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세계아이돌

덤프버전 :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기한@)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



[ 음반 목록 ]
파일:RE : WIND(이세계 아이돌).jpg
파일:겨울봄(이세계 아이돌).jpg
파일:KIDDING(이세계아이돌).png
파일:비공개 음반.svg

싱글 1집

2021. 12. 17.

싱글 2집

2022. 3. 11.

싱글 3집

2023. 8. 18.

싱글 4집

2024. XX. XX.
[ 참여 음반 ]
파일:LOCKDOWN(이세계아이돌).jpg
파일:Another World(이세계아이돌).png
파일:이세계 페스티벌 고화질.jpg

OST

2023. 6. 22.

OST

2023. 7. 21.

ETC

2023. 9. 24.
[ 노래 목록 ]
파일:이세돌 버츄원몰.jpg
파일:이세돌 싸이퍼.png
파일:뜨거운 목소리로.jp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But You Want Mor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이세돌 싸이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뜨거운 목소리로
파일:이세돌 장난기기능.jpg
파일:이세돌 투니버스 메들리.jpg
파일:이세돌 크리스마스.jpg
파일:이세돌 마이 왁타버스.p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장난기 기능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투니버스 메들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It's Beginning To Look A Lot Like Christma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y WAKTAVERSE
파일:이세돌 우마뾰이 전설 수정본3.png
파일:이세돌 풍선.jpg
파일:이세돌 러브다이브.jp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마뾰이 전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풍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LOVE DIVE
||
||


이세계아이돌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왁엔터테인먼트 로고.svg

[ 소속 아티스트 ]

GROUPSOLO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
RUSUK

[ 직원 ]

대표매니지먼트 실장
우왁굳뢴트게늄







이세계아이돌
『ISEGYE IDOL Official Profile』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
이세계아이돌
ISEGYE IDOL · イセゲアイドル

그룹명이세계아이돌
[ 펼치기 · 접기 ]

이세돌 (약칭)[1]
ISEGYE IDOL (영문)[2]
イセゲアイドル (일본어)
异世界女团( Yì shìjiè nǚ tuán (간체자)
異世界女團( Yì shìjiè nǚ tuán (한자 · 번체자)[3]

[1] 바둑기사 이세돌 본인이 프로연우와의 인터뷰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이세계아이돌이 나왔을 무렵부터(!) 이미 저 약칭을 알고 있었고 왜 그렇게 부르는지 이해는 가지 않지만 그냥 그러려니 한다고 한다. #[2] 가끔 예전 팬아트나 팬 굿즈를 보면 ISEKAI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영어 표기가 정해지지 않았을 때라 임의로 표기했던 것이다.[3] 한국 한자음으로 하면 "이세계여단"이다.
결성일2021년 8월 26일
(결성일로부터 1010일, 2주년)
데뷔일2021년 12월 17일
(데뷔일로부터 897일, 2주년)
데뷔 음반
싱글 1집
RE : WIND
최신 음반
ETC
이세계 페스티벌
장르댄스, , 발라드, EDM
소속사왁 엔터테인먼트[1]
유통사리웨이뮤직앤미디어[2]
팬덤
이파리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왁타버스[3]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왁타버스 ZERO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webp 왁물원[4] | 파일:틱톡 아이콘.svg isegye.idol[5]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 파일:벅스 아이콘.png 파일:FLO 아이콘.svg 파일:지니뮤직 아이콘.svg 파일:멜론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VIBE 아이콘.svg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뮤직 아이콘.svg

1. 개요
2. 멤버
3. 특징
3.1. 로고
3.2. 우왁굳의 개인 콘텐츠
3.3. 왁타버스 세계관
3.4. 팬덤의 적극적인 콘텐츠 참여
3.5. 버츄얼 걸그룹 & 버츄얼 스트리머
3.5.1. 해외 버튜버와의 차이
3.6. 포지션
3.6.1. 보컬
3.6.2. 래퍼
3.6.3. 댄서
4. 인기 및 영향력
5. 기록
5.1. 멜론
5.2. 빌보드
5.2.1. 빌보드 코리아
5.2.2. 빌보드 글로벌 200 (미국 제외)
6. 오디션
7. 활동
8. 음악
8.1. 음반
8.2. 오리지널 곡
8.2.1. 단체
8.2.2. 유닛
8.3. 커버 곡
8.3.1. 단체
8.3.2. 유닛
8.3.3. 개인
9. 웹툰
10. 팬덤
11. 이모티콘
12. 월드
13. 여담
1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둘, 셋) 차원을 넘어![6] 안녕하세요, 이세계아이돌입니다!”[7]

2021년 12월 17일에 데뷔한 왁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6인조 버츄얼 걸그룹이다.[8]

트위치 스트리머 우왁굳이 기획한 프로젝트를 통해서 결성되었으며 디지털 싱글 앨범 RE : WIND를 발매하며 정식으로 데뷔하였다.


2. 멤버[편집]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
아이네징버거릴파주르르고세구비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비공개]
(30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 10. 08.
(28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 03. 09.
(28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 06. 10.
(26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비공개]
(26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0. 01. 16.
(24세)


2.1. 멤버 간 케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세계아이돌/멤버 간 케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릴파비챤
릴파
비챤



3. 특징[편집]



3.1. 로고[편집]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
메인 로고
파일:이세계아이돌 로고 다크.png파일:이세계아이돌 로고.png
가로형 로고
메인 로고는 이세계아이돌 오디션 진행 중 만들어진 로고이며 왁타버스 내외부로 이세계아이돌이 소개될 때 꾸준히 사용되고 있다. 이후 2023년 중순에 가로형 로고가 새로 제작되어 음원 플랫폼[9] 공식 프로필에 사용되었으며 이세계 페스티벌OVER 무대에서 사용되기도 했다.


3.2. 우왁굳의 개인 콘텐츠[편집]



일단은 재미로 해보는 컨텐츠지만 혹시나 개뽀록으로 잘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일단은 재미로 참가해주셔도 괜찮습니다.

