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08 베이징 올림픽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세가 게임즈에서 만든 공식 라이선스 비디오 게임에 대한 내용은 Beijing 2008 - The Official Video Game of the Olympic Games 문서
Beijing 2008 - The Official Video Game of the Olympic Games번 문단을
Beijing 2008 - The Official Video Game of the Olympic Games#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2008 베이징 올림픽
제29회 올림픽 경기대회
第二十九届夏季奥林匹克运动会
2008年夏季奥运会
2008 베이징 올림픽 경기대회
Games of the XXIX Olympiad
Beijing 2008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
파일:external/chineseposters.net/e37-164.jpg
대회 기간2008년 8월 8일 ~ 8월 24일
개최국
파일:중국 국기.svg

베이징
슬로건同一个世界 同一个梦想
One World, One Dream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
마스코트베이베이, 징징, 환환, 잉잉, 니니
주제가You and me [1]
참가국204개국
참가선수11,028명
남 6,305명/여 4,637명
경기종목28개 종목 - 302개 세부 종목
개회선언후진타오
중국 주석
선수 선서장이닝
탁구
심판 선서황리핑
성화 점화리닝
개·폐회식장베이징국가체육장

1. 개요
2. 대회 상징
2.1. 엠블럼
2.2. 마스코트
2.3. 메달 디자인
3. 유치
4. 개막식
5. 대회
6. 대한민국 하계올림픽 성적
7. 메달 집계
7.1. 대한민국 하계 올림픽 성적
8. 기타 참가국 관련
9. 한국측 중계진
9.1. KBS
9.2. MBC
9.3. SBS
10. 사건사고
11. 기타
12. 둘러보기
1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개막식 영상[2]
2008년 8월 8일부터 8월 24일까지 중국 베이징시에서 개최된 제29회 하계올림픽. 아시아에서 도쿄-서울[3]에 이어 3번째로 개최된 하계올림픽 대회이자,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에서 개최된 올림픽이다.

개최전부터 중국 개최라서 말이 많았던 대회이다. 중국이 그간 죽의 장막 아래 있는 낙후된 국가, 19년 전의 천안문 6.4 항쟁(천안문 사태)로 인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씻기 위해 갖은 노력을 기울인 대회이기도 하며, 이런저런 말이 많기는 해도 중국이 세계 강국으로 부상했음을 전 세계에 과시하려는 대회로 1964 도쿄 올림픽이 일본에 끼친 영향이나 1988 서울 올림픽이 한국에 끼친 영향만큼이나 중국에게 있어서 끼친 영향과 의미가 깊은 대회이기도 하다.

대회 주제는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One world, One dream)\'[4]이다. 여기에는 평화와 진보, 조화로운 발전, 우호적 생활, 협력, 상호 이익, 행복한 삶의 향유 등 전세계 모든 나라의 시민들이 공통적으로 꿈꾸는 이상을 실현하고 평화롭고 밝은 세계를 건설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하는 13억 중국인들의 염원이 담겨 있다고 한다.

중국은 이 베이징 올림픽에 건 기대가 굉장히 컸던지라, 개최 확정 이후 시민의식 상승운동 및 시설 재정비에 들어갔다. 베이징 서우두 공항 등 주요 인프라가 보수되고, 국제화 규격과 맞지 않은 게시판들도 교체가 있었으며,[5] 실제로도 중국이 올림픽에 건 기대에 걸맞게 대회 이후 2010 상하이 엑스포와 함께 중국이 세계적으로 정치적, 경제적에서 크게 부상하기 시작하는 계기를 만들게 되었다. 올림픽이 가져다 준 최대의 긍정적인 효과의 좋은 예 중 하나.


2. 대회 상징[편집]



2.1. 엠블럼[편집]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파일:2008 베이징 패럴림픽 로고.svg
2008 베이징 올림픽 엠블럼2008 베이징 패럴림픽 엠블럼


2.2. 마스코트[편집]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마스코트 베이베이/징징/환환/잉잉/니니.svg
각각 중국의 다양한 민족중국의 전통 문화를 담은 5개의 푸와(福娃)[6]마스코트로 삼았다. 마스코트의 이름은 각각 베이베이(贝贝), 징징(晶晶), 환환(후안후안)(欢欢), 잉잉(迎迎), 니니(妮妮)인데, 한 음절이 반복되는 이름이다.

