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언어 관련 정보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이 문서는 언어언어학에 대한 정보를 모은 메타 문서이다.


2. 개별 언어 관련 정보[편집]



2.1. 자연언어[편집]


가나다 순에 의한 간단한 목록은 외국어를 참조.
※ 앞에 '†'가 붙은 항목은 사멸한 언어.
※ 뒤에 '(✍)'가 붙은 항목은 일상어로서 통용되지 않고 문헌 기록 및 종교 전례상으로 통용되고 있는 언어.
C : 크리올어(Creole), lf : 링구아 프랑카(lingua franca)


2.1.1. 니제르콩고어족[편집]



2.1.2. 아프리카아시아어족[편집]


아프리카아시아어족
Afroasiatic languages
[ 펼치기 · 접기 ]

셈어파동셈어군아카드어 · 에블라어
북서셈어군아람어(서신아람어 · 투로요어 · 아시리아 신아람어 · 칼데아 신아람어 · 만다야어 · 시리아어 · 사마리아 아람어 ) · 가나안어(히브리어 · 사마리아 히브리어 · 페니키아어 · 퓨니크어) · 아모리어
남서셈어군아랍어 ( 아랍어 방언 · 이집트 아랍어 · 하사니야어 · 차드 아랍어 · 수단 아랍어 · 주바 아랍어 · 중앙아시아 아랍어 · 마그레브 아랍어 ) · 몰타어
남부셈어군사바어 · 하드라마우트어 · 라지흐어 · 소코트라어 · 메흐라어 · 하라시스어 · 그으즈어 · 암하라어 · 티그리냐어 · 티그레어
이집트어파콥트어 · 고전 이집트어
베르베르어파누미디아어 · 관체어 · 카빌어 · 리프어 · 실하어 · 샤위아어 · 투아레그어 · 제나가어 · 시와어 · 가다메스어 · 타마지트어
차드어파하우사어 · 론어 · 볼어 · 바데어 · 부라어 · 투막어
쿠시어파소말리어 · 오로모어 · 아파르어 · 베자어
오모어파월라이타어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2.1.3. 나일사하라어족[편집]


  • 코무즈어파
  • 사하라어파
  • 송가이어파
  • 푸르어파
  • 마바어파
  • 쿠나마어파
  • 베르타어파
  • 중부 수단어파
  • 동부 수단어파

2.1.4. 코이산 제어[편집]



2.1.5. 인도유럽어족[편집]




게르만어파
[ 펼치기 · 접기 ]

북게르만어군동스칸디나비아어군노르웨이어(보크몰) · 덴마크어 · 스웨덴어
서스칸디나비아어군노르웨이어(뉘노르스크) · 아이슬란드어페로어 · 노른어
서게르만어군북해 게르만어군
Ingvaeonic
앵글어군영어(고대 영어) · 스코트어 · 욜라어 · 핑갈어
프리지아어군프리지아어
저지 독일어
저지 프랑크어군
Istvaeonic
네덜란드어 · 플람스어 · 림뷔르흐어 · 아프리칸스어
고지 독일어
Irminonic
중부 독일어룩셈부르크어 · 표준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상부 독일어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이디시어 · 랑고바르드어
동게르만어군고트어 · 크림 고트어 · 반달어 · 부르군트어
* 취소선: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서게르만어군
    • 고지 독일어
      • 독일어
        • 이디시어[1]
      • 룩셈부르크어
    • 저지프랑코니아어
    • 북해게르만어


로망스어군
[ 펼치기 · 접기 ]

