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2

덤프버전 :

파일:노스롭 그루먼 로고.svg
[ 노스롭 그루먼의 항공기 ]


||<-2><tablewidth=100%><bgcolor=#007ea5> 군용기 ||
||<colbgcolor=#8ec7d0,#2e6771> 전투기 || P-61 블랙위도우F-89 스콜피온
F4F 와일드캣F6F 헬캣F7F 타이거캣F8F 베어캣
F9F 팬서F9F 쿠거F-11 타이거F-5 타이거 IIF-14 톰캣YF-17 코브라FA-18 호넷F-20 타이거샤크YF-23 블랙위도우 II ||
|| 공격기 || A-6 인트루더/EA-6 프라울러YA-9A-10 ||
|| 폭격기 || B-35 플라잉 윙B-49 플라잉 윙B-2 스피릿B-21 레이더 ||
|| 수송 || C-2 그레이하운드 ||
|| 조기경보통제기 || E-2 호크아이E-8 조인트 스타스 ||
|| 대잠초계기 || S-2 트랙커 ||
|| 무인기 || RQ-4 글로벌 호크RQ-180X-47 ||
|| 훈련기 || T-38 탤론 ||
||<-2><bgcolor=#999999,#666666> 그루먼의 1945년 이전 모델 ||
||<bgcolor=#cccccc,#323232> 단발기 || 그루먼 FF그루먼 F3F ||
||<bgcolor=#cccccc,#323232> 쌍발기 || XF5F 스카이로켓 ‧ XP-50 ||
||<-2><bgcolor=#dedede,#202020>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E-2navy2.jpg파일:Pky_E-2navy3.png
Northrop Grumman E-2 Hawkeye

1. 개요
2. 제원
3. 특징
4. 임무
5. 운용국
6. 바리에이션
7. 기타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노스롭 그루먼사가 제작한 미 해군용 함재 조기경보통제기.[1]

별명은 '매의 눈'이라는 뜻의 호크아이(Hawkeye). 무장은 전혀 없으며, 총 5명이 탑승한다.


2. 제원[편집]


E-2C/D형 기준
Northrop Grumman E-2 Hawkeye Airborne Early Warning
제조사Northrop Grumman
첫비행1960년 10월 21일
배치1964년 1월
생산1961년~현재
임무공중조기경보관제 임무
전장17.60m (57ft 8.75in)
전폭24.56m (80ft 7in)
전고5.58m (18 ft 3.75 in)
승무원조종사 2명, 오퍼레이터 3명[2]
익면적65m² (700ft²)
공허 중량18,090kg (40,200lb)
적재 중량19,536kg (43,068lb)
최대이륙중량26,083kg (57,500lb)
엔진앨리슨 T56-A-427 (C) T56-A-427A (D) 터보프롭 엔진 5,100shp (3,800kW)
순항속도474km/h
최고속도648km/h
항속거리2,583km
실용 상승 한도10,576m (34,700ft)
체공시간6시간~8시간
상승률13m/s
익면하중355kg/m² (72.7lb/ft²)
추력 대비 중량비0.32kW/kg (0.19hp/lb)
레이더AN/APS-145 조기경보 레이더
AN/APY-9 AESA 레이더 (D형)
IFFOL-483/AP
APX-100
항전장비OL-698/ASQ 전술 컴퓨터 그룹
AN/ARC-182 UHF/VHF 라디오 수신기
AN/ARC-158 UHF 라디오 수신기
AN/ARQ-34 HF 라디오 수신기
AN/USC-42 Mini-DAMA SATCOM 시스템
AN/USQ-190 통합전술무선시스템


3. 특징[편집]


쌍발 프로펠러 항공기로 덩치에 비해 거대한 레이돔이 외견상의 특징. 1960년 최초 시제기가 비행하였으며, 1964년부터 본격 도입되어 이듬해에는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한 은근히 장수만세. 사실 항공모함에서 운용할 수 있는 항공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다보니 새로운 항공기를 개발하기도 어려워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듯.

