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ONCACAF 챔피언스 컵

덤프버전 :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CONCACAF 챔피언스 컵의 다음 진행에 대한 내용은 CONCACAF 챔피언스 컵/2024 시즌 문서
CONCACAF 챔피언스 컵/2024 시즌번 문단을
CONCACAF 챔피언스 컵/2024 시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NCACAF Champions Cup
CONCACAF 챔피언스 컵
파일:CONCACAF 챔피언스 컵 로고 화이트.png
정식 명칭CONCACAF 챔피언스 컵
CONCACAF Champions Cup
창설 연도1962년 (CONCACAF 챔피언스 컵)
2008년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2024년 (CONCACAF 챔피언스 컵)[1]
참가 구단 수27개 팀
참가 자격소속 리그에서 출전권을 부여받은 CONCACAF 라이센스 클럽
하위 대회리그스 컵
CONCACAF 센트럴 아메리칸 컵
CONCACAF 캐리비언 컵
최근 우승팀파일:CNL Mexico.png 클루브 레온 (2023)
최다 우승팀파일:CNL Mexico.png 클루브 아메리카 (7회)
최다 우승 국가파일:CNL Mexico.png 멕시코 (38회)
SNS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CONCACAF Champions Cup

1. 개요
2. 상세
3. 상금
4. 역사
4.1. 역대 시즌
5. CONCACAF 챔피언스 컵 오피셜 스폰서
6. 진출 자격
7. 대회 진행
8. 관련 기록
8.1. 우승 클럽 목록
8.2. 역대 결승전
8.3. 우승 횟수
8.3.1. 클럽
8.3.2. 국가



1. 개요[편집]


파일:Concacaf Champions Cup.jpg
CONCACAF 챔피언스 컵
CONCACAF 챔피언스 컵(CONCACAF Champions Cup)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이 주최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중미카리브 대륙에서 매년 우수한 성적을 거둔 총 27개 클럽이 모여, 북중미카리브 대륙 클럽 축구의 최강자를 가리는 대회이다.

우승팀에게는 다른 대륙별 축구 클럽 대항전처럼 FIFA 클럽 월드컵 출전권이 주어진다.

2. 상세[편집]


1962년도부터 2008년까지 시행되었던 CONCACAF 챔피언스컵(CONCACAF Champions Cup)이 전신이며 2008-09 시즌 CONCACAF 챔피언스 리그로 개편되면서 참가 클럽 수를 8개 클럽에서 24개 클럽으로 대폭 확대했다. 그리고, 2018년부터는 조별 예선을 폐지하고 16강 토너먼트로 개편했다. 2024년부터는 대회 명칭이 다시 CONCACAF 챔피언스컵(CONCACAF Champions Cup)으로 변경되며, 27개 클럽이 참여한다.

3. 상금[편집]


2022년 기준, 상금은 다음과 같다.

  • 4강 진출: $ 200,000
  • 준우승: $ 300,000
  • 우승: $ 500,000

2024년 CONCACAF 챔피언스 컵으로 새롭게 개편하면서 우승 팀은 $ 5,000,000 이상의 상금을 받는 것으로 변경되었으며, 이에 따라 우승보다 아래의 성적을 거둔 팀의 상금도 대폭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4. 역사[편집]


과거 로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78px-2015%E2%80%9316_CONCACAF_Champions_League.svg.png
파일:CONCACAF 챔피언스 리그 로고.svg
2008~2019 시즌 로고
2019~2023 시즌 로고

현재 로고
파일:CONCACAF 챔피언스 컵 로고.png
2008~09 시즌부터 2016~17 시즌까지는 8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대회를 진행했고, 대회 방식은 참가하는 24개 클럽 중 3개 클럽이 1조가 되며 총 8개 조로 나누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조별 리그를 실시하는 것이였다. 각 조의 1위가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8강전 이후 경기의 대진은 조별 리그 성적으로 1위 vs 8위, 4위 vs 5위, 2위 vs 7위, 3위 vs 6위가 맞붙게 된다. 토너먼트도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르며 원정 다득점 원칙이 적용되었다.

CONCACAF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하는 리그의 실력차가 너무 많이 나는데다가, 인기도 저조해서 TV 중계권 획득에 실패하고 페이스북 라이브에서 중계하는 상황까지 되자 리그 개편의 필요성이 공감대를 얻기 시작했고, 2018년부터 새로운 포맷의 CONCACAF 챔피언스 리그가 진행되고 있다.

새로운 포맷은, 16강 홈 앤드 어웨이 토너먼트로 기존 24강에서 조별 예선을 폐지하고 16강으로 축소시켰으며 리그 일정 또한 2월부터 4월까지로 기존 9개월에서 3개월로 대폭 축소되었다. 그리고, MLS, 리가 MX와 실력 차이가 많이 나는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구단과 캐네디언 프리미어 리그 구단이 참여하는 22강[2] 토너먼트 대회인 CONCACAF 리그 (CONCACAF League)가 신설되었으며[3] 이 리그 상위 6개 클럽[4]이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참가 자격을 획득하게 된다.

