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예선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1. 개요
2. 시드 배정
2.1. 서아시아
2.2. 동아시아
3. 조별리그
3.1. A조
3.2. B조
3.3. C조
3.4. D조
3.5. E조
3.6. F조
3.7. G조
3.8. H조
3.9. I조
3.10. J조
3.11. K조
3.12. 조 2위 간 서열
4. 예선 총평
4.1. 대한민국


1. 개요[편집]


이번 대회 예선은 2021년 10월 23일부터 11월 2일까지 개최 예정이다. 저번 대회와 마찬가지로 A조부터 F조까지는 West Zone(서아시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국가들이 포진하며 G조부터 K조까지는 East Zone(동남아시아, 동아시아) 국가들이 포진한다. 각 조 1위는 AFC U-23 대회 본선에 진출하며 조 2위 팀 중 상위 4개 팀도 본선에 진출한다. 개최국인 우즈베키스탄은 자동 진출한다.

여담으로 태국과 인도네시아는 도핑 규정을 위반하여 본선에 진출할 시 자국의 국기를 사용하지 못한다.


2. 시드 배정[편집]




파키스탄은 불참, 부탄과 마카오, 괌은 참가를 철회하였으며, 북마리아나 제도는 본래 참가하지 않는다. 조 추첨 이후에 북한, 브루나이, 중국이 불참하였고 자국 사정이 좋지 못한 아프가니스탄 역시 불참을 선언하여 총 38개국이 이번 예선에 참여하게 된다. 예선은 개최국 시드에 속한 국가가 개최한다. K조는 개최국 시드에 포함될 수 없기 때문에 조 추첨 이후에 결정된다. 추첨 결과 K조의 조별 예선 개최국은 일본으로 결정되었다.

  • 범례
    • P1~P4 : 포드 1~포트 4(조별 예선 개최국)
    • H : 조별 예선 개최국(Home)
    • W : 기권(Withdrawal)
    • Q : U-23 아시안컵 개최국(Qualifier)


2.1. 서아시아[편집]


개최국 시드포트 1포트 2포트 3포트 4
요르단(P1)사우디아라비아오만아프가니스탄(W)키르기스스탄
아랍에미리트(P1)시리아팔레스타인투르크메니스탄네팔
바레인(P2)이란방글라데시인도몰디브
카타르(P2)이라크레바논스리랑카
타지키스탄(P2)예멘우즈베키스탄(Q)
쿠웨이트(P3)[D조]


2.2. 동아시아[편집]


개최국 시드포트 1포트 2포트 3포트 4
싱가포르(P2)대한민국일본(H)홍콩필리핀
인도네시아(P3)[G조]호주중국(W)라오스브루나이(W)
대만(P4)[I조]태국말레이시아캄보디아
몽골(P4)북한(W)미얀마동티모르
베트남


3. 조별리그[편집]



3.1. A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 (H)321091+87본선 진출
2파일:시리아 국기.svg시리아312061+55탈락
3파일:예멘 국기.svg예멘31113304
4파일:스리랑카 국기.svg스리랑카300308-80

개최지: 카타르 도하
경기일(UTC+3)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1. 10. 25.18:00카타르3 : 0예멘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20:00시리아5 : 0스리랑카수헤임 빈 하마드 스타디움
2021. 10. 28.18:00스리랑카0 : 5카타르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20:00예멘0 : 0시리아수헤임 빈 하마드 스타디움
2021. 10. 31.18:05시리아1 : 1카타르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18:00예멘3 : 0스리랑카수헤임 빈 하마드 스타디움


3.2. B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이란 국기.svg이란330092+79본선 진출
2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타지키스탄 (H)320193+66
3파일:레바논 국기.svg레바논310243+13탈락
4파일:네팔 국기.svg네팔3003014-140

개최지: 타지키스탄 두샨베
경기일(UTC+5)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1. 10. 25.16:00이란4 : 0네팔파미르 스타디움
19:00타지키스탄1 : 0레바논
2021. 10. 28.16:00레바논0 : 2이란
19:00네팔0 : 6타지키스탄
2021. 10. 31.16:00레바논4 : 0네팔
19:00이란3 : 2타지키스탄


3.3. C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220070+76본선 진출
2파일:바레인 국기.svg바레인 (H)21013303탈락
3파일:몰디브 국기.svg몰디브200207-70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아프가니스탄00000000기권

