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종택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지사
[ 펼치기 · 접기 ]

초대
윤하영
제2대
이광
제3대
이명구
제4대
정현모
제5대
정낙훈
제6대
김학응
제7대
정인택
제8대
황종률
제9·10대
조대연
제11대
고광도
제12대
최세인
제13대
신명순
제14대
김효영
제15대
정해식
제16대
태종학
제17대
오용운
제18대
정종택
제19대
김종호
제20대
임성재
제21대
강우혁
제22대
노건일
제23대
민태구
제24대
주병덕
제25대
이동호
제26대
이원종
제27대
김덕영
제28대
허태열
제29대
주병덕
제30·31대
이원종
제32대
정우택
제33-35대
이시종
제36대
김영환
파일:충청북도 BI.svg





[ 펼치기 · 접기 ]

제1무임소장관 (1975~1981)
초대
이병희
제2대
신형식
제3대
장경순
제4대
김용태
제5대
김좌겸
제6대
최광수
정무제1장관 (1981~1998)
초대
정종택
제2대
오세응
제3대
이태섭
제4대
정재철
제5대
조기상
제6대
이종률
제7대
김윤환
제8대
이종찬
제9대
정종택
제10대
박철언
제11대
김윤환
제12대
김동영
제13대
최형우
제14대
김용채
제15대
김종호
제16대
김동익
제17대
김덕룡
제18대
서청원
제19대
김윤환
제20대
김영구
1998년 내무부, 총무처와 통합
제21대
주돈식
제22대
김덕룡
제23대
신경식
제24대
홍사덕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농림축산식품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농림부장관 (1948~1973)
초대
조봉암
제2대
이종현
제3대
윤영선
제4대
공진항
제5대
임문환
제6대
함인섭
제7대
신중목
제8대
양성봉
제9대
윤건중
제10대
최규옥
제11대
임철호
제12대
정낙훈
제13대
정운갑
제14대
정재설
제15대
이근직
장도영 내각
김현철 내각
제16대
이해익
제17대
박제환
제18대
장경순
제19대
류병현
제20대
원용석
제21대
차균희
제22대
박동묘
제23대
김영준
제24대
이계순
제25대
조시형
제26대
김보현
제27대
김보현
농수산부장관 (1973~1986)
제27대
김보현
제28대
정소영
제29대
최각규
제30대
장덕진
제31대
이희일
제32대
이재설
제33대
정종택
제34대
정종택
제35대
고건
제36대
박종문
제37대
황인성
농림수산부장관 (1987~1996)
제37대
황인성
제38대
김주호
제39대
윤근환
제40대
김식
제41대
강보성
제42대
조경식
제43대
강현욱
제44대
허신행
제45대
김양배
제46대
최인기
제47대
강운태
농림부장관 (1996~2008)
제47대
강운태
제48대
정시채
제49대
이효계
제50대
김성훈
제51대
한갑수
제52대
김동태
제53대
김영진
제54대
허상만
제55대
박홍수
제56대
임상규

농림수산식품부장관 (2008~2013)
제57대
정운천
제58대
장태평
제59대
유정복
제60대
서규용

농림축산식품부장관 (2013~현재)
제61대
이동필
제62대
김재수
제63대
김영록
제64대
이개호
제65대
김현수
제66대
정황근
파일:농림축산식품부 MI.svg



파일:정부상징.svg
파일:고용노동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노동청장 (1963~1981)
초대
정희섭
제2대
이찬우
제3대
이승택
제4대
조의창
제5대
최두열
제6대
최석원
제7대
박상렬
제8대
정종택
제9대
박창규
제10대
권중동