2022년에 챔피언스 리그 개편을 위해 CONCACAF 리그가 폐지되었으며, CONCACAF 센트럴 아메리칸 컵CONCACAF 캐리비언 컵으로 대체된다.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구단과 캐네디언 프리미어 리그 구단이 참여했던 CONCACAF 리그와 달리 CONCACAF 센트럴 아메리칸 컵중앙아메리카 구단, CONCACAF 캐리비언 컵카리브 구단만 출전한다. 캐네디언 프리미어 리그의 경우는 챔피언스 리그로 진출할 수 있는 팀을 늘릴 계획이다.

2024 시즌부터 CONCACAF 챔피언스 컵으로 명칭을 변경, 50개 클럽이 참여하도록 확대하는 방안을 발표했으나 곧 폐기됐고, 27개 클럽이 참가하는 새로운 안으로 확정되었다.

4.1. 역대 시즌[편집]


파일:CONCACAF 챔피언스 컵 로고 화이트.png
[ 펼치기 · 접기 ]

#000000,#e5e5e5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CONCACAF 챔피언스 리그/2021 시즌|{{{#001d32,#06fee6 2021}}}]] || [[CONCACAF 챔피언스 리그/2022 시즌|{{{#001d32,#06fee6 2022}}}]] || [[CONCACAF 챔피언스 리그/2023 시즌|{{{#001d32,#06fee6 2023}}}]] || [[CONCACAF 챔피언스 컵/2024 시즌|{{{#001d32,#06fee6 2024}}}]] || [[CONCACAF 챔피언스 컵/2025 시즌|{{{#001d32,#06fee6 2025}}}]] ||




5. CONCACAF 챔피언스 컵 오피셜 스폰서[편집]


파일:CONCACAF 챔피언스 컵 로고 화이트.pngCONCACAF 챔피언스 컵
오피셜 스폰서
||

6. 진출 자격[편집]


파일:CONCACAF 챔스 팀할당.png
진출팀은 총 27팀으로, 진출 자격은 다음과 같다.

  • 2라운드 직행팀 - 총 5팀 진출
    • 리가 MX 우승팀[5]
    • MLS 컵 우승팀
    • 리그스 컵 우승팀
    • CONCACAF 센트럴 아메리칸 컵 우승팀
    • CONCACAF 캐리비언 컵 우승팀


7. 대회 진행[편집]


  • 라운드 원
    • 라운드 원에 진출한 22팀이 경기를 치른다. 토너먼트 형식처럼 승리한 11팀만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 가능하다.
  • 결선 토너먼트
    • 라운드 원에서 승리한 11팀과 직행으로 올라온 5팀, 총 16팀이 경기를 치룬다.

8. 관련 기록[편집]



8.1. 우승 클럽 목록[편집]


파일:CONCACAF 챔피언스 컵 로고 화이트.png
[ 펼치기 · 접기 ]