차례대로 1음절씩만 떼어서 발음하면 베이징 환잉니(北京欢迎你, 베이징은 당신을 환영합니다.)가 된다. 여담이지만 역대 올림픽 마스코트 중에서도 가장 많이 구성된 것이다.

우관잉[7] 칭화대 교수가 디자인했다.


2.3. 메달 디자인[편집]


파일:91C120C5-4A20-4C52-B247-5A24015CF23A.jpg
2008 베이징 올림픽 메달
메달의 앞면에는 승리의 여신 니케가 새겨져 있다.[8] 뒷면에는 지름 70mm, 두께 60mm의 도넛형 (금메달-백옥, 은메달-청백옥, 동메달-청옥)이 장식되었고 중앙에 베이징 올림픽의 엠블럼이 새겨져 있다. 뒷면의 옥이 메달과 분리되지 않도록 총 45차례의 실험을 거쳐 만들어졌다고 한다.


3. 유치[편집]


2008년 올림픽 유치 투표 과정
국가도시1차투표2차투표결과
중국베이징시4456유치 선정
캐나다토론토2022유치 탈락
프랑스파리1518유치 탈락
터키이스탄불179유치 탈락
일본오사카6유치 탈락
21세기의 2번째 올림픽 유치전인 만큼, 이번에는 제3세계에서 올림픽을 유치해야 한다는 여론이 강했다. 태국방콕, 이집트카이로, 스페인세비야, 쿠바아바나, 얘넨 제3세계 맞아?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도 유치전에 뛰어들었으나, 이들은 유치 과정 중 정식 개최후보도시로 선정되지 못했다. 유치전은 2000년대 이후 올림픽 유치전에서 가장 쓸 말이 없는 유치전이다. 그냥 중국이 압도적인 물량을 바탕으로 밀어붙였고, 2차 투표에서 과반수인 56표를 획득해 베이징이 개최지로 확정되면서 그대로 끝났다. 일본은 오사카광탈 이후, 전략을 바꿔서 다시 수도 도쿄의 올림픽 개최를 노리게 되었고, 이후 10여년이 지나 터키이스탄불과 스페인의 마드리드를 제치고 2020 도쿄 올림픽 유치에 성공하게 된다. 하지만...


4. 개막식[편집]




5. 대회[편집]


2000년대 들어서 오랜만에 기인에 가까운 선수들이 제법 많이 나왔던 올림픽으로써, 숱한 명승부와 명장면들이 펼쳐진 대회였음은 부정할 수 없다. 마이클 펠프스는 수영에서 무려 8관왕[9]으로 마크 스피츠를 넘어 역사상 한 대회 최다 금메달리스트라는 기록을 세웠고[10] 육상에서는 우사인 볼트가 100m, 200m, 4×100m에서 3번 연속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미국 육상을 압도했다. 반대로 미국 육상계는 단거리 부분에서 남자나 여자나 모두 털리면서 제대로 망했다. 장미란은 다른 선수들이 모두 메달을 가린 후에 혼자 역기를 들며 세계신기록을 경신하는 진풍경을 연출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 대회에서 세계적 스타인 메시가 금메달을 딴 이후 올림픽 축구는 2년 후에 있을 월드컵 전초전 성격을 띠게 되며 23세 미만이지만 세계적으로 이름을 널리 알린 선수들이 더 많이 나오게 된다. 특히 브라질은 월드컵 5회 우승에 빛나지만 올림픽 금메달이 없다보니 엄청난 투자를 감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4년뒤 결승에서 멕시코한테 져서 은메달을 차지하고 8년뒤 홈에서 드디어 우승한다. 이 대회 이후 올림픽 축구는 전력 상향평준화에 이어 FIFA 월드컵, UEFA 유로, 코파 아메리카 못지않은 제 4의 메이저대회로 성장했다.[12]

