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포시(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김포시/정치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폐지된 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김포시
{{{-1 {{{#fff 김포시 일원
金浦市
Gimpo-City
}}}}}}
||
선거인 수252,605명 (2014)
상위 행정구역경기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김포시 전역
김포1동, 사우동, 장기동, 풍무동, 고촌읍, 김포2동, 구래동, 운양동, 통진읍, 양촌읍,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
신설년도2000년
이전 선거구김포군·강화군
이후 선거구김포시 갑, 김포시 을
국회의원
ta-hash-start=w-60c1cedfd4af78670239984473424814[[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홍철호




1. 개요[편집]


1988년 소선거구제 신설 당시 신설된 선거구로, 1995년 강화군인천광역시로 편입되면서 김포 단일 선거구로 유지되었다가 김포시의 인구 증가에 따라 20대 총선부터 선거구가 갑/을로 나눠지면서 폐지된 선거구이다.

이 문서에서는 선거구 신설 이전인 13대, 14대 총선(김포군ㆍ강화군) 시대를 포함해 서술한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선거 결과[편집]


대수의원명당적임기선거구
제13대정해남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김포군·강화군
제14대김두섭
ta-hash-start=w-10c1cae3e20020d4ad8a4fc4e1f054f3[[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제15대박종우
무소속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김포군
제16대
ta-hash-start=w-9c9304f46197154416dce79e2fb2422a[[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김포시
제17대유정복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ta-hash-start=w-380c7db0f1e0c6903517e1227f997e69[[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4년 5월 15일
홍철호2014년 7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1. 김포군·강화군 (1988~1996)[편집]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포군·강화군
김포군, 강화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해남(丁海男)49,061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7.64%당선
2김선흥(金善興)8,2133위

ta-hash-start=w-4cd8a2de308336cf201debdfe2c956ef[[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97%낙선
3이주완(李柱玩)4,9484위

ta-hash-start=w-b6b0b0223b1172415dc8427a727143df[[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4.80%낙선
4김두섭(金斗燮)40,7522위

ta-hash-start=w-4b847237599e42b2e62a06cdfbe693ec[[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39.57%낙선
선거인 수134,327투표율
77.69%
투표 수104,356
무효표 수1,382

2.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포군·강화군
김포군, 강화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해남(丁海男)32,1122위

ta-hash-start=w-4f6ffe13a5d75b2d6a3923922b3922e5[[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5.02%낙선
2김선흥(金善興)27,3413위


29.82%낙선
3김두섭(金斗燮)32,2181위

ta-hash-start=w-a1c768893202731b7307f0e425b4530a[[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35.14%당선
선거인 수124,239투표율
75.03%
투표 수93,217
무효표 수1,546

"칠전팔기의 사나이" 김두섭 후보가 9번의 낙선 끝에 드디어 당선되었다.

2.2. 김포군, 김포시 (1996~2016)[편집]



2.2.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포군
김포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두섭(金斗燮)15,3412위

ta-hash-start=w-31ec74a1fce966f74d30165aeca85d56[[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2.40%낙선
2이택룡(李澤龍)7,4093위

ta-hash-start=w-20360ed4ef93ae58d17bacad6782c953[[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5.64%낙선
3윤문수(尹文壽)4,2284위


8.93%낙선
4이재선(李載先)2,8195위

ta-hash-start=w-8d839d57c7464f613a3ed25704b9bfe2[[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5.95%낙선
5박종우(朴宗雨)17,5461위
37.06%당선
선거인 수76,084투표율
64.17%
투표 수48,820
무효표 수1,477

김포군 명의로 치른 마지막 선거이다.