#000000,#e5e5e5 ||<tablewidth=100%><tablecolor=#000,#fff><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001d32><width=14%> '''{{{#fff 순서}}}''' ||<-2><width=40%> '''[[CONCACAF 챔피언스 컵#우승 클럽 목록|{{{#fff 우승팀}}}]]''' ||<width=14%> '''[[국가|{{{#fff 국가}}}]]''' ||<width=16%> '''{{{#fff 첫 우승연도}}}''' ||<width=16%> '''{{{#fff 우승 횟수}}}''' || || 1 || [[CD 과달라하라|[[파일:CD 과달라하라 로고.svg|height=60]]]] ||<colbgcolor=#001d32> '''[[CD 과달라하라|{{{#fff CD 과달라하라}}}]]''' ||<colbgcolor=#06fee6> [[멕시코|[[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1962년]] || [[1962년|'''{{{#a9a9a9 ★}}}''']][[2018년|'''{{{#e3031d ★}}}''']][br]2회 || || 2 || [[라싱 CH|[[파일:라싱 클럽 아이시엔 로고.png|height=60]]]] || '''[[라싱 CH|{{{#fff 라싱 클럽 아이시엔}}}]]''' || [[아이티|[[파일:아이티 국기.svg|width=40]]]] || [[1963년]] || [[1963년|'''{{{#a9a9a9 ★}}}''']][br]1회 || || 3 || [[알리안사 FC|[[파일:알리안사 FC 로고.png|height=60]]]] || '''[[알리안사 FC|{{{#fff 알리안사 FC}}}]]''' || [[엘살바도르|[[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width=40]]]] || [[1967년]] || [[1967년|'''{{{#a9a9a9 ★}}}''']][br]1회 || || 4 || [[데포르티보 톨루카 FC|[[파일:데포르티보 톨루카 FC 로고.svg|height=60]]]] || '''[[데포르티보 톨루카 FC|{{{#fff 데포르티보 톨루카 FC}}}]]''' || [[멕시코 축구 연맹|[[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1968년]] || [[1968년|'''{{{#a9a9a9 ★}}}''']][[2003년|'''{{{#a9a9a9 ★}}}''']][br]2회 || || 5 || [[크루스 아술|[[파일:크루스 아술 로고.svg|height=60]]]] || '''[[크루스 아술|{{{#fff 크루스 아술}}}]]''' || [[멕시코 축구 연맹|[[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1969년]] || [[1969년|'''{{{#a9a9a9 ★}}}''']][[1970년|'''{{{#a9a9a9 ★}}}''']][[1971년|'''{{{#a9a9a9 ★}}}''']][[1996년|'''{{{#a9a9a9 ★}}}''']][[1997년|'''{{{#a9a9a9 ★}}}''']][[2014년|'''{{{#e3031d ★}}}''']][br]'''6회''' || || 6 || [[CD 올림피아|[[파일:CD 올림피아 로고.png|height=60]]]] || '''[[CD 올림피아|{{{#fff CD 올림피아}}}]]''' || [[온두라스|[[파일:온두라스 국기.svg|width=40]]]] || [[1972년]] || [[1972년|'''{{{#a9a9a9 ★}}}''']][[1988년|'''{{{#a9a9a9 ★}}}''']][br]2회 || || 7 || [[SV 트란스발|[[파일:SV 트란스발 로고.png|height=60]]]] || '''[[SV 트란스발|{{{#fff SV 트란스발}}}]]''' || [[수리남|[[파일:수리남 국기.svg|width=40]]]] || [[1973년]] || [[1973년|'''{{{#a9a9a9 ★}}}''']][[1981년|'''{{{#a9a9a9 ★}}}''']][br]2회 || || 8 || [[CSD 무니시팔|[[파일:CSD 무니시팔 로고.png|height=60]]]] || '''[[CSD 무니시팔|{{{#fff CSD 무니시팔}}}]]''' || [[과테말라|[[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40]]]] || [[1974년]] || [[1974년|'''{{{#a9a9a9 ★}}}''']][br]1회 || || 9 || [[아틀레티코 에스파뇰 FC|[[파일:아틀레티코 에스파뇰 로고.png|height=60]]]] || '''[[아틀레티코 에스파뇰 FC|{{{#fff 아틀레티코 에스파뇰}}}]]''' || [[멕시코 축구 연맹|[[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1975년]] || [[1975년|'''{{{#a9a9a9 ★}}}''']][br]1회 || || 10 || [[CD 아길라|[[파일:CD 아길라 로고.png|height=60]]]] || '''[[CD 아길라|{{{#fff CD 아길라}}}]]''' || [[엘살바도르|[[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width=40]]]] || [[1976년]] || [[1976년|'''{{{#a9a9a9 ★}}}''']][br]1회 || || 11 || [[클루브 아메리카|[[파일:클루브 아메리카 로고.svg|height=60]]]] || '''[[클루브 아메리카|{{{#fff 클루브 아메리카}}}]]''' || [[멕시코 축구 연맹|[[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1977년]] || [[1977년|'''{{{#a9a9a9 ★}}}''']][[1987년|'''{{{#a9a9a9 ★}}}''']][[1990년|'''{{{#a9a9a9 ★}}}''']][[1992년|'''{{{#a9a9a9 ★}}}''']][[2006년|'''{{{#a9a9a9 ★}}}''']][[2015년|'''{{{#e3031d ★}}}''']][[2016년|'''{{{#e3031d ★}}}''']][br]'''7회''' || || 12 || [[코무니카시오네스 FC|[[파일:코무니카시오네스 FC 로고.png|height=60]]]] || '''[[코무니카시오네스 FC|{{{#fff 코무니카시오네스 FC}}}]]''' || [[과테말라|[[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40]]]] || [[1978년]] || [[1978년|'''{{{#bc572d ★}}}''']][br]1회 || || 13 || [[디펜스 포스 FC|[[파일:디펜스 포스 로고.png|height=60]]]] || '''[[디펜스 포스 FC|{{{#fff 디펜스 포스}}}]]''' || [[트리니다드 토바고|[[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width=40]]]] || [[1978년]] || [[1978년|'''{{{#bc572d ★}}}''']][[1985년|'''{{{#a9a9a9 ★}}}''']][br]2회 || || 14 || [[레오네스 네그로스 UdeG|[[파일:레오네스 네그로스 UdeG 로고.png|height=60]]]] || '''[[레오네스 네그로스 UdeG|{{{#fff 레오네스 네그로스 UdeG}}}]]''' || [[멕시코 축구 연맹|[[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1978년]] || [[1978년|'''{{{#bc572d ★}}}''']][br]1회 || || 15 || [[CD FAS|[[파일:클루브 데포르티보 FAS 로고.png|height=60]]]] || '''[[CD FAS|{{{#fff 클루브 데포르티보 FAS}}}]]''' || [[엘살바도르|[[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width=40]]]] || [[1979년]] || [[1979년|'''{{{#a9a9a9 ★}}}''']][br]1회 || || 16 ||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파일: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 로고.svg|height=60]]]] ||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fff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 || [[멕시코 축구 연맹|[[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1980년]] || [[1980년|'''{{{#a9a9a9 ★}}}''']][[1982년|'''{{{#a9a9a9 ★}}}''']][[1989년|'''{{{#a9a9a9 ★}}}''']][br]3회 || || 17 || [[아틀란테 FC|[[파일:아틀란테 FC 로고.png|height=60]]]] || '''[[아틀란테 FC|{{{#fff 아틀란테 FC}}}]]''' || [[멕시코 축구 연맹|[[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1983년]] || [[1983년|'''{{{#a9a9a9 ★}}}''']][[2009년|'''{{{#e3031d ★}}}''']][br]2회 || || 18 || [[비올렛 AC|[[파일:비올렛 AC 로고.png|height=60]]]] || '''{{{#fff [[비올렛 AC|{{{#fff 비올렛 AC}}}]]}}}''' || [[아이티|[[파일:아이티 국기.svg|width=40]]]] || [[1984년]] || [[1984년|'''{{{#a9a9a9 ★}}}''']][br]1회 || || 19 || [[LD 알라후엘렌세|[[파일:LD 알라후엘렌세 로고.svg|height=60]]]] || '''[[LD 알라후엘렌세|{{{#fff LD 알라후엘렌세}}}]]''' ||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width=40]]]] || [[1986년]] || [[1986년|'''{{{#a9a9a9 ★}}}''']][[2004년|'''{{{#a9a9a9 ★}}}''']][br]2회 || || 20 || [[클루브 푸에블라|[[파일:클루브 푸에블라 로고.svg|height=60]]]] || '''[[클루브 푸에블라|{{{#fff 클루브 푸에블라}}}]]''' || [[멕시코 축구 연맹|[[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1991년]] || [[1991년|'''{{{#a9a9a9 ★}}}''']][br]1회 || || 21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파일:데포르티보 사프리사 로고.svg|height=60]]]] || '''[[데포르티보 사프리사|{{{#fff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width=40]]]] || [[1993년]] || [[1993년|'''{{{#a9a9a9 ★}}}''']][[1995년|'''{{{#a9a9a9 ★}}}''']][[2005년|'''{{{#a9a9a9 ★}}}''']][br]3회 || || 22 || [[CS 카르타히네스|[[파일:CS 카르타히네스 로고.png|height=60]]]] || '''{{{#fff [[CS 카르타히네스|{{{#fff CS 카르타히네스}}}]]}}}''' || [[코스타리카|[[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width=40]]]] || [[1994년]] || [[1994년|'''{{{#a9a9a9 ★}}}''']][br]1회 || || 23 || [[DC 유나이티드|[[파일:DC 유나이티드 로고.svg|height=60]]]] || '''[[DC 유나이티드|{{{#fff DC 유나이티드}}}]]''' || [[미국 축구 연맹|[[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1998년]] || [[1998년|'''{{{#a9a9a9 ★}}}''']][br]1회 || || 24 || [[클루브 네카사|[[파일:클루브 네카사 로고.svg|height=60]]]] || '''[[클루브 네카사|{{{#fff 클루브 네카사}}}]]''' || [[멕시코 축구 연맹|[[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1999년]] || [[1999년|'''{{{#a9a9a9 ★}}}''']][br]1회 || || 25 || [[로스앤젤레스 갤럭시|[[파일:로스앤젤레스 갤럭시 로고.svg|height=60]]]] || '''[[로스앤젤레스 갤럭시|{{{#fff 로스앤젤레스 갤럭시}}}]]''' || [[미국 축구 연맹|[[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2000년]] || [[2000년|'''{{{#a9a9a9 ★}}}''']][br]1회 || || 26 || [[CF 파추카|[[파일:CF 파추카 로고.svg|height=60]]]] || '''[[CF 파추카|{{{#fff CF 파추카}}}]]''' || [[멕시코 축구 연맹|[[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2002년]] || [[2002년|'''{{{#a9a9a9 ★}}}''']][[2007년|'''{{{#a9a9a9 ★}}}''']][[2008년|'''{{{#a9a9a9 ★}}}''']][[2010년|'''{{{#e3031d ★}}}''']][[2017년|'''{{{#e3031d ★}}}''']][br]'''5회''' || || 27 || [[CF 몬테레이|[[파일:CF 몬테레이 로고.svg|height=60]]]] || '''[[CF 몬테레이|{{{#fff CF 몬테레이}}}]]''' || [[멕시코 축구 연맹|[[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2011년]] || [[2011년|'''{{{#e3031d ★}}}''']][[2012년|'''{{{#e3031d ★}}}''']][[2013년|'''{{{#e3031d ★}}}''']][[2019년|'''{{{#e3031d ★}}}''']][[2021년|'''{{{#e3031d ★}}}''']][br]'''5회''' || || 28 || [[티그레스 UANL|[[파일:티그레스 UANL 로고.svg|height=60]]]] || '''[[티그레스 UANL|{{{#cbcbcb 티그레스 UANL}}}]]''' || [[멕시코 축구 연맹|[[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2020년]] || [[2020년|'''{{{#e3031d ★}}}''']][br]1회 || || 29 || [[시애틀 사운더스 FC|[[파일:시애틀 사운더스 FC 로고.svg|height=60]]]] || '''[[시애틀 사운더스 FC|{{{#fff 시애틀 사운더스 FC}}}]]''' || [[미국 축구 연맹|[[파일:미국 국기.svg|width=40]]]] || [[2022년]] || [[2022년|'''{{{#e3031d ★}}}''']][br]1회 || || 30 || [[클루브 레온|[[파일:클루브 레온 로고.svg|height=60]]]] || '''[[클루브 레온|{{{#fff 클루브 레온}}}]]''' || [[멕시코 축구 연맹|[[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40]]]] || [[CONCACAF 챔피언스 리그/2023 시즌|2023년]] || [[CONCACAF 챔피언스 리그/2023 시즌/결승전|'''{{{#e3031d ★}}}''']][br]1회 || ||<-6><bgcolor=#fff,#1f2023> {{{-2 '''{{{#a9a9a9 ★}}}'''은 CONCACAF 챔피언스 컵 시절 우승 기록, [br]'''{{{#e3031d ★}}}'''은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 기록이다.[br]'''{{{#001d32,#00497e ★}}}'''은 2024 시즌 이후 새롭게 출범된 CONCACAF 챔피언스 컵 우승 기록이다.[br] '''{{{#bc572d ★}}}'''은 토너먼트 취소로 인한 공동 우승 기록이다. }}} ||



