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4 파리 올림픽

덤프버전 :

||

||
[ 펼치기 · 접기 ]

주요 정보유치 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개막식 · 폐막식) · 대한민국 대표팀 · 논란 및 사건 사고 · 평가
개별 종목-
마스코트
- ·
주경기장
- ·
패럴림픽
2024 파리 패럴림픽 ·
개회 선언자
- ·
성화 점화자
-
파일:2024 파리 올림픽 로고 블랙.svgVenez partager
Made for Sharing
함께 나누자
||

파일:2024 파리 패럴림픽 로고.svg2024
파리 패럴림픽
||
[ 펼치기 · 접기 ]

주요 정보유치 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 대한민국 대표팀
개별 종목-
대회 관련 기타 문서
마스코트
- ·
주경기장
- ·
올림픽
2024 파리 올림픽 ·
개회 선언자
- ·
성화 점화자
-
파일:2024 파리 패럴림픽 로고 블랙.svgVenez partager
Made for Sharing
함께 나누자
||



2024 파리 올림픽
제33회 올림픽 경기대회
Jeux de la XXXIIIe Olympiade

Jeux olympiques d'été de 2024
2024 파리 올림픽 경기대회
Games of the XXXIII Olympiad Paris 2024
파일:2024 파리 올림픽 로고.svg
대회기간2024년 7월 26일 ~ 8월 11일
개최지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슬로건Venez partager
Made for Sharing
(와서 나누자)
마스코트프리주(Phryge)
주제가
참가국[1]
참가선수
경기종목32개 종목 (329개 세부 종목)
개막선언에마뉘엘 마크롱[2]
프랑스 대통령
선수 선서
심판 선서
코치 선서
성화점화
개·폐막식장센강 트로카데로 광장[3][4] (개막식)
스타드 드 프랑스 (폐막식)
파일:2024 파리 올림픽 로고.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유치 선정
3. 대회 상징
3.1. 엠블럼
3.2. 마스코트
3.3. 픽토그램
3.4. 메달
3.5. 성화
4. 경기 종목
4.1. 문서가 생성된 종목
5. 경기장 및 시설
6. 대회 진행
6.1. 메달 집계
7.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단
8. 국내 중계
9. 스폰서
9.1. 월드와이드 올림픽 파트너
9.2. 프리미엄 파트너
9.3. 공식 파트너
9.4. 공식 서포터
10. 여담
10.1. 참가 여부 불확실 국가
10.2. 대한민국 관련
10.2.1. 단체 구기종목별 진출 현황



1. 개요[편집]


Course sur les toits de Paris

2024 파리 올림픽 개막까지
D-56

2024 파리 올림픽 성화 채화까지
D45
2024년,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 예정인 제33회 하계 올림픽. 2012 런던 올림픽 이후 유럽에서 12년 만에, 동계 올림픽까지 포함하면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이후 10년 만에 열리는 올림픽이다. 프랑스에서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5] 이후 32년만에 열리는 올림픽이다. 또한 1924 파리 올림픽 이후 정확히 100년 만에 파리에서 개최되는 하계 올림픽이다.

2015년 1월 15일부터 2016년 1월 8일까지 유치 신청서를 접수하여,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 최종 입후보 도시를 선정, 2017년 2월부터 3월까지 현지 방문 심사를 진행했다. 7월 12일 개최도시로 프랑스 파리 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결정되었으며 9월 13일 리마 IOC 총회에서 올림픽 개최순서를 결정할 될 예정이었으나, 7월 31일에 IOC, 파리, 로스앤젤레스 측이 삼자 합의를 통해 2024년 올림픽은 100주년 기념으로 파리에서 개최키로 합의를 했고 그 결과 로스앤젤레스는 차기 대회 2028년 개최권을 가져갔다.

한편 변경된 IOC 규정에 따라 이번 대회부터는 복수의 도시에서 공동 개최가 가능해졌다. 다만 하계는 일단 2032 브리즈번 올림픽까지는 공동 개최가 성사되지는 않은 상황이다. 한편 동계올림픽은 2026년 대회가 이 규정에 따라 복수 도시에서 공동 개최된다.


