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넥슨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드래곤 라자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넥슨 휴리첼 문서
넥슨 휴리첼번 문단을
넥슨 휴리첼# 부분을
, 차량에 대한 내용은 타타 넥슨 문서
타타 넥슨번 문단을
#s-번 문단을
타타 넥슨#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NXC 로고.svgNXC
산하 게임 제작사
||


넥슨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NXC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지주회사NXC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 자산 매매 및 중개업코빗 l Bitstamp Ltd. l Bitstamp Europe S.A. l Bitstamp Inc.
게임틀:NXC의 게임개발 계열사 목록으로.
사업 지원 및 게임 서비스넥슨네트웍스 | 넥슨커뮤니케이션즈 l NEXON NETWORKS VINA COMPANY LIMITED
경영 컨설팅 및 공공 관계 서비스NXMH l NXC Japan, LLC l Cube Associates Co., Ltd l 엔미디어플랫폼 l NXMH AS l MATISSE S.R.L. | LION BIDCO LIMITED l Bitstamp D.O.O. l Bitstamp, storitve, D.O.O.
시스템ㆍ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엔엑스씨엘 ㅣ 블록체인엔터테인먼트랩 l Bitstamp Asia Pte., Ltd.
신탁업 및 집합 투자브이아이피사모주식형펀드일호
투자 및 경영컨설팅Alignment B-Corp CircleUp Fund LLC l NXC, LLC l Bitstamp Holdings N.V l NXMH CIV l LION TOPCO LIMITED l LION MIDCO LIMITED
투자업NIS Credit O portunities Ltd., Class 2 ㅣ NIS Indra Fund Ltd ㅣ 9293 Titans LLC l Simple Capital Future, LLC l Innovative Fund, LLC l Simple Capital Future Two, LLC l COLLAB CURRENCY, L.P. l SCF-CH, Inc. l Collab Q-D, LLC l FutureFood, LLC l VIP Global Super Growth 전문투자 사모신탁 l 미래에셋 글로벌혁신 성장포커스 전문투자형 사모증권투자신탁 l 삼성 디지털혁신주식 전문투자 사모투자 1호 | NXMH LLC | ATMEDIA INVESTOR II, LLC l 738 Broadway LLC l Bitstamp Japan Co., Ltd.
의류제조CUBE Co.,Ltd | Cube International Inc
사업시설 유지 관리 서비스넥슨스페이스
부동산 임대중앙판교개발 l 347 BOWERY COMMERCIAL HOLDINGS, LLC
전자상거래Brick24 | GmbHl NXMH CA Corporation l Chrome Brick,Inc
동물용 사료 및 조제식품 제조AGRAS DELIC S.P.A. | AGRAS DELIC SA l AGRAS PETFOODS FRANCE SARL l CERERE PRODUZIONE S.R.L.a Socio Unico
가정용품 소매업Stokke AS | Stokke Amerika AS | Stokke Fabriker AB l Stokke Danmark ApS l Stokke Nederland BV lStokke GmbH l Stokke Ges.m.b.H. l Stokke AG lStokke France S.A.S l Stokke UK LTD l Stokke Mobiliario SL l Stokke SRL l Stokke Ltd.(Japan) l 스토케코리아(유) l Stokke China Ltd. | Stokke RU LLC l Stokke LLC l JetKids AS





대한민국대기업
[ 펼치기 · 접기 ]

