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국의 성씨
,
,
,
,
,


1. 개요
2. 순위
3. 둘러보기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 수치는 2015년 통계청 집계를 따르며, ‘본관 수’는 기타와 미상을 제외하고 집계된 것만 기재한다.
  • 인구 수는 2015년 주민등록인구 51,529,338명 중 내국인 49,705,663명만 집계되었다.
  • 인구 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정하되, 인구 수가 같은 2개 이상의 성씨는 가나다순으로 기재한다.
    • 본래는 인구 수가 같을 경우 가구순으로 기재했으나 2015년에는 가구 수를 집계하지 않았으므로 가나다순으로 대체한다.
  • 본관 수를 기재할 때, 기타로 집계된 본관은 제외하고 기재한다.
  • 주요 본관은 해당 성씨의 인구 수 10% 이상을 점유하는 본관을 인구 수 순서대로 최대 5개씩 기재한다. 10% 미만은 생략한다.
  • 비고란의 약호는 다음과 같다.
    • A: 특정 본관의 인구 비율이 80% 이상임.
    • B: 본관이 기타만 집계됨.
    • C: 2015년도 조사에서 처음 나타난 성씨.
    • D: 귀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성씨.
    • E: 전산오류로 인해 나타남으로 추정되는 성씨.

2. 순위[편집]