한편, 한국은 2004년 대회에서의 성과에 힘입어 조별리그 통과를 노렸으나 마지막 경기에서 온두라스만 간신히 이기며 조 3위로 짐을 쌌다.[13] 일본은 3전 전패로 광탈했다.[14] 사상 첫 축구 메달을 노렸던 개최국 중국 역시 약체 뉴질랜드와 사이좋게 1무 2패를 거두고 골득실 차로 3위를 차지하면서 광탈.[15] 처음으로 아시아 예선을 거쳐 올라온 호주도 1무 2패를 거두면서 아시아 팀이 전멸했고 그 중 한국이 유일하게 1승을 거뒀다.[16]

참고로 이 대회의 축구는 20년 전인 1988 서울 올림픽 축구와 굉장히 겹치는 점이 많았다.[17]

여담으로 호나우지뉴 또한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헤르초크 & 드 뫼롱중국의 건축가이자 영화 감독인 아이웨이웨이[22]와 공동으로 설계한 '새둥지' 주 경기장 등 걸작 건축들도 한몫 했다. 운영자체는 막장이었어도 볼 건 많았다고 해야되나. 이런 말 저런 말이 나왔지만 그래도 큰 사고는 없이 끝난 대회였다.

베이징 올림픽 종합 우승은 중국에 돌아갔다. 중국은 개최국의 이점으로 금 48개 은 22개 동 30개로 종합순위 1위에 랭크되며 올림픽 사상 처음으로 대회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종합 메달에선 미국이 1위)


6. 대한민국 하계올림픽 성적[편집]


2008 베이징 올림픽 대한민국 금메달리스트
【펼치기/접기】
순서종목세부종목선수
1유도남자 -60kg급최민호
2수영남자 자유형 400m박태환
3양궁여자 단체박성현
윤옥희
주현정
4양궁남자 단체박경모
이창환
임동현
5사격남자 50m 권총진종오
6역도남자 -77kg급사재혁
7역도여자 무제한급장미란
8배드민턴혼합 복식이용대
이효정
9태권도여자 -57kg 급임수정
10태권도남자 -68kg급손태진
11태권도여자 -67kg급황경선
12태권도남자 +80kg급차동민
13야구남자 대표팀이승엽 외 23명


한국은 이 올림픽에서 금 13개 은 11개 동 8개로 역대 최다 금메달을 따내어 총 7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직후의 동계올림픽, 다음 하계 올림픽과 함께 명실상부한 한국 스포츠의 최전성기를 상징하는 올림픽이다. 박태환의 수영 금메달, 장미란의 역도 금메달, 이용대/이효정의 배드민턴 금메달, 야구 금메달 등 여러 종목에서 다신 나오기 힘든 기적같은 금메달들이 쏟아져 나왔다.

참고로 당시 여자 역도에서 장미란이 금메달, 임정화가 4위를 차지했는데 그 당시 은메달을 차지했던 터키의 시벨 오스칸의 소변에서 금지약물 양성이 나와 은메달이 박탈당하면서 당시 동메달을 딴 선수는 은메달로 승격되어 4위였던 임정화 역시 8년이 지난 후에 3위로 올라섬으로써 늦게나마 동메달을 받게되었으며 또다시 그 메달을 땄던 중국 선수마저 메달이 박탈됨에 따라 은메달을 따게 되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에 메달이 총 32개로 하나가 더 늘었으며 순위는 전과 동일하다. 남자 단체 종목으로는 사상 최초로 구기 종목에서 금메달이 나왔다. 자세한 사항은 2008 베이징 올림픽/야구 문서 참조. 그 동안 메달이 없었던 제주특별자치도 역시 지역 출신 올림픽 메달리스트를 배출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물론 아시아에서도 메달이 나오기 힘든 수영 자유형 종목에서 박태환이 만 18세의 나이로 아시아 신기록을 경신하며 수영 불모지인 한국 사상 최초로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는 기적을 연출했다. 당시 박태환이 따낸 금메달은 무려 72년만에 아시아에서 나온 자유형 종목 금메달이었기에 매우 의미가 있는 메달이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장미란은 상대 선수들과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며 금메달과 함께 세계 신기록을 경신했다. 같은 역도에서 사재혁이 금메달을 수상했고, 배드민턴에선 이용대이효정이, 유도에선 최민호가 금메달을 수상하며 국민 영웅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진종오는 자신의 첫번째 금메달을 따냈고 양궁에서 금메달 2개, 태권도에서 4개, 여기에 야구[23]까지 더해 총 13개의 금메달이 나왔다.