고용노동부장관 (2010~현재)
초대
임태희
제2대
박재완
제3대
이채필
제4대
방하남
제5대
이기권
제6대
김영주
제7대
이재갑
제8대
안경덕
제9대
이정식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경제기획원장관신병현김준성서석준신병현김만제정인용
국토통일원장관이범석손재식이세기박동진허문도
외무부장관노신영이범석이원경최광수
내무부장관서정화노태우주영복정석모김종호정호용고건정관용이상희
재무부장관이승윤나웅배강경식김만제정인용사공일
법무부장관오탁근이종원정치근배명인김석휘김성기정해창
국방부장관주영복윤성민이기백정호용
문교부장관이규호권이혁손제석서명원
체육부장관노태우이원경이영호박세직이세기조상호
농림수산부장관정종택고건박종문황인성김주호
상공부장관서석준김동휘금진호나웅배
동력자원부장관박봉환이선기서상철최동규최창락
건설부장관김주남김종호김성배이규효최동섭
보건사회부장관천명기김정례이해원
노동부장관권중동정한주조철권이헌기
교통부장관고건윤자중이희성손수익차규헌
체신부장관김기철최광수최순달김성진이자헌이대순오명
문화공보부장관이광표이진희이원홍이웅희
총무처장관김용휴박찬긍박세직정관용장기오
과학기술처장관이정오김성진전학제이태섭박긍식
정무제1장관최광수정종택오세응이태섭정재철조기상이종률
정무제2장관노태우
정무제3장관김기수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나웅배조순이승윤최각규
국토통일원장관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이홍구홍성철최호중최영철
외무부장관최광수최호중이상옥
내무부장관이상희이춘구이한동김태호안응모이상연이동호백광현
재무부장관사공일이규성정영의이용만
법무부장관정해창허형구이종남김기춘이정우
국방부장관오자복이상훈이종구최세창
문교부장관 교육부장관김영식정원식윤형섭조완규
문화공보부장관 문화부장관정한모최병렬이어령이수정
체육부장관 체육청소년부장관조상호김집정동성박철언이진삼
농림수산부장관윤근환김식강보성조경식강현욱
상공부장관안병화한승수박필수이봉서한봉수
동력자원부장관이봉서이희일진념
건설부장관최동섭박승권영각이상희이진설서영택
보건사회부장관권이혁문태준김종인김정수안필준
노동부장관최명헌장영철최영철최병렬이연택
교통부장관이범준김창근김창식임인택노건일
체신부장관오명최영철이우재송언종
정무제1장관김윤환이종찬정종택박철언김윤환김동영최형우김용채김종호김동익
정무제2장관조경희김영정이계순김갑현
총무처장관김용갑김용래이연택이상배이문석
과학기술처장관이관이상희정근모김진현권숙일
공보처장관최병렬최창윤손주환유혁인
환경처장관조경식허남훈권이혁이재창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 부총리 겸 재정경제원장관이경식정재석홍재형나웅배한승수강경식임창열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한완상이영덕이홍구김덕나웅배권오기
외무부장관한승주공로명유종하
내무부장관이해구최형우김용태김우석서정화강운태조해녕
재무부장관홍재형박재윤
법무부장관박희태김두희안우만최상엽김종구
국방부장관권영해이병태이양호김동진
교육부장관오병문김숙희박영식안병영이명현
문화체육부장관이민섭주돈식김영수송태호
농림부장관허신행김양배최인기강운태정시채이효계
상공자원부장관 → 통상산업부장관김철수박재윤안광구임창열정해주
건설부장관허재영고병우김우석
정보통신부장관윤동윤경상현이석채강봉균
환경부장관황산성박윤흔김중위정종택강현욱윤여준
보건사회부장관 → 보건복지부장관박양실송정숙서상목이성호김양배손학규최광
노동부장관이인제남재희이형구진념이기호
건설교통부장관이계익정재석오명추경석이환균
해양수산부장관신상우조정제
정무제1장관김덕룡서청원김윤환김영구주돈식김덕룡신경식홍사덕
정무제2장관권영자김장숙김윤덕이연숙
총무처장관최창윤황영하서석재김기재조해녕김한규심우영
과학기술처장관김시중정근모구본영김용진권숙일
공보처장관오인환









대한민국 제33·34대 농수산부 장관
대한민국 제8대 환경부장관
정종택
鄭宗澤 | Jung Jong-taek
파일:/image/038/2009/03/10/l391204200903092049290.jpg
출생1935년 2월 20일 (89세)
충청북도 청주군 오창면 여천리
(現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여천리)
본관연일 정씨
재임기간제18대 충청북도지사
1976년 10월 12일 ~ 1980년 1월 17일
제8대 노동청장
1980년 1월 17일 ~ 1980년 5월 22일
제33·34대 농수산부 장관
1980년 5월 22일 ~ 1981년 3월 19일
초대 정무제1장관
1981년 4월 8일 ~ 1982년 5월 21일
제9대 정무제1장관
1988년 12월 5일 ~ 1979년 12월 13일
제8대 환경부 장관
1995년 12월 21일 ~ 1996년 12월 20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오창초등학교 (졸업)
증평중학교 (졸업)
청주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 / 학사)
소속 정당
무소속

의원 선수3
의원 대수11, 12, 13
약력광혜원 중 • 고등학교 교사
내무부 재정과장
대통령 정무비서관 겸 새마을 담당 비서관
내무부 기획관리 실장
제18대 충북도지사
민주정의당 행정위원
제8대 노동청장
민주자유당 특임행정연구위원
제33, 34대 농수산부 장관
초대 정무 제1장관
제9대 정무 제1장관
환경부 장관
새천년민주당 촉탁위원
새천년민주당 특임위원
열린우리당 특임교육행정연구위원
청주대학교 초빙교수
충청대학 제5대 학장
제7대 한국전문대학 교육협의회 회장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관료, 정치인, 교육자이다. 본관은 연일(延日)[1].


