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중위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신한국당 로고.svg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책위원회 의장
2대
이상득
3대
김중위
4대
이해구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강동구 을)
선거구 분리
김동규[A]
정남[A]
제13-15대
김중위
제16대
심재권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장
제15대 전반기
목요상
제15대 전반기
김중위
제15대 후반기
임채정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장
제15대 전반기
김인곤
제15대 후반기
김중위
제16대 전반기
박주천

[A] A B 강동구(제14선거구) 제12대 국회의원

대한민국 초대 환경부 장관
김중위
金重緯 | Kim Jung-wi
파일:김중위상임고문.jpg
출생1939년 10월 28일 (84세)
경상북도 봉화군
본관의성 김씨 개암공파
재임기간초대 환경부 장관
1994년 12월 21일 ~ 1995년 12월 21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봉화초등학교 (졸업)
서울양정중학교 (졸업)
서울양정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 /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 / 석사[1])
종교무종교가톨릭 (세례명: 요한)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의원 선수4
의원 대수12, 13, 14, 15
약력사상계 편집장
신민당 유진오 총재 비서관
고려대학교 강사
명지대학교 강사
제12대 국회의원 (전국구 64번 / 민주정의당)
제12대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위원
제12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간사
노태우 대통령취임준비위원회 준비위원
제13대 국회의원 (서울 강동구 을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 대변인
민주정의당 정책연구실장
민주정의당 정책조정실장
민주자유당 서울특별시 지부 위원장
제14대 국회의원 (서울 강동구 을 / 민주자유당)
제14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초대 환경부 장관 (문민정부)
국회 제도개선특별위원회 위원장
제15대 국회의원 (서울 강동구 을 / 신한국당)
신한국당 정책위원회 의장
제15대 국회 전반기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제15대 국회 후반기 정무위원회 위원장
한나라당 상임고문
새누리당 상임고문
자유한국당 상임고문
바른정당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장
대한민국헌정회 홍보편찬위원회 의장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여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언론인, 정치인이다.

2. 생애[편집]


1939년 경상북도 봉화군에서 태어났다. 봉화초등학교, 서울양정중학교, 서울양정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와 동 대학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고려대학교. 명지대학교 등에서 정치학을 강의하는 한편 1960년대 말 잡지 사상계의 편집장을 역임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신민당 유진오 총재의 비서관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자 이재형 초대 민주정의당 대표최고위원을 따라 민주정의당에 합류하였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86년 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 당시 "나는 부천경찰서 사건의 희생양이라 주장하는 권인숙[1]씨의 정신감정이 우선해야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발언해 물의를 빚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강동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5월부터 12월까지 민주정의당 대변인을 역임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4년 12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환경부장관을 역임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7년 신한국당 정책위의장을 역임하였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다. 그러나 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 당시 피해자를 두고 한 망언을 총선시민연대가 문제삼아 낙선 운동을 하였고, 결국 새천년민주당 심재권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새누리당-자유한국당 상임고문을 지냈다.

파일:PYH2017101110230001300_P2_20171011171116556.jpg

2017년 바른정당의 11·13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장을 맡게 됐다. 그런데 정작 본인은 당시 바른정당 전당대회 선관위원장을 맡으면서 한국당 상임고문을 맡고 있었다. 다만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다시 자유한국당 소속이 되었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미래통합당 이상일 후보를 지지하였다.

2022년 2월 24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지지 선언을 한 대한민국 헌정회원 중 316명의 명단에 포함되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전국구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승계 (64번)초선[2]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강동 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0,698 (30.04%)당선 (1위)재선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e2e0c7c57d6094dd987599a151c9d443[[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0,459 (35.46%)3선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08b2dbdc9ca941d237893bd425af8bfa[[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7,947 (40.37%)4선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37,589 (42.33%)낙선 (2위)[3]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김중위 13대.jpg
파일:김중위 14대.jpg
13대 총선 (서울 강동구 을)14대 총선 (서울 강동구 을)
파일:김중위 15대.jpg
파일:김중위 16대.jpg
15대 총선 (서울 강동구 을)16대 총선 (서울 강동구 을)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7dbf1a9148569d32830ae9c5a1acd40e[[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7 - 1969정계 입문

무소속

1969자진 정당 해산

ta-hash-start=w-05a735e7648b96263e95885100560985[[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9 - 1980정당 재등록

무소속

1980 - 1981정당 해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 - 1990창당

ta-hash-start=w-a5ab1fa4199426a4a1f1cfa23bf299e8[[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0 - 1995합당[4]

ta-hash-start=w-a1d7311f2a312426d710e1c617fcbc8c[[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5 - 1997당명 변경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7 - 2012합당[5]
정계 은퇴

ta-hash-start=w-4b3ac70a62256956d9de54849321c78d[[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 - 2017당명 변경

ta-hash-start=w-6956210a5b5170b72179aa031274c653[[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당명 변경

무소속

2017탈당

ta-hash-start=w-3937a8212b6186a70f430fc5aaa2fd29[[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 - 2018입당[6]

무소속

2018탈당

ta-hash-start=w-0c641035c350e80b602d7cdfe60b357d[[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 - 2020복당
2020합당[7]
2020 - 현재당명 변경


5. 여담[편집]


  • 과거 자신의 지역구였던 둔촌주공아파트에 거주했었다. 둔촌주공 바로 앞에 위치한 5호선 둔촌동역이 환승역이 아님에도 개통 초기부터 에스컬레이터가 있던 몇 안되는 역이었는데, 당시 지역구 국회의원이던 김중위의 입김이 적용됐다는 썰이 있다.

  • 이름이 군대 계급 명칭과 동일하다. 이런 인물로는 양병장이 있다. 다만 이 사람은 장교 계급이며 그 사람은 병 계급이다. 또한 직업 역시 이 사람은 국회의원이지만 그 사람은 해병대주임원사이다.


6. 둘러보기[편집]











[1] 현재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비례대표 국회의원 이다.[2] 1985. 8. 1 문희갑 경제기획원 차관 입각에 따른 사퇴로 승계[3] 5번의 선거 중 첫 낙선[4]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5] 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6] 선거관리위원장으로 영입[7]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