23년도
지정순번
22년도
지정순번
변동
기업집단명
동일인
계열사
(23년도)
계열사
(22년도)
23년도 지정
자산총액(22Y)
22년도 지정
자산총액(21Y)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대기업)
11-파일:삼성 로고.svg이재용6360486.4조483.9조
22-파일:SK 로고.svg최태원198186327.2조292.0조
33-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svg[[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 화이트.svg정의선6057270.8조257.8조
44-파일:LG 로고.svg구광모6373171.2조167.5조
55-파일:롯데 로고.svg신동빈9885129.6조121.6조
66-파일:한화 로고.svg[[파일:한화 로고 화이트.svg김승연969183.0조80.4조
77-파일:GS그룹 로고.svg허창수959381.8조76.8조
88-파일:HD현대 로고.svg정몽준323680.6조75.3조
99-파일:신세계 영문 CI_좌우.svg[[파일:신세계 영문 CI_좌우 White(1).svg이명희525360.4조61.1조
1010-파일:CJ 로고.svg[[파일:CJ 로고 화이트.svg이재현768540.6조36.9조
1111-파일:한진그룹 로고.svg[[파일:한진그룹 로고 화이트.svg조원태343337.8조35.2조
1212-파일:카카오(기업) 로고.svg김범수14713634.2조32.2조
1314▲1파일:LS그룹 로고.svg[[파일:LS그룹 로고 화이트.svg구자은595829.4조26.3조
1413▼1파일:두산 로고.svg박정원212126.5조26.3조
1515-파일:DL그룹 로고.svg[[파일:DL그룹 로고 화이트.svg이해욱414226.3조24.8조
1617▲1파일:중흥그룹 로고.svg[[파일:중흥그룹 로고 화이트.svg정창선525523.3조20.3조
1720▲3파일:현대백화점그룹 로고.svg정지선282321.6조18.2조
1816▼2파일:부영그룹 로고.svg이중근222221.1조21.7조
1919-파일:네이버 로고.svg이해진515420.9조19.2조
2018▼2파일:미래에셋 로고.svg[[파일:미래에셋금융그룹 CI_White.svg박현주364020.2조20.2조
2121-파일:금호아시아나 로고.svg[[파일:금호아시아나 로고 화이트.svg박삼구253217.9조17.6조
2222-파일:하림 로고.svg김홍국505517.0조15.4조
2325▲2파일:영풍그룹 로고.svg
영풍그룹
장형진282616.8조14.6조
2423▼1파일:HDC 로고.svg정몽규353416.7조15.1조
2529▲4파일:SM그룹 로고.svg[[파일:SM그룹 로고 화이트 일부.svg우오현616316.4조13.7조
2624▼2파일:효성그룹 로고.svg조현준545315.8조14.8조
2726▼1파일:셀트리온 로고.svg[[파일:셀트리온 로고 화이트.svg서정진9715.1조14.6조
2828-파일:호반건설 CI.svg[[파일:호반건설 CI_white.svg김상열424314.6조13.8조
2931▲2파일:KCC 로고.svg정몽진141413.3조12.6조
3043▲13파일:장금상선 로고.svg정태순273012.4조9.3조
3136▲5파일:OCI 로고.svg이우현212212.2조10.9조
3235▲3파일:코오롱그룹 로고.svg이웅열474112.0조11.0조
3334▲1파일:태영그룹 로고.svg윤세영807611.9조11.2조
3430▼4파일:넷마블 로고.svg[[파일:넷마블 로고 화이트.svg방준혁333011.7조13.3조
3538▲3파일:세아그룹 로고.svg이순형282611.7조10.8조
3632▼4파일:넥슨 로고.svg[[파일:넥슨 로고 다크.svg유정현181811.6조11.3조
37-신규파일:LX그룹 로고.svg구본준15-11.2조-
3840▲2파일:이랜드그룹 로고.svg박성수333110.6조10.0조
3939-파일:한국앤컴퍼니 로고.svg[[파일:한국앤컴퍼니 로고 화이트.svg조양래242310.4조10.2조
4033▼7파일:DB그룹 로고.svg김준기212010.3조11.3조
공시대상 기업집단(준대기업)
4146▲5파일:삼천리그룹 로고.svg이만득47449.8조8.6조
4242-파일:금호석유화학그룹 로고.svg박찬구13139.3조9.6조
4347▲4파일:다우키움그룹 CI.png김익래49489.1조8.5조
4441▼3파일:태광산업 로고.svg이호진19199.0조9.8조
4527▼18파일:교보생명 로고.svg신창재15148.9조13.8조
4644▼2파일:동원그룹 로고.svg김재철27268.9조9.3조
4761▲14파일:KG그룹 로고.svg[[파일:KG그룹 로고 컬러 화이트.svg곽재선31238.8조5.3조
4845▼3파일:HL그룹 CI.svg[[파일:HL그룹 CI_white.svg정몽원13158.5조9.1조
4948▼1파일:아모레퍼시픽 로고.svg[[파일:아모레퍼시픽 로고 화이트.svg서경배12138.3조8.4조
5054▲4파일:대방건설 CI.svg[[파일:대방건설 CI 화이트.svg구교운42457.6조6.2조
5155▲4파일:중앙그룹 로고.svg[[파일:중앙그룹 로고 화이트.svg홍석현90557.5조6.0조
5237▼15파일:두나무 로고.svg송치형13147.3조10.8조
53-신규파일:에코프로 로고.svg이동채26-6.9조-
5453▼1파일:애경그룹 로고.svg장영신34356.9조6.2조
5550▼5파일:동국제강그룹 CI.svg[[파일:동국제강그룹 CI 화이트.svg장세주10116.5조6.7조
5649▼7파일:엠디엠 CI.svg[[파일:엠디엠 CI 화이트.svg문주현15166.3조6.8조
5752▼5파일:삼양사 로고.svg[[파일:삼양그룹 로고 화이트.svg김윤13126.3조6.2조
5851▼7파일:크래프톤 로고.svg[[파일:크래프톤 로고 화이트.svg장병규5106.3조5.6조
59-신규파일:고려해운 로고.svg[[파일:고려해운 로고 화이트.svg박정석28-6.0조-
6060-파일:보성그룹 로고.svg이기승69676.0조5.4조
61-신규파일:글로벌세아 CI.svg김웅기19-6.0조-
6265▲3파일:신영그룹 CI.svg[[파일:신영그룹 CI 화이트.svg정춘보33345.9조5.1조
63-신규파일:DN오토모티브 CI.svg김상헌8-5.8조-
6464-파일:OK금융그룹 로고.svg[[파일:OK금융그룹 로고(화이트).svg최윤18195.6조5.2조
6562▼3파일:아이에스동서 CI.svg권혁운42535.6조5.3조
6656▼10파일:하이트진로 CI.svg박문덕15155.5조5.8조
67-신규파일:한솔그룹 로고.svg조동길23-5.4조-
6859▼9파일:유진그룹 로고.svg유경선52575.3조5.4조
6966▼3파일:농심그룹 로고.svg[[파일:농심그룹 로고 화이트.svg신동원32245.2조5.1조
70-신규파일:삼표그룹 로고.svg정도원50-5.2조-
7157▼14파일:반도건설 로고.svg[[파일:반도건설 로고 화이트.svg권홍사20255.1조5.7조
72-신규파일:BGF그룹 로고.svg홍석조17-5.0조-
※ 동일인이 미지정된 기업: (주)포스코홀딩스,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주)케이티, 에이치엠엠(주), (주)케이티앤지, 한국항공우주산업(주) 6개사
※ 동일인이 외국인인 기업: 에쓰-오일(주), 오씨아이(주), 쿠팡(주), 한국지엠(주) 4개사
※ 다음 업종의 기업 중에서 중소기업법에서 정하는 중소기업의 규모보다 더 큰 기업(가. 금융업, 나. 보험 및 연금업, 다. 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업)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공식 파트너
[ 펼치기 · 접기 ]

파일:나이키 로고.svg파일:하나은행 로고.svg파일:KT 로고.svg파일:신세계 영문 CI_좌우.svg 파일:이마트 로고.svg파일:교보생명 로고.svg
파일:현대자동차 와이드 로고.svg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파일:아시아나항공 CI_영문.svg파일:코카콜라 로고.svg파일:넥슨 로고.svg





파일:넥슨 로고.svg파일:넥슨 로고 다크.svg [1](주)넥슨
NEXON Co., Ltd.[2]
株式会社ネクソン
||
창업자김정주
총수유정현[3]
설립일2002년 12월 18일[등기상]
본사 소재지




(주)넥슨 본사
{{{-2 〒106-0032 도쿄도 미나토구 롯폰기 1초메 4번 5호
아크힐스 사우스타워 6F
東京都港区六本木一丁目4番5号
アークヒルズサウスタワー6F}}}
자본금38,881백만엔(단독)
직원 수연결 7,467명 / 단체 266명
평균 연령37.5세
관계 회사연결자회사 41개
관련회사 및 공동지배회사 15개
주요 사업PC온라인게임 개발 및 서비스
모바일 게임 개발 및 서비스
임원진이정헌[4](CEO) 신임 대표이사
우에무라 시로(植村 士朗)(CFO)
넥슨코리아 강대현(COO), 김정욱(CCO)
패트릭 소달랜드(Patrick Söderlund)(사외이사)
알렉산더 이오실로비치사외이사(감사 등 위원)
혼다 토시(本多 慧)사외이사(감사 등 위원)
쿠니야 시로오(国谷 史朗)사외이사(감사 등 위원)
모기업NXC
NEXON Korea
파일:넥슨코리아로고.png
명칭주식회사 넥슨코리아
NEXON Korea Corporation
연혁1994년 창립
2005년 넥슨 홀딩스로부터 분리
2011년 본사 법인 변경
2013년 본사를 판교로 이전
창업자김정주
업종명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 일반 서적 출판
기업규모대기업
상장여부비상장
대표강대현(COO), 김정욱(CCO) 공동대표
소재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256번길 7 (삼평동)
노조소속전국민주화학섬유노동조합연맹[5]
기업 사이트 게임 포털 사이트