E-2는 기체에 원반형 레이더를 탑재하고 해군 전술 정보 시스템(NTDS)에 링크하여 탐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특이점으로는 C-2 그레이하운드 수송기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수송기에서 조기경보기로 개조되는 일반적인 단계와 반대로 오히려 조기경보기 E-2에서 수송기 C-2로 넘어갔다.

E-2는 애초에 해상용으로 개발된 기체라 굴곡이 없는 해상을 감시하기 위한 레이더를 탑재하는 관계로, 노이즈가 많은 지상을 관측할 경우 제약이 따른다. E-3E-737같은 기종에 비해 파장이 긴 UHF 전파대역을 사용하므로 굴곡이 없는 바다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고 탐지거리를 늘릴수 있지만, 지상에서는 난반사 속에서 대상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섬나라인 대만, 일본, 싱가포르나 국토 대부분이 평탄한 사막지대인 이집트 같은 국가에서 제대로 쓸 수 있고, 굴곡이 많은 육상에서 쓰는 건 힘들다. 그래서 E-X 사업 당시 대한민국 공군은 E-2의 이런 점 때문에 애초에 고려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한다.

실제로 이스라엘은 이 점을 간과하고 E-2를 도입했다가 1982년 베카 계곡 항공전에서 지면 클러터 때문에 아무 것도 못 잡아냈다. 그날부로 공군 사령관 다비드 이브리(David Ivry) 장군 이하 수뇌부가 모여서 대체 이게 어떻게 된 거냐고 책임추궁에 들어갔다고. 결국 해상 환경에 특화된 기체를 지상에서 쓰려니까 무용지물이 됐다는 결론이 나왔는데, 그럼에도 베카 계곡 항공전에서 E-2가 이스라엘의 승리에 결정적인 공헌을 했다는 이야기가 퍼진 것은 바로 이스라엘군이 직접 이 사실을 감추고 헛소문을 퍼뜨렸기 때문이다. 주변의 적국들이 자신들의 약점을 알아채는 걸 막기 위한 블러핑이었던 것. 이 이야기는 베카 계곡 항공전으로부터 20여년이 지난 2000년대 들어서야 전모가 밝혀졌다. 한편, 제대로 운용하지 못하는 애물단지가 된 호크아이는 이후 멕시코 해군에 중고로 매각되었다.

좁은 항공모함에서 운용하기 위해서 크기를 최대한 줄이다 보니 작은 동체크기의 한계로 승무원은 3명만 탑승한다. 협소한 항공기라서 통상의 기내 수세식 화장실 설치가 불가하므로, 체공 시간이 6시간이라지만 승무원들의 생리 현상 문제와 실 운영시 동선 문제 등으로 작전 시간은 더 짧을 수밖에 없다. 사출 좌석에 앉아 꼼짝도 못 하는 바이킹도 6시간이라고 광고하는 판이니 하려면 할 수는 있지만, 승무원들은 고역이다. 다만 체공 시간이 8시간으로 증대된 E-2D는 에어컨과 함께 옵션 편의 시설인 화학적 처리 간이 용변백과 간편음식 조리용 갤리(오븐/전자레인지/냉장고)를 기내 후방에 주문 장착할 수 있어, 장시간 작전 환경이 앞선 버전들 보다 훨씬 나아졌다.To increase crew effectiveness during the longer missions (up to 8 hours thanks to IFR), Northrop Grumman offers "optional air vehicle enhancements" consisting in:» Food and beverage galley» Crew lavatory» Ergonomic seats» Noise canceling aviation headsets» Air conditioning 그래서 지상배치용이라 크기에 제약이 없는 E-3A-50 메인스테이 등의 본격적인 공중통제기에 비하면 지휘/관제능력은 미치지 못한다. 때문에 직접적인 관제보다는 데이터링크를 이용해 정보를 항공모함이나 구축함 또는 대형급의 조기경보기에 레이더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파일:1N-CE23-03_web.jpg

KC-767등의 공중급유기를 통한 급유가 가능하여 유사시 체공시간을 더 늘릴 수 있다.[3]


