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정종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철부김구해김거칠부김세종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수을부을제수품비담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알천금강김유신김군관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진복김문영김개원인품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배부김사공김정종김사인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신충만종신유김양상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김경신충렴세강김언승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김숭빈김수종김충공김균정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김명김귀장보고김예징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김의정김안김정위진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김위홍준흥김성계강
제45대제46대
박위응김성
문헌상 기록이 확인된 인물
김춘추, 김순정, 김옹, 김주원




金貞宗 / 金真宗[1]
생몰년 미상

성덕왕 재위기간인 732년에 김사공, 윤충, 김사인 등과 함께 장군이 되었고 당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성덕왕을 신라왕으로 책봉하는 당 황제의 조서를 가져왔으며 효성왕 초기 상대등으로 임명되었다.

신라 제34대 효성왕의 왕비 혜명왕후의 아버지가 삼국유사에서는 진종 각간으로 되어있다. 그런데 삼국사기에서는 혜명왕후의 아버지를 이찬 김순원이라고 하고 있어, 효성왕 재위 초기 봉해진 왕후 박씨의 아버지가 진종 각간이고 둘 간의 기록이 섞인 게 아닌가 한다. 다만 해당 기사의 원사료인 구당서의 사료적 문제로 인해 해당 사건이 2년 앞당겨져 기록되었을 뿐이며, 효성왕의 두 번째 왕비 같은 건 없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20:08:18에 나무위키 김정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삼국유사 왕력편. 真과 貞이 혼용되는 사례가 사서에서 무수히 발견되고, 두 인물의 활동 시기 역시 겹치므로 동일인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