1. 개요
2. 특징
3. 역대 총수
4. 지배 구조
4.1. 넥슨(구 넥슨 재팬) 지배구조
4.2. 넥슨 코리아(구 넥슨) 지배구조
5. 계열사 및 관계사[6]
5.1. 사내 개발 스튜디오
6. 활동
6.1. 본사 이전
6.2. 해외 진출
7. e스포츠
7.1. 운영 중인 리그
7.2. 폐지된 리그
8. 게임 목록
8.1. 개발 중인 프로젝트
9. 게임 행사
10. 넥슨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11. 넥슨재단
12. 넥슨플레이
13. 넥슨 플러그
14. 기타
15. 비판
16. 사건 사고
16.1. PC방 업체 일방적인 금전 갈취 및 폭력 대응 사건
17. 노동조합
1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게임 제작 · 배급사. 대한민국의 3대 게임사 중 하나이다. 본사는 일본 도쿄 미나토구에 위치해 있고, 지주회사이자 모기업NXC제주도에 위치하고 있다.

2. 특징[편집]


여러가지 타이틀을 많이 가지고 있다. 세계 최초의 온라인 게임 서비스 기업 타이틀 보유[7], 2009년 이후로 국내 업계 1위 자리를 지키며 국내 게임 업계 최초로 매출 3조원을 돌파, 세계에서 가장 오랫동안 라이브 서비스 중인 그래픽 MMORPG 기네스 기록(바람의 나라)[8], 세계 최초 부분유료화 시스템 발명, 많은 게이머들의 비난을 받는 가챠라고도 부르는 뽑기 요소 랜덤박스 시스템을 게임 속의 유료 과금 형태를 최초로 도입, 국내 게임 업계 최초의 노조 타이틀 등이 있다. 김정주송재경이 대학교에서의 인연으로 창업한 것이 시작이며, 현재 대표적인 넥슨 게임으로는 메이플스토리, 블루 아카이브,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던전앤파이터[9], 피파 온라인 4[10], 서든어택,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데이브 더 다이버 등이 있다. 지주회사는 NXC.

넥슨코리아는 판교테크노밸리에 위치하고 있다. 넥슨코리아와 자회사 대부분이 이곳에 모여있다. 여기서 매년 넥슨 개발자 컨퍼런스 NDC도 개최된다. 전체 넥슨그룹의 지주 회사인 NXC제주도에 있는데 이것은 지주회사의 역할만 할 뿐이다. 이 점은 카카오가 제주와 판교 사옥을 2개를 갖고 있지만, 두 사옥 모두 이원화 사옥처럼 운영하는 점과는 좀 다른 배경이다.

SK그룹 저리 가라 할 정도로 인수 합병을 통한 몸집 불리기를 하여 '궁극의 연 매출 1조 원 돌파'를 달성하기 위해 회사 규모를 확장해 나갔다. 2008년에는 던전앤파이터를 개발한 네오플을 인수했다. 그 이후로는 과거 카트라이더와 메이플스토리의 전성기 시절을 회복하고 싶은지 여러 신작을 서비스하는 중이다. 2010년에는 엔도어즈와, 서든어택을 개발한 게임하이를 인수하였고, 그 결과 2011년에 대망의 연 매출 1조 원 돌파에 성공했다. 참고로 같은 해 라이벌 기업 엔씨소프트의 매출은 6,089억 원이었다. 현재는 2011년 매출의 2배가 넘는다고 한다.

2019년 NXC 김정주 회장의 넥슨 매각과 회의론이 업계에 큰 파장을 만들었지만 인수가 나오지 않으면서 매각 철회로 선회했다. 하지만 다시 부상할 수 있다는 설이 가장 큰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국내 게임기업 1위 넥슨 매각 무산

2022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대기업 재계서열 39위다.

넥슨이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로부터 1조원대 투자를 받았다. 2022년 2월 4일 넥슨은 PIF가 넥슨 본사인 넥슨재팬 지분 8억 8,300만달러(약 1조 589억원)어치를 사들여 지분 5.02%를 보유한 4대 주주에 올랐다고 밝혔다. PIF도 이날 넥슨 지분 매입 사실을 공시하고 그 목적을 '단순 투자'라고 했다.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이끄는 PIF는 5,000억달러(약 599조 5,000억원)를 운용하는 글로벌 투자업계 큰손이다. PIF는 이날 넥슨뿐 아니라 스트리트 파이터로 유명한 일본 게임사 캡콤 지분 5.05%를 사들였다고 공시했다. 3억 3,200만달러(약 3,979억원) 규모다. 최근 PIF는 글로벌 빅테크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게임사 인수·합병 경쟁에 새로운 경쟁 주자로 떠오르고 있다. PIF는 2020년 이후 일본 게임사 SNK 인수를 비롯해 액티비전 블리자드, 일렉트로닉 아츠(EA) 등 글로벌 유명 게임사 지분을 속속 확보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글로벌 e스포츠 기업 ESL게이밍을 1조원에 인수하기도 했다. #

김정주 창업자의 사망 이후 신임 총수에 배우자 유정현 NXC 감사가 지정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22년 4월 27일 넥슨의 새 동일인(총수)에 유정현 감사를 지정했다고 밝혔다. 고 김정주 회장의 유산에 대한 막대한 상속세가 부여되자 현금과 일부 지분주식을 넘겼고 이 주식은 정부주도 하에 매각예정인데 외국인 참여제한이 없다보니 돈많은 중국회사가 노리고 있다는 기사가 나왔다. IP를 노리고 2대주주가 되면 매우 좋기 때문인데 이때문에 잘 키운기업 중국에게 넘기는 꼴이라며 현 상속세에 대한 비판과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29.3%의 지분만으로는 NXC의 경영권 자체를 뒤흔들 수 없다. 때문에 외국계 게임 기업이 재무적 투자 이상의 큰 그림을 그리며 입찰에 나서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3. 역대 총수[편집]




4. 지배 구조[편집]