개최지: 바레인 무하라크주 아라드
경기일(UTC+3)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1. 10. 25.16:15이라크4 : 0몰디브알무하라크 스타디움
2021. 10. 28.19:15몰디브0 : 3바레인
2021. 10. 31.19:15이라크3 : 0바레인


3.4. D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320145-16본선 진출
2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311164+24
3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방글라데시3003010-100탈락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 (H)본선 개최국

개최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샤이혼토후르[D조]
경기일(UTC+5)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1. 10. 27.15:00방글라데시0 : 1쿠웨이트JAR 스타디움
15:00사우디아라비아2 : 2우즈베키스탄파흐타코르 마르카지 스타디움
2021. 10. 30.15:00쿠웨이트2 : 1사우디아라비아JAR 스타디움
15:00우즈베키스탄6 : 0방글라데시파흐타코르 마르카지 스타디움
2021. 11. 02.15:00사우디아라비아3 : 0방글라데시JAR 스타디움
15:00쿠웨이트1 : 5우즈베키스탄파흐타코르 마르카지 스타디움

D조는 우즈베키스탄의 전적을 빼서 생각한다. 다만 비교를 위해 순위표에는 최하위로 기재한다.


3.5. E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아랍에미리트 (H)320142+26본선 진출
2파일:인도 국기.svg인도31112204탈락
3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키르기스스탄31112204
4파일:오만 국기.svg오만310224-23

개최지: 아랍에미리트 푸자이라
경기일(UTC+4)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1. 10. 24.16:50아랍에미리트1 : 2키르기스스탄푸자이라 스타디움
20:30오만1 : 2인도
2021. 10. 27.16:50키르기스스탄0 : 1오만
20:30인도0 : 1아랍에미리트
2021. 10. 30.16:50아랍에미리트2 : 0오만
20:30인도0 : 0
4 (P.S.O) 2
키르기스스탄

첫 경기에서 키르기스스탄이 아랍에미리트를, 인도가 오만을 잡는 이변을 일으켰는데, 2차전에는 오만과 아랍에미리트가 각각 1득점 승리로 모든 국가가 승점과 골득실이 같아졌다. 죽음의 조 3차전에서는 아랍에미리트가 오만에게 무난히 승리를 하였다. 인도와 키르기스스탄은 무승부를 거둬 경기 종료 약 15분 뒤 승부차기를 시행하였고 4 : 2로 인도가 이겨 2위를 달성하게 되었다. 하지만 2위 간 순위를 따질 때 인도와 키르기스스탄 모두 손해 본 경기였다. 인도는 2골 차 이상 이겼어도, 키르기스스탄은 승부차기에서 이겼어도 2위 중에 최상위 순위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기 때문이다.


3.6. F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요르단 국기.svg요르단 (H)220021+14본선 진출
2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투르크메니스탄210132+13
3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팔레스타인201124-21탈락

개최지: 요르단 암만
경기일(UTC+2)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1. 10. 25.19:00투르크메니스탄0 : 1요르단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2021. 10. 28.19:00팔레스타인1 : 3투르크메니스탄
2021. 10. 31.19:00요르단1 : 1팔레스타인


3.7. G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호주 국기.svg호주220042+26본선 진출
2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200224-20탈락
-파일:중국 국기.svg중국00000000기권
-파일:브루나이 국기.svg브루나이00000000

개최지: 타지키스탄 두샨베[G조]
경기일(UTC+5)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1. 10. 26.17:00인도네시아2 : 3호주파미르 스타디움
2021. 10. 29.17:00호주1 : 0인도네시아

중국과 브루나이가 기권한 바람에 호주와 인도네시아가 1차례 더 경기를 갖게 되었다. 형평성 문제가 거론 되었지만, 아시아 축구 연맹은 어쩔 수 없다는 입장만 표명하였다. K조의 북한이 기권했을 때와는 달리 4팀으로 이루어진 다른 조에서 한 팀을 빼내서 재편성하지는 않았는데, 시간이 너무 촉박해서 그렇게 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인 듯 하다. 또한, G조는 조 2위 추가진출을 위한 전적 비교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3.8. H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3300141+139본선 진출
2파일:싱가포르 국기.svg싱가포르 (H)311147-34탈락
3파일:동티모르 국기.svg동티모르311138-54
4파일:필리핀 국기.svg필리핀300305-50

개최지: 싱가포르 칼랑
경기일(UTC+8)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1. 10. 25.17:00대한민국3 : 0필리핀잘란 베사르 스타디움
20:00싱가포르2 : 2동티모르
2021. 10. 28.17:00동티모르0 : 6대한민국
20:00필리핀0 : 1싱가포르
2021. 10. 31.17:00동티모르1 : 0필리핀
20:30대한민국5 : 1싱가포르

대한민국 U-23 대표팀의 자세한 경기 내용은 황선홍호 참고.


