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1년 5월 미야기 해역 지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1년 3월에 발생한 2차 강진에 대한 내용은 2021년 3월 미야기 해역 지진 문서
2021년 3월 미야기 해역 지진번 문단을
2021년 3월 미야기 해역 지진# 부분을
, 2021년 2월에 발생한 1차 강진에 대한 내용은 2021년 후쿠시마 해역 지진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이 지진의 본진에 대한 내용은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021년 5월 미야기 해역 지진
宮城県沖地震 (2021年5月)
파일:2021년 미야기 해역 지진(2).png
파일:0005325085_001_20210501113403433.jpg
긴급
지진속보
발령 지역
도호쿠[1], 간토[2], 니가타현
발생2021-05-01 10:27(UTC+9)
진앙일본 미야기현 미야기현 해역
진원 깊이51km
규모JMA : Mj 6.8 / Mw 6.6
USGS : Mw 6.9 / mb 6.2
최대 진도5강[3]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 오사키시, 와쿠라정
쓰나미
경보/주의보
미발령
여진 횟수
5. 14. 08:58
최대 여진: M 6.3, 진도 4
최대 진도 1 이상 3회
피해
6. 8. 19:40
사망 -명
부상 5명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
5+미야기
5-아오모리, 이와테, 후쿠시마
4아키타, 야마가타, 이바라키, 도치기
3홋카이도, 군마, 사이타마, 치바, 도쿄, 가나가와, 니가타, 야마나시
2나가노, 시즈오카
1이시카와, 기후, 아이치, 미에, 시가
1. 개요
2. 여진
3. 기타
4. 둘러보기


일본 NHK 방송의 실시간 긴급지진속보 방송 송출본

일본 NHK 방송의 실시간 긴급지진속보
(한국어 번역본)

1. 개요[편집]


2021년 5월 1일에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동남동쪽 83km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

수도관이 파열되면서 인도 위로 물이 쏟아져 나왔으며 신칸센 운행이 일시적으로 멈춰서기도 했다.

일본 기상청은 5월 1일 낮 12시 30분 경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1주일 정도 진도 5강 수준의 지진을 주의해야 된다고 당부했고, 특히 사나흘 내에 큰 지진이 날 수 있다고 발표했다.


2. 여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3.2.5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기타[편집]


금번 지진부터는 지난 4월 2일부터 시행된 도호쿠 대지진의 여진이라는 표현 사용 잠정 재검토 정책(사실상 도호쿠 대지진의 여진으로 간주하지 않는 정책)으로, 낮 12시 30분부터 일본기상청이 기자회견을 진행하였으나 동일본대지진 관련 여진에 대한 말은 없었다.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의 여진 이라는 표현 사용 잠정 재검토 정책 관련 뉴스

맨 처음 규모 6.6으로 발표했으나 이후 6.8로 상향 수정되었다.

이번에도 앞선 지진들처럼 주요 방송사별 지진 속보 전파 비교 영상이 올라왔다. #


4. 둘러보기[편집]


문서가 존재하는 2021년 지진
2020
2021
2022
[ 1월~8월 ]

발생일규모지진명최대진도
01. 12.M 6.9몽골 지진
01. 15.M 6.2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지진
02. 13.M 7.3후쿠시마 해역 지진
6+
03. 04.M 7.4뉴질랜드 케르마덱 지진
03. 05.M 7.6
M 8.2
03. 18.M 6.0알제리 지진
03. 20.M 7.0미야기 해역 지진 (3월) [A]
5+
04. 10.M 6.1인도네시아 자바섬 남부 지진
M 5.2토카라 열도 해역 군발지진 (2021년 4월)
4
04. 28.M 6.4인도 아삼 지진
05. 01.M 6.9미야기 해역 지진 (5월) [A]
5+
05. 21.M 6.4중국 윈난성 지진
05. 22.M 7.4중국 칭하이성 지진
06. 16.M 6.1인도네시아 말루쿠 주 지진
06. 23.M 5.8페루 지진 (6월) [B]
07. 29.M 8.2알래스카 지진
07. 30.M 6.4페루 지진 (7월)
08. 05.M 6.1대만 동부 군발지진
08. 06.M 5.4
08. 12.M 7.3필리핀 민다나오 섬 지진
08. 13.M 7.5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M 8.1
08. 14.M 7.3알래스카 지진 [C]
M 7.2아이티 지진
08. 16.M 6.9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D]
08. 18.M 7.1바누아투 지진
08. 21.M 6.6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D]
08. 22.M 7.1
08. 26.M 5.8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 중부 지진
08. 31.M 6.5뉴질랜드 케르마덱 지진 [E]
[A]: 2월 13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유발지진.
[B]: 7월 30일 발생한 페루 지진과 문서 병합됨.
[C]: 7월 29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
[D]: 7월 29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
[E]: 3월 5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

[ 9월~12월 ]

발생일규모지진명최대진도
09. 08.M 7.1멕시코 지진
09. 16.M 6.0중국 쓰촨성 지진
M 5.4이시카와현 군발지진(2021년 9월)
5-
09. 22.M 6.0호주 지진
09. 27.M 6.0그리스 크레타 지진 [F]
10. 02.M 7.3바누아투 지진 [G]
10. 04.M 6.3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D]
10. 06.M 6.0이와테 해역 지진 (10월) [A]
5+
10. 07.M 6.1파키스탄 지진
M 6.1일본 치바현 지진
5+
10. 08.M 6.1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D]
10. 09.M 7.0바누아투 지진 [G]
10. 11.M 6.9알래스카 지진 [C]
10. 12.M 6.4그리스 크레타 지진
10. 16.M 5.1인도네시아 발리 섬 지진
10. 18.M 6.1바누아투 지진 [G]
10. 24.M 6.5대만 이란현 지진
11. 14.M 6.4이란 남부 지진
M 6.3
11. 28.M 7.5페루 지진 (11월)
12. 03.M 5.0야마나시현 군발지진
5-
M 5.5기이수도 지진
5-
12. 09.M 6.1토카라 열도 해역 군발지진 (2021년 12월)
5+
12. 14.M 7.6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지진
M 5.1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
[A]: 2월 13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유발지진.
[C]: 7월 29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
[D]: 7월 29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
[F]: 10월 12일에 발생한 지진의 전진.
[G]: 8월 18일에 발생한 바누아투 지진의 여진. (문서 병합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2:00:07에 나무위키 2021년 5월 미야기 해역 지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