1962년, CONCACAF 챔피언스 컵이 출범한 후 현재까지 우승을 한 팀은 30팀이다. 멕시코리가 MX 소속팀들은 1962년부터 현재까지 챔피언스 리그에서 매우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미국캐나다 일부의 MLS 소속팀들은 90년대 후반까지는 우승은 커녕 결승에도 진출을 못하고[6] 중앙아메리카카리브 팀들에게 밀렸었다.

하지만 97년 로스앤젤레스 갤럭시가 준우승을 차지한 이후. 98년DC 유나이티드2000년로스앤젤레스 갤럭시가 우승을 차지하면서 챔피언스 컵에서 MLS 소속팀들의 존재감을 드러내게 되었다.

챔피언스 리그로 개편된 이후에는 리가 MX 소속팀과 MLS 소속팀을 제외하고는, 결승에 진출한 팀이 아예 없을 정도며, 원래 우승도 종종 차지했던 중앙아메리카카리브 팀들이 엄청난 약세를 보이고 있다. 신생 리그인 캐나다캐네디언 프리미어 리그는 안타깝지만 당연하게도 힘을 거의 못쓰는 상태다. [7]

이번 시즌 결승전에 미국의 신생강호 로스앤젤레스 FC와 창단한지 7~80년만에 첫 챔스 우승을 노리는 클루브 레온이 진출하게 되면서, 결승전에서 승리한 팀이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우승 30팀에 포함될 예정이다. 첫 우승을 두고 두 팀이 맞붙은 결승전에서 클루브 레온이 2연승으로 LA FC를 제압하고 CONCACAF 챔스 30번째 우승팀이 되었다.

8.2. 역대 결승전[편집]


