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성 위
부수
나머지 획수
, 8획
총 획수
18획
미배정
2급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wè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자원
3. 용례
4. 성씨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魏는 '성 위'라는 한자이다. 위나라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성씨로도 사용된다.


2. 자원[편집]


유니코드에는 U+9B4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VHI(竹女竹戈)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귀신 귀)와 음을 나타내는 (맡길 위)가 합쳐진 형성자로 분석할 수 있지만, 원래는 의 이체자였다(그러나 정장상팡은 魏와 巍의 상고음을 서로 다르게 재구했다). 巍는 '산이 높고 커서 경외감을 일으킬 정도'라는 의미로, 나중에 이 글자가 주나라 시대의 제후국 위나라를 표기하는 데 쓰이면서 위나라라는 뜻이 생겼다.

이 위나라 땅을 취한 진(晉)나라에서 신하 필만에게 이 땅을 하사하니 필만의 후손들은 자신의 봉토에서 따서 씨를 위씨로 삼았다. 이 위씨들이 나중에 전국칠웅 위나라를 세웠고, 이후 중국사에서 숱한 나라들이 이 전국칠웅 위나라의 이름을 가져다 쓰게 된다. 곧 위나라 → 위씨 → 위나라의 순으로 역파생된 것.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인명[편집]


  • 성이 위씨인 사람 대부분[1].


3.3. 지명[편집]




4. 성씨[편집]




인구는 2015년 기준 31,342명, 우리나라 78위의 성씨이다. 본관은 장흥 단본이다. 자세한 내용은 위(성씨) 참조.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시루테 맹)
  • 𩡊[⿰委香](향기 복)[2]
  • 𡣉[⿰委畏]/𩗯[⿰委風](바람느릿할 위)[3]
  • (좋게볼 위)
  • (무너질 퇴)
  • 𡤍[⿰委原]
  • 𰢟[⿰委瓜]
  • 𥠨[⿰委多]
  • 𥡉[⿰委兌]
  • 𫎂[⿰委谷]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𡿁[⿱魏山](높고클 외)
  • (소이름 위)
  • 𧕞[⿱魏虫](여름누에 위)
  • (풀돋아날 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23:01:22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韋씨를 쓰는 사람도 존재함.[2] (향기 복)의 동자[3] (바람느릿할 위)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