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원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원기(동명이인) 문서
김원기(동명이인)번 문단을
김원기(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현직 및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eee,#222><width=50%> 초대
허경만 ||<width=50%> 2대
김원기 ||
||<width=50%> 권한대행
신기하 ||<width=50%> 3대
김영배 ||
||<-3><bgcolor=#fff,#111> ||




파일:신민주연합당 로고타입.svg 사무총장
초대
김봉호
제2대
김원기
당명변경
(민주당으로 당명변경.)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svg 사무총장
창당초대
김원기
제2대
한광옥




||
[ 펼치기 · 접기 ]

노사정위원회 (1999~2006)
초대
한광옥
2대
김원기
3대
김호진
4대
장영철
5대
신홍
6대
김금수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2006~2018)
7대
조성준
8대
김성중
9대
김대모
10대
최종태
11대
김대환
12대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2018~현재)
12대
문성현
13대
김문수




파일:열린우리당 흰색 2차 로고.svg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의장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0%> 초대
김원기 ||<width=10%> 제2대
정동영 ||<width=10%> 제3대
신기남 ||<width=10%> 제4대
이부영 ||
||<width=10%> 비대위
임채정 ||<width=10%> 제5대
문희상 ||<width=10%> 비대위
정세균 ||<width=10%> 비대위
유재건 ||
||<width=10%> 제6대
정동영 ||<width=10%> 제7대
김근태 ||<width=10%> 제8대
정세균 ||
||<-4><bgcolor=#fff,#191919>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북 제5선거구)
제9대
장경순
김택하
제10대
장경순
김원기
선거구 개편
진의종[A]
김원기[A]
조상래[B]
김진배[B]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북 제6선거구)
선거구 개편
장경순[C]
김원기[C]
이호종[D]
박용기[D]
제11대
진의종
김원기
선거구 개편
전종천[E]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북 정주시·정읍군)
선거구 개편
전종천[E]
제13-14대
김원기
선거구 개편
윤철상[F]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북 정읍시)
제15대
윤철상
제16-17대
김원기
제18-19대
유성엽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문교공보위원장
제13대 전반기
정대철
제13대 후반기
김원기
제14대 전반기
오세응
[A] A B 전북 제6선거구의 제11대 국회의원 이다.[B] A B 전북 제7선거구의 제11대 국회의원 이다.[C] A B 전북 제5선거구의 제10대 국회의원 이다.[D] A B 전북 제6선거구의 제10대 국회의원 이다.[E] A B 정주시·정읍군·고창군 선거구의 제12대 국회의원 이다.[F] 정읍시 선거구의 제15대 국회의원 이다.

대한민국 제17대 전반기 국회의장
김원기
金元基 | Kim Won-ki
파일:김원기 의장.jpg
출생1937년 2월 16일[1] (87세)
전라북도 정읍군 감곡면 통석리 석정마을
(現 전라북도 정읍시 감곡면 통석리)
본관도강 김씨
현직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재임기간제2대 노사정위원회 위원장 (장관급)
1998년 5월 13일 ~ 1999년 7월 12일
제17대 전반기 국회의장
2004년 6월 5일 ~ 2006년 5월 29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김환국
형제자매6남 2녀 중 장남
배우자윤정심
자녀슬하 1남
학력소성국민학교[1] (졸업)
정읍중학교 (졸업)
전주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정법대학 (정치외교학 / 학사)
종교개신교(예장통합)[2]
병역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의원 선수6
의원 대수10, 11, 13, 14, 16, 17
약력동아일보 정치부·사회부·외신부 기자
동아일보 조사부장
안보통일 연구위원
한양대학교 정치사 강사
동국대학교 신문학 강사
제10대 국회의원 (전북 5선거구 / 신민당)
신민당 원내부총무
민주한국당 대변인
민주한국당 당무위원·홍보위원장
제11대 국회의원 (전북 6선거구 / 민주한국당)
제13대 국회의원 (전북 정주시·정읍군 / 평화민주당)
평화민주당 원내총무
제13대 국회 후반기 문화교육공보위원회 위원장
신민주연합당 사무총장
민주당 사무총장
제14대 국회의원 (전북 정주시·정읍군 / 민주당)
민주당 수석부총재
민주당 상임고문
통합민주당 공동대표최고위원
제2대 노사정위원회 위원장 (국민의 정부)
새정치국민회의 상임고문
제16대 국회의원 (전북 정읍시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
새천년민주당 상임고문
대통령비서실 정치특보 (참여정부)
열린우리당 창당준비위원회 위원장
열린우리당 의장
열린우리당 상임고문
제17대 국회의원 (전북 정읍시 / 열린우리당)
제17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대통합민주신당 상임고문
통합민주당 상임고문
민주당 상임고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민주당 상임고문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1] 지금의 소성초등학교.[2] 소망교회 안수집사. #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선거 이력
5. 소속 정당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2. 생애[편집]


