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와사키 T-4

덤프버전 :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현대 일본 자위대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회전익기 경헬기TH-135, TH-480B, BK 117, OH-6(D/J)육/R, TH-55J육/R, H-13육/해/R
다목적 헬기EC225, S-61A해/R, OH-1, UH-60JA육/항, UH-1(BR/HR/J)/{UH-X}, H-19/S-55A/H-19C육/해/항/R
수송헬기MV-22, CH-47(J/JA)육/항, KV-107육/해/항/R, H-21B/V-44A항/육/R
공격헬기AH-1S, AH-64DJ
대잠헬기MCH-101, SH-60(J/K), MH-53E해/R, HSS-2(A/B)해/R
전투기1세대F-86(D/F)R
2세대F-104(J/DJ)R
3세대F-1R, F-4EJ/EJ 改R
4세대 / 4.5세대F-15(J/DJ, J 改/DJ 改), F-2(A/B)
5세대F-35A/{B}
6세대{GCAP}
수송기C-130(H/R), C-1A, C-2, YS-11, C-46DR
수상기/비행정US-2, US-1A해/R, HU-16해/R
무인기UAV보잉 스캔이글, {RQ-4}
지원기조기경보기E-767, E-2C/{D}
해상초계기P-1, P-3C, P-2J해/R, S2F-1해/R
전선통제기 / 연락기U-125A, U-4, U-36A, LR-2, LC-90R, LR-1육/R, LM-1육/R, 가와사키 KAL-2R
정찰기RF-86FR, RF-4(E/EJ)R, EP-2JR, EP-3
공중급유기KC-130R, KC-767J, {KC-46A}
전자전기EC-1, YS-11(EA/EB), {EC-2}
훈련기프롭후지 T-7, 후지 T-5, 후지 T-3R, KM-2육/해/항/R, 비치크래프트 B65R, T-34A(LM-1)R, T-6(D/F/G)R
제트T-33AR, 뱀파이어 T.55X/R, 후지 T-1(A/B)R, T-2R, T-4, T-400
특수목적기보잉 747-400R, 보잉 777-300ER, U-4, EC 225LP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 자위대: 해당 자위대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자위대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Kawasaki_T-4_2.jpg
川崎(川崎重工業) T-4 中等練習機
Kawasaki T-4

1. 개요
2. 특징
3. 운용현황
4. 여담
5. 변형 및 파생기종
6. 미래
7. 제원



1. 개요[편집]


일본 항공자위대가 사용하는 중등훈련기로, T-3/T-7 프로펠러기를[1] 사용하는 초등훈련과정을 수료한 학생조종사에게 본격적인 중등비행과정을 훈련시키기 위해 개발한 아음속 제트기이다.

1981년 4월에 일본의 방위청은 장기간 사용한 T-1 및 T-33A를 대체할 후계기종인 MT-X의 요구사양을 제시하고, 같은 해 9월에 가와사키 중공업의 설계안을 채택할 것을 결정했다. 가와사키 중공업이 주계약자(분담률 40%)가 되어 T-4의 개발과 생산을 맡고 미쓰비시 중공업후지중공업(현 스바루)이 부계약자로 협력했다. 탑재할 엔진은 1982년 10월에 이시가와지마 하리마에서 개발한 F3-IHI-30 터보팬 엔진으로 결정했다.

XT-4의 기본설계는 1981년부터, 상세설계는 1982년부터 시작했으며, 1983년에는 시제기 제작에 착수할 정도로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했다. 시제 1호기는 1985년 4월에 제작을 완료하여 1985년 7월 29일에 초도비행을 했다. 이후 4대의 시제기를 완성하여 시험비행을 마친 후 1988년 6월 28일에 양산형 1호기의 초도비행을 실시했다. 1988년 7월 28일에는 방위청 대신의 사용승인을 받아 같은 해 9월부터 양산형을 인도하기 시작했다.


2. 특징[편집]


T-4 중등훈련기는 2차 대전 이후 일본 정부가 정책적으로 육성한 항공기술을 결집하여 개발한 순국산 항공기이다. 이전에 국산 항공기로 개발한 NAMC YS-11의 경우는 영국제 터보프롭 엔진을 사용했으며, 미쓰비시 T-2 훈련기의 경우 역시 초음속 비행이 가능한 기체는 국내에서 개발했으나 엔진을 외국에서 수입했다. 그러나 T-4의 경우 기체의 개발은 가와사키 중공업이 주도하고 엔진의 개발은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산업(IHI)이 담당했다.

