은 화면에러(+매끄러운 장면들 간 이동)', '해설진'(...)[26] 두 팀 모두 첫 결승이다. 단 강릉고는 청룡기와 봉황대기에서 결승에 진출한 적 있지만, 김해고는 모든 대회 통틀어 최초 결승진출이다.[27] No.13 Pot[28] 목동 경기인 경우 (목), 신월 경기인 경우 (신)으로 표기[29] 목동구장 : 경기고 0-2(1말) 강릉고 / 신월구장 : 비봉고 0-2(2말) 공주고[30] "정읍인상고"가 권역 우승팀인 것을 근거로 드는 의견도 있다. 해당 권역에서 우승한 것이 뜬금없다는 의미로.[31] SPOTV ON과 비슷한 성격을 띈다.[32] 네이버TV를 통해 시청이 불가함을 확인한 것이기 때문에, 아프리카TV나 카카오TV에서도 동일했던 것인지는 추가로 확인이 필요하다.[33] 37회(1983)와 72회(2018) 모두 결승 상대가 광주일고였다.[34] 충암고는 주말리그 전반기의 소속 권역리그 우승팀이 아니라서 전기 우승 기록이 있는 청룡기만 참가할 수 있기에 청룡기로 참가했으며, 배명고의 경우는 황금사자기 참가대상이었으나 누락된 채 이미 황금사자기 대회의 모든 대진 추첨을 완료한 상황인 까닭에 청룡기에만 참가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결정되었다. 충암고는 이에 대해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으나 기각되었다.[35] 목동 경기인 경우 (목), 신월 경기인 경우 (신)으로 표기[36] 경남고가 전반기 2위를 했기에 원래 황금사자기에 나와야 할 7위 부산정보고는 청룡기에 참가한다.[37] 이 때문에 "중계할 수 있었으면서 여태 왜 안했음?"이라는 반응도 나오기도 했다.[38] 목동 경기인 경우 (목), 신월 경기인 경우 (신)으로 표기. 콜드경기일 경우 콜드처리된 이닝만 적음[39] 5월 16일 목동구장 2경기 6회 초 2-4 비봉고 우세 과정에서 대전제일고 16번 선수가 비봉고 11번 선수가 던진 머리에 맞는 공으로 엠뷸런스가 호출되는 일이 있었다. 직구로 던진 공이었기 때문에 스트리밍 채팅에서 비판의 의견이 있었는데, 응원단에서의 화이팅 소리가 들리며 비판이 더해졌다. 비봉고 11번 선수는 이후 무사만루를 허용하며 강판되었다.[40] 신월구장은 5월 16일 14시 민방위 훈련으로 인해 20분간 휴식시간을 가졌다.[41] 5월 19일 오후 2시에 중학야구선수권 대진추첨 스트리밍이 있었다. 그런데 하필 이 시기에 목동구장 3경기 개시시간과 맞물리면서 중학야구선수권 관련 스트리밍은 열리고, 이 대회 신월구장도 스트리밍이 열렸으나, 가장 나중에 진행된 목동구장의 스트리밍이 열리지 않고 있게 되면서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결국 5회에 와서야 스트리밍이 다시 만들어져 재개되었다.[42] 콜드경기일 경우 콜드처리된 이닝만 적음[43] 부산고는 92년도 대회가 최근 결승 진출 기록이었다. 65년도 대회부터 해당 대회까지 우승 없이 준우승만 통산 4회의 기록이 있다.[44] 1966년도 대회의 리벤지매치다.[45] 지난해에 이어 올해 부산고가 황금사자기를 우승함에 따라서 2년 연속 부산 소재 고등학교 야구부가 우승하는 기록까지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