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기백(1924)

덤프버전 :


<^|1><height=32>
[ 펼치기 · 접기 ]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철학, 윤리학, 논리학, 미학, 종교학, 교육학, 심리학
2분과: 언어학, 문학
3분과: 사학, 고고학, 민속학, 지리학, 문화인류학
4분과: 법학
5분과: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6분과: 경제학, 경영학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수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 대기과학
2분과: 생물학, 지질과학, 스포츠과학, 영양학, 가정학
3분과: 건축공학, 금속공학, 기계공학, 섬유공학, 자원공학, 전기공학, 전자공학, 정보공학, 조선공학, 토목공학, 항공공학
4분과: 의학, 치의학, 수의학,약학
5분과: 농학, 임학, 축산학, 수산학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정진홍
장석진
차하순
고상룡
임희섭
이현재
장세헌
이상만
김상주
이상섭
홍성각
차재호
조동일
이기석
김남진
강신택
곽수일
안세희
김수진
박중현
문국진
이병일
이돈희
홍재성
이기동
정동윤
안병준
정기준
노재식
이정우
김상용
김낙두
김현욱
이성진
김학주
김영한
박병호
김경동
김기영
박세희
박상대
노오현
김병수
황병국
소광희
이정민
이성규
김상용
김용구
유장희
권숙일
맹원재
윤덕용
이순형
류순호
윤사순
김수용
이태진
김효전
진덕규
이학용
기우항
임번장
현병구
김영중
장동석
이한구
조주관
한상복
임종률
백완기
이지순
김용해
장호완
나정웅
고재승
이홍석
박종현
장경렬
최병현
권오승
이정복
조장옥
이은
김상구
한송엽
심희섭
김윤수
정찬섭
남기심
임돈희
최병조
김홍우
한인구
조성호
정진하
최항순
이영순
박승우
-
김인환
박용운
신동운
신용하
-
이호인
조완규
이장무
이승규
최양도
-
이종호
김호동
-
임현진
-
김도한
이기화
이병기
이종호
홍성윤
-
-
김영식
-
신명순
-
박성현
안진흥
황규영
박성회
김수일
-
-
고동환

김진의
임정빈
유정열
이명식
고희종

최진호
박종욱
-
고규영
김용균
-
우경식
-
송진원
한재용
작고 회원
인문사회 분과
자연 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고형곤
권중휘
이병도
최태영
신기석
고승제
안동혁
손치무
이균상
한구동
정문기
안호상
이숭녕
김상기
유진오
이상백
최호진
김동일
강영선
원태상
윤일선
조백현
박종홍
이희승
신석호
고병국
신도성
신태환
이태규
정태현
최경열
이제구
현신규
김두헌
최현배
이선근
이근칠
민병태
유진순
전풍진
박동길
이종일
이종륜
우장춘
김기석
양주동
조의설
윤세창
김성희
조기준
최규남
김호직
이채호
박영진
김호식
김활란
이양하
김재원
이종극
고황경
김순식
권영대
이민재
최방진
이재춘
송재철
김계숙
이병기
류홍렬
김병노
김상협
김효록
최윤식
조복성
윤일중
이진기
이근태
이종우
김윤경
이홍직
이항녕
최문환
육지수
박철재
이병위
민한식
박호풍
박승만
이상은
손우성
홍이섭
박원선
정인흥
김준보
박하욱
김옥준
김기덕
김두종
심종섭
이인기
정인승
고병익
정광현
이만갑
이상구
조광화
최례석
최호영
이세규
지영인
김동화
조윤제
한우근
유기천
윤천주
권오익
이원철
김준민
김재근
김명선
이춘녕
김준섭
김형규
전해종
이한기
박동서
정수영
장기원
김창환
김종석
기용숙
박병희
오천석
차상원
이기백
이희봉
이용희
임원택
성좌경
김삼순
최형섭
한심석
윤상원
류승국
차주환
이광린
문홍주
김대환
박기혁
박정기
홍순우
김문상
우린근
이창구
이희철
여석기
김원용
서돈각
김운태
김옥근
박봉열
김봉균
신영기
나세진
김성원
서명원
조성식
김철준
손주찬
홍승직
오상락
최상업
윤석규
이량
이우주
이은웅
임한영
김동욱
이두현
남흥우
차기벽
정병휴
조순탁
주진순
장석윤
이문호
정후섭
최재희
정병욱
민석홍
황산덕
구영록
김동기
김치영
이대성
윤동석
김용관
강제원
김규영
강두식
이찬
김증한