성씨인구 수본관 수주요 본관인구 비율비고
1()10,689,9591,010김해(金海)[1], 경주(慶州), 광산(光山), 김녕(金寧)21.507%
2()7,306,828941전주(全州), 경주(慶州), 성주(星州), 광주(廣州)14.700%
3()4,192,074488밀양(密陽), 반남(潘南), 함양(咸陽), 순천(順天)8.434%
4()2,333,927431경주(慶州), 전주(全州), 해주(海州), 강릉(江陵)4.695%
5()2,151,879350동래(東萊), 경주(慶州), 진주(晉州/진양), 연일(延日)4.329%
6()1,176,847151진주(晉州/진양)2.368%A
7()1,055,567252한양(漢陽) ,함안(咸安), 풍양(豊壤)2.124%
8()1,020,547168파평(坡平), 칠원(漆原), 해남(海南), 해평(海平)2.053%
9()992,721268인동(仁同), 안동(安東), 흥성(興城/흥덕), 단양(丹陽)1.997%
10()823,921341나주(羅州), 평택(平澤/팽성), 부안(扶安), 예천(醴泉)1.658%
11()773,404167청주(淸州)1.556%A
12()763,281214해주(海州), 동복(同福), 보성(寶城)1.536%
13()751,704156달성(達城), 이천(利川), 대구(大丘), 부여(扶餘)1.512%
14()741,081155평산(平山), 고령(高靈), 아주(鴉洲)1.491%
15()705,94174안동(安東), 예천(禮泉)1.420%A
16()697,171238창원(昌原), 장수(長水), 평해(平海), 우주(紆州)1.403%
17()685,639163순흥(順興), 죽산(竹山), 광주(廣州)1.379%
18()683,494246여산(礪山), 은진(恩津)1.375%
19()559,110274천안(天安), 정선(旌善)1.125%
20()558,853134남양(南陽)[2]1.124%A
21()[柳]478,990162문화(文化), 전주(全州), 진주(晋州), 고흥(高興)0.964%
22()471,396164제주(濟州), 횡성(橫城), 장흥(長興)0.948%
23()464,040164남평(南平)0.934%A
24()460,600126제주(濟州), 남원(南原), 충주(忠州)0.927%A
25()457,303125밀양(密陽), 경주(慶州)0.920%
26()400,641209성주(星州), 분성(盆城/김해), 달성(達城)0.806%
27()398,260116창녕(昌寧)0.801%A
28()381,986127수원(水原)0.768%A
29()326,77090양천(陽川), 김해(金海)0.657%
30()[劉]302,511196강릉(江陵/한양)0.609%
31()275,648139의령(宜寧), 영양(英陽), 고성(固城)0.555%
32()271,74955청송(靑松)0.547%A
33()256,229197교하(交河), 광주(光州), 풍천(豊川)0.515%
34()243,803126나주(羅州), 압해(押海), 영광(靈光)0.490%
35()230,48178진주(晉州/진양)0.464%A
36()203,18876현풍(玄風), 청주(淸州)0.409%A
37()199,12476창녕(昌寧)0.401%A
38()194,782128연안(延安)0.392%A
39()194,766159신안(新安)0.392%A
40()194,71373단양(丹陽)0.392%A
41()193,08194능성(綾城/능주)0.388%A
42()192,87791영산(靈山), 영월(寧越)0.388%
43()191,261109풍천(豊川), 장흥(長興/정안)0.385%
44()186,469195담양(潭陽)0.375%
45()171,74074여흥(驢興)0.346%A
46()167,927123기계(杞溪), 무안(務安)0.338%
47()[柳]163,70355문화(文化), 전주(全州), 풍산(豊山)0.329%
48()[羅]160,94656나주(羅州), 금성(錦城)0.324%A
49()157,599203여양(驢陽)0.317%A
50()153,49181충주(忠州)0.309%A
51()144,42566영월(寧越)0.291%A
52()131,55772평강(平康), 인천(仁川)0.265%
53()129,55280원주(原州)0.261%A
54()121,780199영양(潁陽)0.245%A
55()94,83198온양(溫陽), 군위(軍威), 경주(慶州), 남원(南原), 원영(原榮)0.191%
56()91,86970곡부(曲阜)0.185%A
57()91,62592신천(信川), 재령(載寧), 곡산(谷山)0.184%
58()88,824143연주(延州)0.179%
59()80,65981강릉(江陵), 양근(楊根/양평)0.162%
60()78,15667초계(草溪), 밀양(密陽)0.157%
61()69,38780파주(坡州/서원)0.140%A
62()69,10173남원(南原), 청주(淸州)0.139%
63()60,63365원주(原州), 황주(黃州)0.122%
64()60,52272함양(咸陽), 성주(星州), 성산(星山)0.122%
65()60,48387추계(秋溪)0.122%A
66()58,69889함평(咸平), 광주(廣州), 강화(江華)0.118%
67()56,85040성주(星州)0.114%A
68()52,42734진주(晉州)0.105%A
69()51,86527거창(居昌)0.104%A
70()49,20369충주(忠州/홍주)0.099%
71()42,73334보성(寶城)0.086%A
72()42,64637순창(淳昌), 경주(慶州)0.086%
73()38,94965장흥(長興), 목천(木川)0.078%
74()38,17357해평(海平), 선산(善山)0.077%
75()37,24070상주(尙州), 초계(草溪)0.075%
76()34,76626곡산(谷山)0.070%A
77()33,52032남양(南陽), 온양(溫陽)0.067%
78()31,34241장흥(長興)0.063%A
79()30,74358신창(新昌)0.062%A
80()29,11061서촉(西蜀), 연안(延安)0.059%
81()28,82932행주(幸州)0.058%A
82()28,06247거제(巨濟), 광주(光州), 기성(岐城)0.056%
83([羅])25,96029나주(羅州), 금성(錦城)0.052%A
84()25,56553개성(開城)0.051%A
85()25,43216봉화(奉化)0.051%A
86()25,10748의령(宜寧), 의춘(宜春)0.051%A
87()23,45526옥천(沃川)0.047%A
88()22,36345교동(喬桐)0.045%A
89()22,02822신창(新昌)0.044%A
90()21,97640칠원(漆原)0.044%A
91()21,53430함평(咸平)0.043%A
92()21,50817아산(牙山)0.043%A