4. 임무[편집]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5070101119_8.jpg

미국 항공모함 전투단의 필수 요소로 조기 경보와 항공 관제를 맡는다. 항공모함 함대의 위치를 적에게 들키지 않고서 원거리에서 E-2가 돌아다니며 적 항공기나 수상함을 먼저 탐지해내는 역할. 더불어 그 스스로 지휘소 역할도 분담하여 함대의 방공임무나 적진 공격임무에 투입된 아군 항공기의 지휘/통제 역할도 겸한다. 또한 E-2는 제한적으로나마 지상이나 해상의 목표물도 탐지가 가능하다. E-2가 획득한 정보는 데이터링크를 통하여 함대의 본부로 전송되며, 지휘관들은 이 E-2가 보내오는 주변 정보를 가지고 작전을 짜고 전체 상황을 파악한다.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40803173645.jpg

발전형인 E-2D는 AN/USG-9 안테나 혹은 PAAA(Planar Array Antenna Assembly)와 이지스 베이스 라인 9(ACB12/TL12) 시스템을 탑재한 이지스함과 연동하여 CEC 네트워크의 TTNT(Tactical Targeting Network Terminal:전술 타게팅 네트워크 터미널)를 통해 SM-6와 같은 무장을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유도해 줄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수상함들은 굳이 자신의 센서로 목표를 직접 탐지하거나 일루미네이터를 조사하지 않고도, E-2D의 표적 정보와 SM-6의 액티브 시커만으로 지구 곡면 현상이나 지형 문제 등으로 수상함의 레이더로는 탐지가 불가능한 초수평선에 위치한 고속 공중 목표와의 교전이 가능해졌다. 이를 NIFC-CA(해군 통합 방공 화기 관제)라고 한다.

미군이 네트워크 전장 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함에 따라 이전보다 전략적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NIFC-CA시스템 아래서 2대 이상의 E-2가 합동으로 F-35, F-18G과 함대간의 상호간 정보교환, 중계 역할을 맡게 되었고 적의 대함미사일, 항공기뿐만 아니라 탄도탄까지 탐지해 직접 요격하는 능력도 추가되었다. 심지어 향후엔 F-35의 무장에도 접근시켜 E-2가 공대공미사일을 유도하는 것까지 계획에 있다고 한다. 이렇게 E-2는 미 해군의 미래전장에 있어서 없어선 안될 핵심 고리로 부상하고 있다.


5. 운용국[편집]








미 해군과 해안경비대에서 운용 중이다. 미 해군은 78기의 E-2C/D를 운용하고 있으며 추가로 45기의 호크아이가 인도될 예정이다. 아래는 운용 항공단 목록이다.
VAW-112 (Golden Hawks, CVN-74), VAW-113 (Black Eagles), VAW-115 (Liberty Bells), VAW-116 (Sun Kings, CVN-71), VAW-117 (The Wallbangers), VAW-120 (Greyhawks), VAW-121 (Bluetails, CVN-72), VAW-123 (Screwtops, CVN-69), VAW-124 (Bullseye Hummers, CVN-77), VAW-125 (Torch Bearers), VAW-126 (Seahawks, Naval Station Norfolk), VX-20 (Naval Air Station Patuxent River)
VAW-112부터 126까지는 전부 항모 조기 경보 비행단 및 육상 해군 비행부대 소속이며, 마지막은 제20 항공 테스트 및 평가 비행단이다.
E-2D 어드밴스드 호크아이의 생산이 2025년경 중지될 예정에 따라 미해군은 이 기체를 30년 이상 더 운용하기 위한 개량을 계획 중이며, 칵핏 에비오닉스 및 미션 시스템, 무인기 통제 등 고급 통신능력 추가와 사이버보안 능력 향상이 예정되어 있다.#







항공자위대에서 MiG-25 망명 사건으로 1979년 긴급 조달 시작해 총 13기 획득, 2004년부터 E-2C 2000 상당으로 개수하였다. 이후 일본은 2014년 중기 방위력 정비 계획에 따라 2018년까지 4기의 E-2D를 구매했다.[4]
2019년 방위 예산안에도 E-2D 2기에 대한 추가 구입 및 7기분의 선행 부품 취득 예산이 반영되었다. 이후 E-2C 대체분 전량 + 증가분을 포함해 총 18기의 E-2D가 도입될 예정이며, CEC 역시 탑재된다.#[5][6] 2차분 도입 비용은 13억 6227만 달러(약1조 6350억원)로 기당 1억 5천만 달러 가량이다.