넥슨 코리아비상장 기업이지만 넥슨 본사(모기업)는 일본 증권시장 1부에 상장되어 있다. 2020년 10월 일반적으로 한국계회사로 알려진 넥슨이 우량주식으로 평가받는 일본 닛케이 225 지수에 편입되어 화제가 되었다. 한국, 중국, 서양 매출이 대부분이고 일본 매출은 적어서 일본에서는 인지도가 낮은데도 일본경제의 대표인 닛케이225에 편입된 점이 특이하다. 이를 설명하는 영상


4.1. 넥슨(구 넥슨 재팬) 지배구조[편집]


2022년 3월 기준 (1~5등까지는 2023년 7월 기준)
주주명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엔엑스씨28.61%
파일:벨기에 국기.svg B.V.NXMV[13]16.74%
파일:일본 국기.svg The Master Trust Bank of Japan, Ltd. (trust account)12.0%
파일:미국 국기.svg JP 모건10.23%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공공투자기금(PIF)[14]10.23%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HSBC-FUND SERVICES CLIENTS A/C 0064.3%
파일:미국 국기.svg SSBTC CLIENT OMNIBUS ACCOUNT2.3%
파일:일본 국기.svg Japan Trustee Services Bank, Ltd. (trust account)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EA SECURITIES DEPOSITORY-SAMSUNG[15]1.9%
파일:미국 국기.svg STATE STREET BANK AND TRUST COMPNAY 505001[16]1.6%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ORBIS SICAV[17]1.3%


4.2. 넥슨 코리아(구 넥슨) 지배구조[편집]


2019년 7월 기준
주주명지분율
파일:일본 국기.svg 넥슨100%


5. 계열사 및 관계사[18][편집]


넥슨그룹의 최상위 지배회사. 김정주 회장 일가[19]가 모든 지분을 들고 있고 다시 NXC는 NXC 자체와 자회사를 통해 (주)넥슨(舊 넥슨재팬) 47.4%를 소유하고 있다. 자회사들에 대한 지분율이 높은 편이기 때문에, NXC의 연결재무재표가 곧 넥슨 그룹 전체의 실적이다. 게임 및 유관산업 외에도 노르웨이 유명 유모차 회사인 스토케를 인수하는 등 다른 종류의 산업에도 진출한 바 있다.
구 넥슨재팬. 일본 도쿄증권거래소 1부에 상장되어 있다. 넥슨코리아(지분 100%)를 비롯한 넥슨 해외법인을 지배하고 있다. 지배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넥슨의 한국법인이자 게임 개발을 책임지고 있다. 사내 스튜디오 및 인수한 한국 내에서 개발사들은 전부 넥슨코리아 소유. 최상위 기업이 아니라 연결재무제표가 안 나오니 주의.
2022년 2월 28일에 넥슨GT넷게임즈가 합병한 새 법인.
사내 개발 스튜디오에서 2020년 8월 12일에 넥슨에서 분사한 개발법인.
사내 개발 스튜디오에서 2020년 8월 26일에 넥슨에서 분사한 개발법인.
넥슨 자체 개발 또는 퍼블리싱 게임 대상으로 게임 운영, QA등을 전담하는 법인.
신작 배틀로얄 슈퍼피플을 개발한 원더피플의 모회사.
PC방 관리프로그램과 무인선불기를 기반으로, 다양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통합 마켓팅 플랫폼을 담당하는 자회사.
종래 넥슨게임과 별개의 방식으로 인디게임 스타일의 소규모 자유로운 개발을 목표로 하는 서브 브랜드.# 현재 데이브 더 다이버를 스팀 얼리액세스로 출시한 상태이다.
넥슨 판교사옥, 넥슨컴퓨터박물관과 같은 넥슨그룹사의 오프라인 피지컬 운영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부동산 매입/매각 임대차 관리, 인테리어 공사, 복지/식음시설 운영이 주 업무.
넥슨의 북미 서비스를 맡고 있다.
넥슨의 중국 계열사로 넥슨 차이나의 역할을 맡고 있다. 최근에는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의 개발사로 많이 알려져 있다.
넥슨이 인수한 스웨덴 게임 개발사. 前 EA DICE CEO인 패트릭 쇠더룬드[20]가 차린 스튜디오로, 2022년에 출시할 아크 레이더스를 개발 중이다.


5.1. 사내 개발 스튜디오[편집]


넥슨 초창기에 사내 조직 문화로 가장 유명했던 것이 스튜디오 시스템이었다. 스튜디오 체제를 본격적으로 선언한 것은 2006년 11월으로# 마케팅과 홍보를 제외한 인력관리부터 개발 및 사업 프로젝트 관리 등 모든 업무를 스튜디오 내에서 모두 해결하여 신작개발을 빠르고 수월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때 각 스튜디오에게 주어진 권한이 상당히 강했기 때문에 스튜디오를 넥슨과 분리된 회사로 생각하는 사람도 많았고, 실제로 그 정도의 권한도 있었다. 당시 공개된 스튜디오는 아래와 같았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면, 2020년 시점에서 넥슨은 스튜디오 체제가 아니다. 위의 로두마니 스튜디오위젯 스튜디오는 이미 없어져 각자 라이브개발본부나 신규개발본부로 편입되었고, 유일하게 데브캣 스튜디오만은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정작 본인들이 만든 마비노기마비노기 영웅전은 라이브개발본부로 이관되면서 연구소 역할 정도로 남아있는 상태였다.

그러다 2018년 스튜디오 체제를 부활시키기로 한다.# 공개된 스튜디오 중 넥슨지티띵소프트는 기존에도 있던 넥슨 자회사이니 사내 개발 스튜디오는 데브캣 스튜디오, 왓 스튜디오, 그리고 신설된 원 스튜디오였다.

