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못 지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6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いけ
-
표준 중국어
chí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2.1. 자형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池는 '못 지'라는 한자로, '연못'을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는 U+6C60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EPD(水心木)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물 수)와 음을 나타내는 (이끼/어조사 야)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2.1. 자형[편집]


파일:L01424.gif파일:L01425.gif
대전체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4.1. 성씨[편집]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153,491명, 전체 50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충주시(忠州)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지(성씨) 문서 참조.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𥝀[⿰禹也](뱀 사)
  • (불똥 사/타)
  • (긴뱀 사)[1]
  • 𤜣[⿰犭也](이리 시, 뱀 사)
  • (짧은창 시)
  • (음역자 야)
  • (흙탕물 야)
  • /𥃸(거듭할 이)
  • 𤖪[⿰片也](국 이)
  • (기장술 이)
  • (나무이름 이, 쪼갤 치)
  • /𧿇[⿰𧾷也](늦출 이)
  • (옷선 이)
  • (옮길 이)[2]
  • (자랑할 이, 방탕할 탄)
  • (찢을 이/치)[3]
  • 𤕮[⿰爿也](횃대 이)[4]
  • (어머니 자/저)
  • (아가씨 저)
  • (땅 지)
  • 𩚉[⿰𩙿也](엿 지)
  • 𦧇(핥을 지)[5]
  • (함지 지)
  • (쇠고삐 진)[6]
  • (달릴 치)
  • (드러날 치)
  • (비탈 치, 허물어질 타/시, 경사질 이)
  • 𦏸(제비나는모양 치)
  • (끌 타)[7]
  • (다를 타)
  • 𩵔[⿰魚也](문절망둑 타)
  • (뿔없는소 타)
  • (편안하게걸을 타)
  • (속일 혜/나)
  • 𡖐[⿰多也](다)
  • 𬺼[⿰丁也]
  • 𬼨[⿰名也]
  • 𬼭[⿰亨也]
  • 𬼩[⿰幷也]
  • 𬼮[⿰⿱田廾也]
  • 𬼰[⿰底也]
  • 𬾍[⿰企也]
  • 𭆰[⿰⿳⺕冖又也]
  • 𭅤[⿰卑也]
  • 𬽓[⿰亭也]
  • 𭀍[⿰儞也]
  • 𪨥[⿰山也]
  • 𭕗[⿰尼也]
  • 𭇠[⿰吉也]
  • 𭕟[⿰尾也]
  • 𭔳[⿰㝵也]
  • 𭘬[⿰帝也]
  • 𭔞[⿰寧也]
  • 𭰿[⿰波也]
  • 𭞱[⿰惹也]
  • 𭢽[⿰摩也]
  • 𮏡[⿰苾也]
  • 𮟉[⿰達也]
  • 𥐨[⿰石也]
  • 𤱡[⿰⿱龴田也]
  • 𭻠[⿰畢也]
  • 𦍔[⿰羊也]
  • 𫂴[⿰米也]
  • 𮋭[⿰耳也]
  • 𮌊[⿰肉也]
  • 𨤤[⿰里也]
  • 𮜮[⿰身也]
  • 𮮶[⿰鼻也]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𩶴[⿰魚池](물고기이름 지)
  • (저 지)[8]
  • 𠲨[⿰口池]
  • 𪢏[⿰唇池]
  • 𫇻[⿱艹池]
  • 𦈳[⿱池缶]
  • 𨦥[⿰金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3:36:47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긴뱀 사)의 속자[2] (옮길 이)의 속자[3] (찢을 이/치)의 동자[4] (횃대 이)의 동자[5] (핥을 지)의 본자[6] (쇠고삐 진)의 동자[7] (끌 타)의 동자[8] (저 지)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