3.9. I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220020+26본선 진출
2파일:미얀마 국기.svg미얀마11011103탈락
3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대만200202-20

개최지: 키르기스스탄 추이주 비슈케크[I조]
경기일(UTC+6)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1. 10. 27.16:00대만0 : 1베트남돌렌 오무르자코프 스타디움
2021. 10. 30.16:00미얀마1 : 0대만
2021. 11. 02.16:00베트남1 : 0미얀마


3.10. J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말레이시아321020+27본선 진출
2파일:태국 국기.svg태국312041+35
3파일:라오스 국기.svg라오스310236-33탈락
4파일:몽골 국기.svg몽골 (H)301234-11

개최지: 몽골 울란바토르
경기일(UTC+8)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1. 10. 25.11:00태국1 : 1몽골몽골축구연맹 축구 센터
15:00말레이시아1 : 0라오스
2021. 10. 28.11:00몽골0 : 1말레이시아
15:00라오스0 : 3태국
2021. 10. 31.11:00태국0 : 0말레이시아
15:00라오스3 : 2몽골

3차전 라오스가 몽골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 덕분에 태국은 본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3.11. K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일본 국기.svg일본 (H)220080+86본선 진출
2파일:캄보디아 국기.svg캄보디아210146-23탈락
3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홍콩200226-40
-파일:북한 국기.svg북한00000000기권

개최지: 일본 후쿠시마현 후타바군 나라하마치
경기일(UTC+9)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1. 10. 23.13:00캄보디아4 : 2홍콩J빌리지
2021. 10. 26.13:00일본4 : 0캄보디아
2021. 10. 28.13:00홍콩0 : 4일본

북한의 기권으로 K조의 팀이 3팀에서 2팀으로 줄어들면서 정상적인 예선 진행이 어렵다고 판단한 AFC는 북한의 빈 자리를 메우기 위해 동아시아 권역의 나머지 4개 조(G조 - J조)에서 각 조의 톱 시드 팀과 개최국 팀을 제외한 팀들 중 한 팀을 추첨하여 K조로 재편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8월 11일 오후 4시(한국시간) 진행된 조 추첨에서 I조의 홍콩이 K조로 재편성되었다.


3.12. 조 2위 간 서열[편집]


C조, F조, I조, K조가 3개 팀밖에 없는 관계로 조 최하위와의 전적을 빼고 계산한다. 2개 팀밖에 없는 G조는 전적 비교 대상에서 제외되지만 단순 비교를 위해 최하위에 기재한다. 우즈베키스탄이 속한 D조는 3개의 팀으로 간주한다. 즉, 우즈베키스탄과 펼친 경기는 전적에서 제외한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조정 승점제외 국가
1J조파일:태국 국기.svg태국211030+34파일:몽골 국기.svg몽골
2D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210142+23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
3F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투르크메니스탄210132+13없음
4B조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타지키스탄21013303파일:네팔 국기.svg네팔
5C조파일:바레인 국기.svg바레인21013303없음
6I조파일:미얀마 국기.svg미얀마21011103없음
7K조파일:캄보디아 국기.svg캄보디아210146-23없음
8A조파일:시리아 국기.svg시리아20201102파일:스리랑카 국기.svg스리랑카
9E조파일:인도 국기.svg인도201101-11파일:오만 국기.svg오만
10H조파일:싱가포르 국기.svg싱가포르201137-41파일:필리핀 국기.svg필리핀
-G조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200224-20없음
본선 진출 | 탈락


4. 예선 총평[편집]




4.1. 대한민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3:13:43에 나무위키 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D조] A B 본래 쿠웨이트에서 모든 D조 잔여 경기가 열릴 예정이었지만, 모종의 이유로 장소를 우즈베키스탄으로 옮겼다.[G조] A B 본래 인도네시아에서 모든 G조 잔여 경기가 열릴 예정이었지만, 모종의 이유로 장소를 타지키스탄으로 옮겼다.[I조] A B 본래 대만에서 모든 I조 잔여 경기가 열릴 예정이었지만, 모종의 이유로 장소를 키르기스스탄으로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