연도우승팀결과준우승팀경기장
1962파일:멕시코 국기.svg CD 과달라하라1-0파일:과테말라 국기.svg 코무니카시오네스 FC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시티, 에스타디오 마테오 플로레스
5-0파일:멕시코 국기.svg 과달라하라, 에스타디오 할리스코
1963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라싱 클럽 아이시엔-파일:멕시코 국기.svg CD 과달라하라[8]
1964우승이 정해지지 않음
1965
1966CONCACAF 챔피언스 리그 미개최
1967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알리안사 FC1-2파일:네덜란드령 안틸레스 국기(1959-1986).svg CRKSV 용 콜롬비아파일:네덜란드령 안틸레스 국기(1959-1986).svg 빌렘스타트, 에르길리오 하토 스타디움
3-0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산살바도르,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플로 블랑카
5-3 PO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산살바도르,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플로 블랑카
1968파일:멕시코 국기.svg 데포르티보 톨루카 FC-없음[9]
1969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0-0파일:과테말라 국기.svg 코무니카시오네스 FC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시티, 에스타디오 마테오 플로레스
1-0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데 라 시우다드 데 로스 데포르테스
1970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없음[10]
1971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5-1 PO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LD 알라후엘렌세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데 라 시우다드 데 로스 데포르테스
1972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CD 올림피아1-0파일:네덜란드 국기.svg SV 로빈후드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산 페드로 술라, 에스타디오 제너럴 프란시스코 모라잔
0-0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테구시갈파, 에스타디오 티베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1973파일:네덜란드 국기.svg SV 트란스발-없음[11]
1974파일:과테말라 국기.svg CSD 무니시팔2-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SV 트란스발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시티, 에스타디오 마테오 플로레스
2-1
1975파일:멕시코 국기.svg 아틀레티코 에스파뇰3-0파일:수리남 국기.svg SV 트란스발파일:수리남 국기.svg 파라마리보, 내셔널 스타디움
2-1
1976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CD 아길라5-1파일:수리남 국기.svg SV 로빈후드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산살바도르, 에스타디오 카스카틀란
3-2 ET
1977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아메리카1-0파일:수리남 국기.svg SV 로빈후드파일:수리남 국기.svg 파라마리보, 내셔널 스타디움
1-1
1978파일:멕시코 국기.svg 레오네스 네그로스 UdeG-없음[12]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코무니카시오네스 FC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디펜스 포스
1979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클루브 데포르티보 FAS1-1파일:네덜란드령 안틸레스 국기(1959-1986).svg CRKSV 용 콜롬비아파일:네덜란드령 안틸레스 국기(1959-1986).svg 빌렘스타트, 에르길리오 하토 스타디움
7-1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산살바도르, 에스타디오 카스카틀란
1980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푸마스 데 라 UNAH[A]
1981파일:수리남 국기.svg SV 트란스발1-0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르테파일:수리남 국기.svg 파라마리보, 내셔널 스타디움
1-1
1982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0-0파일:수리남 국기.svg SV 로빈후드파일:멕시코 국기.svg 케레타로, 에스타디오 코레기도라
3-2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우니베르시타리오
1983파일:멕시코 국기.svg 아틀란테 FC1-1파일:수리남 국기.svg SV 로빈후드파일:수리남 국기.svg 파라마리보, 내셔널 스타디움
5-0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우니베르시타리오
1984파일:아이티 국기.svg 비올렛 AC-없음[13]
1985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디펜스 포스2-0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CD 올림피아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포트오브스페인, 내셔널 스타디움
0-1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산 페드로 술라, 에스타디오 제너럴 프란시스코 모라잔
1986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LD 알라후엘렌세4-1파일:수리남 국기.svg SV 트란스발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알라후엘라, 에스타디오 알레한드로 모레라 소토
2-1
1987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아메리카1-1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디펜스 포스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포트오브스페인, 내셔널 스타디움
2-0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1988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CD 올림피아2-0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디펜스 포스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테구시갈파, 에스타디오 티베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
2-0
1989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1-1파일:쿠바 국기.svg FC 피나르 델 리오파일:쿠바 국기.svg 피나르 델 리오, 에스타디오 라 봄보네라
3-1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우니베르시타리오
1990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아메리카2-2파일:쿠바 국기.svg FC 피나르 델 리오파일:쿠바 국기.svg 피나르 델 리오, 에스타디오 라 봄보네라
6-0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1991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푸에블라3-1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폴리스 FC파일:멕시코 국기.svg 푸에블라, 에스타디오 쿠아우테목
1-1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포트오브스페인, 헤이즐리 크로퍼드 스타디움
1992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아메리카1-0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LD 알라후엘렌세파일:미국 국기.svg 샌타애나, 산타 애나 스타디움
