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황낙주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원내총무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동력자원위원장
신설제13대 전반기
황낙주
제13대 후반기
최형우

파일:국회휘장(8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남 제5선거구)
제7대
조창대
제8대
황낙주
선거구 개편
이도환[A]
황낙주[A]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남 제6선거구)
선거구 개편
황은환[1]
황낙주[2]
제9대
이도환
황낙주
제10대
박종규
황낙주
제9대
이도환
황낙주
제10대
박종규
황낙주
선거구 개편
배명국[B]
김종하[B]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남 제4선거구)
제11대
배명국[B]
김종하[B]
제12대
배명국
황낙주
선거구 개편
황낙주[3]
박재규[4]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남 창원시)
선거구 개편
배명국[C]
황낙주[C]
제13대
황낙주
선거구 분리
김종하[5]
황낙주[6]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남 창원시 을)
선거구 분리
황낙주[7]
제14-15대
황낙주
제16대
이주영
[A] A B 마산시·진해시·창원군 선거구의 제9대 국회의원 이다.[1] 마산시 선거구의 제8대 국회의원 이다.[2] 진해시·창원군 선거구의 제8대 국회의원 이다.[B] A B C D 창원시·진해시·의창군 선거구의 제11대 국회의원 이다.[3] 창원시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 이다.[4] 진해시·의창군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 이다.[C] A B 창원시·진해시·의창군 선거구의 제12대 국회의원 이다.[5] 창원시 갑 선거구의 제14대 국회의원 이다.[6] 창원시 을 선거구의 제14대 국회의원 이다.[7] 창원시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 이다.

대한민국 제14대 후반기 국회의장
황낙주
黃珞周 | Hwang Nak-joo
파일:황낙주.gif
출생1928년 3월 22일
경상남도 창원군 진해면
(現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사망2002년 12월 12일 (향년 74세)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서울아산병원
묘소국립대전현충원 국가사회공헌자 묘역-11호
본관장수 황씨[1]
재임기간제14대 전반기 국회부의장[2]
1992년 6월 29일 ~ 1994년 6월 28일
제14대 후반기 국회의장
1994년 6월 29일 ~ 1996년 5월 28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황원효, 어머니 밀양 박씨
형제자매7남 1녀 중 일곱째
배우자이재옥(李在玉)[1]
자녀슬하 아들 황의석(黃義晳)[2] 외 2녀
학력경화초등학교 (졸업)
마산공립상업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 / 학사)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 / 석사과정 수료)
의원 선수7
의원 대수8, 9, 10, 12, 13, 14, 15
경력신민당 경남지부 부위원장
경남제6지구당위원장
지자체촉진투위 경남지부장
신민당 경남도당위원장
신민당 원내수석부총무
신민당 정무위원
신민당 중앙인권옹호위원장
신민당 원내총무
APU 한국대표
통일민주당 정무위원
국회 동력자원위원장
민주자유당 중앙위의장
제14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제14대 후반기 국회의장

[1] 전주 이씨 이화영(李化永)의 딸로, 1938년 1월 2일생이다.[2] 1968년 3월 16일생이다.
1. 개요
2. 생애
2.1. 정계 활동 전
2.2. 정계 활동
2.3. 사망
3. 비판
4. 대중매체에서
5. 여담
6. 선거 이력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정치인.


2. 생애[편집]



2.1. 정계 활동 전[편집]


1928년 3월 22일 경상남도 창원군 진해면(現 창원시 진해구)에서 아버지 황원효(黃源孝, 1883 ~ 1946. 9. 11)와 어머니 밀양 박씨 박홍섭(朴弘燮)의 딸 사이의 7남 1녀 중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다.[3] 경화초등학교, 마산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였고, 1965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이후 일본 와세다대학 대학원 정경연구과 정치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1955년 진해세화여자고등학교의 전신 충무상업고등학교를 설립하여 교장에 취임하고, 1966년에 이사장이 되었다.


2.2. 정계 활동[편집]


1967년 신민당 정책위원 겸 경상남도 부위원장이 되어 정계에 입문하였다, 이후 김영삼계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같은 해 치러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경상남도 진해시-창원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조창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0월 유신으로 중선거구제 하에서 치러진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경상남도 마산시-창원군-진해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이도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6년 신민당 전당대회에서 이철승 대표최고위원 체제가 출범하자 인권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박종규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9년 5월 신민당 전당대회에서 김영삼이 총재가 되자 다음 달인 6월 원내총무가 되었다. 1979년 김영삼의 구속을 막기 위해 같은 선거구의 국회의원이었던 박종규와 자주 만나기도 하였다.

1980년 신군부에 의해 정치규제를 당하였다. 그러다가 정치규제에서 풀리고 나서 1985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창원시-진해시-의창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배명국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그러나 당선된 직후 어용야당인 민주한국당을 탈당하여 신한민주당에 입당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창원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2년 동안 대한민국 국회 동력자원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통일민주당이 해체되고 민주자유당이 창당하자 이에 따라갔다.