일반적인 형상이나 조종타면, 플랩, 에어브레이크 등에 복합재료를 최대한 사용하여 기체 중량을 줄였다. 전자장비는 J/ASN-3 링 레이저 자이로 AHRS, J/ASK-1 에어 데이터 컴퓨터, 디지털 데이터버스, HUD 등 최신 장비를 탑재했으며, OBOGS 및 캐노피 파쇄 탈출방식 등 최신 기술을 채택했다.

주익은 천음속 비행에 적합하도록 25% 익현에서 27.5˚의 후퇴각을 가지며, 도그투스와 작은 스트레이크를 설치해 저속에서부터 고아음속에 이르기까지 양호한 조종안정성과 스핀 특성을 지니고 있다. 고정무장은 없으며, 무장훈련용으로 주익에 설치된 2개소의 하드포인트에 훈련용 폭탄이나 로켓탄을 장착할 수 있다.


3. 운용현황[편집]


T-4는 1988년부터 항공자위대에 인도되기 시작했다. T-4 훈련부대로는 1989년 10월에 제31교육비행대가 편성되었고, 다음해 3월에 제32교육비행대가 편성되었다. 2개 비행대에 이어 각 전투비행대 및 정찰비행대, 그리고 지원부대에 훈련 및 업무연락용으로 많은 기체가 각 비행대에 차례로 배치되었다. 1994년에 8대가 블루 임펄스 곡예비행대에 인도되었다.[2]

이후 T-4은 2001년 3월에 마지막 T-1A/B를 대체하면서 일선부대의 배치가 완료되었으며, 2003년 3월 6일에 마지막 기체가 인도되었다. T-4의 생산대수는 4대의 XT-4 시제기를 포함하여 모두 212대이며, 15년 동안 꾸준하게 생산되면서 일본 항공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4. 여담[편집]


2013년 5월 12일, 미야기 현의 히가시마쓰시마시의 항공자위대 기지에 방문한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블루임펄스 소속 T-4를 타고 엄지를 든 채 사진을 찍었다가 물의를 빚은 적이 있다.#

파일:external/manipurupdate.com/shinzo-abe-1-.jpg
하필 기체 번호가 이것이었기 때문이다. 국제사회는 이를 고의적인 도발[3]로 해석하여 강력한 비판의 목소리를 내었고, 아베 총리 측은 모르고 찍은 사진이라며 실수라고 해명해야 했다.[4] 하지만 일본과 과거사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던 한국과 중국은 물론 동맹인 미국 외교가에서도 사진의 고의성에 대한 의혹을 지속적으로 제기했으며, 해당 T-4 탑승 사진은 아베 신조 총리의 극우적 성향을 상징하는 사진으로 자리 잡았다.

5. 변형 및 파생기종[편집]




6. 미래[편집]


2022년부터 개량을 통한 수명 연장 가능성 검토와 함께 후계기에 대한 사양요구서가 작성되었다.# 외국 기종 도입시 미국T-7A이탈리아M-346이 유력 후보이다.

7. 제원[편집]


카와사키 T-4 중등훈련기
형식쌍발 복좌 중등훈련기
전폭9.94m
전장13.02m
전고4.60m
주익면적30.84㎡
자체중량3,790kg
최대이륙중량7,500kg
엔진IHI F3-IHI-30 터보팬 × 2
각각 16.4 kN (3,680 lbf)
최대속도1,039km/h
실용상승한도50,000피트
최대항속거리1,670km
외부 무장최대 1,150kg
승무원2명
초도비행1985년 7월 29일(XT-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0:10:46에 나무위키 가와사키 T-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후지중공업) T-3는 노후화에 진행 됨에 따라, 후속모델인 T-7에게 바톤 터치하고 2007년에 전기 퇴역하였다[2] 사실 블루 임펄스F-2를 받을 계획이었으나 기체 가격이 미친 수준이라 T-4로 선회했다.[3] 같은 해인 2013년 3월,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시구 행사에 참여한 아베 신조 총리가 헌법 9조 (평화헌법) 개정을 위해 국민투표 발의 요건을 규정한 헌법 조항을 연상시키는 '96'을 등번호로 달고 나온 이력이 불과 2달 전에 있었기에 731 역시 숫자를 이용한 도발로 해석될 여지가 매우 컸었다.[4] 이후 아베 총리 측이 공식적으로 페이스북을 통해 업로드한 '미야기 현 방문' 사진은 기체 번호인 731이 잘려나가도록 편집되었으며, 아베 총리의 모습도 다소 무덤덤하게 나온 것들만 업로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