하지만 2019년 넥슨의 매각이 불발되면서 스튜디오 체제도 다시 무산되었다[21]. 불리언게임즈는 큰 실적 없이 넥슨코리아에 완전히 합쳐졌고#, 띵소프트페리아 연대기가 무산되며 사실상 역할을 잃었으며#, 왓 스튜디오도 야생의 땅: 듀랑고가 서비스를 종료하였고# 신작인 메이플 오디세이 역시 내부 심사에서 통과하지 못하면서 입지를 잃어버렸다.# 유일하게 데브캣 스튜디오드래곤하운드가 심사를 통과를 못하긴 했지만# 마비노기 모바일은 계속 개발 중인 것으로 확인되어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2020년 8월 26일에 카트라이더 IP를 활용한 게임들의 개발을 전담하는 개발법인 니트로 스튜디오 설립을 완료했다.#

결론적으로 2020년 8월 시점에서 넥슨 채용사이트에서 이름이 확인된 스튜디오는 데브캣[22]니트로 스튜디오이며, 그 외의 스튜디오는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6. 활동[편집]



6.1. 본사 이전[편집]


파일:attachment/넥슨_코리아의_본사_빌딩-1.jpg파일:NexonKorea.jpg
구 넥슨 사옥, 강남구 테헤란로 아이타워[23]경기도 판교테크노밸리에 있는 현 넥슨 코리아 사옥

넥슨 그룹의 지배 구조
NXC
(본사: 제주특별자치도)
넥슨[24]
(본사: 일본 도쿄도)
넥슨 코리아[25]
(본사: 경기도 판교테크노밸리)
2011년 12월 14일일본도쿄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는데, 이 때 본사를 이전했다는 이야기가 화제가 되었다.# 사람들의 반응은 대체로 "먹튀냐?". 일부에선 셧다운제와 같은 규제가 한국 기업을 외국으로 몰아넣었다고도 하는데, 한국 철수도 아니고 주식 상장은 국내 게임규제와 전혀 무관하다. 지배기업의 국적이 어디에 있든, 상장을 했든 안 했든 한국에서 게임을 서비스하는 법인은 당연히 한국 법에 의해 규제를 받는다. [26]

중요한 것은 애초부터 넥슨 재팬이 넥슨 코리아를 포함한 타국 법인들을 100% 소유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2005년에 넥슨이 지주회사로 전환된 후부터 넥슨 코리아는 넥슨 재팬의 소유였고, 넥슨 재팬의 이름이 "Nexon Co., Ltd."로 바뀐 건 2009년의 일이다. 정리하자면 2005년부터 넥슨은 넥슨 재팬의 자회사였으며, 2009년에는 단지 사명이 변경되었을 뿐이다. 또한 넥슨 그룹의 본사, 즉 최상위 기업은 2005년부터 넥슨 그룹 전체를 소유해 온 NXC이므로 '본사 이전'이라는 말 자체에 어폐가 있다.

이에 대하여 넥슨이 한국 기업이 아닌 일본 기업이라는 소문이 오갔는데, 창업주인 김정주 부부가 지주회사 NXC의 지분 절대 다수를 소유하고 있으며, NXC가 제주도에 본부를 두고 있으므로 NXC와 넥슨 코리아는 모두 한국 기업으로 분류된다. 물론 넥슨 코리아의 모기업인 넥슨(구 넥슨 재팬)은 당연히 일본 기업이다. 넥슨 그룹에 대한 국적 문제는 법률상의 넥슨과 사람들이 말하는 넥슨이 넥슨 재팬의 사명 변경으로 인해 서로 다른 기업을 뜻하게 되면서 발생한 해프닝에 가깝다. 넥슨이라는 그룹 전체를 통틀어서 국적을 따지면, 현재까지 공개된 정보에 의하면 지배구조 최상위 기업인 NXC가 한국 기업이고, 전체적인 게임 개발 프로세스를 넥슨 코리아가 주도하고 있으므로 넥슨 그룹은 한국 기업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원래의 넥슨 본체였던 넥슨 코리아를 일본 지사였던 넥슨(구. 넥슨 재팬) 아래로 밀어넣은 것에 대해 조세 회피 목적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세금 납부 및 수익 구조에 대해서 정확히 공개된 바가 없기는 하지만, 넥슨을 NXC와 NXMH B.V.[27]라는 벨기에 페이퍼 컴퍼니를 통해 분산 소유하고 있는 만큼 조세 회피 목적이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

벨기에는 대표적인 조세회피 지역이다. 이때문에 일본 넥슨에서 나오는 자본이득세와 배당소득세 등을 회피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끊이지 않고 제기 됐다. 넥슨, 벨기에법인 절세(?) 탈세(?)...매각 변수로


6.2. 해외 진출[편집]


전체적으로 외국 시장의 분위기는 좋았다. 미국이나 유럽이나 브라질[28], 일본에서도 욕은 들을지언정 망하진 않았다.[29] 해외에서도 나름 성공한 게임 회사라고 평해지는 듯하다. 특히 중국에서는 텐센트가 퍼블리싱하는 던전 앤 파이터가 중국 내 동시접속자 수 260만 명, 2014년에는 450만을 넘기는 수치[30]를 기록하며 2012년 1분기에만 2,000억 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다.[31] 2017년도 기준으로 중국에서의 수익 덕분에 넥슨의 당기순이익이 9천억 근처까지 올라갔으며 이는 네오플의 활약에 힘입은 것이다. 참고로 넥슨코리아의 영업이익은 673억 정도다.[32][33]

미국과 유럽에서 높은 점수와 호응을 받으며 브라질에도 진출한 컴뱃암즈가 호재를 보였고 Vindictus라고 개명된 마비노기 영웅전이 미국 게임 웹진 IGN에서 1위를 차지하고[34], 드래곤네스트도 나름 크게 흥행하는데 성공했다.

크레이지 아케이드 또한 PopTag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하였는데 IGN에서나 게임스팟에서나 리뷰가 없다. 그나마 하나 있는 데가 GameZone인데 이곳에서의 점수는 자그마치 8점이었지만 '알려지지 않은' 게임이 '알려진' 게임이 될 리가 없었고 결국에는 서비스 종료까지 가게 되었다.

넥슨 유럽지사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Zuidas에 위치했지만, 현재는 없어졌다.


7. e스포츠[편집]



7.1. 운영 중인 리그[편집]


||
[ 펼치기 · 접기 ]



던전 앤 파이터 리그는 원 제작사인 네오플을 인수한 뒤 6차 이후 중단되어 장기간 공백에 있다가 2012년부터 사이퍼즈와 연계한 액션 토너먼트로 부활되었다. 이후 2018년 두 리그가 분리되어 현재는 던전 앤 파이터 리그는 DPL, 사이퍼즈 리그는 사이퍼즈 액션 토너먼트로 운영하고 있다.

2021년부터 LVUP 서든어택 챔피언십이 매년 진행 중에 있다. 리그 설명 진행상황

파일:KRPL 하얀색 로고.pngKRPL
역대 대회
||


출시 이후 여러 이벤트 리그가 진행되다가 2021년부터 공식 리그 KRPL과 아마추어 리그 카러플 그랑프리가 진행 중에 있다.
eK리그가 진행 중에 있다.