한국은 메달 종합순위 7위를 차지해서 시드니아테네에서의 부진을 만회했다. 아무래도 이웃나라에서 열린 올림픽이다 보니 현지적응 부분에서는 다른 나라에 비해 유리했기 때문에 호성적을 거뒀다고 할 수 있겠다.[24]

그런데 선수들의 귀국 문제를 두고 논란이 있었다. 모든 경기가 끝나고 더 이상 중국에 남아있을 필요가 없는 선수들의 귀국을 체육회가 막아버렸다. 이를 두고 "정권의 홍보를 위하여 선수들의 단체 귀국 차량 퍼레이드에 동원하기 위하여 막은 거 아니냐"는 비난이 속출하자[25] "선수들의 상업적 이용을 막기 위해서"라는 변명을 했고, 결국 차량 퍼레이드가 아닌 선수들의 단체 귀국 걷기 퍼레이드를 보였으나 몇몇 선수들은 불쾌한 얼굴을 보이며 걷기도 했다.[26] 중계도 당연히 되지 않았고, 중앙일보 계열인 일간스포츠는 1면으로 "시대를 역행한 국제적 망신거리"라고 비판했다.[27]

그리고 이런 계획은 2012 런던 올림픽 때에도 쭉 써먹으려다가 호된 비난을 받고 강제적인 면을 없애 몇몇 선수가 한국에 먼저 왔는데, (양학선 같은 경우) 그래도 말이 많았었다.


7. 메달 집계[편집]


2008 베이징 올림픽 메달 집계
최종 집계
순위국가메달합계
1ta-hash-start=w-b14573b9273c38ba0f89bb63abc87973[[파일:중국 국기.svg 중국482230100
2ta-hash-start=w-a4510f07382abb2dd361528d3dd5ed5b[[파일:미국 국기.svg 미국363937113
3ta-hash-start=w-28b751dcbfc8fd06752298d17a3ed25b[[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24132360
4ta-hash-start=w-bbf9b36199536266a7e6d6e659a4a8c5[[파일:영국 국기.svg 영국19131951
5ta-hash-start=w-aab56162c1ee3e7f51c14aaac0292e24[[파일:독일 국기.svg 독일16111441
6ta-hash-start=w-7f16109f1619fd7a733daf5a84c708c1[[파일:호주 국기.svg 호주14151746
7ta-hash-start=w-ba1b3eba322eab5d895aa3023fe78b9c[[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311832
8ta-hash-start=w-6fe6a8a6e6cb710584efc4af0c34ce50[[파일:일본 국기.svg 일본98825
9ta-hash-start=w-1dd1d4331cb069ab101a698f8c7920c5[[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891027
10ta-hash-start=w-da3b24471e22500279c0333be551037a[[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7162043
11ta-hash-start=w-0867dcaa96eb108692032dede77ca367[[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75416
12ta-hash-start=w-56e48d306028f2a6c2ebf677f7e8f800[[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741122
13ta-hash-start=w-e1211459822ee5480519c6642b42bac8[[파일:케냐 국기.svg 케냐64616
14ta-hash-start=w-402167f0e48b612dbdcf07718c88d826[[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511319
15ta-hash-start=w-a3b76b304a2df66e077274fafa124b49[[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54211
16ta-hash-start=w-2548a4ac7ad6eddd035bced24ec6d964[[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45211
17ta-hash-start=w-627905f21b5ae408516847694d6bf571[[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4217
18ta-hash-start=w-6c0cba7fd1d9c8124e5ab636376ad492[[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4149
19ta-hash-start=w-96fb9b48825b741083d35b0137af1be0[[파일:쿠바 국기.svg 쿠바3101730
20ta-hash-start=w-2232aa6234dca711457ffb5419121fab[[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39820
▼ 20위권 미만 국가 순위 [ 펼치기 · 접기 ]