93남궁()21,30829함열(咸悅)0.043%A
94()21,09936광산(光山)0.042%A
95()20,54719담양(潭陽)0.041%A
96()20,13427의령(宜寧)0.041%A
97()19,30148풍기(豊基), 남원(南原)0.039%
98()18,84928함종(咸從), 충주(忠州)0.038%
99()16,89434행주(幸州)0.034%A
100()16,68968절강(浙江), 경주(慶州)0.034%
101()15,3823평해(平海)0.031%A
102()15,27622홍천(洪川)0.031%A
103()13,86812무송(茂松), 평산(平山)0.028%
104()13,56826의흥(義興), 의령(宜寧)0.027%
105()13,01211청주(淸州)0.026%A
106()12,92735하음(河陰), 강화(江華)0.026%
107()11,68322동래(東萊), 경주(慶州), 하남(河南)0.024%
108()11,35528월성(月城)0.023%A
109()10,73034청주(淸州)0.022%
110()10,5366제주(濟州)0.021%A
111황보()10,38313영천(永川)0.021%A
112()9,93615소주(蘇州/소성)0.020%A
113()9,53823면천(沔川)0.019%A
114()9,06339영순(永順), 협계(陜溪), 남원(南原)0.018%
115()8,8485사천(泗川)0.018%A
116()7,56615남원(南原), 진주(晉州)0.015%A
117()7,2398진주(晉州/반성)0.015%A
118()6,63621수안(遂安)0.013%A
119()6,58234경주(慶州), 전주(全州)0.013%C
120()6,57832괴산(槐山), 단양(丹陽),홍천(洪川)0.013%
121()6,42819두릉(杜陵/만경)0.013%A
122()6,07011봉산(鳳山)0.012%A
123()6,02418회산(檜山), 창원(昌原)0.012%
124()5,7643거창(居昌)0.012%A
125제갈()5,65515남양(南陽)0.011%A
126()5,60417죽산(竹山), 괴산(槐山)0.011%
127()5,59317달성(達城), 수성(壽城/대구), 밀양(密陽)0.011%
128()5,46234광천(廣川)0.011%A
129()5,41823금구(金溝), 봉성(鳳城)0.011%
130사공()4,47611효령(孝寧), 군위(軍威)0.009%
131()4,34045신평(新平), 배천(白川)0.009%
132()3,92314태인(泰仁), 해주(海州), 경주(慶州), 시산(詩山)0.008%
133()3,8265금성(錦城)0.008%A
134()3,6784문경(聞慶)0.007%A
135선우()3,58813태원(太原)0.007%A
136()3,3783청주(淸州), 제주(濟州)0.007%A
137()2,9373경주(慶州)0.006%A
138()2,93514절강(浙江), 용강(龍江)0.006%
139()2,61917연일(延日), 광산(光山)0.005%
140()2,5209가평(加平)0.005%A
141()2,4754달성(達城)0.005%A
142()2,3767목천(木川)0.005%A
143()2,2455절강(浙江), 성주(星州)0.005%A
144()2,11412태인(泰仁), 능향(綾鄕)0.004%
145()2,08626남양(南陽), 청주(淸州), 대구(大邱)0.004%
146서문(西)2,0285안음(安陰/안의)0.004%A
147()1,74021여양(驪陽)0.004%A
148()1,61222강음(江陰/김천), 가음(加音), 강릉(江陵), 연안(延安)0.003%
149()1,49437가평(加平), 숭안(崇安), 파릉(巴陵), 평산(平山)0.003%
150()1,30911평산(平山)0.003%A
151()1,25111전주(全州), 황간(黃磵)0.003%
152()1,1464밀양(密陽)0.002%A
153()1,0377순천(順天), 경주(慶州), 청주(淸州)0.002%
154()9153진양(晉陽), 나주(羅州)
155()9086거창(居昌), 창녕(昌寧), 공주(公州)
156()8933개성(開城)A
157()8375옥천(沃川), 순창(淳昌)
158()8347강화(江華)A
159()8115남원(南原), 창평(昌平)
160()7913홍산(鴻山)A
161()7703충주(忠州), 괴산(槐山)
162()7634경주(慶州)A
163()75612목천(木川/천안)A
164()6752영암(霊岩), 강화(江華)
165()6516임구(臨朐)
166()6461밀양(密陽)A
167()5714경주(慶州)A
168()5683충주(忠州)A
169()5576토산(兎山/상원), 면산(綿山)
170()5294나주(羅州), 양주(楊州), 익산(益山)
171()5154충주(忠州), 가흥(嘉興/진도), 인천(仁川)
172독고()5024남원(南原), 광능(廣陵)
173원(袁)4984비안(比安)A
174공(公)4724김포(金浦)A
175양(粱)4462남원(南原), 제주(濟州)
176장(莊)44512금천(衿川/과천), 장연(長淵)
177백(百)4432수원(水原)A
178견(堅)4334해주(海州)
179장(長)40910인동(仁同)
180서(俆)3835달성(達城), 이천(利川), 대구(大邱)
181모(毛)36112공주(公州/공산), 광주(廣州), 김해(金海), 서산(瑞山)
182내(乃)3523개성(開城)A
183이(異)3393밀양(密陽)A
184동(蕫)31913광주(廣州), 황주(黃州), 광천(廣川)
185판(判)2781해주(海州)A
186방(邦)2774무안(務安)A
187류(劉)[劉]2719
188권(勸)2500C
189마(麻)2472
190리(李)2400C
191황(皇)2322C
192순(筍)2170E
193엄(儼)2170C
194양(揚)2140C
195매(梅)2013충주(忠州), 해주(海州)
196초(楚)2005성주(星州), 중원(中原), 한양(漢陽)
197노(蘆)1956C
198창(倉)1873
199채(菜)1862C
200심(沁)1852C
201궉(鴌)1833청주(淸州), 선산(善山)
202낭(浪)1815
203동방(東方)1802청주(淸州), 진주(晉州)
204노(路)1784
205우(寓)1730C
206묵(墨)1721광녕(廣寧)A
207곽(廓)1710C
208근(斤)1701청주(淸州)A
209빈(彬)1690
210기(寄)1670C
211양(陽)1636C
212반(班)1617
213점(占)1586한산(韓山), 괴산(槐山), 나주(羅州), 창원(昌原), 영광(靈光)
214탄(彈)1492진주(晉州), 해주(海州)
215순(舜)1473
216해(海)1461김해(金海)A
217천(天)1414
218정(政)1397C
219동(童)1364C
220사(司)1352C
221옹(雍)1300
222랑(浪)1250C
서(西)1250