프랑스 해군샤를 드 골급 항공모함 함재기로 E-2C Hawk eye 2000 3기 운용, 2028년까지 E-2D로 대체 예정.#

중화민국 공군이 1995년 E-2T라는 명칭으로 4기 도입, 2006년 2기 추가 도입, 2013년 E-2K라는 이름으로 호크아이 2000 상당 업그레이드 진행, 2024년까지 6기 모두 E-2D 사양으로 개수 예정.#

1987년 이집트 공군이 5기 도입.

2004년 멕시코 해군이 이스라엘로부터 도입, 이스라엘 항공산업 IAI를 통한 자체 업그레이드 진행했다. 해군에서 운용중이다.

1978년 이스라엘 공군이 4기 수입해 운용, 2004년 자국산 조기경보기 G550 CAEW을 획득하면서 3기를 멕시코 해군에 매각하고, 1기는 박물관에 전시했다.

1987년 싱가포르 공군이 4기 도입. 현재 이스라엘제 G550 CAEW 조기경보기로 대체되면서 퇴역했다.


6. 바리에이션[편집]


  • W2F-1 - 호크아이의 원형. 1962년 E-2A라는 명칭으로 교체
  • E-2A - 초기생산형. AN/APS-96 or 111 레이더 탑재, 370km 탐지가능
    • TE-2A - E-2A 2기를 승무원 훈련용으로 전환한 기체
    • YC-2A - E-2A 2기를 C-2 그레이 하운드 프로토타입으로 전환한 기체
    • YE-2C - E-2A 2기를 E-2C 프로토타입으로 전환한 기체
  • E-2B - 아날로그 컴퓨터를 디지털화.
  • E-2C - 1971년부터 생산된 모델. 1994년까지 개선/개량되어 그룹 0, 1, 2, 호크아이 2000으로 분류
    • 그룹 0 - 초기는 APS-120, 1978년부터는 APS-125, 1984년부터는 APS-138 레이더로 교체
    • 그룹 1 - 엔진을 T56-A-427로 교체, APS-139 레이더를 탑재
    • 그룹 2 - APS-145 레이더를 탑재. 신형 ESM 장비 AN/ALQ-217 탑재, 560km 탐지 2000개 목표 동시 추적가능
    • 그룹 2 Plus - 항전장비, GPS 개량
    • 호크아이 2000 - 신형 항법 컴퓨터와 자동 조종 성능 강화, 새로운 복합재 8장형 프로펠러 블레이드(NP2000), 통합전술정보전달시스템(JTIDS), Link 16, AN/USG-3 공동 교전 전송 처리 세트 탑재 CEC 대응, 록히드마틴의 신형 콘솔 탑재(20인치 액정 디스플레이)

  • E-2D Advanced Hawkeye - 엔진을 427A형으로 개량, AN/APY-9 AESA 레이더 탑재(UHF 대역), 조종석 글래스 콕핏, 기체 내부 기기 전선 광섬유로 변경, 화장실 설치, AN/USQ-190 통합전술무선시스템(MIDS-JTRS) 탑재 NIFC-CA 대응, APS-145보다 탐지거리, 탐지가능고도 및 정밀도 확대로 실질 탐지범위 250% 증가

7. 기타[편집]


  • || 파일:USN_E-2C_Scewtops.jpg ||
스크류탑 (Screwtop) 호크아이
항공모함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소속의 항모 공중조기경보 전투단 123에 속한 경보기로 위의 나사무늬로 인해 'Screwtop(스크류탑)'이란 별칭으로 불린다. 2016년 아이젠하워 소속의 E-2C 가 착함중 어레스팅 와이어가 분리되어 비행갑판에서 떨어졌고 시야에서 아예 사라졌다. 하지만 순간적으로 자세를 바로잡아 다시 비행하는데 성공했다. 이 항공기가 바로 스크류탑. 당시 여기에 탑승했던 3명이 에어메달을 받았다고 한다. 유튜브에 당시 영상이 있는데 영화연출 같은 전개가 백미다.