2. 유치 선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4 파리 올림픽/유치 선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대회 상징[편집]



3.1. 엠블럼[편집]


파일:2024 파리 올림픽 로고.svg파일:2024 파리 패럴림픽 로고.svg
2024 파리 올림픽 엠블럼2024 파리 패럴림픽 엠블럼
2019년 10월 21일에 엠블럼이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프랑스 디자인 에이전시 Ecobranding & Royalties와 함께 디자이너 실뱅 부아예(Sylvain Boyer)가 제작하였으며, 파리 아르데코 양식으로부터 영감받아 프랑스 의인화 상징 마리안표현하였다.[6]

역사상 처음으로 올림픽과 패럴림픽 로고가 같다. 색상은 ●#D2C382. 로고 하단의 올림픽 심볼은 패럴림픽에서는 패럴림픽 심볼로 변경된다.


3.2. 마스코트[편집]


파일:2024 파리 올림픽 마스코트 프리주.png
파일:2024 파리 올림픽·패럴림픽 마스코트.svg
3D2D

소개 영상

2022년 11월 14일에 처음으로 공개된 공식 마스코트 'Phryge' (프리주). 모티브는 프리기아 캡에서 얻었다. #[7][8]


3.3. 픽토그램[편집]


파일:2024 파리 올림픽 픽토그램.jpg

소개 영상

이번 픽토그램의 특징이라면, 픽토그램에 사람이 없다는 것. 대신 해당 종목의 경기장 모습과 종목에서 사용한 도구를 소재로 하여 제작되었고, 파리 특유의 예술적 감각을 가미한 것이 포인트다. 그러나 예술적인 면에 너무 치중한 나머지 픽토그램의 본래 목적인 시인성을 떨어뜨렸다는 부정적 의견 또한 적지 않다.

3.4. 메달[편집]




3.5. 성화[편집]


파일:2024 파리 올림픽 성화봉송 로고.svg
파일:2024 파리 올림픽 성화봉송 경로.png
2024년 4월 16일, 그리스 올림피아에서 채화된 뒤 거대한 범선을 타고 5월 8일, 프랑스 마르세유에 도착한 뒤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카르카손, 몽생미셸뿐만 아니라 와인 산지로 유명한 생떼밀리옹, 샤블리 등을 거친다.

6월 9일에는 서부 브레스트에서 출발하는 배를 타고 프랑스 해외영토기아나, 레위니옹, 폴리네시아, 과들루프, 마르티니크를 거쳐 6월 18일 다시 본토로 돌아온다.

4. 경기 종목[편집]


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하계올림픽 종목



2024 파리 올림픽 종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올림픽/종목#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문서가 생성된 종목[편집]



5. 경기장 및 시설[편집]


탄소발자국을 최소화하는 환경친화적 올림픽을 주도함에 따라 기존 시설물과 활용이 가능한 문화유산을 최대한 이용해 올림픽을 치를 전망이다.


































6. 대회 진행[편집]



6.1. 메달 집계[편집]



7.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4 파리 올림픽/대한민국#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국내 중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4 파리 올림픽/중계 방송/국내 일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스폰서[편집]



9.1. 월드와이드 올림픽 파트너[편집]


파일:오륜기(여백X).svg[[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 월드와이드 올림픽 파트너



이번 올림픽부터 세계 1위의 회계법인 딜로이트가 월드와이드 파트너로 참여한다.

9.2. 프리미엄 파트너[편집]


파일:2024 파리 올림픽 로고.svg 프리미엄 파트너
파일:그루프BPCE 로고.svg파일:그루프BPCE 로고_다크모드.svg파일:까르푸 심볼.svg[[파일:까르푸 흰색 심볼.svg파일:EDF 로고.svg
파일:LVMH 로고.svg[[파일:LVMH 로고 화이트.svg파일:오렌지(통신사) 로고.svg파일:사노피 로고.svg

9.3. 공식 파트너[편집]


파일:2024 파리 올림픽 로고.svg 공식 파트너
아코르그루프ADP[15]에어 프랑스아르셀로미탈
Caisse des DépôtsCiscoCMA CGM다논
데카트론FDJ[16]GL Events일드프랑스 모빌리테[17]
르꼬끄 스포르티브PricewaterhouseCoopers

9.4. 공식 서포터[편집]


아토스[18]DXC 테크놀로지RATP라 포스트
몬도SNCF소덱소테크노짐

위 기업들을 비롯한 35개 기업이 공식 서포터로 참여한다.