[컨텐츠 망했을 시] (확률 99.8%)
1. 사이버 아이돌 프로젝트 컨텐츠에 출연가능
2. 인생에 재미있는 추억쌓기 삽가능
3. 네임드 청자가 돼서 앞으로의 시참이 수월해짐
4. 사람들에게 관심과 사랑을 받는 소중한 경험
5. 티비에 나오는 예능프로그램 찍듯이 컨텐츠에 나와서 즐길 수 있음
[컨텐츠 흥했을 시] (확률 0.2%)
1. 망했을 시 혜택 모두 있음
2. 1년간 우왁굳 밑에서 활동
1년 이후 개인 방송 허락 (활동가능 + 우왁굳이 지원해줌 + 우왁굳과 동시간대 방송가능)
2년 이후 개인 유튜브 허락 (홍보 및 지원 가능)
3년 이후 개인 스트리머, 유튜버로서 독립 (+ 그렇게 되도록 홍보 및 지원)
(독립할 수 있는 버튜버가 될 수 있게 지원)
3. 비지니스 관련해서 진행 되는 경우 수익 분배
(흥하다 갑자기 망하면 컨텐츠 끝나고 족쇄 사라짐)
(흥하는 정도에 따라 자세한 내용 바뀔 수 있습니다.)[10]

우왁굳이 올렸던 지원 공지 내용 中 발췌.
상기된 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이세계아이돌은 애초에 성공 가능성을 매우 낮게 본 단발성 기획이었다.

이세계아이돌은 버츄얼 아이돌 그룹을 컨셉으로 삼고 있고, 실제로도 앨범을 발매하며 커버 곡과 오리지널 곡같은 음악 활동을 적극적으로 이어가고 있지만, 처음부터 장기 프로젝트로 계획된 것은 아니었다. 우왁굳은 GTA 4 방송을 하던 과거부터 동등한 스트리머들끼리의 합방보단 자신의 주도 아래 시청자들이 방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참' 콘텐츠를 선호했다.[11] # 하지만 방송에 참여할 시청자를 매번 무작위로 뽑게 되면 방송의 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방송 센스가 좋고 우왁굳의 지시를 잘 따르는 시청자를 선발해서 시청자 참여 콘텐츠에 우선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주었는데, 이것이 2022년 7월 17일 기준 현재의 고정 멤버라고 불리는 시스템이다. 고정 멤버는 처음 0기가 결성된 당시부터 엄청난 인기를 끌어 생방송과 유튜브 양쪽에서 모두 크게 흥행하게 되었는데, 과도한 이미지 소모를 이유로 고멤 0기가 해체된 이후 우왁굳은 방송에 참여하는 시청자들이 각각의 컨셉을 가진 캐릭터를 만들고 연기하는 쪽으로 방향성을 바꾸게 된다. 이후로 고정 멤버는 반드시 VRChat 아바타를 이용해 우왁굳의 방송에만 참여하게 되면서 한 명의 시청자가 아닌 각자 독특한 설정과 개성을 지닌 왁타버스 캐릭터로 발전하게 되었다.

고정 멤버 시스템이 순탄하게 흘러가던 와중 이런 고정 멤버의 연장선으로 시청자를 뽑아 VRChat에서 아이돌 컨셉으로 활동시키면 재밌겠다는 아이디어가 떠올라 2020년 말 즈음에 메모장에 "VR챗 아이돌"이라고 적어놓은 여섯 글자의 프로젝트가 "사이버 아이돌 프로젝트"로 변하고 2022년 4월 2일 기준 현재의 "이세계아이돌 프로젝트"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보통 홀로라이브의 흥행에 영감을 받아 시작된 프로젝트라고도 알려져 있지만, 기획 당시에는 아바타를 이용한 버츄얼 유튜버 같은 것은 생각도 하지 않고 있었고 어디까지나 고정 멤버의 연장선에 있는 VRChat의 콘텐츠 중 하나이자 흥행 여부에 따라 언제든 종료될 수 있는 콘텐츠로 시작했다. 그랬던 것이 오디션에 진심으로 참여하는 지원자들의 적극적인 활동이 방송 내외적으로 비춰지며 부정적이던 여론을 점차 긍정적으로 바꾸는데 성공했고, 이후 1집 RE : WIND가 차트인에 성공하는 등 나름의 성과를 거두자 성공 가능성을 본 우왁굳이 고멤에 가까웠던 초기 기획에서 본격적인 버추얼 아이돌 콘셉트로 기획을 수정하며 판이 커지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세계아이돌 멤버들은 콘텐츠의 실패나 어떠한 이유로든 콘텐츠가 종료된 이후에도 한 명의 시청자로써 시청자 참여 콘텐츠에 지속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신중하게 우왁굳의 시청자들 중에서 선발되었다.[12] 각 멤버는 독립적으로 방송 활동을 하면서도, 동시에 우왁굳에게 소속된 스트리머이기도 하여 방송 스타일도 우왁굳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이러한 이유로 이세계아이돌의 팬들 역시 우왁굳의 방송을 통해 자연스럽게 유입된 시청자들이 많기 때문에 우왁굳의 방송에서 유행하는 밈들이 각 멤버들의 방송 중에도 자연스럽게 사용된다.


3.3. 왁타버스 세계관[편집]


우왁굳, 고정 멤버, 아카데미 그리고 팬덤들까지 함께 어우러지는 "왁타버스"라는 독특한 세계관 속에서 활동한다. 왁타버스는 함께 활동하는 , 계약으로 이뤄지는 MCN, 서로 인연으로 맺어진 친분관계, 같은 사람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뭉친 팬덤, 같은 취미를 가진 사람들이 모인 동호회 이 중 단순히 무엇이라고 콕 집어 부르기 힘든 아주 특이한 구조다. 이런 고유의 이형적인 구조는 09 시절부터 이어져온 왁타버스와 고멤의 전신격인 우왁굳TV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으며[13], 오랫동안 쌓아온 팬덤인 침팬치가 일반적인 인방인 팬덤보다 특유의 유대감과 자체 창작 비중이 매우 높으며 적극적으로 방송에 참여하려 한다는 점 역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왁타버스의 팬들은 서로 협력하여 질 높은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생산하면서 고유의 문화권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대한민국의 다른 스트리머들과는 한 발짝 떨어져 있지만 우왁굳을 중심으로 뭉쳐있는 거대한 섬이나 대륙에 비유되곤 하며, 진입장벽이 있어 우왁굳의 방송 문화를 알지 못한 채 이세계아이돌의 방송을 보기 시작한 시청자들은 쉽게 적응하지 못하고 괴리감을 느끼기도 한다.