  • E-2를 함상에서 운용하기 위해서는 캐터펄트와 이착륙 항공갑판을 갖출 필요가 있으며, 이정도 설비를 갖추기 위해서는 체급이 적어도 중형 항공모함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이러한 설비를 갖추지 못하거나 체급이 밀리는 스키점프 방식 및 경항모는 운용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이러한 항모를 운용하는 영국이나 러시아, 중국, 인도, 이탈리아, 스페인의 해군에서는 궁여지책으로 헬리콥터에 대형 레이더를 탑재한 조기경보헬기를 운용하고 있다. 물론 전반적인 성능은 E-2에 한참 못 미친다. 미국처럼 항공모함 함재기로 호크아이를 운용하는 국가는 현재로서는 프랑스가 유일하다.

  • 과거 소련에서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에 탑재용으로 C-2의 소련판인 Yak-44를 기반으로 조기경보기 형인 Yak-44e도 개발해 동일한 임무를 부여하려 했지만, 소련이 망하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 그리고 현재 중국이 KJ-600이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조기경보기를 개발하고 있다. 미국, 소련, 중국 세 나라를 제외하면 고정익 형태의 함상 조기경보기를 개발한 국가는 없다.



8. 둘러보기[편집]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회전익기경헬기S-52, H-19
다목적헬기UH-1E/N
수송헬기CH-46, CH-53
공격헬기AH-1G/J/W
대잠헬기SH-2, SH-3, SH-60
제공 전투기1세대FJ-1, FJ-2, FJ-4, F2H(F-2), F9F-2, F6U, F7U, F9F-6
2세대F3H-1/2(F-3), F-11, F8U, F4D(F-6)
3세대F-4A/B/J/N/S, F-111B
4세대F-14A/B/D, F-18A/B/C
해병전투기F8U, F-4A/B/J/N/S, F-5 II/III, F/A-18A/B/C/D, AV-8B, F4D(F-6), XFV-12
지상 공격기A-1E/D/N/H, A-2, A-3, A-4A/B/C/E/F/M, A-5, A-6, A-7A/B/E, AF
전자전기F3D-2Q(F-10), EA-6B, EP-3
수송기C-1, C-2
공중급유기KC-130
해상초계기P-2V, P-3A/B/C, S-2, S-3
조기경보기E-1, E-2C/D, E-6
훈련기T-38, T-2, T-45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회전익기CMV-22B, MH-60R/S/H, MH-53E, CH-46R, AH-1(W/Z), UH-1(N/Y)
전투기4세대F-14(A/B/D)R, F/A-18(A/BR, C/D)해병
4.5세대F/A-18E/F
5세대F-22N, F-35B해병, F-35C
6세대{F/A-XX}
공격기A-12, AV-8B/AV-8B+해병
수송기UC-12, C-26D, 걸프스트림 V, C-40, C-2A, PC-12NG, C-130T
지원기조기경보기E-2C/D, E-6
대잠초계기P-3C, P-7, P-8A, S-3R, S-2R
정찰기HC-144해경
공중급유기KC-130
전자전기EA-6BR, EA-18G, EP-3
훈련기프롭DHC-3, T-34, T-44A, T-6 II
제트T-45, T-45C, T-2 벅아이, 걸프스트림 G100, T-38A/C, TAV-8B해병
헬리콥터TH-57, UH-72
가상적기F-21AR, F-16(A/B), (T)F-16N
다목적기UC-35D
무인기MQ-4C, RQ-7, MQ-8B, 스캔이글, RQ-21 블랙잭, {MQ-25}
※ 윗첨자해병: 해병항공대 운용 장비
※ 윗첨자해경: 해안경비대 운용 장비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 윗첨자M: 개조/개량 항공기
※ 윗첨자U: 업그레이드/업그레이드 예정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현대 프랑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프랑스 항공우주군
Armée de l'Air et de l'Espace