10. 여담[편집]




















바흐 위원장은 "파리조직위가 (에어컨 없어도 선수들이 안락하게 지낼 수 있도록) 큰 노력을 기울였다. 외부 기온보다 6도 또는 그 이상 낮게 선수촌을 쾌적하게 운영할 것. 폭염이 1만 5000여명에 달하는 선수들에게 영향을 끼칠 것으로 걱정하지 않는다.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치른 2020 도쿄 올림픽의 경험에서 얻은 게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선수촌 관계자는 선수촌 외부 기온이 38도라면 선풍기를 활용해 내부의 온도를 26∼28도로 유지할 수 있다며 단열 시설 구축은 필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1 #2


10.1. 참가 여부 불확실 국가[편집]



10.1.1. 러시아, 벨라루스[편집]


러시아벨라루스는 올림픽 휴전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어겼기에 IOC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이다. 그러나 2023년 1월 26일, IOC는 두 국가의 선수들이 중립 선수 자격[26]으로 올림픽에 출전하는 것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IOC는 "러시아와 벨라루스 여권을 보유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선수의 올림픽 참여 자체를 금지해서는 안 된다"고 설명했다. #

이 결정에 솜방망이 처벌 아니냐는 말이 지구 여기저기서 나왔고,[27] 우크라이나는 보이콧을 검토할 것으로 밝혔고 영국, 덴마크, 노르웨이, 동유럽 국가들도 IOC의 결정에 비판했다.#

미국올림픽·패럴림픽위원회(USOPC)와 파리올림픽조직위원회가 지지 의사를 나타냈다. 그렇지만 정부 입장은 유보된 상태이다.# IOC는 해명 와중에 러시아가 유엔의 제재를 받고 있지 않으므로 자신들의 결정은 정당하다는 듯한 주장을 펼쳐 국제적 망신을 당했다. # 안보리에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러시아가 유엔의 제재를 받지 않는 것은 당연하므로 이 해명은 비웃음만 샀다.

우크라이나는 보이콧을 당장 선언하지 않은 대신 앞으로 두 달간 자국에 동조하는 국가를 더 많이 확보하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

안 이달고 파리시장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을 계속한다면 러시아 선수들의 파리 올림픽 참가를 반대한다고 밝혔다.#

2023년 2월 20일. 미국과 독일 등 서방 35개국은 러시아와 벨라루스 국적 선수들의 올림픽 출전 금지를 촉구하고 나섰다.#

2023년 3월 28일. IOC는 먼저 두 나라 선수가 자국 군대와 연관되지 않은 이상, 개인 자격으로 중립국 소속으로 국제 대회에 참가할 수 있도록 했다. 구기 종목과 같은 단체 경기에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은 참가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두 나라 선수는 완전히 흰색 또는 단색의 유니폼만 입을 수 있으며 팀 로고를 유니폼에 새길 수도 없다. 자국 국기를 계정에 게시하거나 참가자의 중립성과 대회의 진실성과 이해관계를 저해할 만한 발언도 금지된다.# 따라서 러시아, 벨라루스에게 공식적으로 초청하지 않는다.#

1980년대 보이콧과 달리 현실적으로 보이콧 어려움이 있는지라 우크라이나 내에서도 후퇴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을 이유로 파리 올림픽에서 러시아 국기를 걸어선 안 된다고 밝혔다.#


10.2. 대한민국 관련[편집]











10.2.1. 단체 구기종목별 진출 현황[편집]


대한민국은 단체 구기종목 14개 중[39]에서 2023년 9월 현재 1개 종목(여자 핸드볼)에서 파리 올림픽 진출을 확정한 반면, 농구, 배구, 수구는 남녀 모두 출전권 획득에 실패했다[40].

