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명순

덤프버전 :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기한@)


[ 펼치기 · 접기 ]

제1-3대제4대제5-8대제10대
공덕귀육영수홍기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 윤보선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 최규하
제11·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이순자김옥숙손명순이희호
대통령 전두환
대통령 노태우
대통령 김영삼
대통령 김대중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
권양숙김윤옥-김정숙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 이명박
대통령 박근혜
대통령 문재인
제20대
김건희
대통령 윤석열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배우자
손명순
孫命順 | Son Myung-soon
출생1929년 1월 16일[1] (95세)
경상남도 김해군 진영면 신용리
(현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신용리)
사저서울특별시 동작구 매봉로2가길 11 (상도동)
활동기간제14대 대통령 배우자
1993년 2월 25일 ~ 1998년 2월 24일
[ 펼치기 · 접기 ]

본관밀양 손씨 (密陽 孫氏)
배우자김영삼
자녀슬하 2남 3녀
학력마산여자고등학교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약학 / 학사)
종교개신교

1. 개요
2. 생애
3. 가족관계
4. 둘러보기
5. 창작물에서



1. 개요[편집]


김영삼 전 대통령배우자이자 대한민국의 제14대 영부인.


2. 생애[편집]


파일:external/www.sisainlive.com/24882_48794_1933.jpg
김영삼의 서울대학교 졸업을 기념하는 손명순 여사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출신으로, 이순자와 마찬가지로 이화여대를 다니다가 남편을 만났다. 당시 이화여대는 금혼 학칙이 있어서 재학 중에 결혼하면 학교를 그만두어야 했는데[2],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에 다니다 중퇴하고 결혼한 이순자와 달리, 결혼 사실을 학교에 끝까지 숨기고 다녀 졸업한다.

첫 아이를 가졌을 때는 천으로 배를 두르는 고생을 해 가면서 겨우 약사 면허증을 땄지만, 약국을 개업한 적은 없다. 그리고 대한민국 대통령 배우자가 되면서 결국 장롱면허가 되었다.[3] 결혼 후에도 남편을 총재님 또는 대통령 각하 등 존칭으로 높여 부르는 것으로 유명하다가 남편의 대통령 임기가 끝난 뒤에야 말을 놓았다고 한다.

파일:1998년 청와대 만찬 자리의 손명순 이순자 이희호 김옥숙.jpg
1998년 청와대 만찬 자리에 모인
손명순, 이순자, 이희호, 김옥숙 부인들
1998년 김대중 전 대통령국민의 정부 시절, 김대중 전 대통령의 초청으로 4명의 전직 대통령 최규하,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이 청와대 만찬 자리에 함께 한 일이 있는데 당시 최규하 전 대통령의 아내인 홍기를 제외한 이순자, 김옥숙, 손명순, 이희호 4명의 영부인도 한 자리에 모였다.

손명순과 이순자가 나란히 붙어 앉은 사진 기록에는 서로 눈길도 주지 않는 등 여러모로 껄끄러웠던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두환 전 대통령과 김영삼 전 대통령의 정치적 관계를 고려한다면 그 부인인 둘의 관계 역시도 마냥 화기애애하지는 않았을 것으로 추정 가능하다. 비교적 단란한 모습을 보인 김옥숙, 이희호와는 비교되는 모습이기도 하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사망 이후 계속 상도동 사저에서 살고있다.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식사 및 간단한 운동까지 하며 구순이 넘었으나 건강에 문제없이 잘 지내고 있다고 한다. 본인보다 3살 연하인 노태우 전 대통령이 2002년 전립선암 수술 이후 2008년 경 소뇌위축증 발병 등 다양한 병환으로 10년 넘게 투병하다가 2021년 10월 26일 사망한 것과 대조되는 부분이다.

그로부터 4주 후, 전두환 전 대통령사망했을 때, 전두환 전 대통령의 빈소에 조화를 보냈다. 그래도 김영삼 전 대통령사망 당시 조문을 와 주었기에 최소한의 성의를 보인 듯 하다.


3. 가족관계[편집]


  • 아버지(1902~1977)
밀양 손씨 종가로 경상남도 마산의 대지주였다.

배우자.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이다.