2.2.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포시
김포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구본태(具本泰)15,6822위
26.75%낙선
2박종우(朴宗雨)25,1201위
42.85%당선
3김두섭(金斗燮)4,9454위
8.43%낙선
4한규창(韓圭昶)1,2395위
2.11%낙선
5김동식(金東植)11,6313위
19.84%낙선
선거인 수104,598투표율
56.70%
투표 수59,330
무효표 수713


2.2.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포시
김포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정복(劉正福)43,3441위
47.74%당선
2김원길(金原吉)3,7373위
4.21%낙선
3유영록(劉永綠)39,8352위
43.88%낙선
4김두섭(金斗燮)1,0265위
1.13%낙선
5김정호(金正鎬)6027위
0.66%낙선
6강동준(康東埈)3048위
0.33%낙선
7민원통(閔元通)6386위
0.70%낙선
8이용선(李庸善)1,2954위
1.42%낙선
선거인 수147,876투표율
61.90%
투표수91,605
무효표수824

김포시장을 역임했던 유정복이 탄핵정국 속의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쌓아온 인물론과 조직력 등으로 당선에 성공한다.


2.2.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포시
김포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창집(金昶執)19,5062위
28.71%낙선
2유정복(劉正福)44,5111위
65.57%당선
3김두섭(金斗燮)2,6033위
3.87%낙선
4민원통(閔元通)7314위
1.07%낙선
5신동관(申東官)5445위
0.80%낙선
선거인 수153,364투표율
44.60%
투표수68,419
무효표수484

2.2.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김포시
김포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정복(劉正福)61,5911위
56.48%당선
2김창집(金昶執)45,2032위
41.45%낙선
6김두섭(金斗燮)9134위
0.83%낙선
7김장호(金樟祜)1,3313위
1.22%낙선
선거인 수201,960투표율
54.30%
투표 수109,657
무효표 수619

유정복이 3선에 성공했다, 그리고 이후 인천광역시장으로 출마해서 당선되었다.


2.2.6.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편집]


김포시
김포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홍철호(洪哲鎬)48,1901위
53.45%당선
2김두관(金斗官)38,8582위
43.10%낙선
4김성현(金性賢)8994위
0.99%낙선
5고의진(高義鎭)3205위
0.35%낙선
6이재포(李載鋪)1,8843위
2.08%낙선
선거인 수252,605투표율
35.78%
투표 수90,386
무효표 수235

7.30 재보선 경기 김포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홍철호김두관(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8,190
(53.45%)
38,858
(43.10%)
+9,332
(△10.35)
35.78%
통진읍67.61%29.01%△38.6026.80
고촌읍56.94%40.95%△15.9930.46
양촌읍60.96%34.82%△26.1425.23
대곶면74.61%22.61%△52.0030.66
월곶면74.33%22.24%△52.0835.78
하성면76.07%21.94%△54.1333.62
김포1동54.86%41.70%△13.1630.62
김포2동45.23%52.21%▼6.9825.55
사우동54.80%41.80%△13.0026.95
풍무동50.86%45.81%△5.0530.92
장기동48.74%48.01%△0.7326.70
구래동42.76%52.98%▼10.2223.90
후보홍철호김두관격차
거소투표52.68%34.63%18.02
관외사전투표48.09%48.68%▼0.60
관내사전투표45.06%49.36%4.29
후보홍철호김두관격차
동 지역50.15%46.56%△3.59
읍·면 지역65.77%31.19%△34.57

홍철호 후보는 통진읍에서 3,666표로 1,573표에 그친 김두관 후보를 크게 앞섰고, 하성면, 월곶면, 대곶면 등 농촌지역에 더해 서울에 가까워 아파트가 들어선 고촌읍 지역에서도 1,000표 이상 앞서며 김포 읍면 전 지역에서 승리를 거뒀다. 김두관 후보는 김포2동, 구래동에서 500표, 400표 정도 앞섰으나, 아파트 밀집지역인 사우동, 풍무동 지역에서 600표, 300표 이상 뒤지며 이길 수 없는 선거가 되어버렸다. 김두관 후보는 농촌지역에서의 절대열세를 신도시 몰표로 만회해야 승산이 있었으나 신도시에서마저 진 것이 패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