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군관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철부김구해김거칠부김세종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수을부을제수품비담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알천금강김유신김군관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진복김문영김개원인품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배부김사공김정종김사인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신충만종신유김양상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김경신충렴세강김언승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김숭빈김수종김충공김균정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김명김귀장보고김예징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김의정김안김정위진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김위홍준흥김성계강
제45대제46대
박위응김성
문헌상 기록이 확인된 인물
김춘추, 김순정, 김옹, 김주원




金軍官
(? ~ 681년)

1. 개요
2. 생애
3. 필사본 화랑세기
4. 창작물


1. 개요[편집]


신라 중대의 장군, 정치인. 삼국통일전쟁의 주요 전쟁공신이지만 이후 신문왕에게 찍혀 김흠돌의 난숙청되는 비운을 맞는다.

이름의 군관은 군인의 다른 말인 군관과 한자까지 같다. 평생 이름값은 확실히 해냈던 인물.


2. 생애[편집]


661년, 제2차 고구려-당 전쟁에 참전. 돌사성(突沙城)을 함락시키는 전공을 세웠다.

663년에는 고구려와 백제부흥군 사이에 있는 신라의 가장 중요한 요충지 한산주의 도독이 되었다.

668년, 고구려 정벌에 참전, 평양성을 함락시키는 데 일조했다.

670년, 신라의 요동 선제공격으로 나당전쟁이 발발한 직후 옛 백제 땅에 당나라가 세운 통치조직 웅진도독부를 공격했다. 문영 등과 함께 기습 공격해 12곳의 성을 빼앗고 7천여 당군의 목을 베는 대승을 거뒀다.

이렇게 고구려와 당나라를 상대로 전장에서 활약한 공로로 680년(문무왕 20) 2월에는 신라 귀족의 정점인 상대등에 임명된다. 이제 김군관은 일인지하 만인지상이 되었나 싶었는데..

681년, 문무왕이 승하하고 신문왕이 즉위한 직후인 8월 이찬 진복을 상대등으로 임명하고 군관을 병부령(국방장관)으로 강등시켰다. 곧이어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8월 8일 김흠돌의 난이 일어났다. 반란은 진압됐고 소판 김흠돌(金欽突), 파진찬 김흥원(興元), 대아찬 진공(眞功) 등이 주모자로 처형되었다. 이들은 통일전쟁의 대표적 공신들. 김군관은 반란에 직접 가담한 건 아니었던 듯 하지만 반란계획을 알면서도 모른 척 했고, 결국 8월 28일 처형되었다. 다만 반역에 연루되었음에도 김군관의 혈족을 멸족시키지는 않았고 김군관의 아들 한 명만 자결시키는 정도로 끝냈다.

이렇게 김군관이 토사구팽당한 데는 통일전쟁을 통해 비대해진 무관 진골 세력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라는 해석이 우세하다.


3. 필사본 화랑세기[편집]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신라의 풍월주(風月主)
박창화가 필사했다고 주장하는 화랑세기의 기록
22대 양도공 김양도23대 군관공 김군관24대 천광공 김천광


4. 창작물[편집]


  • 대왕의 꿈 : 정욱: 다만 등장인물 소개에는 '풍월주 군관'이라 되어 있어서 김군관임이 분명한데 정작 방영된 드라마에서는 이름 자막이 한 번도 뜨지 않았다. 일부 사극 시청자들은 자막담당자가 '군관'이 사람 이름이 아니라 일반명사 단어인 '군관'으로 착각하고 자막을 내보내지 않은 게 아니냐는 추측을 내놓기도 했다. 실제로도 이 때 역사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으면 착각하기 쉬운 게 이름자 자체가 그 '군관(軍官)'이랑 똑같기 때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02:50:01에 나무위키 김군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