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재희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보건복지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사회부장관 (1948~1955)
초대
전진한
제2대
이윤영
제3대
허정
제4대
최창순
제5대
박술음

보건부장관 (1948~1955)
초대
구영숙
제2대
오한영
제3대
최재유


보건복지가족부장관 (2008~2010)
제46대
김성이
제47대
전재희

보건복지부장관 (2010~현재)
제47대
전재희
제48대
진수희
제49대
임채민
제50대
진영
제51대
문형표
제52대
정진엽
제53대
박능후
제54대
권덕철
제55대
조규홍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나라당 흰색 아이콘.svg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책위원회 의장
18대
이방호
19대
전재희
20대
이주영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광명시)
제16대
손학규[1]
제16대
전재희
선거구 분리
이원영[2]
전재희[3]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광명시 을)
선거구 분리
전재희[4]
제17-18대
전재희
제19-20대
이언주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장
제18대 후반기
정병국
제18대 후반기
전재희
제19대 전반기
한선교

파일:광명시 CI_White.svg
경기도 광명시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유석보
제2대
이호선
제3대
진만현
제4대
이상용
제5대
김용선
제6대
전창선
제7대
김태수
제8대
오성수
제9대
임수복
제10대
전재희
제11대
홍성원
제12대
전재희
제13·14대
백재현
제15대
이효선
제16-17대
양기대
제18-19대
박승원
파일:광명시 민선 8기 슬로건.png




[1] 경기도지사 선거 출마로 인한 의원직 사퇴.[2] 광명시 갑 선거구의 제17대 국회의원 이다.[3] 광명시 을 선거구의 제17대 국회의원 이다.[4] 광명시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 이다.

대한민국 제47대 보건복지부 장관
전재희
全在姬 | Jeon Jae-hee
파일:1611104510760078353a9f30.png
출생1949년 10월 27일[1] (74세)
경상북도 영천군 대창면 오길동
(現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오길리)
본관용궁 전씨[2]
재임기간제10대 경기도 광명시장 (관선)
1994년 4월 17일 ~ 1995년 3월 28일
제12대 경기도 광명시장 (민선 1기)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제47대 보건복지가족부 장관
2008년 8월 6일 ~ 2010년 3월 18일
제47대 보건복지부 장관
2010년 3월 19일 ~ 2010년 8월 29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김형률(1950년)[1]
자녀아들 김정민(1977년), 딸 김희정(1978년)
학력대구여자고등학교 (졸업)
영남대학교 (행정학 / 학사)
종교천주교(세례명: 마리아)[2]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의원 선수3
의원 대수16, 17, 18
경력제13회 행정고시 합격
문화공보부 방송관리국 지도과 사무관 (박정희 정부)
노동부 부녀소년과장 (전두환 정부)
노동부 재해보상과장 (전두환 정부)
노동부 공공훈련과장 (전두환 정부)
노동부 임금복지과장 (노태우 정부)
노동부 훈련기획과장 (노태우 정부)
노동부 부녀지도관 (노태우 정부)
노동부 노동보험국장 (노태우 정부)
노동부 이사관 (문민정부)
노동부 직업훈련국장 (문민정부)
제10대 경기도 광명시장 (관선)
제12대 경기도 광명시장 (민선 1기 / 민주자유당)
한나라당 광명시 을 지구당위원장
제16대 국회의원 (전국구 9번 / 한나라당)
한나라당 부대변인
한나라당 제3정책조정위원장
한나라당 광명시 지구당위원장
제16대 국회의원 (경기 광명시 / 한나라당)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제17대 국회의원 (경기 광명시 을 / 한나라당)
한나라당 전당대회 부의장
한나라당 광명시 을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의장
한나라당 최고위원
제18대 국회의원 (경기 광명시 을 / 한나라당)
제47대 보건복지부 장관 (이명박 정부)
제18대 국회 후반기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새누리당 광명시 을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1] 전직 조달청 차장이며, 고향강원도 강릉시. 2014년에 별세하였다.[2] 남편도 요셉이라는 세례명을 가진 가톨릭 신자이다.

1. 개요
2. 생애
2.1. 정치 활동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관료, 정치인.


2. 생애[편집]


1949년, 경상북도 영천군 대창면 오길리[3]에서 태어났다. 대구삼덕초등학교, 대구여자중학교, 대구여자고등학교, 영남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였다.

1973년, 대한민국에서 여성 최초로 행정고시에 합격[4]하였으며 이후 문화공보부(현 문화체육관광부), 노동부(현 고용노동부) 등에서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1994년에는 광명시장에 임명되어 최초의 여성 관선 시장[5]이 되었다.


2.1. 정치 활동[편집]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경기도 광명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최초의 여성 민선 자치단체장#이 되었다.[6]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는 출마하지 않았다. 같은 해 7월 손학규가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기도지사에 출마하기 위해 대한민국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여 치러진 1998년 7월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기도 광명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정치국민회의 조세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같은 해 한나라당 부대변인에 임명되었다.

