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개원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철부김구해김거칠부김세종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수을부을제수품비담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알천금강김유신김군관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진복김문영김개원인품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배부김사공김정종김사인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신충만종신유김양상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김경신충렴세강김언승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김숭빈김수종김충공김균정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김명김귀장보고김예징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김의정김안김정위진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김위홍준흥김성계강
제45대제46대
박위응김성
문헌상 기록이 확인된 인물
김춘추, 김순정, 김옹, 김주원





金愷元
생몰년도 미상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신라 제29대 태종 무열왕의 7남[1]이자 제30대 문무왕의 동생.


2. 생애[편집]


맏아들 법민을 태자로 삼고, 나머지 여러 아들 중에 문왕을 이찬으로, 노차를 해찬으로, 인태를 각찬으로, 지경과 개원을 각각 이찬으로 삼았다.

서기 655년 김춘추가 왕위에 오른 다음 해, 형들과 나란히 관등을 제수받았다. 이는 무열왕이 정권 초기에 친위세력을 구축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당나라 황제가 칙명으로 지경과 개원을 장군으로 삼아 요동의 전장에 가도록 하였다. 임금이 곧장 지경을 파진찬으로 삼고, 개원을 대아찬으로 삼았다.

이후 서기 667년, 문무왕 7년에 당고종의 칙명으로 대아찬에 임명되었다. 그런데 앞선 기록에선 이찬에 임명됐다고 나오는데 여기서는 대아찬이라 해서 아마 앞의 기록이 아찬을 잘못 기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이듬해인 668년 6월에는 김인문, 흠순, 천존, 진복, 지경, 흠돌 등과 함께 대당총관에 임명되었고 고구려 정복전쟁에 참여하게 된다.

683년에는 조카인 신문왕김흠운의 딸을 맞아 부인을 삼으려 하자, 이찬 김문영과 함께 김흠운의 집에 가서 그의 딸을 부인으로 책봉하기도 했다. 그리고 695년, 효소왕 4년에 마침내 상대등에 임명됐다. 이렇게 보면 자신이 주관했던 혼례로 태어난 효소왕이 자신을 상대등으로 임명한 셈.[2]

[1] 문명왕후 소생.[2] 아마 실제로는 어린 효소왕을 대신해 섭정을 맡은 신문왕비, 신목왕후의 의중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22:04:58에 나무위키 김개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