21ta-hash-start=w-678d1a78d45bbbd7e7874adb64b64cb7[[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35210
22ta-hash-start=w-361e321b4d49a36bb5d8270c53443806[[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3519
23ta-hash-start=w-639753d1795d04b3472e226327b0b52f[[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341017
24ta-hash-start=w-826f4329981a0f25d3a12c68aaea72b3[[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34714
25ta-hash-start=w-70641a210b154def6691f7afc8587eaa[[파일:체코 국기.svg 체코3317
26ta-hash-start=w-ca1e94c154fc53f4273586fcf2982cc0[[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3306
27ta-hash-start=w-ffc429fc7480e41b43abc45bcd0da35c[[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3249
28ta-hash-start=w-62c2131970055ded2b03fb78dc5abf26[[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3227
29ta-hash-start=w-83cf90a87061f1ed8254515402caedce[[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2349
30ta-hash-start=w-bc8053498673363e45ef723633a02cc7[[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2237
31ta-hash-start=w-f7a23934663d0479450d75481425c26b[[파일:북한 국기.svg 북한2226
ta-hash-start=w-a8fa3c8e035cf26461d25cf448047f04[[파일:태국 국기.svg 태국2226
33ta-hash-start=w-0df520c6780a27245f7c0763c1295d87[[파일:몽골 국기.svg 몽골2204
34ta-hash-start=w-226a98f6949e5d6947877bc6a15e39d4[[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2147
35ta-hash-start=w-e50f835e19789b8995b9bc6f8779f4e2[[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2046
36ta-hash-start=w-3ef069998836806ae24ac7d12e416d97[[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2024
37ta-hash-start=w-2955ed8649540a67098ffaafb6b689ff[[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2002
38ta-hash-start=w-e913bfa37964c7073c81c32a6d750b99[[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1304
39ta-hash-start=w-f59a1c43464b629e3fb44a8c7f09435f[[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1225
40ta-hash-start=w-9af787c1e7409f0866ade669dba8f697[[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1146
ta-hash-start=w-374d7714c38473da0fb863904110f6a0[[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1146
42ta-hash-start=w-39af1f025c7f7363e643a6d7868934a0[[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1135
ta-hash-start=w-ee82b11edbd4f34a1081986fb2ecf895[[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1135
44ta-hash-start=w-f5a61216ddcb865018bd650e3ec19339[[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차이니즈 타이베이1124
ta-hash-start=w-ca2e20a0917dd9fc0acbccd70ff2e74b[[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1124
46ta-hash-start=w-203a69a2c245336bc90c82ad58d9994a[[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1113
47ta-hash-start=w-0717cb8036d8ec95d7349f1067e8e5d8[[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1102
ta-hash-start=w-accedfee1ec7fe2a1c54c1404863e647[[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1102
ta-hash-start=w-ee492a6c8f567fb3100b7dc9d3600cbe[[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1102
ta-hash-start=w-4a79a7ede1f5c12290122e93a1331a7e[[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1102
51ta-hash-start=w-220c77af02f8ad8561b150d93000ddff[[파일:인도 국기.svg 인도1023
52ta-hash-start=w-b6971181414fe808396c6883eb262e8d[[파일:이란 국기.svg 이란1012
53ta-hash-start=w-f3e981dfbe712bd8f93f170e8c0a2c0d[[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1001
ta-hash-start=w-b5cfd61c1cbee98c213154d26400aeae[[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1001
ta-hash-start=w-50d265e04cd8ac32db1ed55a2268dbbc[[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1001
56ta-hash-start=w-0c3e626d1a287cdc48c77515c8dcc243[[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0415
57ta-hash-start=w-06d2cbe86d50e46350c9cfe53a7e1356[[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0325
ta-hash-start=w-709732b52c5bf782d327f289404e5491[[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0325
59ta-hash-start=w-79bdf6773fe52c08470c97f7218ed3e9[[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0235
60ta-hash-start=w-fcef722c15ec0cd77565749edf6d1240[[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0213
ta-hash-start=w-e692178448fed5b475e36f660ecee91a[[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0213
62ta-hash-start=w-fb10fcfd03929483dac99dbc61ebdf48[[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0145
63ta-hash-start=w-881317e81cbf9521edf4df205a545eb8[[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0134
64ta-hash-start=w-c83ab7606d9b8cfc023a40633059a016[[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0123
ta-hash-start=w-9b8c60725a0193e78368bf8b84c37fb2[[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0123
ta-hash-start=w-3da3676dac854b266a9bd6e46a33ad95[[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0123
ta-hash-start=w-828eb2792daff9dd600425baeb9f421a[[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0123
68ta-hash-start=w-bbf7bb29915d71fc46379b974330b3eb[[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0112
ta-hash-start=w-ac1ad983e08ad3304a97e147f522747e[[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0112
ta-hash-start=w-9895f3bc1f1865907dbe86c588f79d8a[[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0112
ta-hash-start=w-f6e868a7d51f67a210dc306357c6e525[[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0112
72ta-hash-start=w-c230257fc8994f9835dc50c0b267db0e[[파일:칠레 국기.svg 칠레0101
ta-hash-start=w-ce72be14026228e6dd59f738615e2b24[[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0101
ta-hash-start=w-df00f51a948c0a2bbd45a32d7f047aa6[[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0101
ta-hash-start=w-9f855684c47d3fc3ed51ce64cb89708b[[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0101
ta-hash-start=w-10e64da97df296012bccffbd03474c1e[[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0101
ta-hash-start=w-860b37e28ec7ba614f00f9246949561d[[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0101
ta-hash-start=w-df7ecf6cc561eb7ef88f188036259c41[[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0101
ta-hash-start=w-150ddd71c042a911732c03cfc6c86ee1[[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0101
ta-hash-start=w-fb4d518989bdeae9784d99c398f86f1f[[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0101
81ta-hash-start=w-5296be80277ac728887530944c6b075f[[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0022
82ta-hash-start=w-3d10d676a6039b5ee9f81d9381ea3afa[[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0011
ta-hash-start=w-4f714c73db5191f3a71a380cba8843ed[[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0011
ta-hash-start=w-04b416786c09e988ddd7e60d58cfd00e[[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0011
ta-hash-start=w-6484539cc96ba3771e583a5a50170f4c[[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0011
ta-hash-start=w-128a095fda391e3f3ae98866be7f90cf[[파일:토고 국기.svg 토고0011
ta-hash-start=w-cdff826337522ff07d0c4e5258d2827a[[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0011