1937년 전라북도 정읍군 감곡면 통석리 석정마을[2]#에서 김환국(金煥國)의 아들로 태어났다. 감곡국민학교, 전주북중학교, 전주고등학교(32회),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동아일보에서 기자를 지내다가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민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하였다. 해당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전라북도 김제군-정읍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장경순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전라북도 정읍군-고창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진의종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83년까지 민주한국당 대변인을, 1983년부터 1985년까지 민주한국당 훈련원장을 역임하였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민주당 돌풍의 여파로 민주정의당 전종천 후보와 신민주당 류갑종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그 후 정읍시 선거구에서 13대, 14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고[3], 13대 국회에서는 평화민주당 원내총무를 역임했다.

1995년 김대중이 정계에 복귀하면서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하여 DJ계가 무더기로 이동했을 때, 김대중을 맹목적으로 따르지 않고 호남 지역 정치인 중에서 유일하게 이를 비판하며 민주당에 잔류했고, 그 대가로 이듬해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회의 윤철상 후보에게 패하는 수모를 당했다. 이후 통추에서 상대표를 맡다가, 이기택과의 반목으로 1996년 11월 25일부로 통합민주당에서 출당처리 되었다. 하지만 그 다음해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노무현, 원혜영, 유인태, 김정길 등을 비롯한 통추인사들과 함께 김대중 지지를 선언하고 국민회의에 합류했다.

1998년 국민의 정부가 출범하면서 장관급 직책인 노사정위원장으로 중용되었으며,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새천년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다시 정읍에서 당선되고[4], 그 다음 선거에서도 당선되어[5] 전반기 국회의장까지 지냈다. 현재는 더불어민주당의 상임고문으로 재직 중이며, 이용희가 2022년 가을에 작고한 이후 사실상 최고 원로로 일컬어지고 있다.

2020년 8월 29일 민주당 전당대회에 출마하는 김부겸 전 의원의 후원회장을 맡았다.


3. 여담[편집]


  • 정읍시장을 역임한 김생기가 김원기의 사촌동생이다. 국회의장을 역임하던 시절인 2004년부터 2006년까지 김생기는 김원기의 정무담당비서관으로 재직하였다.

  • 노무현의 정치적 스승이다. 1991년부터 노무현과 행보를 같이하였기 때문이다.

  • 김원기는 16개의 당적 역사를 기록한 정치인이다. 그럼에도 철새로 불리지 않는 이유는 군사정권에 대항하고자 힘이 부족한 야당이 정계 개편을 자주 한 탓에 그렇다. 30년이 넘는 더불어민주당의 역사에 인사들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제17대 국회의원을 마지막으로 정계를 은퇴하고도 더불어민주당의 원로로 남은 덕분에 더불어민주당 당적을 유지하는 중이다.

  • 제17대 총선에 승리한 열린우리당은 4대 개혁 입법을 추진하기 위해서 법제사법위원장을 한나라당에 내주고 합의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체계 자구권 등 국회 통과안을 무력화시킬 권한이 부여된 법제사법위원회 때문에 4대 개혁 법안은 상정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4대 개혁 입법은 국회의장인 김원기가 직권상정으로 처리하면 통과할 수 있었는데 김원기마저 직권상정을 거부하면서 4대 개혁 법안은 무산된다. 동시에 열린우리당은 무기력한 여당으로 인식되면서 언론과 공무원들의 비협조에 시달리고 참여정부는 열린우리당을 배후에 두고도 지지층이 외면하면서 레임덕에 시달리기 시작한다.