2002년 손학규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한나라당 후보로 경기도지사에 출마하기 위해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여 치러진 200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기도 광명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새천년민주당 남궁진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2003년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에 임명되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기도 광명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열린우리당 양기대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2006년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에 임명되었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치러진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선출 전당대회에서 친이계로 이명박 후보를 지지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기도 광명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통합민주당 양기대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2010년까지 보건복지부장관을 역임하였다. 보건복지부 장관 재직시절 친이계였음에도 불구하고, 건강보험 당연지정제 폐지를 강력하게 반대하여 이명박정부의 의료 영리화 정책에 브레이크를 걸었다. 그로 인해 당시 야권으로부터 호평을 받기도 했다.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장이 문화체육관광부장관으로 입각하면서 위원장직이 공석이 되자, 2011년부터 2012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이 때 외규장각의궤의 한국 반환에 큰 역할을 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통합당 이언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낙선 배경에는 "이제 식상하다", "지역 일을 소홀히 한다"는 등의 평가가 작용했다는 것이다[7]. 전재희가 광명시장으로서는 전설을 만들긴 했으나, 이래저래 15년이 지난 일이 되었고, 게다가 국회의원 시절에는 장관 등 중앙정치에 좀 더 집중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지역구인 광명시 일에는 소홀히 했던 것도 있으니... 여기다가 이케아 광명점 유치를 반대하는 상인들을 지원했다는 의혹도 있었다.

또 다른 배경으로는 전재희가 '한 번만 더 할게요'라는 식의 마케팅을 벌였다는 점이다. 지역구민 입장에서 지역발전을 위해 계속 일해줄 사람이 뽑고 싶지 한 번만 더 하고 은퇴하겠다는 사람을 뽑고 싶지는 않기 때문이다. 사실 전재희 장관은 18대 총선에서도 불출마와 입각 의사를 표현했으나 민주당으로 이적한 손학규가 광명을에 출마하면 대항마가 없기 때문에 한나라당의 요청을 받아 3선에 도전했었다. 물론 당선 3개월 후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입각했고 무려 2년 간 복무하며 장수장관으로 명예롭게 퇴임했지만 그만큼 지역구 조직관리에는 소홀했고 임기 중에 치러진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측근인 손인암, 심중식 전 광명시의원 등이 낙선하고 기초의원 가 번 후보들만이 생환하는 등 참패를 거둔 뒤였다.

물론 5회 지방선거는 경기도내 주요 기초자치단체들이 친민주당 성향으로 변화하는 시발점이었으나 광명은 더욱 급격하게 변해갔고 이것이 전재희라는 거물의 낙선을 예고하는 전조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대 총선에서 전재희는 무조건 된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지금 나오는 이야기들은 전재희 낙선 후에 나온 것이지 선거 중에는 민주당조차도 회의적이었다. 같은 선거에서 천정배가 내리 4선을 지낸 경기 안산시 단원구갑에 지원자가 없어 김명연 전 안산시의원이 출마의사를 피력하자 새누리당에서 그냥 공천을 준 것처럼 이언주 역시 민주당에서 그냥 나가보라는 식으로 내보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언주는 선거구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 해 광명시가 아닌 금천구에서 선거유세를 하는 엉성한 행보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이 오히려 패착이 되어 전재희 캠프는 선거운동을 열심히 하지 않았고 결국 이언주에게 과반득표를 내어주며 낙선하고 만다. 그리고 낙선 이후 무책임하게 자녀들이 거주하는 서울 서대문구로 떠나며 정계를 은퇴한다. 이후 광명시는 경기도에서 부천시, 시흥시와 1~3위를 다투는 민주당의 초강세지역으로 변모하여 2018년 8회 지방선거에서는 광명시의회 의원 정수 11명 중 자유한국당 당선자 2명[8]을 당선시키는 진풍경을 연출하기도 한다.

2016년 4월 6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광명에 출마한 정은숙(광명갑), 주대준(광명을) 후보의 유세지원에 나섰다.

당시 경쟁 후보였던 이언주에겐 현수막으로 'MB정권 4년, 전재희 18년'이란 비방을 당하기도 했었다. 여기서 18년이란 전재희의 시장 임기+국회의원 활동 임기를 말한다. 이건 전재희 본인도 '18년 동안 광명시를 위해 일했다'라는 식으로 표현했던 것을 교묘하게 이용한 형태이어서 단순한 비하 발언으로 보기도 조금 곤란했고, 당시 여론도 크게 문제를 삼지는 않았다. 근데 이제 같은 당 소속이라 애매해졌다 어차피 총선 이후 바로 정계은퇴를 해서 별로 상관은 없다.