라틴어서부 로망스어군갈리아이베리아어이베리아로망스어갈리시아포르투갈어포르투갈어 · 갈리시아어
아스투리아스레온어레온어 · 미란다어 · 아스투리아스어
카스티야어스페인어 · 라디노어
아라곤어아라곤어
모사라베어모사라베
갈리아로망스어오크로망스어오크어 ( 랑그도크어 · 가스코뉴어 ) · 카탈루냐어 ( 발렌시아어 )
오일어프랑스어 · 노르만어 · 왈롱어
프랑코프로방스어프랑코프로방스어 (리오네 방언 · 도피네 방언 · 사부아 방언 · 아오스타 방언 · 보 방언 · 쥐라 방언)
레토로망스어로망슈어 · 라딘어 · 프리울리어
갈리아이탈리아어갈리아이탈리아어 ( 피에몬테어 · 리구리아어 · 롬바르드어 · 에밀리아어 · 로마냐어 · 모나코어 ) · 베네토어
이탈리아달마티아어(1)토스카나어 ( 이탈리아어 · 코르시카어 ) · 중부 이탈리아어 · 움브리아어(2) · 칼라브리아어 · 나폴리어 · 아브루초어 · 시칠리아어 · 이스트리아어 · 달마티아어
동부 로망스어군루마니아어 · 아루마니아어 · 이스트로루마니아어 · 메글로루마니아어
남부 로망스어군사르데냐어 · 아프리카 로망스어
{{{-3 * ※ 취소선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1): 동부 로망스어군이나 따로 중부 로망스어군으로 보는 견해도 있음.
* (2): 오스크움브리아어군이 아닌, 중앙이탈리아어의 방언임.}}}






2.1.6. 드라비다어족[편집]



2.1.7. 카르트벨리어족[편집]



2.1.8. 북캅카스어족[편집]


  • 체르케스어파
  • 아바자-압하스어파
  • 나흐어파
  • 다르기어(다르과어)
    • 다르과어
    • 카이다크어
    • 쿠바치어
    • 이차리어
    • 치라그어
  • 라크어
  • 레즈긴어파
    • 아르치어
    • 동레즈긴어파 : 타바사란어, 레즈긴어, 아굴어, 우디어
    • 서레즈긴어파 : 루툴어, 차후르어
    • 남레즈긴어파 : 크루츠어, 부두흐어
  • 아바르안디어파
    • 아바르어, 안디어
  • 체즈어파
    • 동체즈어군
      • 베시타어, 훈지브어
    • 서체즈어군
      • 디도어(체즈어), 흐바르시어, 히누흐어
  • 히날루그어

2.1.9. 우랄어족[편집]




2.1.10. 중국티베트어족[편집]


중국티베트어족
[ 펼치기 · 접기 ]

한어파중국제어관화 (표준중국어) · 오어 · 상어 · 감어 · 객가어 · 민어 (대만어) · 광동어 · 둥간어
티베트버마어파보도나가어군보드어 · 나가어 · 타니어 · 발티어 · 라다크어
히말라야어군티베트어 · 종카어 · 셰르파어 · 렙차어 · 키란티어 · 림부어 · 네와르어
창어군얼수어 · 리주어 · 창어 · 서하어
롤로버마어군미얀마어 · 이어 · 나시어 · 하니어 · 라후어
카친어군카친어 · 농어 · 삭어
카렌어군파오어 · 풔어
기타바이어 · 마니푸르어 · 투자어
* 취소선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중국어의 역사와 변천
[ 펼치기 · 접기 ]

상고한어
(上古漢語)
(기원전 13세기~기원후 3세기)
중고한어
(中古漢語)
(3세기~13세기)
관화 - 진어관화
(官話)
북경관화(표준중국어) · 동북관화 · 중원관화 · 난은관화 · 기로관화 · 강회관화(남경어) · 교료관화 · 서남관화(민강화)
진어
(晉語)
오어 - 휘어오어
(吳語)
북부오어(상해어 · 조주어) · 남부오어 · 서부오어
휘어
(徽語)
상어
(湘語)
호남어(湖南語) · 길숙방언 · 장사방언 · 누소방언
감어 - 객어감어
(竷語)
창정방언 · 의유방언 · 길차방언 · 무광방언 · 회악방언
객가어
(客家語)
오화어 · 매현방언 · 대만 객가어
월어 - 평어월어
(粤語)
광동어(廣東語) · 싱가포르 광동어 · 태산어(台山語)
평어
(平語)
민어
(閩語)
민남어
(閩南語)
복건어
(福建語)
대만어(臺灣語) · 하문어(廈門語) · 천주어 · 싱가포르 민남어
조주어
(潮州語)
민북어
(閩北語)
건구어 · 건양어
민동어
(閩東語)
복주어 · 복청어 · 복안어 · 만어 · 마조어
민중어
(閩中語)
삼명방언 · 영안방언 · 사현방언
보선어
(莆仙語)
소장어
(邵將語)
경뢰어
(瓊雷語)
해남경어
(海南瓊語)
뇌주어
(雷洲語)
한문(漢文)