2013년까지는 온게임넷에서 이러한 대회들의 중계를 맡았고, 2014년부터 2020년 5월까지 넥슨 아레나를 직접 건설하여 SPOTV GAMES와 공동으로 중계, 운영했다. 넥슨 게임 이외에 스타크래프트 2, 리그 오브 레전드 등 다른 제작사 e스포츠 중계를 넥슨 아레나에서 진행 했었다. STOTV SAMES 폐국 이후 현재는 카트라이더 리그는 빅픽처인터렉티브에서, 그 이외의 넥슨 게임들은 온라인을 통해서 운영 중에 있다.


7.2. 폐지된 리그[편집]



파일:KartLeague Logo W.svg
||
[ 펼치기 · 접기 ]


2005년 카트라이더가 큰 인기를 끌어 e-스포츠 공식 종목으로 지정되고 난 뒤 2022년 말까지[35] 카트라이더 리그를 운영했었다. 2023년 3월 31일 한국 카트라이더 서비스 종료로 인해 폐지되었다.

2021년에 개최되었다가 2023년 3월 13일 카러플 이스포츠는 옆동네 kdl로 인해 krpl 진행하지 않겠다는 공지가 올라왔고 많은사람들이 krpl 폐지를 예상했다.



8. 게임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넥슨/게임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1. 개발 중인 프로젝트[편집]


야생의 땅: 듀랑고의 후속작

UE5 기반 슈팅 액션, 보스 공략 협동 플레이
3인칭 슈팅 전투와 RPG가 결합된 루트슈터(Looter Shooter) 장르

던전앤파이터 3D 액션 게임


16vs16 칼과 칼의 전면전

3인칭 전략 액션 슈팅 게임

MMORTS 게임

원작 특유의 유쾌함을 살림

테일즈위버 후속작

UE5를 이용해 좀비와 생존을 결합한 PvPvE를 제작, 서바이벌 게임

언리얼 엔진4를 이용하여 독특한 아트와 카메라 시점을 기반으로 한 팀 대전 액션 프로젝트

딥러닝 등 첨단 기술과 영상 콘텐츠 제작/공유/소비가 활발해진 요즘 놀이 문화를 결합하여 새롭고 감각적인 재미를 제공
얼굴이 콘텐츠가 되는 모두의 영상 놀이터

중세 판타지 배경의 실사풍 3D액션RPG
싱글 플레이 바탕, 멀티 플레이는 취향에 따라 선택
액션의 비중이 크고 RPG의 비중이 작은 게임

원작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PC기반의 신규 글로벌 MMORPG
메이플스토리 N의 모바일 버전
메이플스토리 샌드박스 제작 플랫폼
NFT 기반 앱 개발 시스템

9. 게임 행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네코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넥슨이 주최하는 넥슨 콘텐츠 축제이다. 넥슨 굿즈, 팬아트 등을 전시·판매하고 코스튬이나 네코제의 밤(넥슨 OST 콘서트)이 열리는 행사이다.


10. 넥슨 애니메이션 프로젝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넥슨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 넥슨재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넥슨재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넥슨재단은 넥슨에서 사회공헌 활동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설립한 비영리 재단아다.


11.1. 박물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넥슨컴퓨터박물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에 있는 컴퓨터 관련 박물관. 영문 약칭은 NCM. 넥슨이 150억 원을 투자해 만들었으며 2013년 7월 27일에 아시아 최초의 컴퓨터 박물관으로 개관했다.


11.2. 대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넥슨 청소년 프로그래밍 챌린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넥슨과 넥슨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청소년 프로그래밍 대회. 2016년에 첫 대회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계속 운영되고 있다. 12 ~ 19세 청소년이라면 특별한 조건 없이 누구든지 참가가 가능하다.


12. 넥슨플레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넥슨플레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넥슨에서 서비스하는 모바일 앱. 리워드, 보안, 이벤트 알림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13. 넥슨 플러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넥슨 플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넥슨의 게임 런처 및 메신저 프로그램.

14. 기타[편집]











































14.1. 2의 저주?[편집]


마비노기 영웅전 이후 후속작 운이 좋지 않으며, 직접 개발한 게임 중 2가 붙은 게임은 전작보다 먼저 망하거나, 전작의 명성을 이어가지 못하고 흥행이 매우 부진하다.

넥슨의 최고 인기작 중 하나인 메이플스토리의 후속작으로 메이플스토리 2를 야심차게 출시했다. 정신적 후속작인 에버플래닛의 요소들을 끌어왔으나, 잠깐 초반 인기 몰이 이후 원작에 비해 처참한 성적을 내며 현재 간신히 서비스 종료만 면하는 수준으로 운영 중이다.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2는 전작의 성공에 힘입어 카운터 스트라이크: 소스를 기반으로 넥슨이 직접 야심차게 개발했으나, 술래잡기 모드(프롭헌트)로 얻은 몇 개월의 인기몰이 이외에는 처참한 성적만 거뒀다. 전작보다 먼저 서비스 종료했다.

넥슨의 최고 인기 FPS 게임 중 하나인 서든어택의 후속작으로서, 서든어택 2를 수 년간 300억 원의 거금을 들여 야심차게 개발했다. 그러나 초반에 제기된 여러 문제에, 넥슨게이트라는 게임 외부적 악재까지 겹쳐, 정식출시 단 23일 만에 망해버렸다. 서든어택은 한때 1, 2위를 다투던 국내 최고 인기게임이기도 했던만큼 2의 초단기간 서비스 종료는 이후로도 넥슨의 최악의 수모 중 하나로 기억된다.

이렇듯 후속작이 전작을 뛰어넘지 못하는 흥행 실패의 쓰라림을 겪어왔던 넥슨은 크레이지 레이싱 카트라이더의 후속작으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의 출시와 함께 기존 카트라이더 유저의 이동을 도모하고자, 18년간 운영해온 카트라이더를 서비스 종료하는 과감한 결정을 내렸다. 하지만 후속작이 망한건 단순히 넥슨이 그 게임을 못 만들어서 그런건데 왜 애꿎은 원작 탓을 하냐며 유저들에게 굉장히 까였고 예상대로 카드립이 많은 비판을 받고 몰락하면서 애꿎은 카트 유저들만 원작을 잃어버리는 희생양이 되고 말았다.

이런 현상은 단순히 2가 붙은 후속작들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넥슨/비판 문서에 자세히 나와있지만 넥슨은 2014년 이후로 기존의 캐쉬카우를 이어갈 신작 게임을 만들어내는데에 줄곧 실패하고 있다.


