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돈(동음이의어)

덤프버전 :

1. 한국어
1.1. , 경제 개념
1.2. , 단위
2. 한자
3. 외국어
3.1. Dawn, 새벽
3.2. Don, 이빨
4. 인명
4.1. Don, 호칭
4.2. Don, Donald의 약칭
4.3. 실존인물
4.4. 가상인물
4.5. Donn, 켈트 신화의 죽음의 신
4.6. 돈씨, 한국의 성씨
5. 지명
5.1. 돈나라(頓), 춘추시대의 국가
5.2. 돈강(Дон), 러시아의 강
6. 작품명
6.1. , 한국 영화
6.2. , 프랑스 영화
6.3. , 인도 영화


1. 한국어[편집]



1.1. , 경제 개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돈#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 단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돈(단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한자[편집]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11~106위]
[107~308위]
5 4 3 2
[309~407위]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한국 한자음으로 '돈'으로 읽는 한자는 꽤 있으나 대부분 특급한자이다. 享이 들어가는 글자가 많으며 대체로 인명에서 자주 쓰인다.


2.1. [편집]


돼지를 가리키는 3급 한자. 돈육(肉), 한돈(韓), 돈가스(←日 : カツ)등 주로 고기 관련 단어에 쓰인다.

豚을 한국에서 '돈'으로 읽지만 일본어에서도 'とん(ton)으로 읽는다. 원래 '-on' 계열의 음이 한국/일본에서 큰 차이가 없는 편이기는 하다.


2.2. [편집]


'두텁다'를 나타내는 3급 한자. '돈독하다', '돈후하다'의 '돈'이 이 '돈'이다. 한양도성의 서대문인 돈의문, 창덕궁 돈화문도 같은 한자를 쓴다.


3. 외국어[편집]



3.1. Dawn, 새벽[편집]


영어로 새벽을 뜻한다. 이 단어가 쓰인 노래로 Before the Dawn, Dawn on the Side를 꼽을 수 있다.


3.2. Don, 이빨[편집]


그리스어로 이빨을 뜻하며 δόντια에서 유래되었다. 일본 특촬물의 괴수 중에 유달리 라돈, 지저괴수 구돈, 지저괴수 테레스돈 등 '돈' 자로 끝나는 이름을 가진 이들이 많은 편인데 이러한 생물들의 작명법에서 유래된 것이다.



4. 인명[편집]



4.1. Don, 호칭[편집]


스페인, 이탈리아, 멕시코, 콜롬비아 등 남부유럽과 중남미의 호칭. 상대 남성의 존칭으로도 쓰인다. 여성형은 Doña이다. 어원은 주군이나 주인을 뜻하는 라틴어 Dominus. 직역하면 '(翁)' 정도의 뜻이지만, 한국어 나리보다는 권위적인 뉘앙스가 덜하다. 원래 과거에는 영어의 lord와 동격으로서 귀족에게 붙는 칭호였는데, lord가 고위 귀족에 한정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don은 왕부터 작위 없는 하급 귀족, 평사제 등 성직자까지 범용적으로 사용된다.[1][2] 유명한 예로는 돈 후안(돈 조반니), 돈 보스코, 돈 키호테, 돈 콜레오네가 있다.

마피아의 두목급의 호칭으로 쓰이기도 한다. 헌터×헌터에 나온 십로두도 영어 더빙이나 번역으로 이걸 써서 Ten Dons라고 썼다.

파블로 에스코바르메데인에 돈을 엄청나게 뿌린 결과 지역 주민들은 그를 구세주처럼 떠받들며 '돈 파블로'라고 불렀다고 한다.

4.2. Don, Donald의 약칭[편집]


Don. 영미권의 이름으로 도널드의 약칭이다. 유명인으로는 영화감독 돈 시겔이나 프로듀서 돈 심슨, 메이저리그 LA 다저스 감독 돈 매팅리 등이 있다.


4.3. 실존인물[편집]




4.4. 가상인물[편집]


실제로 이름 앞의 '돈'이 우두머리를 뜻하는 그 'Don(首領)'이 맞다.


4.5. Donn, 켈트 신화의 죽음의 신[편집]



[ 펼치기 · 접기 ]
주신
다누* · 누아다 아르게틀람 · 루 라와더 · 다그다 모르
남신
고브누 · 델바 · · 디언 케흐트 · 레르 · 루어던 · 루흐타너 · 마나난 막 리르 · 미더르 · 미어흐 · 보브 · 삼한 · 아브칸 · 아살 · 에드 리르그네흐 · 에르미어흐 · 오그마 · 오하드 브레스 · 옹구스 · 카르브러 · 케르마트 · 케헨 · 쿠 · 크레너 · 키언 · 티란 · 티란의 아들들(브리언 · 우하르 · 우하르바) · 피어허
여신
네반 · 니어브 · 도난 · 루어드 · 모리안(모리안 · 마허 · 바이브) · 베빈 · 베 힐러 · 보안 · 브리짓 · 아너 · 아누 · 아르메드 · 에른마스 · 에리우와 자매들(에리우 · 반바 · 포들라) · 에탄 · 에포나 · 카너 클루모르 · 판 · 플리다스 · 피누얼러
관련 문서
아일랜드 신화 · 포모르 · 투어허 데 다넌의 4대 보물
*어떠한 신격인지 전해지는 바가 없음.



파일:Oileán_Baoi_(Dursey_Island),_The_Bull_-_geograph.org.uk_-_284005.jpg
테흐 딘으로 추정되는 아일랜드 남서부 해안의 불(Bull) 바위.
아일랜드 신화의 죽음의 신이자 게일인의 조상. 테흐 딘(Tech Duinn)[4]이라는 집에서 거주하며 죽은 자의 영혼을 모아 둔다. 후대 전승애서는 하얀 말을 타고 질주하는 유령 기사로 묘사된다. 유언으로 자식들이 테흐 딘에 모여 경야를 하게 했다고 한다.

4.6. 돈씨, 한국의 성씨[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돈(성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지명[편집]



5.1. 돈나라(頓), 춘추시대의 국가[편집]


춘추시대에 존재하던 소국.

작위는 자작이며, 지금의 하남성 항성현 서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 후에는 쇠약해져 진(통일왕조)(秦)의 속국이 되었다가 초나라(楚)의 속국이 되었다. 하지만 그 뒤에는 초(楚)의 행위를 보고 배신하였으며 기원전 496년에 초(楚)의 공격으로 멸망하였다.


5.2. 돈강(Дон), 러시아의 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돈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로스토프나도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작품명[편집]



6.1. , 한국 영화[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돈(2019)#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 프랑스 영화[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돈(1983)#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 인도 영화[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돈(2006)#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8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8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1] 에스파냐 국왕 펠리페 6세를 돈 펠리페로 칭하는 [2] 높으신 분을 뜻하는 한자인 君이 점차 용법이 확대되고 특히 일본에서 2인칭 대명사로까지 자리잡은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물론 Don의 용법이 君과 같은 것은 아니지만, 의미과 확대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는 이 비유가 도움이 될 것이다. 영국에서도 역시 젠트리 등 하위 상류층한테 쓰인 gentleman 등과 동격으로 쓰이던 mister가 평민에게 쓰이던 goodman을 밀어내고 그 자리를 차지하는 변화가 나타난 바 있다.[3] 다만, 이 쪽은 마피아 보스에 대한 경칭의 의미로 붙이는 호칭.[4] 마비노기의 던전 테흐 두인 미션의 모티프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