1993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데포르티보 사프리사-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레온[A]
1994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CS 카르타히네스3-2파일:멕시코 국기.svg 아틀란테 FC파일:미국 국기.svg 산호세, 스파르탄 스타디움
1995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데포르티보 사프리사3-2파일:과테말라 국기.svg CSD 무니시팔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산호세, 에스타디오 리카르도 사프리사 아이마
1996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네카사[A]
1997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5-3파일:미국 국기.svg 로스앤젤레스 갤럭시파일:미국 국기.svg 워싱턴 D.C., RFK 메모리얼 스타디움
1998파일:미국 국기.svg DC 유나이티드1-0파일:멕시코 국기.svg 데포르티보 톨루카 FC파일:미국 국기.svg 워싱턴 D.C., RFK 메모리얼 스타디움
1999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네카사1-0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LD 알라후엘렌세파일:미국 국기.svg 라스베이거스, 샘 보이드 스타디움
2000파일:미국 국기.svg 로스앤젤레스 갤럭시3-2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CD 올림피아파일:미국 국기.svg 로스앤젤레스,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20019.11 테러로 인해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미개최
2002파일:멕시코 국기.svg CF 파추카1-0파일:멕시코 국기.svg 모나르카스 모렐리아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아술
2003파일:멕시코 국기.svg 데포르티보 톨루카 FC3-3파일:멕시코 국기.svg 모나르카스 모렐리아파일:멕시코 국기.svg 모렐리아, 에스타디오 모렐로스
2-1파일:멕시코 국기.svg 톨루카, 에스타디오 네메시오 디에즈
2004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LD 알라후엘렌세1-1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데포르티보 사프리사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에레디아, 에스타디오 엘라디오 로사발 코르데로
4-0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알라후엘라, 에스타디오 알레한드로 모레라 소토
2005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데포르티보 사프리사2-0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산호세, 에스타디오 리카르도 사프리사 아이마
1-2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우니베르시타리오
2006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아메리카0-0파일:멕시코 국기.svg 데포르티보 톨루카 FC파일:멕시코 국기.svg 톨루카, 에스타디오 네메시오 디에즈
2-1 ET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2007파일:멕시코 국기.svg CF 파추카2-2파일:멕시코 국기.svg CD 과달라하라파일:멕시코 국기.svg 과달라하라, 에스타디오 할리스코
0-0 ET
,PSO 7-6,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추카, 에스타디오 이달고
2008파일:멕시코 국기.svg CF 파추카1-1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데포르티보 사프리사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산호세, 에스타디오 리카르도 사프리사 아이마
2-1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추카, 에스타디오 이달고
2009파일:멕시코 국기.svg 아틀란테 FC2-0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아술
0-0파일:멕시코 국기.svg 칸쿤, 에스타디오 안드레스 퀸타나루
2010파일:멕시코 국기.svg CF 파추카1-2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아술
1-0 AW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추카, 에스타디오 이달고
2011파일:멕시코 국기.svg CF 몬테레이2-2파일:미국 국기.svg 레알 솔트레이크파일:멕시코 국기.svg 몬테레이, 에스타디오 테크놀로히코
1-0파일:미국 국기.svg 샌디, 리오 틴토 스타디움
2012파일:멕시코 국기.svg CF 몬테레이2-0파일:멕시코 국기.svg클루브 산토스 라구나파일:멕시코 국기.svg 몬테레이, 에스타디오 테크놀로히코
1-2파일:멕시코 국기.svg 몬테레이, 에스타디오 코로나
2013파일:멕시코 국기.svg CF 몬테레이0-0파일:멕시코 국기.svg클루브 산토스 라구나파일:멕시코 국기.svg 몬테레이, 에스타디오 코로나
4-2파일:멕시코 국기.svg 몬테레이, 에스타디오 테크놀로히코
2014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0-0파일:멕시코 국기.svg 데포르티보 톨루카 FC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아술
1-1 AW파일:멕시코 국기.svg 톨루카, 에스타디오 네메시오 디에즈
2015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아메리카1-1파일:캐나다 국기.svg CF 몽레알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4-2파일:캐나다 국기.svg 몬트리올, 몬트리올 올림픽 스타디움
2016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아메리카2-0파일:멕시코 국기.svg 티그레스 UANL파일:멕시코 국기.svg 산 니콜라스 데 로스 가르자, 에스타디오 우니베르시다드
2-1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아스테카
2017파일:멕시코 국기.svg CF 파추카1-1파일:멕시코 국기.svg 티그레스 UANL파일:멕시코 국기.svg 산 니콜라스 데 로스 가르자, 에스타디오 우니베르시다드
1-0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추카, 에스타디오 이달고
2018파일:멕시코 국기.svg CD 과달라하라2-1파일:캐나다 국기.svg 토론토 FC파일:캐나다 국기.svg 토론토, BMO 필드
1-2 ET
,PSO 4-2,
파일:멕시코 국기.svg 과달라하라, 에스타디오 아크론
2019파일:멕시코 국기.svg CF 몬테레이1-0파일:멕시코 국기.svg 티그레스 UANL파일:멕시코 국기.svg 산 니콜라스 데 로스 가르자, 에스타디오 우니베르시다드
1-1파일:멕시코 국기.svg 과달루페, 에스타디오 BBVA 반코메르
2020파일:멕시코 국기.svg 티그레스 UANL2-1파일:미국 국기.svg 로스앤젤레스 FC파일:미국 국기.svg 올랜도, 익스플로리아 스타디움
2021파일:멕시코 국기.svg CF 몬테레이1-0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아메리카파일:멕시코 국기.svg 과달루페, 에스타디오 BBVA
2022파일:미국 국기.svg 시애틀 사운더스 FC2-2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시티,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우니베르시타리오
3-0파일:미국 국기.svg 시애틀, 루멘 필드
2023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레온2-1파일:미국 국기.svg 로스앤젤레스 FC파일:멕시코 국기.svg 레온, 에스타디오 레온
1-0파일:미국 국기.svg 로스앤젤레스, BMO 스타디움
PO 결승전 플레이오프 | ET 연장전 | PSO 승부차기 | AW 원정 다득점 원칙
국가명과 구장 이름, 국기는 현재가 아닌 결승전 당시가 기준입니다.
2015-16 시즌은 8강에서 모두 멕시코팀이 승리, 4강부터는 멕시코 리그컵이 되어버렸다.