15. 비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넥슨/비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6. 사건 사고[편집]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6.1. PC방 업체 일방적인 금전 갈취 및 폭력 대응 사건[편집]


2005년 6월경, 넥슨이 PC방 업체를 대상으로 그간 이용료로서 갈취하던 금액에 대해 일방적인 요금의 3~5배 인상을 진행하였고(당시 PC방 수익의 30% 가량을 넥슨이 갈취하였다고 한다.), 이를 접한 전국의 PC방 업체 사장들이 이에 맞서 항의 시위를 개최 하였다.

이날 넥슨은 평화 시위를 하는 PC방 업주들을 대상으로, 사설경호원 약 100여명과 전경 3개 중대를 동원하여 강경 및 무력 진압으로 이들을 무참히 짓밟았다.
(그 당시 사진을 보면 매우 참담하다...) 피 주의

당시 상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일방적인 가격 인상 소식을 접한 PC방 업주들이 6월 23일 넥슨 회사앞에서 항의시위를 진행했고, 시위도중 넥슨에서 기존요금과 넥슨의 새로운 요금을 병행하여 진행하기로 양측간 협의를 보고 일부 PC방 업주들은 귀가하고, 이에 대한 합의서만 작성되면 끝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넥슨은 기다렸다는 듯이 전경을 갑작스레 수십배 증원시키고 합의서에 도장을 찍지 않아 결국에는 협상 결렬로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극대노한 PC방 업주들이 넥슨 본사로의 진입을 시도하였고, 비무장 상태인 업주들을 대상으로, 전경들은 방패로 찍어 누르며 옥상에선 각목 등 맞으면 즉사의 가능성이 있는 물질을 투척해 많은 사람이 부상을 당하였다.



16.2. 넥슨게이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넥슨 게이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6.3. 대한민국 게임업계 연쇄 파동 자사 게임 연루[편집]


넥슨이 퍼블리싱 하는 게임인 마비노기, 메이플스토리, 클로저스가 각종 논란에 휩쓸리면서, 한국 Fate/Grand Order 2021년 근하신년 스타트 대시 캠페인 중단 사태에서 발생한 2021년 게임업계 연쇄 파동에 휩쓸린 주요 업체로 낙인이 찍히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16.4. Dark and Darker/프로젝트 애셋 도용 및 반출 논란[편집]


해당 문서 참조, 넥슨이 프로젝트를 도용한 것이 아니라, 넥슨 쪽에서의 프로젝트가 도용당한 의혹이 있는 사건이다.

17. 노동조합[편집]



2018년 9월 3일 대한민국 최초로 게임사 노조가 설립되었다. IT 기업으로는 네이버에 이어 두 번째로 설립했다. 화섬노조 산하로 출범한 것은 네이버와 파리바게뜨의 사례를 보고 "IT 노동자 이해도가 높다"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노조의 별칭인 '스타팅 포인트'는 게임이 시작되는 곳을 의미하는 게임용어다. 한국 게임회사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노동조합이라는 점을 기념하자는 의미에서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

게임 개발자들은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갈아넣는다'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로 노동의 강도가 높은 게임업계임을 생각하면 오히려 더 일찍 생겼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하지만 친기업 언론들은, 흥행산업인 게임업계에 노조는 어울리지 않으며 민주노총에게 점령당한 것이라고 폄하하는 분위기.

사무실에 피규어를 전시해 놓은 노조로 인터넷 상에서 소소하게 화제가 되기도 했다. 기사

전의 불태우는 넥슨 노조 "역대급 실적에 걸맞는 역대급 보상 따라야" 넥슨 노조는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최근엔 역대급 실적에 걸맞는 보상을 받기 위한 움직임까지 보인다.

넥슨 노조는 ▲ 조합원 전용 유급 휴일 도입 ▲ 장기근속자 리프레쉬 휴가 개선 ▲ 생활지원 대출 제도 신설 ▲ 근무지 보호 제도 명문화 ▲ 시급 정상화 ▲ 육아휴직 기간 확대 및 출산휴가 지원금 보장 ▲ 연차사용 촉진제 강화 ▲ 무료 석식제공 등을 주요 교섭 목표로 제시한 상태다.

2021년 시작과 함께 넥슨 노조는 신년사를 통해 2021년 임금단체협약 목표 알리기도 했다.

넥슨 노조 스타팅포인트는 "조선일보 노조는 월급에서 자존심이 나온다라는 명언을 남겼다"며 "새해에는 힘찬 투쟁으로 연봉을 많이 받도록 하자"고 노조원들에게 전했다.

넥슨 노조에 힘입어 넥슨은 올해 대다수 직원 연봉을 800만원 인상을 발표하기도 했으며 넥슨 신입 개발자 초봉은 5,000만원, 비개발자는 4,500만원 업계 최고 대우다. 넥슨 800만원 연봉 인상에 '노조 상생론' 부상

다른 계열사에서 넥슨 코리아로 계열사 이동하는 경우에는 800만원 연봉 인상은 없으니 시도하지 말자. 채용 공고에 800만원 인상이라고 적혀 있는 것 보고 계열사 이동 신청했다가 새된 케이스가 있다.

최근엔 넥슨 내부 리부트 이슈로 넥슨 노조가 활동하기도 했다. '리부트(Reboot)' 팀은 넥슨에서 서비스가 종료된 라이브 게임이나 제작이 중단된 신작 게임 소속 개발자들이 사내 전환배치를 준비하는 조직이다.
[단독]넥슨, 장기 대기발령자 직업교육 '휴업' 전환...기본급 75%만 지급


18. 관련 문서[편집]