2.1.11. 일본어족[편집]


일본어족
[ 펼치기 · 접기 ]

일본어파일본어 · 하치조어
류큐어북류큐어군아마미어(북아마미오시마어 · 남아마미오시마어 · 토쿠노시마어 · 키카이어) · 쿠니가미어(오키노에라부어 · 요론어) · 오키나와어(중앙 오키나와어)
남류큐어군미야코어 · 야에야마어 · 요나구니어






2.1.12. 몽몐어족[편집]



2.1.13. 튀르크어족[편집]


튀르크어족
[ 펼치기 · 접기 ]

보편 튀르크어파차가타이어파동부 차가타이어파위구르어 · 에이누어 · 일리 투르키어
서부 차가타이어파우즈베크어 · 우즈베크 남부 방언
차가타이어
오구즈어파동부 오구즈어파투르크멘어 · 우즈베크 오구즈 방언 · 호라산 튀르크어
서부 오구즈어파튀르키예어 · 아제르바이잔어 · 가가우즈어 · 오스만어
남부 오구즈어파카슈카이어 · 아프샤르어 · 차하르마할어 · 아이날루어
살라르어
시베리아어파남시베리아어파사얀어파투바어 · 토파어 · 두하어
알타이어파북부 알타이어
예니세이어파서유구르어 · 하카스어 · 푸위 키르기스어 · 쇼르어
출름어파출름어
북시베리아어파돌간어 · 사하어
킵차크어파킵차크-노가이어파카자흐어 · 시베리아 타타르어 · 노가이어 · 카라칼파크어 · 페르가나 킵차크어
킵차크-불가르어파바시키르어 · 타타르어
킵차크-쿠만어파카라차이-발카르어 · 쿠미크어 · 크림 타타르어 · 카라임어 · 우룸어
킵차크-키르기즈어파남부 알타이어 · 키르기스어
아르구어파할라지어
오구르어파추바시어 · 불가르어




2.1.14. 크라다이어족[편집]




2.1.15. 오스트로아시아어족[편집]



2.1.16. 오스트로네시아어족[편집]


각 사용 지역별로 우세한 언어를 분류하면 이하와 같다. 어군 단위 분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문서 참조.

2.1.17. 몽골어족[편집]



2.1.18. 퉁구스어족[편집]



2.1.19. 예니세이어족[편집]



2.1.20. 파마늉아어족[편집]



2.1.21. 고시베리아 제어[편집]


고시베리아 제어(Paleosiberian languages)는 시베리아에 존재하는 여러 언어를 통칭하는 지리적 분류이다. 이에 속하는 어족들은 어느 정도 언어학적 특성을 공유하지만, 상위 어족을 설정할 수 있을 정도로 확실히 입증된 기존 어족 간 계통관계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 니브흐어 (고립어)[3]
  • (아이누어) (고립어)[4]
  • 예니세이어족[6]
    • 북예니세이어파
    • 남예니세이어파(†)[5]
  • 축치캄차카어족[7]
  • 유카기르어족[10]
    • 북유카기르어 (툰드라유카기르어)
    • 남유카기르어 (콜리마유카기르어)
    • 오모크어(†)[8]
    • 추반어(†)[9]

2.1.22. 파푸아 제어[편집]



2.1.23. 아메리카 원주민 제어[편집]




2.1.24. 한국어족[편집]




  • 한국어[12]





2.1.25. 고립어[편집]



2.1.26. 우랄 알타이 제어[편집]


학술적 목적으로 분류하는 가상의 어족. 현재 학계에서 정설로 받아들이고 있지 않다. 특히 우랄어족은 정식으로 실재하는 것으로 인정받지만, 알타이 제어는 아직까지도 근거가 부족한 가설로 평가한다. 더욱이 우랄-알타이 제어는 현 학계 관점에서 통합하기 무리가 있는 가설로 본다. 가설로서 참고만 할 것.