224국(鞫)1240CE
만(萬)1247광해(廣海), 강릉(江陵), 강화(江華), 전주(全州)
226유(枊)1210CE
필(弼)1213대흥(大興), 대전(大田)
228한(漢)1203
229돈(頓)1174목천(木川), 함평(咸平)
230장(將)1090E
231하(何)1052C
232선(鮮)1030C
233운(雲)971함흥(咸興)
234곡(曲)892
235설(楔)860CE
236구(邱)830
237신(莘)810C
238어(漁)800C
239심(深)780C
조(調)780C
추(鄒)780
242야(夜)775직산(稷山), 파주(坡州), 죽산(竹山)
243소(肖)760
244섭(葉)751경주(慶州)
자(慈)751요양(遼陽)
246신(新)740
247순(淳)710
248제갈(諸*)640CE
249사(謝)610
형(刑)610C
251연(連)590C
252포(包)573풍덕(豊德), 풍기(豊基), 수원(水原)
홍(烘)570C
254기(箕)560
255후(侯)551한양(漢陽)
256원(原)540C
257장(藏)530C
필(畢)530
259노(虜)510C
260최(寉)490C
261우(宇)480
황(潢)480C
263담(譚)471등주(登州)
림(林)470C
265사(舍)460
266로(路)450C
원(阮)450CE
진(眞)450C
269황보(黃甫)440CE
270국(菊)430C
271석(釋)420C
272정(桯)410CE
273선우(鮮宇)400CE
하(賀)400C
275손(遜)390C
276홍(䜤)380CD
277국(國)370
심(心)370C
279민(民)360C
초(初)360
281도(道)350
학(郝)351산동(山東)
283강(江)340C
수(隋)341한양(漢陽)C
285고(顧)330C
나(蘿)330C
조(造)330C
주(主)330C
289봉(鳳)320
290요(姚)290B
정(定)290C
292유(杻)280C
형(形)280C
294안(顔)270C
유(有)270C
장(場)270C
총(叢)270B
298사(沙)260C
299금(金)250C
부(付)250C
삼(森)250B
장(裝)250C
303애(艾)241전주(全州)A
염(閻)240B
최(最)240C
306부(傅)230C
이(伊)230C
308내(奈)220
안(案)220C
오(伍)220C
정(正)220BC
312묘(苗)211성산(城山)
운(芸)210C
원(苑)210C
원(院)210C
316단(單)200
류(㧕)200CD
부(富)200C
상(常)200C
연(燕)200
321뇌(雷)191교동(喬桐)
려(呂)190C
뢰(雷)190C
오(吾)190C
이(利)190C
326경(京)180
송(松)180
지(遲)180C
홍(弘)180C
330국(麴)170C
나(邏)170C
독(獨)171남원(南原)C
모(慕)170C
염(簾)170C
주(珠)170C
336교(橋)161진주(晉州)
미(米)161재령(載寧)
비(丕)161용서(龍西)
서문(西問)160CE
여(黎)160CD
왕(汪)160C
이(李)160
343관(關)150BC
궁(宮)150B
노(卢)150BCD
무(武)150BC
방(防)150C
상(尚)150C
소(蕭)150BC
은(銀)150
조(赵)150BCD
352가(價)140
대(代)140BC
동(東)140
영(榮)141영천(永川)
진(蔯)140C
진(進)140BC
채(采)140
359나(罗)130C
로(魯)130C
변(變)130C
삼(杉)130B
서(書)130C
성(盛)130BC
원(圓)130BC
은(恩)130B
임(壬)130C
장(臧)130C
진(珍)130BC
후(候)130
371곡(谷)120B
방(旁)120
백(伯)120C
범(範)120C
사공(司公)120CE
신(信)120BC
양(洋)120
엄(严)120CD
유(楡)120C
제(齊)120C
허(许)120CD
382권(㩲)110C
남(男)110C
등(滕)110BC
목(穆)110BC
방(芳)110C
선우(蘚于)110CE
신(伸)110C
우(愚)110C
우(牛)110BC
윤(允)110BC
제갈(諸曷)110CE
진(䄅)110BCD
394교(喬)100BC
권(券)100C
기(紀)100BC
란(欒)100충주(忠州)BC
배(輩)100C
설(辥)100C
영(影)100
태(泰)100B
홍(㤨)100CD
403강(剛)90C
대(戴)90C
등(鄧)90BCD
로(盧)90C
산(山)90C
선우(鮮牛)90CE
성(宬)90C
송(送)90C
장(葬)90C
전(戰)90C
조(刁)90BCD
조(朝)90C
증(增)90B
증(曾)90
해(解)90C
홍(哄)90C
홍(紅)90C
420금(芩)80
김(钅)80CD
난(欒)80충주(忠州)B
망절(網切)81도간(島間)AD
빈(賔)80CD
서(緖)80BC
성(星)80BC
소(小)80BC
손(損)80C
수(水)80B
어금(魚金)81청도(淸道)A
위(衛)80C
유(由)80BC
한(汗)80BC
호(鎬)80C
황(荒)80C
436금(禁)70C
다(多)70BC
도(到)70BC
라(蘿)70C
라(邏)70C
문(門)70BC
민(敏)70C
석(席)70BC
설(雪)70BC
양(杨)70CD
예(禮)70BC
위(偉)70B
이(怡)70BC
장(壯)70B
장(庄)70BC
주(株)70BC
진(陈)70CD
현(賢)70BC
454곽(槨)60C
나(那)60C
노(努)60C
도(度)60BC
도(桃)60BC
무본(武本)60BCD
민(珉)60BC
박(博)60BC
배(培)60BC
배(背)60BC
배(配)60BC
백(柏)60BC
번(樊)60BC
보(寶)60BC
빈(濱)60BC
빈(貧)60BC
선(善)60BC
설(卨)60BC
성(城)60BC
소(卲)60BCE
손(蓀)60C
순(順)60B
양(樑)60
엄(㘙)60CD
예(倪)60BC
예(藝)60BC
오(五)60BC
오(晤)60BC
완(阮)60BCD
우(偶)60BC
우(遇)60BC
유(裕)60BC
윤(潤)60BC
종(宗)60D
차(次)60BC
천(川)60BC
표(俵)60C
호(虎)60BC
황(晃)60BC
후(后)60B
498간(間)50BC
강(㝩)50BCD
경(耿)50BC
계(季)50BC
관(管)50BC
구(仇)50B
남궁(南宫)50CD
도(覩)50C
동(薫)50BC
등정(藤井)50BC
민(悶)50BC
민(旻)50BC
보(保)50BC
보(甫)50BC
상(商)50BC
소(所)50BC
소(昭)50BC
소(簫)50C
수(洙)50BC
순(旬)50CE
시(時)50BC
양(樣)50BC
연(涎)50C
우(尤)50BC
은(慇)50C
이(㛅)50BCD
임(恁)50BC
장(张)50CD
장(漿)50C
정(情)50BC
제갈(諸渴)50BCE
좌(佐)50BC
탕(湯)50B
하(荷)50BC
한(恨)50BC
호(湖)50BC
황(煌)50BC
황(簧)50BC
황목(荒木)51동문(東門)AD
 기타91,10722,8760.183%
 합계49,705,66336,744100%