[1] 2008년부터 슬로건을 '두근두근넥슨'으로 정하면서부터 검은색 문 로고를 남색으로 바꿨고, 글꼴이 살짝 변경됐다.[2] 넥슨그룹의 지주회사 엔엑스씨와, 이 문서에서 서술할 넥슨코리아의 출자 고리 사이에 넥슨(구 넥슨재팬)이 존재하고 있다. 다만, 명목상의 본사일 뿐이지 규모나 기능 측면에서 그룹 내에서의 영향력은 미미한 상태라고 한다.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당시 국적 논란이 재점화되었다.[3] 김정주의 배우자이자 NXC 사내이사[등기상] 실제로는 1994년 창립이지만 2005년 우회상장으로 일본 지사와 당시의 한국 본사간의 지배구조를 맞바꾸면서 이렇게 되었다.[4] 2024년 3월 중 주주총회 및 이사회 등 관련 절차를 걸쳐 공식 선임될 예정이다. 넥슨코리아 CEO/넥슨재팬 이사 등 역임. 전 CEO 오웬 마호니(Owen Mahoney)는 고문으로 있을 예정.[5] 넥슨의 노동조합 사이트[6] 연결대상 종속회사이거나 최대주주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기입할 것. 넥슨은 인수합병(M&A) 외에도 IP 및 퍼블리싱 게임 확보, 원소스멀티유즈(OMU) 사업 확장 등의 이유로 지분투자가 굉장히 활발한 대기업이기 때문에 소수 지분을 가진 회사들까지 적기 시작하면 끝이 없다. 또한 인수 후 합병을 통해 법인이 소멸한 경우에도 제외한다.[7] 넥슨 이전에도 온라인 게임은 있었지만, 온라인 게임 전문 배급사는 넥슨이 최초다.[8] The longest-running commercial graphical MMORPG[9] 네오플이 넥슨에 인수되었다. 넥슨코리아의 매출 중에서 던파의 비중은 무려 50% 가량이다. 그리고 던파의 이 엄청난 매출은 대부분 중국에서 나오고 있다.[10] EA 스포츠가 개발한 원작 FIFA 시리즈 자체가 이미 오래 전부터 현재까지 게임 시장의 베스트셀러이고, 넥슨은 EA 코리아 스튜디오가 온라인 게임 버전으로 개발한 FIFA 온라인 시리즈의 배급만 담당하며 피파의 인기에 편승한 것이기 때문에 따지고 보면 피파를 넥슨의 대표작이라고 내세우기가 상당히 애매하다.[11] 창업주.[12] 창업주의 배우자.[13] 엔엑스씨가 100% 보유한 브뤼셀 소재의 벨기에 자회사이다.[14] 최근들어 계속 지분을 꾸준히 매입하는 중이다. 한국의 게임 산업에 관심이 많은듯 하다.[15] 넥슨 측은 "한국 넥슨 임직원이 대리인 삼성증권을 통해 해외에 개설한 계좌"라고 밝혔다. # [16] SPY 아시아 ETF[17] Société d'investissement à capital variable, 변역하면 투자신탁회사.[18] 연결대상 종속회사이거나 최대주주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기입할 것. 넥슨은 인수합병(M&A) 외에도 IP 및 퍼블리싱 게임 확보, 원소스멀티유즈(OMU) 사업 확장 등의 이유로 지분투자가 굉장히 활발한 대기업이기 때문에 소수 지분을 가진 회사들까지 적기 시작하면 끝이 없다. 또한 인수 후 합병을 통해 법인이 소멸한 경우에도 제외한다.[19] 정확히는 김정주 회장, 아내와 두 딸이다.[20] 배틀필드 V개발당시 언에듀케이티드 발언했던 그 사람이다.[21] 스튜디오 체제 부활을 주도한 게 정상원 개발부사장인데 넥슨 매각 불발 및 페리아 연대기 개발 중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 물러났다.[22] 그나마도 데브캣 본부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23] 설립 초기에 넥슨의 기업 규모에 비해 너무 작은 빌딩이어서 주변의 몇몇 빌딩의 층들을 임대하여 추가적으로 부서들을 입주시킬 정도였다고 알려져 있다.[24] 구 넥슨 재팬. 명목 상의 본사.[25] 구 넥슨. 넥슨 그룹 전체 규모의 약 90% 이상을 차지하는 거대계열사이다. 대부분의 게임 개발 본부들, 혹은 산하 개발사 및 스튜디오들을 지배하고 있는 기업이다.[26] 일본 진출에 관해서는 김정주 회장이 예전 부터 일본 진출에 꽤 관심이 많았다고 관계자들이 입모아 이야기한다. 특히 넥슨의 이야기를 다룬 저서인 플레이(신기주 저) 따르면 최승우랑 같이 일본에 갔다가 게임가게 앞에 신작을 기다리는 모습을 보고 일본 진출을 꿈꿨다고.[27] 네덜란드에서는 유한회사를 B.V. 벨기에(네덜란드어권)에서는 2019년 5월 1일까지 B.V.B.A.라고 불렀다. 2020년 1월 1일부터 B.V.B.A라고 등록된 기업도 B.V.로 바뀌었다.[28] 컴뱃암즈는 브라질에 서비스 개시 3개월 만에 FPS 시장을 정복했다.[29] 2012년 1분기에 한국에서 1,271억을 버는 동안 일본에서 445억, 북미와 유럽 및 기타지역에서 각각 200억, 265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30] 참고로 한국 서버는 공식적으로 공개된 것에 따르면 29만 명이 최고 기록이다.[31] 2011년 1분기에 중국에서 기록한 매출이 약 1,000억 원인 것을 감안하면 1년 사이에 약 2배 가까운 매출 신장을 이룬 것이다.[32] 하지만 2018년 12월에 중국의 온라인게임 도덕위원회에서 현재 중국에서 서비스중인 게임에 '도덕적 해이' 여부를 판단해 이중 9개 게임을 서비스 종료시키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만약 이 중에 던전앤파이터가 들어있을 경우 중국 서비스는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되며 이 경우 넥슨에게 엄청난 타격이 일어날 우려가 크다. 중국 핵폭탄급 게임규제 발표: 온라인게임 도덕위원회, "9개 게임 서비스 접어라"(디스이즈게임)[33] 그러나 2023년인 현재까지도 던전앤파이터는 중국에서 잘 서비스되고 있다.[34] 정확히는 F2P 부분에서 1위를 차지했다.[35] 폐지 발표는 2023년 1월 5일.[36]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37] Nexon Game Manager[38] 서울 히어로즈와는 관계 없다. 다시 말하지만 이 쪽은 키움증권이 후원한다. 스폰서 결정 이후 꽤 많이 헷갈리는 듯하다.[39] 쓰는 트윗과 멘션의 말끝마다 '넥'을 붙이는 식의 괴상한 말투를 사용한다. 사실 이전에 넥슨 공식 트위터 계정만의 말투를 만들고 싶다면서 나온 농담 식의 소리였는데 어느 새 공식으로 자리잡았다.[40] 2005년에 종료 공지가 나왔다.# [41] 넥슨 홈페이지의 클럽 서비스와는 어느정도 별개. 넥슨샵 상품 판매도 이 도메인에 있던 적 있다. 캐릭터 상품, 크리스 마스 실, 장난감 ## 도 팔았다.[42] 장비를 정지합니다로 유명한 하프라이프의 번역을 중소기업 시절 넥슨이 했다.[43] 이미 텐센트는 넷마블의 3대 주주, 카카오의 2대 주주인만큼 넥슨까지 인수하게 되면 사실상 한국 게임시장은 텐센트가 지배하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텐센트는 블루홀의 주식도 매입하여 2대 주주로 올라선 건 덤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