이런 팬덤 구조로 하여금 신규 시청자 유입에 지장을 줄 수도 있으며, 특유의 폐쇄성 탓에 친목질과 같은 문제로 안 그래도 높은 진입장벽을 더욱 더 높이고 친목 파벌들이 공과 사를 구분하지 못하고 자체적으로 활동하면서 선을 넘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왁타버스 안으로 한번 들어온 사람들끼리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결속력을 강화시켜 아주 굳고 두터운 팬층을 형성한다는 장점이 있다. 팬덤을 공유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초기 시청자를 확보할 수 있어 할 수 있는 것도 많아지는 것 역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또한 레게노, 알잘딱 등 인터넷 전반에 널리 퍼진 내수용 밈 덕분에 우왁굳 방송을 보지 않는 시청자들도 간접적으로 방송 밈에 다소 익숙해져 있어 구조적 단점이 어느 정도 상쇄되는 편이며, 방송 내적으로는 친목질과 관련해서 파벌 형성 등의 악성 친목질을 엄격하게 금지하는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14] 이 때문에 팬카페인 왁물원 내부 분위기는 서로 침팬치라는 정체성에 따른 유대감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진입장벽은 일반 게임 커뮤니티나 다를 바 없는 수준으로, 적어도 유튜브를 봐오던 사람이 적응에 어려움을 겪지는 않는다. 다만 갈라파고스화된 팬카페 특성상 외부 커뮤니티만큼이나 규모가 거대함에도 내수용 밈의 비중이 크고 내부 규정이 상당히 엄격한 편이다.

이러한 부분을 고려한 기존 팬들이 여러 스트리머의 문화에 익숙해져 괴리감을 느낄 수 있는 유입들을 위해 유입 가이드와 유입들이 가질 만한 의문에 대한 설명을 자체적으로 작성해 제공하고 있다.


3.4. 팬덤의 적극적인 콘텐츠 참여[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팬덤의 콘텐츠 제작 참여에 대한 내용은 침팬치 문서
침팬치번 문단을
컨텐츠 생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반 농담으로 이세계아이돌의 성공 요인을 왁물원이라고 할 정도로 팬들의 콘텐츠 참여 열기가 활발하다. 단적으로 볼 수 있는 예시로 금손들의 고퀄리티 팬아트들이 매일같이 실시간으로 계속 쏟아져 나온다. 정말 프로급 일러스트레이터들이 아니면 그릴 수 없을 수준의 아름답고 예쁜 일러스트들이 팬아트로 몇 분에 한 번씩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이세계아이돌 팬아트 게시판의 회전율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팬들에겐 매일매일 왁물원에 접속해서 고퀄리티의 예쁜 팬아트들을 찾아보는 것이 하나의 일상이 될 정도이다.

사실 단순히 농담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이, 우왁굳에 의해 적극적인 시청자 참여 문화가 형성된 네이버 순위 2위 팬카페의 인적 자원은 돈을 주고도 살 수 없는 무형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이러한 팬심으로 모인 능력자들의 콘텐츠는 이세계아이돌의 콘텐츠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데뷔곡 RE : WIND를 작곡한 영바이브가 우왁굳 리믹스 콘텐츠를 만들던 네임드 팬치이며, 3집 KIDDING의 작곡가인 이태훈의 경우 직전년도 연말공모전 대상 수상작인 융터르를 작곡한 네임드 팬치이다.[15]

주르르언리얼 엔진 기반 콘서트 콘텐츠 Ju. T'aime는 무려 80여명의 인력이 참여했으며, 한 참여자가 다른 모든 참가자들의 급여를 최저시급으로 계산한 결과 무려 최소 10억 원의 인건비가 나왔다고 한다. 순수하게 팬심으로 재능기부한 것이 아니었으면 절대 나올 수 없는 퀄리티의 콘텐츠인 셈이다. 또한 이러한 콘텐츠를 감상한 다른 팬이 순수하게 이세계아이돌 콘텐츠에 참여하기 위해 자기계발을 하여 능력자가 되는 등 인적 자원의 선순환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6]

우왁굳에 의하면 오히려 정규 음원 발매곡들의 참여 인원이 5명 남짓으로 훨씬 적다고 한다.[17]


3.5. 버츄얼 걸그룹 & 버츄얼 스트리머[편집]


이세계아이돌은 버츄얼 스트리머인 동시에 버츄얼 걸그룹이다. 즉, 아이돌 가수 겸 스트리머 개념이다. 각 이세돌 멤버들은 트위치에서 개인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고, 유튜브에 편집된 영상을 올리는 전형적인 한국의 스트리머로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반면 실제로 음반을 발매하고, 팬미팅, 쇼케이스, 커버 곡 등 아이돌로서의 활동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세계아이돌 멤버들 모두 트위치 최상위권의 인기 스트리머들이다. 평소에는 평균 시청자 수는 세 자리 수를 가뿐하게 넘기며, 특별한 콘텐츠를 진행하는 날이거나 같은 타이밍에 동시에 방송하는 다른 멤버가 없는 경우라면 10,000명 ~ 20,000명 내외의 시청자 수를 보일 정도이다. 보통은 최소 3천 명 이상의 꾸준한 평균 시청자 수가 나오는 스트리머는 트위치 전체를 보아도 얼마 없다는 점을 미루어 보면 이세계아이돌 멤버들의 트위치 생방송 시청자 수가 굉장한 편이라는 걸 알 수 있다. 한국 스트리머 평균 시청자 순위에서는 멤버들 각자 30위 안에는 들며, 일부는 10위 안에도 든다. 특히 이세계아이돌 멤버인 아이네는 트위치 여성 스트리머들 중에서 평균 시청자 수 1위이다.[18]

이세계아이돌의 주요 콘텐츠 중 하나인 커버 곡 뮤직비디오들도 조회수를 100만도 넘기는 것도 있고, 1000만 내외인 것들도 있다. 신규 커버 곡을 낸다면 유튜브 인기 동영상 순위에 금방 오르는 경우도 많다.

