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aranoid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카니예 웨스트의 곡에 대한 내용은 Paranoid(카니예 웨스트) 문서
Paranoid(카니예 웨스트)번 문단을
Paranoid(카니예 웨스트)# 부분을
, ASH ISLAND의 곡에 대한 내용은 Paranoid(ASH ISLAND) 문서
Paranoid(ASH ISLAND)번 문단을
#s-번 문단을
Paranoid(ASH ISLAND)# 부분을
# 부분을
, 로블록스 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Paranoid_패러노이드 문서
Paranoid_패러노이드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Paranoid의 주요 수상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Bridge Over Troubled Water,
전번_아티스트=사이먼 앤 가펑클,
이번_앨범=Paranoid,
이번_아티스트=블랙 사바스,
1위_기간=1주,
후번_앨범=Bridge Over Troubled Water,
후번_아티스트=사이먼 앤 가펑클)]

||
[ 펼치기 · 접기 ]

미국의 주간지 타임에서 2006년 "대중 음악 역사상 최고의 앨범 100선 (All-TIME 100 Albums)"을 발표했고, 순위 없이 연대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In the Wee Small Hours
프랭크 시나트라
Songs for Swingin' Lovers!
프랭크 시나트라
Here's Little Richard
리틀 리처드
Kind of Blue
마일스 데이비스
King of the Delta Blues Singers
로버트 존슨
〈Modern Sounds in Country and Western Music〉
레이 찰스
Live At The Apollo
제임스 브라운
A Love Supreme
존 콜트레인
Highway 61 Revisited
밥 딜런
Otis Blue/Otis Redding Sings Soul
오티스 레딩
Rubber Soul
비틀즈
Pet Sounds
비치 보이스
Blonde on Blonde
밥 딜런
Revolver
비틀즈
I Never Loved a Man the Way I Love You
아레사 프랭클린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벨벳 언더그라운드 & 니코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비틀즈
Are You Experienced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Lady Soul
아레사 프랭클린
At Folsom Prison
조니 캐시
The Beatles
비틀즈
Astral Weeks
밴 모리슨
〈Stand!〉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The Band
더 밴드
Abbey Road
비틀즈
Bitches Brew
마일스 데이비스
Moondance
밴 모리슨
Bridge Over Troubled Water
사이먼 앤 가펑클
After the Gold Rush
닐 영
Paranoid
블랙 사바스
John Lennon/Plastic Ono Band
존 레논
Tapestry
캐롤 킹
Sticky Fingers
롤링 스톤스
What's Going On
마빈 게이
Blue
조니 미첼
Who's Next
더 후
Coat of Many Colors
돌리 파튼
Led Zeppelin IV
레드 제플린
Hunky Dory
데이비드 보위
Exile on Main St.
롤링 스톤스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
데이비드 보위
The Harder They Come
지미 클리프
Talking Book
스티비 원더
〈Call Me〉
알 그린
Goodbye Yellow Brick Road
엘튼 존
〈Red Headed Stranger〉
윌리 넬슨
Born to Run
브루스 스프링스틴
Horses
패티 스미스
Ramones
라몬즈
Songs in the Key of Life
스티비 원더
Hotel California
이글스
Rumours
플리트우드 맥
Never Mind the Bollocks, Here's the Sex Pistols
섹스 피스톨즈
〈One Nation Under a Groove〉
펑카델릭
London Calling
더 클래시
Back in Black
AC/DC
Thriller
마이클 잭슨
The Great Twenty-Eight
척 베리
Legend
밥 말리
Purple Rain
프린스
Stop Making Sense
토킹 헤즈
Master of Puppets
메탈리카
Raising Hell
Run-D.M.C.
Graceland
폴 사이먼
The Joshua Tree
U2
Sign 'O' the Times
프린스
Paid in Full
에릭 B. & 라킴
Document
R.E.M.
It Takes a Nation of Millions to Hold Us Back
퍼블릭 에너미
Straight Outta Compton
N.W.A
Like A Prayer
마돈나
The Stone Roses
스톤 로지스
Paul's Boutique
비스티 보이즈
Out of Time
R.E.M.
〈Star Time〉
제임스 브라운
Ropin' the Wind
가스 브룩스
Nevermind
너바나
The Low End Theory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
〈Back to Mono (1958–1969)〉
필 스펙터
Achtung Baby
U2
Slanted and Enchanted
페이브먼트
The Chronic
닥터 드레
Live Through This
Ready to Die
노토리어스 B.I.G.
My Life
메리 제이 블라이즈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오아시스
Endtroducing.....
DJ Shadow
OK Computer
라디오헤드
Time Out of Mind
밥 딜런
Car Wheels on a Gravel Road
루신다 윌리엄스
〈Sunrise〉
엘비스 프레슬리
The Marshall Mathers LP
에미넴
Kid A
라디오헤드
Stories from the City, Stories from the Sea
PJ 하비
Stankonia
아웃캐스트
〈The Anthology: 1947–1972〉
머디 워터스
〈ELV1S: 30 No. 1 Hits〉
엘비스 프레슬리
Portrait of a Legend 1951–1964
샘 쿡
The College Dropout
카니예 웨스트
〈Turn Back the Years〉
행크 윌리엄스
출처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000,#fff 131위
2012년}}}

파일:external/www.theuncool.com/rs937.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2012년 131위
2020년 139위
@연도3@년 @순위3@위