성씨에 쓰이는 한자들 중 強(강), 鴌(궉), 冰(빙), 偰(설), 辻(십·즙), 郝(학)은 확장 한자로 분류되어 입출력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 MS 한국어 IME 기준으로 強을 제외하고는 모두 KS X 1002에 들어 있는데(파란색 한자), 鴌은 '봉'으로 변환해야 하고 辻은 '십'으로만 변환된다. 強은 일본어 IME로 つよい(tsuyoi)를 치고 強い로 변환한 뒤 마지막의 い를 지우거나, きょう(kyou)를 치고 強을 찾아 변환하면 된다. KS X 1001에 들어 있는(검은색 한자) 이체자 强을 대신 사용하는 것도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나, 성씨에 쓰이는 글자는 強이지 强이 아니므로 强을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중국 성씨가 꽤 포진해 있으며 일본 성씨도 희귀 성씨 중에서 보인다. 그런데 있을 법한 성씨[3]가 없거나 드문 경우도 있고, 반대로 한국에만 있고 중국에는 없는 성씨[4]도 있다.

김(金), 이(李), 박(朴), 최(崔), 정(鄭)씨의 인구 차지 비율을 모두 합하면 무려 53.665%이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절반이 김(金), 이(李), 박(朴), 최(崔), 정(鄭)씨라는 뜻.