2.1.27. 미분류 언어[편집]



2.1.27.1. 고유럽 제어[편집]


2.2. 혼성어[편집]



2.3. 인공어[편집]



2.3.1. 국제 공용어를 목표로 만든 언어[편집]



2.3.2. 예술어[편집]



2.3.3. 공학언어[편집]


  • 로지반
  • 프로그래밍 언어 [13]

2.3.4. 기타 인공어[편집]




3. 문자 관련 정보[편집]


문자 체계
[ 펼치기 · 접기 ]

상징 문자
미해독 문자
해독 문자
그림문자/표의 문자
상형문자
표어문자음절 기반 표어문자
자음 기반 표어문자
표음문자분절 문자아부기다모음 기반 아부기다
종성-다이어크리틱 기반 아부기다
초성 기반 아부기다
아브자드
알파벳대체 알파벳
비자질 알파벳
음절 구조 알파벳
자질 알파벳
특수 알파벳장거리 신호
지문자
촉각 알파벳
음절문자반음절문자












4. 언어학 관련 정보[편집]







자음의 분류
[ 펼치기 · 접기 ]



4.1. 언어학, 국어학 관련 인물[편집]



5. 국문법 관련 정보[편집]





5.1. 외래어 관련 정보[편집]




6. 언어학 관련 학문[편집]


언어학의 하위 범주는 아니지만 언어학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학문들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음성학을 언어학의 하위 학문이 아닌 별개의 학문으로 보기도 한다.



7. 관련 문서[편집]



7.1. 속어/유행어[편집]


속어 유행어 관련 정보 참조 바람.


[1] 독일어 방언을 바탕으로 해서 히브리어의 어휘와 표현을 대폭 받아들인 유대인의 언어다.[2] 하나의 언어는 아니다. 다른 인도네시아 지역 우세어들과 달리 필리핀어군에 속한다.[3] 축치캄차카어족과의 계통적 연관성을 주장하는 축치캄차카아무르어족(Chukokto-Kamchatkan-Amuric) 가설이 있다.[4] 일부 문헌에서 고시베리아 제어로 함께 묶인다. 그러나 다른 고시베리어 제어와 묶어 상위 계통 분류를 주장하는 유력한 가설은 없으며, 기껏해야 니브흐어와 약간의 역사적 언어 교류가 있었다는 정도가 지적되고 있다.[5] 19세기 중반 사멸[6] 북아메리카에서 사용되는 나데네어족과의 계통적 연관성을 주장하는 데네예니세이어족(Dene-Yeniseian) 가설이 있다.[7] 다른 고시베리아 제어 언어들 외에도 북아메리카에서 사용되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과의 언어학적 유사성이 종종 지적되고 있다.[8] 18세기 사멸[9] 18세기 사멸[10] 우랄어족과의 계통적 연관성을 주장하는 우랄유카기르어족 가설이 있다.[11] 알래스카 일부 지역에서 2008년 1월 21일에 마지막 원어민 사용자인 마리 스미스 존스가 죽으면서 사어가 되었다. 그가 죽기 전부터 학자들은 그를 통해 에야크어 자료를 얻었고, 그보다 훨씬 앞선 1960년대부터 Michael Krauss가 Anna Nelson Harry라는 사람을 통해 에야크어로 된 음성 자료 및 기록 자료를 축적하였기에 에야크어 자료가 비교적 여럿 존재한다.[12] 고립어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나, 일부에서 한국어와 제주어(제주도 방언)를 별개의 언어로 보고 한국어족을 설정하기도 한다.[13] 프로그래밍 언어/종류 참조.[14] 데바나가리문자와 싯다마트리카 문자(실담자)는 각각 범자(梵字)의 이서체(異書體)라고 판단하여 항목이 개설되지 않은 후자를 제하였음[15] 8,90년대를 풍미했던 개그맨 맞다. 2000년대 이후로는 언어학자로 변신하여 국립국어원성균관대학교에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