파일:sonemic.pngRate Your Music 전체 앨범 차트
20위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반
160위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헤비 메탈 명반
1위






파일: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jpg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올 타임 탑 1000 앨범

{{{#000,#fff 375위
1998년}}}

파일:All-Time_Top_1000_Albums_(1st_Edition).jpg
올 타임 탑 1000 앨범

1998년 375위
2000년 348위
@연도3@년 @순위3@위






파일:003002000004.jpg
배철수의 음악캠프 선정
100 대 음반
















Paranoid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lack-sabbath-paranoid-album-cover.jpg
발매일1970년 9월 18일
녹음일1970년 6월 16일 - 21일
스튜디오리젠트 사운드 스튜디오
아일랜드 스튜디오
장르헤비 메탈
재생 시간41:51
곡 수8곡
레이블버티고 레코드
프로듀서로저 베인

1. 개요
2. 평가
3. 트랙 리스트
3.1. Side A
3.1.1. War Pigs - 7:57
3.1.2. Paranoid - 2:53
3.1.3. Planet Caravan - 4:32
3.1.4. Iron Man - 5:56
3.2. Side B
3.2.1. Electric Funeral - 4:53
3.2.2. Hand of Doom - 7:08
3.2.3. Rat Salad - 2:30
3.2.4. Fairies Wear Boots - 6:15
4. 참여자



1. 개요[편집]


1970년 발매된 블랙 사바스의 2집 앨범.

1집의 성공 이후 4개월만에 제작에 착수한 앨범으로, 본디 앨범 제목은 War Pigs가 될 예정이었지만 반전 테마는 여러 원인으로 안 팔린다며 레코드사가 극구 반대했다고 한다. 결국 앨범 러닝타임이 5분 정도 남아서 25분 동안 즉흥적으로 만든 곡인 Paranoid가 앨범 타이틀로 결정되었다. 초명곡으로 꼽히는 War Pigs와 함께 잡지에서 역시 최고의 인기 메탈 넘버로도 꼽힌 Paranoid, 간단한 리프의 미학인 Iron Man, 음침한 리프가 매력인 Electric Funeral 등의 블랙 사바스하면 바로 떠오르는 명곡들이 두루 포진된 앨범으로, Paranoid가 영국 싱글 차트 4위라는 큰 히트를 치면서 앨범도 영국 차트 1위[1], 빌보드 200 12위[2]에 오르는 성공을 거두게되며 블랙 사바스는 더더욱 인기를 얻게되고 수직상승의 가도를 달리게 된다. 400만 장이 넘게 팔렸다고 한다.

앨범 커버는 원래의 제목이었던 War Pigs에 맞춰서 버킹엄셔주 시골에 있는 블랙 파크라는 근린공원에서 찍었는데, 앨범 제목이 Paranoid로 바뀌었음에도 그대로 앨범 커버가 되었다. 시대를 감안해도 상당히 촌스럽다는 평가를 받으며, 기저 버틀러 인터뷰에 따르면 멤버들도 싫어했다고 한다.[3]


2. 평가[편집]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Album Guide
★★★★★









헤비 메탈 장르 최고의 명반이자 블랙 사바스 최고의 명반으로 평가받으며[4], 토니 아이오미 특유의 다운 튜닝한 기타와 심플한 리프, 앨범의 음울하고 어두운 사운드는 사실상 헤비 메탈하면 떠오르는 사운드와 스타일을 완성시켰다고 평가받는다. 메탈리카, 너바나, 판테라, 슬립낫 등의 모든 헤비 록을 하는 밴드들은 이 앨범에 빚을 졌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후대에 끼친 영향력이 큰 앨범이다.


3. 트랙 리스트[편집]



3.1. Side A[편집]



3.1.1. War Pigs - 7:57[편집]



항목 참조.

3.1.2. Paranoid - 2:53[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Paranoid(블랙 사바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 Planet Caravan - 4:32[편집]



  • 이 앨범에서 몇 안 되게 메탈 색이 별로 없는 사이키델릭한 곡이다. 사랑하는 사람과 우주를 떠다니는 것에 대한 곡이라고 한다. 초기 스페이스 록으로도 분류된다. 2020년 5월 31일 스페이스X드래곤 2 기상음악으로 선곡되기도 했다. 이 우주선은 이후 6월 1일 국제우주정거장에 성공적으로 도착했다.


3.1.4. Iron Man - 5:56[편집]





3.2. Side B[편집]



3.2.1. Electric Funeral - 4:53[편집]





3.2.2. Hand of Doom - 7:08[편집]





3.2.3. Rat Salad - 2:30[편집]



  • 중반부의 드럼솔로가 인상적인 곡이다.


3.2.4. Fairies Wear Boots - 6:15[편집]





4. 참여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1 20:46:26에 나무위키 Paranoid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3년 13이 발매되기 전까지는 블랙 사바스의 유일한 차트 1위 앨범이었다.[2] 당시 라디오 방송을 거의 타지 않았는데도 12위에 올랐다고 한다.[3] 1982년작 라이브 앨범 "Live Evil" 앨범 아트에는 좀 더 그럴싸한 모습의 'War Pig'가 "Paranod" 앨범을 대표해서 등장한다. 오른쪽 두 번째, 중앙의 'Neon Knight'와 오른편 끝 'Mob Rule' 사이에 보인다.[4] 실제로 어클레임드 뮤직 기준 헤비 메탈로 분류된 앨범 중에서는 Paranoid가 160위로 순위가 가장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