  • 김혜영(1952~71세)
이덕화의 친구이자 딸이다. 둘은 초등학교 6학년 때(1964년) 같은 반이었다. 이때의 인연으로 이덕화1992년 제14대 대통령 선거 당시 김영삼 정치인의 지원 유세에 나섰고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기도 광명시 갑 선거구에 신한국당 후보로 출마하기도 했지만 낙선하면서 정치권에서 발을 끊었다.

  • 김은철(1956~67세)
동생과 달리 정치 근처에는 접근조차 하지 않으며, 미국에서 옷장사를 하며 평범하게 살고 있다. 본래 평범하게 살고자 했으나 서슬퍼런 제5공화국 시대에 대학 졸업후에도 야당 정치인이었던 아버지 때문에 도저히 일자리를 구할 수가 없었고, 심지어 김영삼이 5공 정권에 의해서 가택연금중이었기 때문에 결혼식도 아버지 없이 치러야 했다. 그 뒤에 곧바로 미국으로 이민가서 언론과 접촉을 피하면서 살고 있다. 사실상 미국으로 망명을 간 셈이다. 언론에 나온것도 국회에서 열린 남편 김영삼 전 대통령의 영결식에서 모자가 나란히 앉아있었던 장면이 전부였다. 5공때 미국으로 갔으니 무려 40년 이상을 한국과 거리두기를 하고 있다. 대통령의 아들임에도 근황이 거의 공개되지 않는 매우 특이한 케이스다.

형인 김은철과 달리 활발히 정치 활동을 했다.

제3대 공보처 장관이자 사촌 동생이다.


4. 둘러보기[편집]