7.1. 대한민국 하계 올림픽 성적[편집]


■ 2008년 29회 베이징 올림픽 (2008 Summer Beijing Olympics)


8. 기타 참가국 관련[편집]


카리브해에 자리한 네덜란드령 안틸레스가 마지막으로 참가한 올림픽이기도 하다. 2년 후인 2010년에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는 행정 구역 개편으로 여러 곳으로 분할되어 해체되었으며, 당시 선수들은 차기 올림픽에서 무소속 선수단으로 출전한다.

리비아무아마르 카다피 정권기에 쓰였던 대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국라는 국호와 초록색 단색 국기를 쓰는 마지막 올림픽으로 기록되었다. 2012 런던 올림픽에서는 1년 전 카다피의 자마히리야 정권이 멸망하면서 국호를 리비아로 바꾸고 국기도 초록색 단색 국기 대신 리비아 왕국 시절 국기로 교체하였다.


9. 한국측 중계진[편집]



9.1. KBS[편집]




9.2. MBC[편집]




9.3. SBS[편집]




10. 사건사고[편집]










11. 기타[편집]




12. 둘러보기[편집]






냉전
1947 ~ 1991
냉전
1991 ~ 2008
탈냉전
2008 ~
신냉전
관련 문서: 그레이트 게임 | 세계 대전 | 대침체 | 대봉쇄
※탈냉전 종식 및 신냉전 시작 시기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13. 관련 문서[편집]