박광순
이상수
정영호
한만춘
서병설
백운하
유형진
이기문
윤무병
김치선

조순
김정수
김훈수
강명순
이영소
김문협
백낙준
이능우
이우성
박일경

변형윤
최규원
이영록
윤장섭
권이혁
고재군
조요한
동완
황수영
김기두

윤기중
심정섭
김오중
오현위
이장락
최병희
김성태
장덕순
양병우
정영석


박을룡
김준호
최계근
김기홍
박영호
김태길
이가원
민영규
김현태


윤세원
하두봉
이승원
박수선
전세규
윤명로
김현창
김용섭
김정균


김태린
박희인
김재극
장신요
조재영
김종철
김용직
이성무
김홍규


박태원
정창희
우형주
이기영
오봉국
정양은
정명환

황적인


윤갑병

이택식
김주환

박영식
이경식

심헌섭


윤능민

황종흘
김용일

김충렬
김완진

김철수


이익춘

이만영
김정룡

조명한


김종원


송희성

조선휘
이호왕

오병남


이형국


고윤석

이리형


정범모







이충웅


조대경










길희성










명예 회원
노요리 료지
얀 린드스텐
위르겐 코카
얀 아헨바흐
크리스티안 스타크
피터 드루스
시오노 히로시
로저 비치
해럴드 푸어


}}} ||}}}


파일:external/labmed.hallym.ac.kr/LeeKB.jpg
이기백
李基白

출생
1924년 10월 21일
평안북도 정주시 오산
사망
2004년 6월 2일 (향년 79세)
학력
오산중학교 (졸업)
와세다대학 (사학 / 중퇴)[1]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 / 학사)
약력
이화여자대학교 부교수
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
한림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
한림과학원 객원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한국사 시민강좌 책임 편집위원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1. 개요
2. 활동
3. 저서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역사학자.


2. 활동[편집]


1924년 평안북도 정주에서 출생했다.

1941년 정주 오산중학교[2]를 졸업했다. 이후 일본 와세다대학 사학과에 입학하여 재학하던 중 일본군에 징집돼 만주 관동군에서 복무했다. 종전 후 소련군의 포로가 되었다가 귀국, 1946년 서울대학교 문리대 사학과에 편입해 1년 만에 졸업했다.

1963년부터 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동양사의 전해종, 서양사의 길현모, 차하순 등과 함께 '서강사학'의 전성시대를 열었다. 1985년한림대학교 교수로 옮겨 1995년 퇴직했고, 한림과학원 객원교수와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석좌교수를 역임하기도 했다.

대한민국의 초기 사학계에 영향을 미쳤으며, 민족사학을 개척하고, 한국사의 대중화에 힘썼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1987년부터는 이기백의 주도로 역사학자들이 일반 대중을 상대로 《한국사 시민강좌》와 같은 역사 잡지를 펴내기도 하였는데, 처음에는 호응이 좋았으나 가면 갈수록 수익이 줄어 들었다. 그러나 잡지의 총편집을 주도한 이기백의 노력 덕분에 《한국사시민강좌》는 이기백이 사망한 후로도 꾸준히 발행하다가 2012년, 50호를 마지막으로 끝을 맺었다.

1995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여받았다. 2004년 사망 후 3개월 뒤에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3. 저서[편집]


대표적인 저서로는 《한국사신론》이 있다. 실제로 《한국사신론》은 오랫동안 국사 교과서 집필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이 책은 현재에도 한국사 개설서의 고전으로 꼽히며, 하버드 대학교에서도 번역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상징성 때문에 유사역사학 진영에서는 이병도에 이은 식민사학의 후계자라고 힐난하기도 한다(...).

이와 비슷한 포지션의 책으로는 한영우의 《다시 찾는 우리역사》, 변태섭의 《한국사통론》이 있다. 이 세 권의 책은 현재까지도 역사교육과 학생이 임용고시를 준비하려면 적어도 한 번쯤은 읽어야하는 책으로 거론되고 있다. 그리고 일부 공무원 시험 준비생들과 강사들도 한국사 과목 심화 보충교재로 쓰기도 한다. 과거 행정고시(현 5급 공채) 1차 과목에 한국사가 있었던 시절(현재는 한능검 1~2급 취득으로 대체)에 《한국사통론》과 함께 고시생들의 사실상 필독 도서였다.