3. 둘러보기[편집]



한국의 성씨
[ 펼치기 · 접기 ]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대한민국
관련 문서
[ 지리 ]
[ 정치 ]
[ 사회 ]
[ 외교 ]

일반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아시아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아메​리카가이아나 · 과테말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베네수엘라 · 벨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시에라리온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오세​아니아나우루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호주

[ 문화 ]

일반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한국의 명절 (설날 · 추석)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 문화재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언어 · 문자한국어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건축 · 한옥 · 궁궐 ·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의복 · 무기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국궁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 MMORPG · 게임계의 문제 · 게임규제
음악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영화 · 연극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기원설





4. 관련 문서[편집]



[1] 통계에서는 수로왕계와 김충선계를 따로 집계한다. 보통 김해 김씨 하면 수로왕계를 의미하며, 김충선계는 수로왕계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우록(右鹿) 김씨라 불리기도 한다.[2] 통계에서는 당홍계(唐洪系)와 토홍계(土洪系)를 따로 집계한다. 그리고 당홍계는 토홍계보다 인구수가 12배 이상 많다. 참고로 토홍계는 전체 홍씨 중 3위를 차지한다.[柳] A B 사실상 같은 성씨로 두음법칙에 따라 표기가 갈린 경우.[劉] A B 사실상 같은 성씨로 두음법칙에 따라 표기가 갈린 경우.[羅] A B 사실상 같은 성씨로 두음법칙에 따라 표기가 갈린 경우.[3] 호(胡), 하(何), 사(謝) 등[4] 대표적으로 박(朴)씨. 전세계 모든 박씨는 다 한국 신라혁거세 거서간에서 기원한 것이다. 그 외에도 권(權)씨 등 중국인이라면 거의 조선족들이 쓰는 성씨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8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8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1:47:02에 나무위키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