[1] 처음에 Foerver Friends라는 노래를 주제가로 정했으나 You and me로 변경되었다는 기사가 존재한다. # 작곡가는 조르조 모르더.[2] 한국은 영상 2시간 58분 52초(2:58:52) 즈음에 행진한다.[3] 공교롭게도 아시아에서 동아시아 3국이 순차적으로 하계 올림픽을 유치했다.[4] 이 주제에서 중국본심이 보이기도 한다. 자세한 건 하나의 중국 참조.[5] 이는 1988 서울 올림픽도 마찬가지였다.[6] 복 인형[7] 2022년 코로나 19로 숨졌다. 기사[8] 하계올림픽 메달 앞면에 반드시 들어가는 국룰이다.[9] 200m 자유형, 100m 접영, 200m 접영, 200m 개인혼영, 400m 개인혼영, 4x100m 계영, 4x200m 계영, 4x100m 혼계영.[10] 그는 자유형에서만 전신수영복을 입고 접영과 개인혼영에서는 반신 수영복을 입었다.[11] 그리고 2018년 현재, 아시아 남자 사브르는 한국의 절대적 우위 속에 이란이 2인자 위치를 굳히고 있다.[12] 사실 축구계 트렌드가 어린 선수라도 능력만 검증되면 바로 바로 프로 데뷔를 시키는 것으로 바뀌었고 그만큼 어린 나이에도 괴물급 기량을 보유한 선수가 늘고, 그 결과로 예전에 비해 프로에서도 주전 선수인 경우에도 와일드 카드가 아니라 U-23 선수로 올림픽에 출전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리고 아무리 축구계에서 올림픽이 언더 타이틀 붙은 대회라고 해도 올림픽이라는 이름값이 어디가서 빠질 만한 대회가 아니므로 정말로 올림픽 메달을 원해서 출전을 감행하는 경우도 많이 늘어난 편.[13] 첫 경기에서 카메룬을 상대로 동점골을 얻어맞아 1대 1로 비긴 것이 치명타였다.[14] 그리고 4년 뒤 두 팀은 카디프에서 만나게 된다.[15] 그 1무마저도 뉴질랜드에게 0대 1로 끌려다니다가 경기 종료 직전에 동점골을 넣은 것이었다.[16] 단 북중미, 오세아니아 팀도 함께 전멸했다.[17] 개최국이 C조에 배정받은 점, 개최국이 조 3위로 무승탈락했으며 조 4위와 같은 전적이지만 득실차가 앞서서 3위인 점, A조에 들어간 아시아 팀이 1무2패로 탈락한 점, 아시아 팀 중에서 딱 한 팀만 1승을 거둔 점, 유일하게 1승을 거둔 아시아 팀이 이탈리아-아프리카-북중미와 같은 조를 배정받았으며 아프리카와 무승부-이탈리아에게 패배-북중미에게 승리해서 결과가 1승1무1패 조 3위인 점(다만 경기 순서는 다르다.), 아시아 팀에게 패배한 북중미 팀이 3전 전패 조 4위에 최종 순위 꼴찌를 기록한 점, 아시아 팀과 북중미 팀이 전멸한 점(88년 당시 호주는 오세아니아 팀이었으며 조 2위로 8강 진출), 아프리카 팀이 A/B/D조에 배정받은 점, 아시아 팀 중에서 한 팀만 조 4위로 탈락한 점, 중국이 본선에 진출한 점, 아시아 팀에게 패배해서 조 꼴찌 및 최종 꼴찌를 기록한 북중미 팀이 중국과 수교를 맺지 않고 대만과 수교를 맺은 국가인 점[18] 14년 후 중국이 동계올림픽을 개최했는데, 쇼트트랙 선수 황대헌이준서, 박장혁이 쇼트트랙 남자 1000m 준결승전에서 중국 관중들의 비매너 행위와 심판의 편파판정으로 탈락하고 말았다.[19] 양궁 선수들 입장에서는 소음이라고 볼 수 있다.[20] 중국이 어떤 나라인가. 전세계 모든 선수들도 두 손 발을 다 들 정도로 광적인 응원으로는 월드클래스급이자 세계 No.1에 속한다. 우리나라 사람들, 특히 연세 지긋하신 어르신들이 괜히 중국을 떼놈, 떼놈이라고 불리는 것도 이러한 이유 중에 하나다.[21] 여담이지만, 슈타이너의 금메달 기록은 애틀랜타 올림픽 남자 105kg+ 급 금메달리스트 안드레이 셰메르킨이 들어올린 457kg 다음으로 낮은 기록이다. 하지만 슈타이너는 도핑 대란이 일어나는 와중에도 편법 없이 금메달을 지켜냈다는 사실을 자랑스럽게 여긴다고.