친이계 정치인답게, 2022년 1월 24일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 석방을 촉구하기 위한 전직 국회의원들의 성명서에 이름을 올렸다. #

2022년 2월 24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지지 선언을 한 대한민국 헌정회원 316명의 명단에 포함되었다.#

3.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70e1907e37e97c2c49800f7182ee9c8e[[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5정계 입문

ta-hash-start=w-46dcde834b04466f4d7e70fd81ce2aa1[[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5 - 1997당명 변경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7 - 2012합당[9]

ta-hash-start=w-b0c0ab319bc90cf494a9577b156447ed[[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 - 2017당명 변경
정계 은퇴

ta-hash-start=w-d860560a0dfb3288796978f18ff333c5[[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 - 2020당명 변경

ta-hash-start=w-4d0422b08049ed26d2a1b3dd0d31d31a[[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1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 - 현재당명 변경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5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 광명시장
ta-hash-start=w-6ca2f3a0a5e076c36cf6f30587751393[[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8,274 (42.84%)당선 (1위)초선[11]
19987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경기 광명 을[12]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8,488 (48.85%)낙선 (2위)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전국구8,083,609 (37.9%)당선 (9번)초선[13]
2002상반기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경기 광명[14]40,975 (56.36%)당선 (1위)초선[15]
2004제17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광명 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36,029 (47.17%)재선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29,218 (56.35%)3선[16]
2012제19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28ccee6fd479a8719fa96fc5a959362f[[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40,028 (46.15%)낙선 (2위)


5. 둘러보기[편집]





파일:구 경기도 휘장(백색).pn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20%><bgcolor=#009a44> 고양 ||<width=20%><bgcolor=#009a44> 과천 ||<width=20%><bgcolor=#0000a8> 광명 ||<width=20%><bgcolor=#009a44> 광주 ||<width=20%><bgcolor=#0000a8> 구리 ||
|| 신동영 || 이성환 || 전재희 || 박종진 || 이무성 ||
||<width=12%><bgcolor=#0000a8> 군포 ||<width=12%><bgcolor=#009a44> 김포 ||<width=12%><bgcolor=#009a44> 남양주 ||<bgcolor=#009a44> 동두천 ||<bgcolor=#0000a8> 부천 ||
|| 조원극 || 유정복 || 김영희 || 방제환 || 이해선 ||
||<bgcolor=#808080> 성남 ||<bgcolor=#808080> 수원 ||<bgcolor=#009a44> 시흥 ||<width=12%><bgcolor=#808080> 안산 ||<bgcolor=#0000a8> 안성 ||
|| 오성수 || 심재덕 || 정언양 || 송진섭 || 이종건 ||
||<rowbgcolor=#0000a8> 안양 ||<bgcolor=#0000a8> 양주 ||<bgcolor=#009a44> 여주 ||<bgcolor=#1B5B40> 오산 ||<bgcolor=#0000a8> 용인 ||
|| 이석용 || 윤명노 || 박용국 || 유관진 || 윤병희 ||
||<bgcolor=#808080> 의왕 ||<bgcolor=#0000a8> 의정부 ||<bgcolor=#009a44> 이천 ||<bgcolor=#009a44> 파주 ||<bgcolor=#1B5B40> 평택 ||
|| 신창현 || 홍남용 || 유승우 || 송달용 || 김선기 ||
||<rowbgcolor=#0000a8> 포천 ||<bgcolor=#009a44> 하남 ||<bgcolor=#009a44> 화성 ||<bgcolor=#009a44> 가평 ||<bgcolor=#808080> 양평 ||
|| 이진호 || 손영채 || 김일수 || 이현직 || 민병채 ||
||<bgcolor=#0000a8> 연천 ||
|| 이중익 ||
||<-5>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민선 8기 ||



파일:한나라당 흰색 구 아이콘.svg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제16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이회창[B]홍사덕이연숙강창성신영균서정화
이상희[B]박세환전재희[B]조웅규[B]윤여준이한구
김정숙김락기박창달김홍신[B]이원창황승민[1]
임진출[B]이원형손희정김영선 [C]유한열 [C]장광근[C]
송병대[C]김영구[C]박경섭[C]이만재[C]
[B] A B C D E F 임기 중 사퇴.[1] 임기 중 사망.[C] A B C D E F G 승계.











[1] 음력 1949년 9월 6일[2] #[3] #[4] #[5] 첫 여성시장·구청장 탄생[6] 기사에서 노승환마포구청장도 언급되는데, 이 분은 '결혼식 주례를 가장 많이 서준 사람'으로 기네스북에 오르기도 했다. 마포구에 오래 거주한 노인들 중에선 모르는 사람이 없는 이야기라고 한다.[7] 옆 지역구 광명시 갑 백재현 의원의 2009년 광명시 서울 편입 특별법 발의에 모른 척하는 등 지역 일에 소홀히 하는 모습도 있었다.[8] 지역구 1명, 비례대표 1명[9] 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10]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11] 최초의 여성 민선시장.[12] 전임자 손학규 경기도지사 선거 출마[13] 2002.7.22 사퇴 (재보궐선거 출마)[14] 전임자 손학규 경기도지사 선거 출마.[15] 같은 회기 내이기에 선수는 같다.[16] 보건복지부 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