프랑스 해군 항공대
Aéronavale
회전익기 공격헬기HSS-1육/해/공/R, SA 313B 알루에트 II육/해/R, SA 341F 가젤, SA 342M 가젤, AS565 AA해/공, AS565 AB/CA해/공, 타이거 HAP, 타이거 HAD
다목적 헬기알루에트 III육/해, AS332 쉬페르 푸마해/공, AS565 팬서해/공 AS532 쿠거
수송헬기SA 321쉬페르 프렐롱 해/공/R, AS330 푸마육/공, EC725 카라칼, NH90 TTH 카이만, SE.3000R
대잠헬기AS332F 쉬페르 푸마, AS532 SC, NH90 NFH 카이만
프롭 전투기스핏파이어 LF.Mk. IXR, A6M2-N원정군/C/R, 시파이어해/R , F8F-1B해/R, F4U-7해/R
제공 전투기1세대M.D.450 우라강R, S.O. 4050 보투르 NR, F-84F/GR, 미스테르 IIR, 미스테르 IVR, 아퀼롱 203해/R
2세대F-100DR, F-86KR, 쉬페르 미스테르 B.2R, 에탕다르 IVM해/R, F-8E (FN)해/R
3세대미라주 III C/ER, 미라주 F1R
4세대미라주 2000
4.5세대라팔 C 스탕다르 F3/F3R, 라팔 M
6세대{FCAS}
공격기SB2C-5, A-1 스카이레이더R, 1050 알리제해/R, S.O.4050 보투르 IIAR, 재규어 AR, 쉬페르 에탕다르해/R, 미라주 V, 미라주 2000 N/D,
폭격기PB4Y-2해/R, S.O.4050 보투르 IIBR, 미라주 IVR, AAS 01X
수송기C-160R, C-119, C-124, C-130(H/H-30/J-30), A400M 아틀라스
지원기조기경보기E-2C 호크아이, E-3F 센트리
대잠초계기아틀란틱해/R, 아틀란틱 II, {MAWS}
정찰기브레게 1150 아틀란틱, 다쏘 팔콘
신호정보 수집기C-160G 가브리엘
공중급유기A330 피닉스, C-135FR, KC-130J
무인기UCAVMQ-9, {유로드론}
훈련기EMB 312FR, 푸가 CM.175 제피르R, Ar 96R, 무드리 CAP 10해/공, 미라주 2000B-S5, 다쏘-도르니에 알파 젯
다목적기다쏘 팔콘 10M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현대 일본 자위대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회전익기 경헬기TH-135, TH-480B, BK 117, OH-6(D/J)육/R, TH-55J육/R, H-13육/해/R
다목적 헬기EC225, S-61A해/R, OH-1, UH-60JA육/항, UH-1(BR/HR/J)/{UH-X}, H-19/S-55A/H-19C육/해/항/R
수송헬기MV-22, CH-47(J/JA)육/항, KV-107육/해/항/R, H-21B/V-44A항/육/R
공격헬기AH-1S, AH-64DJ
대잠헬기MCH-101, SH-60(J/K), MH-53E해/R, HSS-2(A/B)해/R
전투기1세대F-86(D/F)R
2세대F-104(J/DJ)R
3세대F-1R, F-4EJ/EJ 改R
4세대 / 4.5세대F-15(J/DJ, J 改/DJ 改), F-2(A/B)
5세대F-35A/{B}
6세대{GCAP}
수송기C-130(H/R), C-1A, C-2, YS-11, C-46DR
수상기/비행정US-2, US-1A해/R, HU-16해/R
무인기UAV보잉 스캔이글, {RQ-4}
지원기조기경보기E-767, E-2C/{D}
해상초계기P-1, P-3C, P-2J해/R, S2F-1해/R
전선통제기 / 연락기U-125A, U-4, U-36A, LR-2, LC-90R, LR-1육/R, LM-1육/R, 가와사키 KAL-2R
정찰기RF-86FR, RF-4(E/EJ)R, EP-2JR, EP-3
공중급유기KC-130R, KC-767J, {KC-46A}
전자전기EC-1, YS-11(EA/EB), {EC-2}
훈련기프롭후지 T-7, 후지 T-5, 후지 T-3R, KM-2육/해/항/R, 비치크래프트 B65R, T-34A(LM-1)R, T-6(D/F/G)R
제트T-33AR, 뱀파이어 T.55X/R, 후지 T-1(A/B)R, T-2R, T-4, T-400
특수목적기보잉 747-400R, 보잉 777-300ER, U-4, EC 225LP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 자위대: 해당 자위대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자위대