2022 시즌에 드디어 MLS 소속팀이 CONCACAF 챔피언스 리그 정상을 탈환했다. 2000년 LA 갤럭시의 우승 이후 22년만이다.

8.3. 우승 횟수[편집]



8.3.1. 클럽[편집]


클럽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아메리카711977, 1987, 1990, 1992, 2006,
2015, 2016
2021
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621969, 1970, 1971, 1996, 1997,
2014
2009, 2010
파일:멕시코 국기.svg CF 파추카502002, 2007, 2008, 2010, 2017-
파일:멕시코 국기.svg CF 몬테레이502011, 2012, 2013, 2019, 2021-
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321980, 1982, 19892005, 2022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데포르티보 사프리사321993, 1995, 20052004, 2008
파일:수리남 국기.svg SV 트란스발231973, 19811974, 1975, 1986
파일:멕시코 국기.svg 데포르티보 톨루카 FC231968, 20031998, 2006, 2014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LD 알라후엘렌세231986, 20041971, 1992, 1999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디펜스 포스221978, 19851987, 1988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CD 올림피아221972, 19881985, 2000
파일:멕시코 국기.svg CD 과달라하라221962, 20181963, 2007
파일:멕시코 국기.svg 아틀란테 FC211983, 20091994
파일:멕시코 국기.svg 티그레스 UANL1320202016, 2017, 2019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코무니카시오네스 FC1219781962, 1969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CSD 무니시팔1119741995
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네카사1119991996
파일:미국 국기.svg 로스앤젤레스 갤럭시1120001997
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레온1120231993
파일:아이티 국기.svg 라싱 클럽 아이시엔101963-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알리안사 FC101967-
파일:멕시코 국기.svg 아틀레티코 에스파뇰101975-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CD 아길라101976-
파일:멕시코 국기.svg 레오네스 네그로스 UdeG101978-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클럽 데포르티보 FAS101979-
파일:아이티 국기.svg 비올렛 AC101984-
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푸에블라101991-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CS 카르타히네스101994-
파일:미국 국기.svg DC 유나이티드101998-
파일:미국 국기.svg 시애틀 사운더스 FC102022-
파일:수리남 국기.svg SV 로빈후드05-1972, 1976, 1977, 1982, 1983
파일:퀴라소 기.svg CRKSV 용 콜롬비아02-1967, 1979
파일:쿠바 국기.svg FC 피나르 델 리오02-1989, 1990
파일:멕시코 국기.svg 모나르카스 모렐리아02-2002, 2003
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산토스 라구나02-2012, 2013
파일:미국 국기.svg 로스앤젤레스 FC02-2020, 2023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푸마스 데 라 UNAH01-1980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르테01-1981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폴리스 FC01-1991
파일:미국 국기.svg 레알 솔트레이크01-2011
파일:캐나다 국기.svg CF 몽레알01-2015
파일:캐나다 국기.svg 토론토 FC01-2018
우승팀이 정해지지 않음21964, 1965

8.3.2. 국가[편집]


국가우승준우승우승 클럽준우승 클럽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3820클루브 아메리카 - 7
크루스 아술 - 6
CF 파추카 - 5
CF 몬테레이 - 5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 - 3
데포르티보 톨루카 FC - 2
아틀란테 FC - 2
CD 과달라하라 - 2
아틀레티코 에스파뇰 - 1
레오네스 네그로스 UdeG - 1
클루브 푸에블라 - 1
클루브 네카사 - 1
티그레스 UANL - 1
클루브 레온 - 1
데포르티보 톨루카 FC - 3
티그레스 UANL - 3
모나르카스 모렐리아 - 2
CD 과달라하라 - 2
크루스 아술 - 2
클루브 산토스 라구나 - 2
클루브 우니베르시다드 나시오날 - 2
클루브 레온 - 1
아틀란테 FC - 1
클루브 네카사 - 1
클루브 아메리카 - 1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65데포르티보 사프리사 - 3
LD 알라후엘렌세 - 2
CS 카르타히네스 - 1
LD 알라후엘렌세 - 3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 2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4DC 유나이티드 - 1
로스앤젤레스 갤럭시 - 1
시애틀 사운더스 FC - 1
로스앤젤레스 FC - 2
로스앤젤레스 갤럭시 - 1
레알 솔트레이크 - 1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31알리안사 FC - 1
CD 아길라 - 1
클럽 데포르티보 FAS - 1
아틀레티코 마르테 - 1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28SV 트란스발 - 2SV 로빈후드 - 5
SV 트란스발 - 3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23CSD 무니시팔 - 1
코무니카시오네스 FC - 1
코무니카시오네스 FC - 2
CSD 무니시팔 - 1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23디펜스 포스 - 2디펜스 포스 - 2
폴리스 FC - 1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23CD 올림피아 - 2CD 올림피아 - 2
푸마스 데 라 UNAH - 1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20라싱 클럽 아이시엔 - 1
비올렛 AC - 1
-
파일:퀴라소 기.svg
퀴라소
02-CRKSV 용 콜롬비아 - 2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02-FC 피나르 델 리오 - 2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02-CF 몽레알 - 1
토론토 FC - 1
[1] 재창설[2] 2018 시즌은 16강이었으나, 2019 시즌부터 확대.[3] 7월~10월까지 진행[4] 2018 시즌에는 우승팀.[5]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우승팀 중 더 우수한 성적을 거둔 팀을 우승팀으로 한다.[6] 84년에 뉴욕 판키프리시안-프리덤이 결승에 진출할 뻔했다. 당시 준결승에서 뉴욕 판키프리시안-프리덤과 CD 과달라하라가 경기 일정 조율에 실패했고, 양팀 모두 실격되면서 결승에 올라간 유일한 팀인 비올렛 AC가 우승을 차지해버렸다.[7] 결승에서 캐나다 연고 팀들이 종종 보이는데, 이는 전부 MLS 소속 팀들이다.[8] CD 과달라하라가 여권과 일정 문제 때문에 기권하여 우승[9] 오로라 FCSV 트란스발의 준결승전 취소로 인한 우승[10] 데포르티보 사프리사SV 트란스발의 기권으로 인한 우승[11] 데포르티보 사프리사LD 알라후엘렌세의 기권으로 인한 우승[12] 행정상의 문제와 경기일에 대한 불일치 때문에 최종 토너먼트가 취소되어 3팀이 공동 우승[A] A B C 우승 팀이 최종 라운드 순위로 결정됨[13] 준결승에서 뉴욕 판키프리시안 프리덤CD 과달라하라가 경기 일정 조율에 실패했고, 양팀 모두 실격되면서 결승에 올라간 유일한 팀인 비올렛 AC가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