2. 생애[편집]


1935년 충청북도 청주군 오창면 여천리(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여천리)에서 아버지 정운흥(鄭雲興)과 어머니 연안 김씨 김영기(金榮基)의 딸 사이의 1남 3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청주오창초등학교, 증평중학교, 청주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교사, 내무부 임시직 말단 공무원으로 근무하다가 1971년 대통령 정무비서관 및 새마을담당비서관으로 발탁돼 3년 4개월 동안 보직을 맡았고, 새마을운동을 전담하기도 했다. 당시 새마을운동이 확산되는 시점에 기업들로부터 새마을 성금을 걷었고, 영부인인 육영수 여사에게 새마을운동의 지도층 솔선수범 필요성을 설명하고 새마을교육을 시킬 것을 요청하였고 이후에는 영부인을 새마을 현장으로 내보기도 했다. 이 때문에 육영수가 정종택을 "새마을운동에 미치신 비서관"이라고 표현할 정도였다.

또한 새마을운동 예산 확보 과정에서 에피소드가 여러개가 있었는데, 한번은 정종택이 남덕우 재무부장관과 김보현 농수산장관에게 은행, 농협 임원들의 판공비, 정보비를 아껴 새마을운동의 성금으로 유도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런데 얼마후 전국 농협 임직원들이 새마을 성금을 강제로 공제하게 되었다. 결국 정종택은 순수한 새마을운동의 저해요인이 될까 두렵다며 정중히 임직원들의 강제모금 철회를 요청했고, 곧바로 새마을운동 모금이 중단됐다. 또 한번은 양탁식 당시 서울시장강감찬 장군 사당을 짓는데 2억 5000만 원이 필요하다고 박정희 대통령에게 보고해서 새마을 예산을 빼앗아갔다. 이후에 양택식이 이 사실을 정종택의 사무실에서 자랑하자 정종택이 발끈했는데, 정종택은 "서울시는 주민세가 신설돼 많은 재원이 추가로 들어오는데도 새마을운동에 예산을 보태주는 못할망정 그 많은 돈을 빼앗아 갈수 있는가? 내년 서울시 예산에서 그 열 배가량을 청와대에서 묶겠다"라고 했는데 정작 양탁식은 이 말을 농담으로 받아들였다(...) 하지만 그 후에 정종택 본인이 대통령 결재를 받아 서울시 예산 중 20억 원(현 3000억 가량)을 묶어 전에 양탁식에게 했던 말을 실제로 직접 실천하였고, 결국 서울시가 발칵 뒤집히기도 했다. 서울시 공무원들에게 까지 미움을 사게 된 것은 덤.

이후 1976년부터 1980년까지 4년간 충청북도지사를 역임하였다. 본래 경기도지사로 임명되려 했으나 당시 장기간 재임한 시·도지사 교체 방침에 따라 3년 이상 재임한 오용운 충북도지사가 교체대상이 되어 충북도지사 자리에 공백이 생기는 바람에 최종적으론 충청북도지사에 임명되었다. 도지사 재임 기간동안 새마을운동 담당비서관 시절의 경험으로 충북에서 새마을 운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하였다.

1980년 1월부터 같은 해 5월까지 노동청장(현 고용노동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같은 해 5월부터 1981년 3월까지 농수산부(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육진성 대신 민주정의당 후보로 충청북도 청주시-청원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한국국민당 윤석민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같은 해 4월부터 1982년 5월까지 정무제1장관에 부임하였다가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에 따른 민심 수습 차원에서 경질되어 같은 당의 오세응 국회의원으로 후임자가 교체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한민주당 김현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뒤이어서 민주정의당 충청북도지부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한국4H연맹 총재를 역임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충청북도 청주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통일민주당 김현수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같은 해 12월부터 1989년까지 정무제1장관을 역임하였다. 이 시기에 경부고속선 오송역 신설을 위해 깽판치던 청사모의 배후에 있었다고 한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통일국민당 김진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5년 초 민주자유당 교육연수원장을 역임하였다. 1995년 12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환경부장관을 역임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당적을 옮겨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충북 청원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신경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충청대학교 학장 등을 역임하였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지역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충북 1[2]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67,108 (33.57%)당선 (1위)초선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충북 청주·청원120,584 (49.67%)재선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충북 청주 갑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0,375 (37.03%)3선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a3b36cb25e2e0b93b5f334ffb4e4064e[[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28,461 (33.16%)낙선 (2위)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충북 청원
ta-hash-start=w-e647ab2cf6e133f92f54b921f384ae21[[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5,928 (27.39%)낙선 (3위)


4. 둘러보기[편집]










[1] 문정공파-김제공파 25세 택(澤) 항렬.[2] (구)청주시, (구)청원군. 두 지자체의 통합은 2014년에서야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