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후쿠오카현 제11구

덤프버전 :


규슈-오키나와 지방의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후쿠오카 1구후쿠오카 2구후쿠오카 3구후쿠오카 4구후쿠오카 5구
이노우에 다카히로오니키 마코토고가 아쓰시미야우치 히데키쓰쓰미 가나메
후쿠오카 6구후쿠오카 7구후쿠오카 8구후쿠오카 9구후쿠오카 10구
하토야마 지로후지마루 사토시아소 다로오가타 린타로기이 다카시
후쿠오카 11구사가 1구사가 2구나가사키 1구나가사키 2구
다케다 료타하라구치 가즈히로오구시 히로시니시오카 히데코가토 간지
나가사키 3구나가사키 4구구마모토 1구구마모토 2구구마모토 3구
다니가와 야이치가네코 요조기하라 미노루사카모토 데쓰시
구마모토 4구오이타 1구오이타 2구오이타 3구미야자키 1구
가네코 야스시기라 슈지에토 세이시로이와야 다케시와타나베 소
미야자키 2구미야자키 3구가고시마 1구가고시마 2구가고시마 3구
에토 다쿠후루카와 요시히사미야지 다쿠마미타조노 사토시노마 다케시
가고시마 4구오키나와 1구오키나와 2구오키나와 3구오키나와 4구
모리야마 히로시아카미네 세이켄아라가키 구니오시마지리 아이코니시메 고사부로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이마무라 마사히로야라 도모히로야스오카 타케히로하마치 마사카즈이와타 가즈치카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요시카와 하지메다케이 슌스케아베 히로키요시다 노부히로후루카와 야스시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야마다 가쓰히코고쿠바 고노스케다무라 다카아키긴조 야스쿠니미야자키 마사히사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이나토미 슈지오자토 야스히로신지 나가토모야마모토 고세이요시다 구미코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후쿠오카현 제11구
福岡県第11区
||
파일:shuinsen_Fukuoka11.svg
선거인 수260,148명 (2020)
상위 도도부현후쿠오카현
하위 행정구역타가와시, 유쿠하시시, 부젠시, 타가와군, 미야코군, 치쿠조군
국회의원

다케다 료타




1. 개요[편집]


후쿠오카현의 치쿠호 지방 동부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중의원 선거구다. 후쿠오카현의 선거구들 중 가장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타큐슈시 남부와 인접하고 있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스가 내각의 총무대신인 자유민주당 소속 다케다 료타.



2. 상세[편집]


소선거구제 도입 직후에는 사회민주당 후보가 석패율 구제로 당선될 정도로 어느 정도 야당 표가 나오긴 했으나, 현재는 그런 거 없이 보수세가 굉장히 강한 선거구다.

한편 보수 강세 지역치고는 8번의 선거 중 무소속 후보 당선 횟수가 3번이나 있는데, 이는 당시 야마모토 고조와 다케다 료타 두 사람이 서로 자민당 당적과 무소속을 번갈아가며(...) 맞대결을 펼쳐왔기 때문에[1] 나온 결과이며 두 사람 다 성향도 보수에 가깝고 출신 정당도 자민당이기 때문에 보수 강세 지역이라는 점은 변함이 없다. 그리고 특이하게도 45회 총선거 전까지는 야마모토와 다케다 두 사람 중 선거 당시 무소속으로 출마한 사람이 지역구에서 승리했었다. 야마모토 고조가 옆 지역구인 후쿠오카현 제10구로 옮긴 이후에는 다케다 료타가 최종적으로 지역구를 차지했으며, 다케다가 지역구를 차지한 이후에는 계속 자민당이 수성 중이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1구
타가와시, 유쿠하시시, 부젠시, 타가와군, 미야코군,
치쿠조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야마모토 고조66,798표1위