2023년 10월 현재 단체 구기종목의 예선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취소선 걸린 종목은 탈락 확정, 볼드체는 진출 확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00:03:11에 나무위키 2024 파리 올림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 프랑스, 미국, 영국을 제외한 나머지는 추후 결정될 예정이다.[2] 2022년 4월에 재선이 되어 2027년까지 프랑스 대통령으로 재임 예정이며, 중도에 사퇴하거나 탄핵되지 않고, 2024년까지 임기를 수행하고 있을 경우 이번 올림픽의 개막선언을 할 것이다.[3] 개막식 장소로 폐쇄적인 스타디움이 아닌 개방적인 센강을 선택했다. 하계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개막식이 올림픽 주경기장이 아닌 다른 곳에서 열리는 것이다.#[4] 에펠탑과 사이요 궁전 사이에 있는 광장이라 에펠탑이 개막식때 깃발 계양 등 여러 방면으로 활용될지 주목해도 괜찮을 듯 싶다.[5] 하계올림픽과 같은 해에 열린 마지막 동계올림픽[6] 착시 문서에 나오는 '인지적 착시'를 활용한 이미지로, 금색인 부분을 배경으로 본다면 흰색인 부분이 성화의 불꽃처럼 보이고 머리카락으로 본다면 여성의 얼굴로 보인다.[7] 프랑스가 개최한 하계올림픽 한정으로 최초의 마스코트이다. 동계올림픽을 포함한다면 1968 그르노블 동계올림픽의 슈스와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의 마지크에 이어 세 번째이다.[8] 여담으로 프랑스 사람들은 이 마스코트를 보고 클리토리스를 닮았다고...[9] 프랑스 혁명 당시 루이 16세마리 앙투아네트의 목을 썬 혁명광장이 이곳이다.[10] 코트 필리프 샤트리에를 사용한다.[11]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오렌지 군단에게 0대5로 대패한 바로 그 경기장이다.[12] 서핑 경기를 서핑의 발상지 타히티에서 한다. 프랑스령이긴 하지만 파리와 타히티의 거리는 1만 5706km로, 비행 시간은 22시간이나 걸리며 올림픽 사상 개최 도시와 가장 먼 곳에서 경기가 열린다.[13] 종전 기록은 1956 멜버른 올림픽 당시 호주의 검역 시스템 문제로 인해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승마 경기였다.[14] 메인 코트인 코트 필리프 샤트리에와 코트 수잔 랑글렌, 서브 코트인 코트 시몬 마티유를 사용한다.[15] 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을 비롯한 파리의 공항들을 운영하는, 프랑스 정부가 과반 지분을 보유한 기업이다.[16] Française des jeux, 복권회사이다.[17] Ile-de-France Mobilités, 일드프랑스 레지옹의 교통당국.[18] 월드와이드 올림픽 파트너이기도 하다.[19] 동계올림픽은 하계올림픽과 같은 연도에 중복 개최를 피하기 위해서 2년 간격으로 개최된 사례가 있다.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20] 1906 아테네 중간 올림픽도 있긴 하나 중간 올림픽은 IOC에서 공식적으로 개최한 대회가 아니다. 실제로 해외에서도 올림픽이 아닌 Intercalated Games(추가 게임)이라고 표현한다.[21] 여담으로 해당 올림픽 개최국인 노르웨이, 그리스, 러시아, 프랑스 모두 국기에 파란색이 들어간다.[22] 7년 전 이미 일본이 수도 도쿄도를 앞세워 올림픽을 개최를 확정지어 아시아에서 유치될 가능성이 낮아졌기 때문이다.[23] 우리로 치면 '헌책 노점상'[24] 면적이 <math>105{km}^2</math>라 대한민국 서울의 1/6밖에 되지 않는다.[25] 당장 개막식이 센강을 무대로 야외에서 개방된 형식으로 열리는데 이런 상황에서 올림픽 반대 시위를 하거나 폭동이 벌어진다면 내외국인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려운 상황이 된다.[26] 러시아 축구는 안 된다. UEFA에서는 개인 자격 출전도 막기에 예선조차 출전할 수 없다.