파일:대만 국장.svg 현대 대만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중화민국 국군 (1947~현재)
中華民國 國軍
회전익기 경헬기500MD, OH-58D, TH-67A, OH-6A육/R, TH-55A육/R
다목적 헬기EC225, S-70(C-1/C-6)/UH-60M, H-5R, UH-1(BR/H), UH-34D육/R
수송헬기CH-47SD
공격헬기AH-1W, AH-64E
대잠헬기S-70C(M)-1/2
전투기프로펠러기호크 IIIR, P-40R, P-51R
1세대F-84GGR, F-86(D/F)R
2세대F-100AR, F-104(A/B/D/G/J/DJ)R, F-5A/BR
3세대F-5E/F
4세대 / 4.5세대미라주 2000-5(EI/DI), F-CK-1(A/B, C/D), F-16(A/B/{V})
공격기XA-3, AT-3BR
폭격기모스키토 FB.26R, B-24MR, PB4Y-2R, B-25(C/D/J)R
수송기C-130H, C-123KR, C-119(G/L)R, C-54(D/G)R, C-47R, C-46R
비행정HU-16R
무인기SUAV홍작미-(1/2)형
UAV예연 II육/해, {등운}
지원기조기경보기E-2T/K
해상초계기P-3C, S-2(A/E/G/T)R
전선통제기 / 연락기O-1육/R, L-5R
정찰기RF-16A, RF-5E, R-CH-1R, RB-69AR, RB-57(D/F)R, RF-104R, RF-101AR
전자전기C-130HE
훈련기프롭T-34, T-CH-1R, T-28AR, AT-11R AT-6R, PL-1(A/B)육/공
제트{XT-5}, AT-3, T-38AR, TF-104GR, T-33R
특수목적기보잉 737-800, 포커 50, 비치크래프트 1900C, 보잉 727R, 보잉 720BR VC-118R VC-47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멕시코라운델.png 현대 멕시코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멕시코군 (1821~현재)
Fuerzas Armadas de Mexico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벨 206, 벨 407, 벨 412, UH-1H, Mi-8TV/17IV, MD 530F, AS565, UH-60L/M, EC725
전투기3세대F-5E/F
공격기PC-7
수송기세스나 206H, C-27J, L-100, C-130E/K/L/J-30, 슈퍼 킹에어 90/300, C-295M, PC-6
지원기조기경보기EMB-145H AEW&C, E-2C
대잠초계기EMB-145MP/ASW, CN-235-300 MPA
정찰기세스나 182S, 슈퍼 킹에어 350, 사이테이션 I
무인기UAV헤르메스 450
훈련기PC-7, PC-9M, F-33C, 그롭 G120TP, SF.260, F-5F
특수목적기보잉 727-200, 보잉 737-300, 보잉 757-225TP, 보잉 787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도입 취소 기종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현대 이집트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회전익기경헬기SA.342(K/L) 가젤 | Mi-1R
다목적 헬기{AW189} | AW149 | Mi-17-1V · Mi-17-V5 | Mi-8(P/T/TVK/R) | S-70A-21 블랙 호크 | 코만도 Mk.(1/2) | Mi-4MR | 드래곤플라이 Mk.1BR
수송헬기{CH-47F} | CH-47(C/D) 치누크 | Mi-6R
공격헬기AH-64(A→D/E) 아파치 | Ka-52E "나일 크로커다일" | Mi-24VR
대잠헬기SH-2G 슈퍼 시스프라이트 | 시킹 Mk.47
전투기1세대MiG-15bis · S-103R | MiG-17F · Lim-6R | 뱀파이어 FB.52R | 미티어 (F.4/F.8/NF.13)R