다만 스트리머와 걸그룹 두 가지 활동을 동시에 하다 보니 어느 한 쪽으로 집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2022년 8월 27일 기준 현재 이세돌의 평균 방송 시간은 비슷한 평균 시청자의 다른 스트리머들과 비해 떨어지는 편인데, 이는 음원이나 커버 곡, 오리지널 곡의 작업 등 아이돌로서의 활동이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걸그룹으로서의 활동 빈도 또한 스트리머 활동의 영향으로 실제 아이돌과 비교하면 현저히 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은 반대로 이세돌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으로 작용한다. 두 가지 활동을 동시에 하기에 이는 다른 인터넷 방송인과 다른 이세계아이돌만의 고유한 특징이라고도 볼 수 있다.

스트리머라는 직업은 계속해서 어떤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직업이라서 자신만의 콘텐츠 개발은 스트리머들에게 꽤 필수적인 요소다. 하지만 이세계아이돌은 걸그룹이라는 활동이 곧 콘텐츠가 된다. 왁타버스라는 독특한 생태계에서 양질의 노래 뮤비를 제작하고, 가상의 공간에서 팬들과 만나는 등 모든 활동이 이세돌의 콘텐츠가 될 수 있으며 이세계아이돌만의 아이덴티티가 된다. 그리고 이렇게 차별화된 이세계아이돌만의 특징은 실제 활동에서 그 빛을 발하여 멤버 자신들이 스스로 콘텐츠를 준비하고 오리지널 곡, 커버 곡 등을 제작하는 등 굉장히 능동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이돌에 대한 고찰 | 클립라이트

해당 영상을 보면 우왁굳은 현실 아이돌과 팬들의 소통 부재의 원인은 사람의 성품이 아닌 구조적인 문제라고 규정했고, 차라리 스트리머처럼 쌍방향으로 소통해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즉, 이세계아이돌은 아이돌이자 스트리머이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비록 처음부터 설계된 것은 아니었지만, 이세계아이돌의 음악 활동은 기대를 뛰어넘는 성공을 거둬 각종 음원차트에 이름을 올리고 있고, 여러 매체도 소위 메타버스 시대를 대표하는 걸그룹으로 이세계아이돌을 소개하고 있다. (#, #) 이는 우왁굳이 지난 10여년간 일구어 놓은 무형 가치인 팬덤이 성공적으로 이세계아이돌 멤버들에게 전해졌으며 음원이 발매될 때마다 이들의 열렬한 응원과 엄청난 화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지금까지 국내에 아담이나 아포키 같은 개인 버츄얼 가수의 사례는 있어왔다지만 특히 이세돌은 한국에서 최초로 선보여지는 '버츄얼 걸그룹'이라는 점에서 관심도가 더 높아지고 있다. 외국에서는 이미 버츄얼 걸그룹으로 V.W.PK/DA[19] 등의 선례는 있었다지만 국내에서는 좀처럼 시도되기 어려울 거란 예상을 깨고[20] 음원도 우수한 성적을 내는 등 국내 버츄얼 음악 그룹으로써는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물론 이세계아이돌 이전에도 SM엔터테인먼트aespa가 최초로 메타버스 콘셉트를 앞세워 활동을 시작한 예시가 있긴 하지만 아무래도 에스파를 완전한 버츄얼 그룹으로 분류하기엔 무리가 있다.[21]


3.5.1. 해외 버튜버와의 차이[편집]


이세계아이돌은 멤버들의 신상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VRChat 아바타를 사용해 스트리밍을 하는 버츄얼 스트리머 그룹이기도 하다. 대한민국의 방송 환경에 맞게 일반 시청자가 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과한 디자인이나 컨셉은 배제하는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22], 실제 방송인과 화면에 출연하는 캐릭터를 서로 다른 존재로 분리하기 위해 노력하는 경향이 강한 일본의 버츄얼 유튜버와는 달리 이세계아이돌의 VRChat 캐릭터는 멤버를 대신하는 아바타로 취급한다. #

이세계아이돌은 아바타 캐릭터를 통해 자신들의 모습을 대체하며 활동을 한다. 아바타를 어디에, 어떤 식으로, 무엇을 목적으로 활용하느냐의 차이가 있다. 이세계아이돌 멤버들의 아바타는 단지 멤버들의 실제 모습을 대신하는 정도로만 쓰이는 데에 그칠 뿐이다. 해외 버츄얼 유튜버들의 경우, 정해진 캐릭터 그 자체가 하나의 살아 있는 존재로 보이기 위해 방송인이 그 캐릭터를 연기하는 데 주력한다는 것과는 다른 차이점이다. 이세계아이돌 멤버들은 아무런 연기도 하지 않으며, 아바타를 통해 실제 모습을 대신하는 것 외에는 멤버들의 모습 그대로를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이 때문에 이세계아이돌 멤버들의 방송은 VRChat 아바타가 화면에 비추어지고 있다는 사실만 빼면 여느 트위치 스트리머들과 방송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다. 반대로 일본의 버츄얼 유튜버를 이전부터 소비하던 시청자 중 일부는 방송인과 캐릭터가 분리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질감을 느끼며 이세계아이돌을 버츄얼 유튜버로 인정하지 않기도 한다.[23]

이에 우왁굳은 기존의 흔히 알려진 해외 버츄얼 유튜버인 홀로라이브니지산지, 키즈나 아이들을 보며 경쟁사라고 말하는 시청자들을 향해 이세계아이돌과 다른 버츄얼 유튜버는 전혀 다르다고 설명했다. 홀로라이브 등의 버츄얼 유튜버들은 허구의 캐릭터를 연기해서 그 캐릭터가 마치 살아있다는 느낌을 주는 게 핵심이고 그러기 위해서 캐릭터의 컨셉과 세계관을 만드는 작가, 짜여진 캐릭터를 연기하며 방송하는 성우, 경우에 따라서 행동을 연기하는 모션 캡쳐 배우 등 전문 인력이 달라붙어서 버츄얼 유튜버 한 명을 운영하는 구조라고 한다. 반면에 이세계아이돌은 그런 컨셉이나 세계관, 전문 인력이 없고, 꾸밈이나 가식 없이 있는 그대로를 보여준다고 하며, 이 둘의 수요층 구성에서도 차이가 있다고 말한다.