||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49년8월 15일이승만대통령대한민국
1960년8월 13일윤보선대통령대한민국
1963년12월 5일12월 17일박정희대통령대한민국
1967년6월 23일육영수영부인대한민국
1979년12월 7일최규하대통령대한민국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12월 7일홍기영부인대한민국
1980년8월 29일8월 29일전두환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8월 29일8월 29일이순자영부인대한민국
1988년2월 24일2월 25일노태우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2월 24일2월 25일김옥숙영부인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김영삼대통령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손명순영부인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김대중대통령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이희호영부인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노무현대통령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권양숙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이명박대통령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김윤옥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9일박근혜대통령대한민국
2022년5월 3일문재인대통령대한민국
2022년5월 3일김정숙영부인대한민국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64년12월 3일12월 8일하인리히 뤼프케대통령서독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12월 3일12월 8일빌헬미네 뤼브케영부인서독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2월 1일2월 7일이스마일 나시루딘국왕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7일틍쿠 인탄 자하라왕비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10일푸미폰 아둔야뎃국왕태국
1966년2월 1일2월 10일시리낏 끼띠야콘왕비태국
1966년2월 1일2월 15일장제스총통중화민국
1968년5월 10일5월 18일하일레 셀라시에황제에티오피아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반티에우총통남베트남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티마이아인제1부인남베트남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하마니 디오리대통령니제르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아이샤 디오리영부인니제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대통령엘살바도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영부인엘살바도르
1975년6월 27일7월 5일오마르 봉고대통령가봉
1975년6월 27일7월 5일조세핀 봉고영부인가봉
1979년4월 17일4월 23일레오폴 세다르 상고르대통령세네갈
1979년4월 17일4월 23일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영부인세네갈
1980년5월 11일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국왕사우디아라비아
1980년5월 14일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1981년6월 25일수하르토대통령인도네시아
1981년6월 25일시티 하티나영부인인도네시아
1981년6월 29일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국왕말레이시아
1981년6월 29일틍쿠 아프잔왕비말레이시아
1981년7월 6일페르디난드 마르코스대통령필리핀
1981년7월 6일이멜다 마르코스영부인필리핀
1981년10월 13일로드리고 카라소대통령코스타리카
1981년10월 13일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영부인코스타리카
1982년5월 10일사무엘 도대통령라이베리아
1982년6월 7일모부투 세세 세코대통령자이르
1982년6월 7일보비 라다와영부인자이르
1982년8월 25일압두 디우프대통령세네갈
1982년12월 21일케난 에브렌대통령터키
1983년3월 10일3월 15일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대통령수단
1983년3월 10일3월 15일부띠나 칼릴 압불핫산영부인수단
1983년9월 10일후세인 1세국왕요르단
1983년9월 10일누르왕비요르단
1984년4월 9일하사날 볼키아국왕브루나이
1984년4월 21일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국왕카타르
1984년8월 30일9월 13일다우다 자와라대통령감비아
1984년8월 30일9월 13일치렐 자와라영부인감비아
1985년5월 17일무함마드 지아울하크대통령파키스탄
1985년5월 20일루이스 알베르토 몽헤대통령코스타리카
1986년9월 4일4월 10일엘리자베스 2세국왕영국
1986년9월 4일4월 16일보두앵국왕벨기에
1987년4월 7일아메드 압달라대통령코모로
1988년11월 3일이스칸다르국왕말레이시아
1988년11월 3일자나리아왕비말레이시아
1989년11월 3일11월 20일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대통령서독
1989년11월 3일11월 30일프랑수아 미테랑대통령프랑스
1989년11월 3일11월 30일다니엘 미테랑영부인프랑스
1990년6월 21일안드레스 로드리게스대통령파라과이
1990년11월 5일괸츠 아르파드대통령헝가리
1991년9월 13일아즐란 샤국왕말레이시아
1991년9월 13일투안쿠 바이눈왕비말레이시아
1991년9월 25일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대통령멕시코
1992년8월 13일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대통령과테말라
1993년5월 20일5월 25일피델 라모스대통령필리핀
1993년5월 20일5월 25일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영부인필리핀
1994년11월 7일11월 21일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대통령칠레
1994년12월 5일12월 9일레흐 바웬사대통령폴란드
1995년2월 7일2월 16일이슬람 카리모프대통령우즈베키스탄
1995년2월 21일3월 6일로만 헤어초크대통령독일
1995년3월 28일4월 3일젤류 미테프 젤레프대통령불가리아
1995년6월 26일7월 7일넬슨 만델라대통령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9월 26일9월 29일카를로스 메넴대통령아르헨티나
1996년7월 23일9월 4일알바로 아르수대통령과테말라
1996년7월 23일페르난두 카르도주대통령브라질
1996년10월 8일10월 20일후안 카를로스 1세국왕스페인
1996년10월 8일10월 20일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왕비스페인
1996년11월 26일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국왕말레이시아
1996년12월 10일12월 15일레오니드 쿠치마대통령우크라이나
2000년2월 22일3월 3일카를로 아첼리오 참피대통령이탈리아
2000년2월 22일3월 6일자크 시라크대통령프랑스
2006년3월 12일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대통령알제리
2007년3월 26일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2007년3월 28일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국왕카타르
2009년5월 13일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대통령카자흐스탄
2009년11월 12일알란 가르시아대통령페루
2012년5월 30일칼 16세 구스타프국왕스웨덴
2012년11월 21일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대통령아랍에미리트
2018년10월 8일에마뉘엘 마크롱대통령프랑스
2019년하랄 5세국왕노르웨이
2021년6월 14일알렉산더 판데어벨렌대통령오스트리아
2021년6월 16일펠리페 6세국왕스페인
2021년6월 16일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왕비스페인
2021년8월 25일이반 두케대통령콜롬비아
2021년9월 21일보루트 파호르대통령슬로베니아
2023년7월 13일안제이 두다대통령폴란드
2023년11월 21일찰스 3세국왕영국





5. 창작물에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6:07:47에 나무위키 손명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음력 1928년 12월 6일.[2] 이것은 이화학당 시절에 생겨난 교칙으로, 신체적ㆍ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소녀들이 조혼(강제결혼)으로 학업을 중단당하는 사태를 막기 위하여 당시 미국인 선교사들이 제정한 것이었다. 그러나 시대가 바뀜에 따라 금혼 학칙은 오히려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 되었고, 2003년에 폐지되었다.[3] 남편 김영삼은 익히 알려져 있다시피 20대 때부터 야당 국회의원 생활을 했을만큼 금수저 집안이었다. 서슬퍼런 시대에 아들을 야당의 정치인 시킬 수 있을 정도로 시가의 살림살이가 워낙 부유했고 친정 역시 대지주 집안이었기에 일부러 약국을 개업하지 않아도 충분히 먹고 살 수 있는 상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