[22] 근데 이 사람, 반체제 성향으로 중국공산당에게 단단히 찍힌 사람이다. 실제로 베이징 올림픽이 끝난 직후부터 꾸준히 중국공산당의 반인륜적 폭정에 대해 비판하는 발언을 해오다가, 2010년에 가택연금에 처해지기도 했다. 중국 정부가 자국의 우월함을 과시하고자 세운 경기장의 설계자가, 이런 정부의 행태를 비판하는 사람이었다는 점에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23] 이 메달로 강민호는 제주도 출신으로는 최초로 금메달을 따게 되었다.[24] 다만, 일본에서 열린 2020 도쿄 올림픽과 중국이 두 번째로 개최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경우 코로나19 변수나 편파판정으로 베이징 올림픽 때의 영광을 재현하지 못했다.[25] 선수 몇몇은 '한국에 가서 부모님 보고 싶은데'라며 불쾌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결국 이런 반응을 보이던 박태환은 4년 뒤 2012 런던 올림픽에선 아예 부모님이 런던에 머물렀다.[26] 여자 태권도 67kg급 금메달리스트 황경선은 당시 8강전에서 왼쪽 무릎 연골 파열, 전방 내측 십자 인대 파열 부상을 당해 급히 귀국해야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기어코 윗선의 입김 때문에 선수단 전체가 귀국할 때 같이 귀국해야 했으며, 퍼레이드에서도 어쩔 수 없이 절뚝거리며 걸을 수 밖에 없었다.[27] 여담으로 최후의 올림픽 대표 차량 퍼레이드는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때였다. 당시 노태우 정권이었다는 점, 손기정 이후 56년 만에 황영조마라톤 금메달 획득 등 호성적을 냈다는 점, 그리고 당시 차량 퍼레이드를 할 때 오늘날에 비해 차량 통제가 비교적 쉬웠다는 점을 생각해야 할 것이다. #[28] 1988 서울 올림픽 때도 수십만명 이상의 시민들이 재개발을 명분으로 철거민이 되어 타지로 강제로 이주당하다시피 했다. (이 사건을 다룬 영화가 상계동 올림픽이다.) 브라질2016 리우 올림픽리우의 파벨라 상당수가 강제철거를 당했다.[29] 다만 남오세티야 전쟁 문서에도 나와 있듯이 2008년 당시의 전쟁은 미국만 믿고 있던 조지아가 먼저 공격을 한 거긴 했다.[30] 1999년 7월 1일생. 현재 24세.[31] 2001년 7월 8일생. 현재 22세.[32] 이후 밝혀진 사실 중에 나이 조작으로 올림픽 메달이 박탈된 사례가 있다. 2000 시드니 올림픽 여자 체조 단체전에서 중국이 동메달을 받았다. 단체전에 출전한 선수 중 덩핑샤오라는 선수가 그 당시 1983년생으로 출전하였으나 10년 후 본인의 블로그에 소띠라고 소개글을 올린 증거 및 베이징 올림픽 시즌에 체조 자문위원으로 덩핑샤오가 있었는데 실제 나이로 기재가 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나이 조작을 한게 발각되어 결국 중국 여자 체조팀은 기록 삭제 및 메달도 박탈되었다.동메달은 당시 4위를 한 미국팀한테로 돌아갔다.[33] 티베트 사태 등 여러가지 불안요소들이 많아 개최되지 않으리라는 관측도 있긴 했다.[34] 중국어로 8(ba)이 돈을 번다는 뜻의 發財(fa cai)와 비슷하다는 이유. 실제로 한 경대에서 8888번 번호판이 중국에서 무려 몇억에 팔리기도 했다.[35] 중국 CCTV는 매 30분마다 디지털 시보를 내보내는데 당시 영상을 유튜브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36] 해당 영상은 다음날 IOC 측의 요청으로 홈페이지에서 삭제되었다.[37] 예를 들면 나우루는 경제가 파탄났다는 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