1992년 창원시 선거구가 갑/을로 분할될 때에 을구에서 제14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1994년까지 국회부의장이 되었으며, 1994∼1996년에는 14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을 역임하였다. 국회의장 시절에 공관에 감금되는(...) 흑역사를 찍기도 했는데, 기초단체장 및 기초의원 정당공천을 놓고 여야가 팽팽히 맞섰던 상황에서 벌어진 일이다. 당시 민주자유당은 정당공천 배제를 민주당은 정당공천을 주장하고 있었는데 이 과정에서 황낙주 국회의장이 한남동 의장 공관에 연금되고 김기배 국회 내무위원장이 민주당 의원들에 이끌려 속초로 강제동행되는 사태가 빚어졌다. 결국 여야의 합의로 기초단체장만 정당공천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국회의장 임기를 마치고 다시 1996년 15대 총선에 출마하여 창원시 을 지역구에서 당선되었다. 이후 국방위원회에서 활동했고, 신한국당 상임고문, 한나라당 상임고문이 되었다.


2.3. 사망[편집]


2002년 12월 11일 오후 11시 40분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자택 화장실에서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이튿날인 12월 12일 0시 30분에 서울아산병원에서 별세했다. 향년 74세. 그의 유해는 2002년 12월 14일 국립대전현충원 국가사회공헌자 묘역에 안장되었다.


3. 비판[편집]


1991년 창원시 갑/을 분구 때 게리맨더링의 원흉으로 지적받는다. 이 문제는 2010년 통합 창원시 출범 당시 의창구/성산구 분구에서도 그대로 반영된다.[4]


4. 대중매체에서[편집]


1993년 MBC 드라마 제3공화국에서는 전국근이 연기하였다.

1995년 MBC 드라마 제4공화국에서는 권병길이 연기하였다.

1995년 SBS 드라마 코리아게이트에서는 정태섭이 연기하였다.

2005년 MBC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는 김익태가 연기하였다.


5. 여담[편집]




6.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경남 5[5]
ta-hash-start=w-25cd125f8916019a9d5909d771fdef61[[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25,810 (27.23%)낙선 (2위)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경남 6[6]51,774 (51.20%)당선 (1위)초선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경남 1[7]59,680 (37.16%)당선 (2위)재선[8]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91,844 (36.47%)3선[9]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경남 4[10]
ta-hash-start=w-d16c19f1f2ab8361fda1f625ce3ff26a[[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50,726 (26.32%)4선[11][12]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경남 창원
ta-hash-start=w-5e3201e74613bc006dc8b2fcf8d80ff5[[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8,134 (35.63%)당선 (1위)5선[13]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경남 창원 을
ta-hash-start=w-2ea3bbe4bd6170e7d1439523953dd068[[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2,278 (42.94%)6선[14][15]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22e7bec3a6dfe8041780aa125f5f4932[[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2,902 (36.29%)7선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황낙주7대.jpg
파일:황낙주8대.jpg
7대 총선 (경남 5[1])8대 총선 (경남 6[2])
파일:황낙주9대.jpg
파일:황낙주10대.jpg
9대 총선 (경남 1[3])10대 총선 (경남 1[4])
파일:황낙주12대.jpg
파일:황낙주13대.jpg
12대 총선 (경남 4[5])13대 총선 (경남 창원시)
파일:황낙주14대.jpg
파일:황낙주15대.jpg
14대 총선 (경남 창원시 을)15대 총선 (경남 창원시 을)

[1] 진해시, 창원군[2] 진해시, 창원군[3] 마산시, 진해시, 창원군[4] 마산시, 진해시, 창원군[5] 창원시, 진해시, 의창군


7.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0:36:12에 나무위키 황낙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소윤공파(少尹公派)-참판공계(參判公系)-축옹공파(畜翁公派) 21세 ◯주(周) 항렬.[2] 제14대 전반기 국회의장 권한대행 수행. (1993년 3월 29일 ~ 1993년 4월 26일)[3] 어머니 밀양 박씨는 아버지 황원효의 셋째 부인이다. 첫째 부인 재령 강씨(載寧 康氏)는 슬하에 맏형 황택주(黃宅周, 1901 ~ 1947. 3. 6)와 둘째 형 황흥주(黃興周, 1914. 3. 9 ~ ?), 누나를 두었으며, 둘째 부인 진주 강씨는 셋째 형 황열주(黃烈周, 1915. 6. 7 ~ 1996. 12. 14)와 넷째 형 황식주(黃軾周, 1918. 9. 5 ~ ?)를 두었다. 친어머니 밀양 박씨는 슬하에 다섯째 형 황하주(黃廈周, 1924. 3. 23 ~ 2002. 7. 9)와 황낙주 본인, 그리고 남동생 황순주(黃珣周, 1931. 10. 29 ~ )를 두었다.[4] 이 경계 문제는 2021년에야 해결된다.[5] 진해시, 창원군[6] 진해시, 창원군[7] 마산시, 진해시, 창원군[8] 민주공화당 이도환 후보와 동반 당선[9] 민주공화당 박종규 후보와 동반 당선[10] 창원시, 진해시, 의창군[11] 민주정의당 배명국 후보와 동반 당선[12] 1985년 탈당
신한민주당 입당
1987년 탈당
통일민주당 입당
[13] 1991년 민주자유당 합류(3당합당)[14] 전반기 국회부의장[15] 후반기 국회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