3.6. 포지션[편집]



3.6.1. 보컬[편집]


멤버 전체가 보컬 실력이 출중하고 균형이 잡혀 있는 만큼 보컬 그룹으로 보아도 약점을 찾기 힘든 팀이다. 멤버 구성을 보면 메인 프로듀서이자 사장인 우왁굳이 고심하며 멤버를 뽑은 티가 날 정도. 팀으로서 음색의 밸런스가 좋을 뿐 아니라, 개개인의 음감과 곡 해석력 또한 훌륭하다. 팀으로서 발표한 곡 말고도 각 멤버들이 각각 여러 곡을 커버했는데, 여섯 멤버의 커버 모두 하나같이 준수하다. 매우 뛰어난 메인보컬 라인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가창력이 부족하다는 평을 받던 고세구도 솔로 커버 곡인 팬서비스에서 자신만의 장점을 잘 보여준다.[24]

각 멤버들의 보컬 포지션은 공식적으로 정해진 바가 없으나, 다음과 같이 팬들 사이에서는 메인보컬 라인의 아이네릴파, 서브보컬 라인의 징버거, 주르르, 고세구, 비챤으로 나뉘는 일이 많다.

이세계아이돌 비공식 보컬 포지션
포지션멤버설명
메인보컬아이네목소리에 힘을 넣고 빼는 것이 자연스러워 곡에 따라 톤을 자유자재로 바꾸며, 최대 성량이 풍성하고 가진 바 음역대도 넓어 다양한 곡들을 소화할 수 있다. 랩이나 곡의 빠른 파트를 맡을 때에도 음감과 박자감각이 흔들리지 않는 등 특유의 그루브로 장르를 타지 않는 보컬리스트이다.
릴파실제 아이돌 출신이며 또한 재즈 보컬을 전공하여, 탄탄한 기본기가 갖추어져 있고 단단한 발성과 대중적인 음색을 지녔다. 폭발적인 고음역대를 안정적으로 소화하는 등 아이돌 메인보컬의 정석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한편 목소리의 무게를 조절하는 데에도 능숙해 중저음, 가성 등의 여러 가창에서도 다채로운 매력을 가진다.
서브보컬징버거처음 듣는 사람은 동일인물이 맞는지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목소리 톤을 가졌다. 깔끔하고 청량한 고음부터 걸크러쉬를 연상시키는 무거운 저음까지 풍부한 음역대를 가졌으며 노래에 따라 어디서 힘을 주고 어디서 톤업을 하며 어디서 숨을 넣을지를 정확하게 캐치할 수 있는 다양한 가창법 또한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르르그룹의 태생적 기반인 일본식 아이돌 스타일의 깨끗한 음색 자체를 부각시키는 방향의 보컬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두 사람 모두 목소리가 좋다고 평가받으며, 음감이 준수하고 자연스러운 가성의 활용 등 각자 개성을 드러내면서 자기 파트를 소화할 실력이 충분히 갖추어져있다.
고세구
비챤독특하다 싶을 만큼 음색과 창법의 개성이 강하여 자신만의 색깔을 지닌 보컬이다. 여기에 섬세한 음감까지 갖춰 팀의 활동곡이나 개인 커버 곡 등의 전반적인 가이드 보컬을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으며[25] 화음 가이드 또한 자주 도맡는 등 팀 전체의 톤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아이네, 징버거, 릴파, 비챤은 개성이 강하면서도 전반적으로 허스키한 톤이라 곡의 초반부, 후렴구, 절정 파트 등 중요한 부분의 연결부나 핀포인트가 될 만한 부분을 착실하게 쌓아가며, 주르르, 고세구는 특유의 맑고 고운 톤의 음색으로 하여금 곡의 톤을 높이고 전반적으로 통일성을 주는 역할을 하기에 보컬 그룹으로써 밸런스가 좋으며 통상의 걸그룹처럼 멤버 각자의 개성이 잘 융화되는 그룹이다.


3.6.2. 래퍼[편집]


메인래퍼 포지션은 특정 멤버를 꼽기 난감하다. 고세구가 메인래퍼라는 일종의 밈[26]이 있을 정도로 랩 실력도 우수하고 팬덤 사이에서의 이미지도 확고한 편이며, 멤버들 전원이 랩을 선보인 이세돌 싸이퍼의 프로듀싱 및 작사를 맡은 빕어 역시 고세구가 메인래퍼의 포지션에 적합하다고 보았다.[27][28] 하지만 이후 LOCKDOWNKIDDING의 랩 파트에 뽑히지 못하면서[29] 비공식적으로 메인래퍼 포지션은 릴파가 담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30][31]


3.6.3. 댄서[편집]


공식적으로 정하진 않았지만 팬들 사이에서는 메인댄서 포지션에서 돋보이는 멤버는 데뷔곡의 퍼포먼스를 담당한 릴파다. RE : WIND 뮤비의 댄스 파트 안무를 직접 모션 캡처했을 뿐 아니라 비어있는 구간의 동작을 즉석에서 제안했으며, 공연장 씬에서 멤버들이 다 같이 직접 춘 손동작 안무도 릴파가 만들었다. 이후로도 LOVE DIVE 커버의 뮤비를 비롯한 활동에서 멤버들의 모든 춤들과 동선을 릴파가 혼자서 연습하고 모션 캡처를 하는 등 계속해서 댄스 활동을 이어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징버거와 고세구 역시도 개인 방송을 통해 모션 캡처로 다양한 춤들을 곧잘 소화해내는 끼를 많이 보여주어 이 포지션으로 보는 일이 많은 편이다. 다만 고세구 본인의 말에 따르면 자신은 '있는 춤을 소화하는 건 가능하지만, 릴파처럼 안무를 만들거나 동선을 짜는 일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4. 인기 및 영향력[편집]


아래는 유명 인플루언서 및 매체들에서 이세계아이돌을 언급한 내용이다.