2세대MiG-19(S/SF) · 선양 F-6AR | MiG-21(F-13/PF/PFS/PFM)R | 청두 F-7(A/B)R | HA-300
3세대MiG-21(M/MF)R | MiG-23MSR | 청두 F-7M "에어가드"R | F-4E 팬텀 IIR
4(.5)세대라팔(DM/EM) | 미라주 2000(BM/EM) | F-16(A/B) Block 15 · F-16(C/D) Block 32/40/52 파이팅 팰콘 | MiG-29(M/M2) | Su-35SE
공격기미라주 5(E/E2/SDE) | 알파 제트 (MS1/MS2) | Su-20CR | MiG-23BNR | Su-7BMKR
폭격기Tu-16(KS/KSR-2-11/T)R · H-6R | Il-28R
정찰기전술미라주 5SDR | MiG-21RR | Il-28RR
전자EC-130H ELINTM | 비치크래프트 1900C ELINT | Tu-16RR
수송기{C-130J-30 슈퍼 허큘리스} | Il-76MF | An-74TK-200A | C-130H(-30) 허큘리스 | C-295M | DHC-5D 버팔로 | An-24R | An-12BPR | An-2R | Il-14PR | C-46D 코만도R
다목적기비치크래프트 1900C-1 | PZL 104 빌가 | M.1-D 소콜R
무인기SUAVRQ-20B 푸마 AE 2 | ASN-209
UAV모델 324 스캐럽 | 리판 3M | BTT3 밴시
UCAVWJ-700 | CH-5 레인보우 | 윙룽-(1/2) | 유나이티드 얍혼 40
지원기조기경보기E-2C 호크아이
전자전기Mi-8(PPA/MV) | 코만도 Mk.2E
훈련기프롭EMB 312 투카노 | G-115E | Z-142C | Z-226TR | DHC-1 칩멍크R | HA 곰후리아 Mk.(1~6)R | Yak-18R | Yak-11R | M.14A 매지스터R
제트K-8E 카라코룸 | L-59E | L-39ZO | 알파 제트 E | 미라주 5SDD | L-29R | MiG-23UBR | MiG-21(U/US/UM)R | FT-7BR | HA-200B 알-카히라R | FT-6R | MiG-15UTI · CS-102R | 뱀파이어 T.55R | 미티어 T.7R
VIP 전용기B747-380 | A340-212 | VC-130 | 걸프스트림 III | 걸프스트림 IV(-SP) | 다쏘 팰컨 (7X/8X) | 다쏘 팰컨20E-5 | 비치크래프트 200 슈퍼 킹에어 | AW149 | AW139 | AW109 | UH-60M | 코만도 Mk.2B | B707-366C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M: 개조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4 02:47:31에 나무위키 E-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조기경보기의 대명사지만, 탑승 승무원 구성에서 알 수 있듯 공중통제 임무도 병행한다. 실제로 걸프 전쟁 당시 E-2C 1기가 페르시아 만 근처의 공항이 지상군에게 점령된 이후 이곳으로 물자를 수송하게 되면서 파괴된 지상 관제 레이더를 대신해 지원기 및 수송기 수백 기를 대상으로 항공 교통 통제 임무를 수행한 적이 있다.# 다만 기체 크기 한계상 관제사가 몇 명 못 타기에 동시에 관제 가능한 아군기 숫자는 적은 편.[2] 레이더 탐색 장교 (RO), 전투 정보 장교 (CICO), 항공 관제 장교 (ACO)[3] 화장실도 없는 C형 이하일 경우 위에서 언급했듯 딱히 의미가 없는거 아니냐고 할 수 있지만 전시등에 그정도야 어느정도 불편만 감수하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 근데 비행기라 엄청 흔들릴텐데 엎어지면(...)[4] 2020년 3월까지 전기 배치 예정#[5] 25-1페이지[6] 12페이지, E-2Dへの共同交戦能力(CEC)の付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