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12대 국회

덤프버전 :



대한민국
제12대 국회
第12代國會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이전이후
제11대 국회제13대 국회
의원정수276석[1]
의장전반기: 이재형(1985.5.13.~1987.5.12.)
후반기: 이재형(1987.5.13.~1988.5.29.)
부의장전반기: 최영철, 김녹영조연하
후반기: 장성만, 공석[2]
제1당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원내정당[3]
[ 의석수 보기 ]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평화민주당, 신민주공화당

1. 개요
3. 원구성
4. 주요 활동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1985년 2월 12일 실시된 총선거를 통해 구성된 대한민국의 열두 번째 국회. 이 시기에 6월 민주 항쟁이 일어나면서 전두환 정권이 굴복하여 대한민국의 민주화를 불러왔다.


2. 국회의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제12대 국회의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원구성[편집]


1985.5.13. ~ 1988.5.29.
[ 임기 개시 당시 ]



3.1. 의장단[편집]










3.2. 상임위원회 / 상설특별위원회[편집]


제11대 국회와 동일하게 13개 상임위원회로 구성되었다.

  • 국회운영위원회
  • 법제사법위원회
  • 외무위원회
  • 내무위원회
  • 재무위원회
  • 경제과학위원회
  • 국방위원회
  • 문교공보위원회
  • 농수산위원회
  • 상공위원회
  • 보건사회위원회
  • 교통체신위원회
  • 건설위원회

3.3. 교섭단체[편집]




4. 주요 활동[편집]


아래에 열거한 법률은 †로 표시한 것 외에는 이 문서 최종수정일 현재에도 시행 중인 법률(후에 개정된 것 포함, 폐지제정된 것 제외)이다.

  • 1985년
    • 10월 18일: 대법원장(유태흥)탄핵소추안 부결[4]
    • 12월 23일: 농어가목돈마련저축에 관한 법률 제정.

  • 1986년
    • 5월 12일: 전산망 보급확장과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5],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중소기업창업법) 제정.
    • 12월 31일: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최저임금법, 폐기물관리법 제정.

  • 1987년
    • 10월 29일: 9차 개헌. 제6공화국 성립으로 대한민국은 30년 가까운 군사독재를 청산하고 민주화의 길로 들어섰다.
    • 11월 28일: 정기간행물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6] 제정

  • 1988년
    • 2월 24일: †국가원로자문회의[7] 제정.
    • 5월 29일: 제12대 국회 임기종료.

5. 관련 문서[편집]





[1] 지역구 184석, 비례대표 92석.[2] 당시 제1야당인 통일민주당과 제2야당인 한국국민당에서 전두환 정부의 4.13 호헌조치에 반대한다는 뜻으로 국회부의장 자리를 거부하여 제12대 국회의 임기가 만료될 때 까지 제1야당 몫 국회부의장 자리가 공석이었다.[3] 임기 종료시 기준[4] 헌정사상 최초로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표결이 이뤄졌다.[5]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6] 현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7] 1989년 3월 29일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