5. 기록[편집]



5.1. 멜론[편집]


파일:멜론 로고.svg멜론의 전당
앨범 부문
||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
멜론의 전당 - 앨범 부문
앨범명발매일1M 스트리밍발매 24h 스트리밍
1LOCKDOWN23.06.2221시간 40분 소요1,156,500
2Another World23.07.2118시간 20분 소요1,335,900
3KIDDING23.08.18 11시간 00분 소요2,109,700
4이세계 페스티벌23.09.24 11시간 50분 소요1,825,900




5.2. 빌보드[편집]



5.2.1. 빌보드 코리아[편집]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
빌보드 코리아 최고 순위
#연도제목최고 순위비고
12023KIDDING3위-


5.2.2. 빌보드 글로벌 200 (미국 제외)[편집]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
빌보드 글로벌 200 (미국 제외) 최고 순위
#연도제목최고 순위비고
12023KIDDING167위-


6. 오디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세계아이돌/오디션#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세계아이돌 오디션의 선발 과정은 일반적인 공중파 오디션의 포맷을 일부 차용하여 진행된 1차 오디션부터 최종 합격까지 50여일에 걸쳐 라이브로 진행되었다.

사전 녹화 후 편집되어 방영되는 보통의 오디션 프로그램들과 달리 인터넷 방송의 특성을 살려 모든 과정이 생방송으로 진행되었으며 시청자와 방송 출연진 간의 쌍방향 소통이 이루어졌다. 그뿐만 아니라 인기 멤버 투표 정도로 제한되는 일반적인 오디션 프로그램의 시청자 참여 요소가 오디션 중 실시간 채팅과 도네이션 등을 이용하여 적극적인 상호 작용이 가능했다.


7. 활동[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세계아이돌/활동#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 공연 및 행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세계아이돌/공연 및 행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

공연 및 행사 목록


[ 팬미팅 ]
파일:이세돌 팬미팅 포스터1.png

2021. 12. 19.
[ 쇼케이스 ]

[ 개인 콘서트 ]
파일:주뗌므 로고.png
파일:TOUR 포스터.png
파일:콘서트 포스터 A.jpg
파일:GoReal_credit.png

주르르

2022. 5. 15.

고세구

2022. 12. 18.

릴파

2022. 12. 23.

고세구

2023. 09. 10.
파일:Ruru-mas.jpg

주르르

2023. 12. 23.
[ 단체 콘서트 ]




8. 음악[편집]



8.1. 음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세계아이돌/음반 목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싱글 앨범
앨범제목장르발매일링크
1집
RE : WIND댄스 / POP2021년 12월 17일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V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
2집
겨울봄발라드2022년 3월 11일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V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
3집
KIDDING댄스 / POP2023년 8월 18일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V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
4집
미정2024년 ?월
참여 음반
OST
LOCKDOWN댄스 / EDM2023년 6월 22일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V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
OST
Another World댄스 / POP2023년 7월 21일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V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
ETC
이세계 페스티벌댄스 / POP2023년 9월 24일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2





8.2. 오리지널 곡[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세계아이돌/오리지널 곡#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2.1. 단체[편집]


순서
제목업로드
링크
2022년
01
But You Want More
2.1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2
이세돌 싸이퍼
4.2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3
뜨거운 목소리로
11.2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2.2. 유닛[편집]


아이네징버거릴파주르르고세구비챤

순서
제목업로드
링크
2021년
01
티파리 생제르망 응원가
12.1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2년
02
WF Waktaverse
9.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3. 커버 곡[편집]



8.3.1. 단체[편집]


순서
제목업로드
링크
2021년
01
장난기 기능
9.1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2
투니버스 메들리
1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3
It's Beginning To Look A Lot Like Christmas
12.2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
My WAKTAVERSE
12.2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2년
05
우마뾰이 전설
8.2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6
풍선
8.2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7
LOVE DIVE
9.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3.2. 유닛[편집]


아이네징버거릴파주르르고세구비챤

순서
제목
업로드
링크
2022년
01
Choose ME
1.2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2
SCIENTIST
3.1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3
봄날
4.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
TOMBOY
5.3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5
Butter
6.1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6
전하지 못한 진심
7.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7
목요일 밤
11.1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8
미리 메리 크리스마스
12.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년
09
アイドル
5.1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튜링 러브
12.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3.3. 개인[편집]


아이네징버거릴파주르르고세구비챤

순서
제목
업로드
링크
[ 2021년 ]

01
8.2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2
8.2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3
이세계아이돌의 노래 모음[1]
8.2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
8.2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5
연습실 1절 라이브 모음[2]
8.2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6
8.2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7
9.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8
9.1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9
9.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9.2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10.3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11.1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11.2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
11.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
1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
12.2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
JUST 4 U...<비공개>[3]
12.2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
12.2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2023년 ]

43
1.1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4
1.1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5
1.2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6
2.2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7
3.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8
3.2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9
3.3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0
4.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1
4.2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2
4.2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3
4.3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4
5.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5
5.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6
5.3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7
6.1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8
6.1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9
7.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0
7.28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1
8.1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2
8.1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3
9.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4
9.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5
忘れ物[1]
11.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6
11.3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7
12.3[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8
12.9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고멤가요제 MASHUP 이후 무려 336일만에 커버곡이다![2] 원래는 12월 2일 공개였으나 렌더링 이슈로 인해 다음 날 새벽인 12월 3일에 공개되었다.
[ 2024년 ]

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웹툰[편집]


이세계아이돌 x 카카오페이지 웹툰화 결정!
2022년 8월 10일 우왁굳이 방송에서 카카오페이지카카오웹툰이세계아이돌 공식 웹툰이 연재될 예정이라고 밝힌 이후 바로 그림 작가, 글 작가, 콘티 작가를 모집하는 공모전을 열었다. #

우왁굳과 카카오가 계약하면서 웹툰화가 결정되었으며 카카오 관계자들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공모전에서 선정된 작가는 카카오 소속이 아니라 왁타버스 소속 웹툰 작가라는 특이 케이스로 데뷔하게 되며 안정적인 연재를 위해 사전에 완결 내용까지 제작한 후 카카오페이지카카오웹툰에서 내년 즈음에 정식으로 공개할 계획으로 보인다.