  • 노무현이 "부끄러운 줄 알아야지!"를 말하기 1년 전인 2005년에 정기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한나라당 의원들에게 "부끄러운 줄 알아야지!"라고 일갈하였다. 하지만 노무현의 발언이 워낙 파급력이 커서 김원기의 일갈은 잊혀진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전북 5[6]
ta-hash-start=w-ca1f81af8d0f2a685715eb1a0cc18e8d[[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45,703 (24.81%)당선 (2위)초선[7]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전북 6[8]
ta-hash-start=w-a3bf6e4db673b6449c2f7d13ee6ec9c0[[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41,789 (26.72%)재선[9]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전북 6[10]26,449 (16.43%)낙선 (3위)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전북 정주·정읍
ta-hash-start=w-410987637793620466d1b0732bd7ed6d[[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58,276 (64.29%)당선 (1위)3선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

55,616 (74.74%)4선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전북 정읍

20,891 (27.96%)낙선 (2위)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8f50b7fdf58e5665147f9dd736502359[[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8,497 (57.58%)당선 (1위)5선
2004제17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614794dbe82384e43122cc92e6a66f6f[[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32,562 (49.56%)6선[11]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5adb9efda92501648f9dcc408a5e9b11[[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78 - 1980정계 입문

무소속

1980 - 1981정당 해산

ta-hash-start=w-227f6afd3b7f89b96c4bb91f95d50f6d[[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1 - 1987창당

무소속

1987탈당[12]

ta-hash-start=w-202188bac10631760894507f0df40902[[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1987 - 1991창당

ta-hash-start=w-0431d02939ae944f20f959581bf1acdd[[파일:신민주연합당 로고타입.svg
1991당명 변경


1991 - 1995합당[13]


1995 - 1996합당[14]

무소속

1996 - 1997탈당[15]

ta-hash-start=w-82f4ec0886a346b2e2b220e1e805b22f[[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7 - 2000입당

ta-hash-start=w-9d3a54d0abf035859f2a910df9fe0640[[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 - 2003합당[16]
2003탈당[17]
2003 - 2004창당
2004 - 2006탈당[18]
2006 - 2007복당
2007탈당[19]
2007 - 2008창당
2008합당[20]
정계 은퇴
2008 - 2011당명 변경
2011 - 2013합당[21]
2013 - 2014당명 변경
2014 - 2015합당[22]
2015 - 현재당명 변경


6. 둘러보기[편집]








[1] 음력 1937년 1월 6일[2] 도강 김씨 집성촌이다. 사촌동생으로 국회의장 시절 자신의 정무담당 비서관을 지낸 바 있는 김생기 전 정읍시장도 이 마을 출신이다.[3] 당적은 평화민주당, 민주당, 통합민주당 [4] 이 때 공천을 놓고 경쟁한 윤철상 의원은 당시 총재였던 김대중 대통령 직권으로 전국구(비례대표) 상위권에 공천되어 당선되면서 큰 갈등은 없었다.[5] 이 때는 열린우리당 후보로 나서 새천년민주당 윤철상 후보를 꺾는다.[6] 정읍군, 김제군[7] 민주공화당 장경순 후보와 동반 당선[8] 정읍군, 고창군[9] 민주정의당 진의종 후보와 동반 당선[10] 정주시, 정읍군, 고창군[11] 전반기 국회의장[12] 평화민주당 창당을 위한 탈당.[13] 민주당과 신설 합당.[14] 개혁신당과 신설 합당.[15]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신한국당-통합민주당 합당 반대)
[16]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17]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해 탈당.[18] 국회의장 취임으로 인한 탈당.[19] 대통합민주신당 합류를 위한 탈당.[20] 민주당과 신설 합당.[21]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22] 민주당새정치연합의 합당으로 새정치민주연합에 합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