38.55%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나카니시 세키스케51,569표2위


29.76%비례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다 료타42,152표3위


24.33%낙선
파일:일본 공산당 흰색 로고.svg이쿠모토 타다오12,741표3위


7.35%낙선
유효표 수258,230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1구
{{{#fff
타가와시, 유쿠하시시, 부젠시, 타가와군, 미야코군,
치쿠조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야마모토 고조68,440표1위

무소속

36.2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다 료타65,838표2위


34.88%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나카니시 세키스케41,152표3위


21.80%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나기타케 후쿠요11,608표4위


6.15%낙선
파일:덕주회.png이토 히로키1,698표5위

자유연합

0.90%낙선
유효표 수215,286표투표율
선거인 수

다케다 vs 야마모토 시즌 2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1구
{{{#fff
타가와시, 유쿠하시시, 부젠시, 타가와군, 미야코군,
치쿠조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다케다 료타78,882표1위

무소속

42.4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야마모토 고조62,628표2위


33.69%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데지마 히데아키35,591표3위


19.1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무라카미 카츠지8,790표4위


4.73%낙선
유효표 수215,286표투표율
선거인 수

다케다 vs 야마모토 시즌 3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1구
{{{#fff
타가와시, 유쿠하시시, 부젠시, 타가와군, 미야코군,
치쿠조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다케다 료타78,757표1위

무소속

39.5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야마모토 고조78,308표2위


39.28%비례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나토미 슈지32,231표3위
16.1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무라카미 카츠지10,075표4위
5.05%낙선
유효표 수215,286표투표율
선거인 수

다케다 vs 야마모토 시즌 4

야마모토 고조 의원은 비례 규슈 블록을 거쳐 후쿠오카현 제10구로 터전을 옮겼고, 이 선거에서 낙선한 민주당 이나토미 후보는 후쿠오카현 제2구로 선거구를 옮긴뒤 당선, 3선 의원을 지내고 있다.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1구
타가와시, 유쿠하시시, 부젠시, 타가와군, 미야코군,
치쿠조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다 료타106,334표1위
57.43%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야마구치 하루나61,192표2위
33.0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시타 토미코14,475표3위
7.82%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코사코 히데노리3,142표4위
1.70%낙선
유효표 수128,926표투표율
-
선거인 수-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1구
타가와시, 유쿠하시시, 부젠시, 타가와군, 미야코군,
치쿠조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다 료타86,443표1위
55.87%당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호리 다이스케38,091표3위
24.67%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타니세 나야코18,715표3위
12.1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시타 토미코11,469표4위
11.41%낙선
유효표 수150,855표투표율
59.39%
선거인 수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1구
타가와시, 유쿠하시시, 부젠시, 타가와군, 미야코군,
치쿠조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다 료타85,488표1위
65.60%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후지나카 히로유키24,138표2위
18.5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시타 토미코20,694표3위
15.88%낙선
유효표 수128,926표투표율
51.47%
선거인 수265,270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1구
타가와시, 유쿠하시시, 부젠시, 타가와군, 미야코군,
치쿠조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다 료타81,129표1위
55.46%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무라키마 도모노부42,335표2위
28.94%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다케우치 노부아키22,822표3위
15.60%낙선
유효표 수146,286표투표율
56.66%
선거인 수265,726인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1구
타가와시, 유쿠하시시, 부젠시, 타가와군, 미야코군, 치쿠조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케다 료타75,997표1위
55.8%당선
무라카미 도모노부40,996표2위
30.1%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시키 레이코19,310표3위
14.2%낙선
총 선거인수256,676인투표율
54.28%
유효표136,303표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자유민주당에서는 다케다 료타 의원이 재출마한다.

한편 무라카미 도모노부 후보는 이번에는 일본 유신회 소속으로 출마한다.

사회민주당 역시 시키 레이코 후보가 재출마하면서 저번 선거 후보 모두 재출마한다.
[1] 41, 42회 당시에는 다케다가 자민당으로, 야마모토가 신진당을 거쳐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며, 43, 44회 당시에는 반대로 야마모토가 자민당으로, 다케다가 자민당을 탈당한 뒤 무소속으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