웹툰은 장편이 아닌 단편으로 주 1회 연재될 예정이며 10~20화 가량의 짧은 회차 수로[43] 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 1화 분량은 약 70컷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장르는 공모전에서 글 작가가 선정되는 대로 정해질 것으로 보이나 연말공모전 같은 내수 문화가 아닌 무조건 외수 문화로, 이세돌에게 관심이 없는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스토리 라인으로 하여금 유입을 끌어들이는 걸 목표로 하기에 고멤을 비롯한 왁타버스 속 같은 여러 내수 요소들을 철저히 배제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웹툰이 잘될 경우 단행본을 출판을 할 수도 있다고 한다.



9.1.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실화) 여러분들 카카오에서 웹툰 발매했습니다.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 웹툰 캐릭터 초안 디자인
[ 펼치기ㆍ접기 ]

파일:아이네초안.jpg
파일:징버거초안.jpg
파일:릴파초안.jpg
파일:주르르초안.jpg
파일:고세구초안.jpg
파일:비챤초안.jpg



9.2.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편집]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 웹툰 캐릭터 초안 디자인
[ 펼치기ㆍ접기 ]

파일:학원물아이네.jpg
파일:학원물징버거.jpg
파일:학원물릴파.jpg
파일:학원물주르르.jpg
파일:학원물고세구1.jpg
파일:학원물비챤.jpg
파일:학원물눈나구.jpg



10. 팬덤[편집]






10.1. 팬카페[편집]





10.2. 응원법[편집]





11. 이모티콘[편집]





12. 월드[편집]





13. 여담[편집]





14. 관련 문서[편집]