물론 현재는 역사학이 많이 발전하고 연구되어 이기백의 책은 중요도가 낮아진 책이지만 이전 세대의 역사 교육을 이해하려면 한 번쯤은 검토할 필요가 있는 책이라는 점에서는 여전히 변함이 없다.

저서 《민족과 역사》 중 일부인 <민족문화의 전통과 계승>이 과거의 국어 교과서에 실려있어서 적지 않은 학생들이 기억하고 있다. 서구화된 우리 사회에서 외래문화를 주체적으로 수용해야 하고, 우리가 보존하고 발전 계승할 전통과 인습을 구분하여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해야하며 이는 국수주의배타주의가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외국의 선진문화 섭취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는 내용이다.

생전에 이화여대에서 강의한 녹취록을 토대로 사후에 제자들에 의하여 엮여져 《한국사학사론》이 편찬되기도 했다.

총서 《이기백한국사학논집》(15권+별권)이 발간되어 있다.


4. 여담[편집]


《국어사개설》로 유명한 한국어 학자였던 서울대 명예교수 이기문(1930~2020)은 그의 동생이다. 형은 한국사 연구에 큰 족적을 남겼고, 동생은 한국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총체적인 기틀을 마련했다. 《국어사개설》 역시 연구의 진척과 함께 비판받는 부분도 많이 있으나, 아직까지 두 사람의 책이 강단에서 나름대로의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을 보면 대단한 형제가 아닐 수가 없다.

그의 수제자인 이종욱의 박사 학위논문(이종욱, <新羅國家形成史 硏究>,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81)은 《삼국사기》 초기기록 긍정론의 입장에서 쓰여진 책이다. 《삼국사기》 초기기록 수정론자인 이기백에 대해 수제자가 박사 학위논문으로 "선생님의 연구 성과들은 대부분 잘못된 것 같습니다" 라는 내용의 논문을 들고온 것. 그러나 이종욱의 논문을 읽어 본 이기백은 논리적으로 자신의 견해보다 타당한 것 같다며 흔쾌히 박사 학위 인준을 시켜주었다. 오오 대인배 오오 이 일화는 사학계에 많이 알려진 훈훈한 미담으로 꼽힌다.

마찬가지로 이기백의 뒤를 이어 서강대 한국고대사 교수가 된 이종욱 역시 자신의 제자 중 하나가 자신의 골품제 연구를 부정하는 논문을 박사 학위논문으로 제출(전미희, <新羅 骨品制의 成立과 運營>,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했는데 흔쾌히 박사 학위를 인준해주었다. 이러한 학풍은 서강대 사학과의 전통이 되어, 서강대 사학과의 교수들은 학부와 대학원 수업에서 자신의 연구성과를 학생들이 비판하는 것을 거리끼기는커녕 오히려 장려하는 분위기를 계속해서 이어가고 있다.[3]

생전에 이기백을 알고 지내던 교수들이나 동료들이 평가하기를

"자신이 연구가 부족하다고 여기거나 연구해도 타당성이 낮으면 확신을 가질 때까지 함부로 가설이나 이야기를 꺼내지 않고, 다른 사람이 타당한 이야기를 제시하면 그것을 거리낌 없이 수용하는 점잖으신 분."

이라고 평가하는 분들이 많다. 실제로 대학원 수업 시간에서 대학원생들이 이기백 교수의 입장을 비판하더라도 그 의견이 타당성이 있으면 이기백 교수 본인이 칭찬하면서 수용했다고 한다. 또한 학술대회의 대화록을 보더라도 이기백의 이와 같은 면모가 잘 드러난다.


5. 관련 문서[편집]



[1] 재학 중 일본군에 징집되어 졸업하지 못했다.[2] 이 학교는 이승훈이 설립한 학교로, 이승훈은 이기백의 종고조부, 즉 고조부의 동생이다.[3] 물론 어설프게 덤비면... 비판할 의욕이 넘치는 것과 비판할 능력이 있는 것은 매우 다르다. 사실 사학과를 나와서 제대로 학회에 한번 나가보면 어설픈 지식으로 상대방을 깠다가 호되게 박살나는 걸 수두룩하게 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