[27] 벨라루스는 "조지아남오세티야 전쟁을 일으키고도 엄중 경고로 넘어갔는데 자신에겐 너무 가혹하다"며 항변할 여지는 있다. 하지만 러시아는 이미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을 일으켰기에 초범이 아니라 재범이라 앞 두 국가와는 같은 상황이 아니다. 이미 도핑 논란으로 평창 동계올림픽과 도쿄올림픽, 베이징 동계 올림픽까지 중립선수로 출전했는데 또 사고를 친 것이다.[28] 동계올림픽을 포함하면 1968 그르노블 동계올림픽,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이어 세 번째로 프랑스가 개최한 올림픽 참가이다.[29] 한반도 출신 선수가 올림픽에 최초로 참가한 것은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때였다. 공교롭게도 다음 대회 개최지가 바로 로스앤젤레스이기도 하다.[30] Physicx, Hong10, WING, Kill, Pocket 등.[31] 1948 런던, 1952 헬싱키, 1960 로마, 1972 뮌헨, 1992 바르셀로나, 2004 아테네, 2012 런던, 2024 파리[32] 여지껏 열린 여섯 차례의 유럽 하계 올림픽에서 90개의 메달을 따서 이 대회에서 열 번째로 메달을 따는 선수 혹은 팀은 100호 메달리스트가 된다.[33] 동계올림픽까지 합산한 통산 100호 금메달은 2012 런던 올림픽 펜싱 남자 사브르 단체전(구본길, 김정환, 오은석, 원우영)에서 나왔다.[34] 은메달 또한 9개 이상의 은메달을 획득하면 하계 올림픽 통산 100호 은메달이라는 기록을 작성하게 된다. 또한 여섯 번째로 동메달을 기록한 선수 혹은 팀은 유럽에 개최한 올림픽에서 40호 동메달리스트가 된다.[35] 원래는 SBS가 2010년부터 2024년까지 중계권을 2회 연속으로 챙기긴 했지만,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워낙 비판을 많이 받은 탓에 KBS와 MBC에 재판매를 한 상태다. 자세한 건 중계권 문서의 2번과 3번 문단을 참고.[36] 단적으로 JTBC는 자사 스포츠 채널인 JTBC GOLF&SPORTSK리그, 핸드볼코리아리그, 컬링 중계 및 더 메달리스트 등 매거진 프로그램 외에는 모두 골프 중계로 채우면서 사실상 JTBC GOLF 2로 만들어 버렸다.[37] 사실 원래는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의 다음 대회부터 하계올림픽 개최 전년도(=FIFA 월드컵, 동계올림픽 개최 다음 해)에 개최하는 것으로 계획이 정해져 있었으나, 베트남 하노이가 2019년에 열릴 예정이었던 해당 대회의 개최를 포기한 후 이를 승계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팔렘방이 자국의 대통령 선거가 2019년에 있다는 것을 이유로 개최년도 변경을 요청해서 이전처럼 월드컵과 같은 해에 개최하는 것으로 돌아갔는데, 급작스러운 코로나 이슈로 인해 예상치 못하게 그 다음 대회를 그때의 계획대로 개최하게 된 것이다. 유러피언 게임은 2015년 첫 대회부터 올림픽 전년도에 개최하고 있다.[38] 해당 문서에 나오지만 'IOC 선수 위원'은 선출직과 IOC 위원장이 임명하는 임명직 총 23명이 8년 임기를 가지는데, 이중 선출직은 매 올림픽 때마다 2명(동계), 4명(하계)씩 선출한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문대성에 이어 2016년 리우 올림픽에서 유승민이 선출되어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는데, 한 번 선수 위원을 배출한 국가는 8년 동안은 그 나라 출신 선수는 선수 위원이 되는 게 불가능하다.[39] 남/여 축구, 남/여 농구, 남/여 배구, 남/여 핸드볼, 남/여 럭비, 남/여 필드하키, 남/여 수구[40] 참고로 지난 도쿄 올림픽에서는 단체 구기 종목 중 6개 종목(야구, 남자 축구, 남자 럭비, 여자 핸드볼, 여자 농구, 여자 배구)이 출전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