[1] 법인으로 존재하지는 않는 가상의 엔터테인먼트 회사. 멤버들은 우왁굳과 계약관계로 운영되고 있으며, 각 멤버들의 개인 인터넷 방송인으로서 실질적인 소속패러블 엔터테인먼트이다.[2] 이세계 페스티벌 음원은 이세계 페스티벌 공연을 위해 기획한 음원이다 보니 기획은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유통은 YG PLUS가 담당하였다.[3] 원래는 우왁굳이 2014년부터 부계정으로 써왔던 채널로, 2022년 9월 20일 기준 현재는 왁타버스 채널로 변하여 사용 중이기 때문에 이세계아이돌 외 다른 고정 멤버 영상도 업로드된다.[4] 사장인 우왁굳의 팬 카페인 왁물원이세계아이돌을 위한 별도의 게시판 형태로 마련되어 있어 이세계아이돌의 팬 카페 역할을 겸하고 있다.[5] KIDDING 챌린지를 홍보하기 위해 개설하였다.[6] 데뷔곡 RE : WIND의 가사 일부이다.[7] 해당 구호는 2021년 12월 19일 진행된 이세계아이돌 1차 팬미팅에서 멤버 릴파로부터 처음 제안되었으나, 당시 급박한 행사 진행과 스테이지 자리별 볼륨 조절 등 여러 이슈로 인해 묻혔다가 2022년 2월 22일 ER 인비테이셔널에서 릴파에 의해 다시 팀 구호로 정해졌다. VRChat 싱크 때문에 다른 아이돌처럼 외치지는 않고 대개 선창자가 구호를 생략한다. 멤버들이 호스팅을 할 때, 받는 멤버가 이 구호를 외치는 경우가 있다.[8] 기획자 겸 대표인 우왁굳버츄얼 아이돌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며, 각 멤버들이 본업인 인터넷 방송 활동도 겸하기 때문에 버츄얼 유튜버, 스트리머로도 분류할 수 있다.[비공개] A B [9] 멜론, 네이버 VIBE, 벅스, 지니뮤직, FLO 등.[10] 실제로 이 프로젝트가 성공한 2023년 8월 28일 기준 현재는 상기한 내용들이 많이 바뀌었다. 개인 방송 및 유튜브는 데뷔와 함께 허용되어 진작에 모든 멤버가 유튜브 구독자 수 20만 이상에 트위치 평균 시청자 수 6천을 넘기는 중견급 규모로 성장했으며, 활동 기간 역시 예상 활동 기간이었던 1년을 훌쩍 넘겨 2년 동안 큰 논란 없이 순항 중이다. 무엇보다 왁물원이 왁타버스 관련 콘텐츠의 인력 사무소 역할 겸 이세돌 팬카페로 변모한 2023년 8월 28일 기준 현재, 이세돌이 우왁굳으로부터 독립할 가능성은 사실상 없어졌다. 우왁굳도 이세돌로 얻은 유입 팬층이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커졌고 방송 외적으로도 멤버들과 법적 계약을 맺으며 활동을 지원해주고 있기에 2023년 8월 28일 기준 현재로서는 큰 사고가 터지지 않는 이상 독립 가능성은 전무하다. 이세계 페스티벌 이후 처음 현실에서 멤버들을 만났을 때는 사진을 찍어도 되냐는 멤버들의 요청에 "어차피 앞으로 자주 보게 될 사이인데 사진은 굳이 필요 없지 않나"라며 대답하는 등 사실상 과거 우왁굳TV 같은 일명 가족계 노선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될 것임이 자명해졌다.[11] 주목도를 받는 것이 중요한 신입 방송인들에게 본인의 인지도를 활용하여 이름을 알려 스트리머가 될 기회를 주는 왁타버스의 전신격인 왁카데미 역시 이러한 시참 콘텐츠의 연장선상에서 기획된 콘텐츠였으나 갈수록 화제성이 점점 떨어지면 결국 폐지되었다.[12] 오히려 콘텐츠 시작 시점에서는 "성공 확률 0.2%"라는 상기 공지 내용에서 보듯 팬치들과 우왁굳 모두 단발성 무리수 기획 1 정도로 취급하는 경향이 강했다. 당시 오타쿠 문화에 부정적인 성향이 강했던 왁물원 분위기상 진지하게 이 기획이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팬층은 적은 수준이 아니라 아예 없었다.[13] 우왁굳TV의 시작은 GTA 4 시청자 참여방송에 자주 참여하는 팬들 여러 명을 모은 일종의 고정 멤버였으나 점차 천양, 개복어 등의 멤버들이 방송인으로 데뷔한 뒤 이것이 발전하여 게임방송 크루가 되었고, 이후 멤버인 함군이 크루원들을 중심으로 패러블 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며 2022년 11월 2일 기준 현재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우왁굳TV의 변천사는 2022년 11월 2일 기준 현재 왁타버스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특징과도 일맥상통한다.[14] 당장 왁물원 규정에서는 회원간 1:1 채팅 시도는 물론 심지어는 카페 스크린샷에 본인을 포함한 특정 회원의 이름을 가리지 않고 올리는 것 역시 금지사항일 정도로 친목질 관련 규정이 매우 엄격하다.[15] 다만, KIDDING과 융터르의 경우 계속 3집이 밀리며 융터르가 먼저 공개되었을 뿐 작업 자체는 KIDDING이 먼저였다.[16] 고세구 콘서트 TOUR언리얼 엔진 담당자인 한 팬은 Ju. T'aime를 보고 팬 콘텐츠에 참여하기 위해 언리얼 엔진을 독학했다고 한다.[17] 물론 팬심만으로도 충분히 많은 인원을 동원할 수 있지만, 잡음을 없애기 위해 정규 곡은 정식으로 비용을 쓴다고 한다.[18] 정작 아이네는 '트위치 여성 스트리머 평균 시청자 수 1위'라는 타이틀을 부담스러워 한다.[19] 설정상 K-POP 가수이기는 하나 소속사가 미국 본사인 라이엇 엔터테인먼트로 외국 그룹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20] 한국이 일본에 비해 소위 말하는 씹덕 감성에 대한 대중적인 거부감이 많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21] aespa는 현실 멤버들과 가상 멤버들이 함께 소속되어 있기도 하고, Savage를 발매하기 전까지 aespa의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활동도 사실상 없었다. 현실 멤버들이 큰 인기를 끌자 그 인기를 밑바탕으로 삼아 한발짝 늦게 세계관 확장에 나선 것이다. #[22] 이미 고세구의 '잼민컨셉'과 주르르의 헨타이 밈, 릴파의 전투메이드를 비롯한 서브컬처계 밈이 방송에서 자연스레 녹아들면서 데뷔 1주년쯤에는 사실상 사장된 이야기가 되었다. 특히 주르르의 경우는 오히려 팬들이 더 즐기는 추세.[23] 일본의 버츄얼 유튜버들은 캐릭터를 만들고, 이에 맞는 성우를 찾는 편이라면 이세계아이돌은 목소리와 성격에 맞춰 캐릭터가 설계됐다는 차이점이 있기 때문이다.[24] 발음, 음감, 보컬의 캐릭터성 면에서 딱히 흠잡을 데가 없다. 라이브 공연에서도 음원과 별 다를 바 없는 훌륭한 가창력을 보여 줬다.[25] 정식 데뷔곡 RE : WIND에선 서브보컬 포지션인 고세구가 곡 후반부 브릿지의 가이드 보컬을 담당했다. # 앞선 서술에서도 고세구의 곡을 예시로 들었지만, 서브보컬이라고 '아이돌 가수'로서 절대 부족한 실력이 아니라는 것. 또한 겨울봄에서는 비챤과 아이네가 함께 가이드 보컬로 나섰다.[26] 메인보컬을 노린다는 드립을 치다가 갑자기 메인래퍼를 노린다고 변경하며 생긴 밈.[27] 인트로에 마지막 벌스, 아웃트로를 가져가는 등 곡에서 고세구의 지분이 가장 높은데, 빕어가 작성한 후기에 따르면 후렴 파트까지 맡을 예정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비중이 너무 커져 멤버 모두가 조명되어야 할 단체곡에서, 혼자 눈에 띄어 자칫 주인공처럼 보일 우려가 있어 밸런스를 맞추고자 카메오로 뢴트게늄을 긴급 섭외했다고 한다.[28] 고세구의 랩이 들어간 오리지널 곡 But You Want More의 작곡가 리밋쿡이는 일부러 고세구한테 랩을 시키고 싶었다고 밝혔을 정도.[29] 다만 이는 고세구가 랩 실력이 부족하다거나 해서 뽑히지 못한 것이 아니라 LOCKDOWN과 KIDDING의 랩 파트는 소위 간지나게 소화해야 하는데 고세구의 목소리가 너무 귀여워서 맞지 않았다고 한다.[30] 릴파는 2023년 8월 21일 기준 현재 LOCKDOWN에 이어서 KIDDING에서도 랩 파트를 맡았고, 특히 KIDDING에서의 랩은 많은 사람들이 최애 파트 중 하나로 뽑을 만큼 호평을 받았다.[31] 다만 메인래퍼를 향한 고세구의 의지가 있는 만큼 고세구의 목소리와 어울리는 랩 파트가 나온다면 언제든지 고세구가 랩 파트를 맡을 수도 있다.[32] 해당 작품의 그림 작가가 왁물원의 오랜 회원이기도 하다.[33] 이름만 들으면 누구나 알 만한 프로그램의 서브 코너라고 한다.[34] 인터넷 방송인이자 오타쿠로도 유명한 과로사의 트위터이다. 과로사는 침팬치이자 이파리이기도 하다.[35] SBS의 자회사인 SBS디지털뉴스랩에서 제작, 편집, 기획하는 채널로써 SBS의 공식 채널은 아니다.[36] 2023년 7월 23일 기준[37] 멜론에서는 3관왕이라고 하지만 3회가 맞는 표현이다.[38] 정규 3집 KIDDING으로 버츄얼 아이돌 최초 멜론 TOP 100 6위와 그보다 더 진입이 어렵다는 멜론 일간 차트 41위(2023.09.25), 멜론 주간 차트 45위(2023년 9월 4주차 주간차트(2023.10.02)), 멜론 월간차트 57위(2023년 10월 종합 월간차트(2023.11.01))을 달성하였다.[39] 멜론 명예의 전당 3회[40] 2023년도 여자 아이돌 중 NewJeans, (여자)아이들 다음으로 멜론 주간인기상 TOP20 1위을 수상한 여자 아이돌 그룹이 되었다.[41] 파일:멜론 8월 4주차 주간인기상 1위.jpg[42] 파일:2023년 8월 4주차 멜론 주간인기상.jpg[43] 비교적 짧은 회차 수라고 생각될 법 하지만 만약 주 1회씩 휴재 없이 20화가 올라가면 최소 5달이 걸린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