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달성군(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달성군 문서
달성군번 문단을
달성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달성군/정치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달성군
달성군 일원
達城郡
Dalseong
||
파일:국회선거구 달성군.svg
선거인 수256,695명 (2020)
상위 행정구역대구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달성군 전역
화원읍, 논공읍, 다사읍, 유가읍, 옥포읍, 현풍읍, 가창면, 하빈면, 구지면
신설년도1996년
이전 선거구달성군·고령군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추경호




1.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달성군 전 지역을 선거구로 하고, 또 달성군 단일 기초자치단체만을 선거구로 하는 선거구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지역구였다. 박근혜가 지역구로 출마할 때는 오직 여기에서만 출마했다.

다만, 최근 들어서는 이 선거구의 상징성에도 불구하고 대구 내 에선 진보세가 강한 편인데 이는 테크노폴리스 등이 달성군 내에 개발되면서 외지인들이 꽤 많이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역시 신도시 개발로 인해 보수세가 약해진 달서구 을,동구 을,북구 을과 같은 이유라 봐도 무방하다.[1]


현역 국회의원국민의힘 소속이자 윤석열 정부 기획재정부장관추경호 의원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제13대구자춘
ta-hash-start=w-363d66910c1e80925973c64d6e0f28a6[[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달성군·고령군
제14대
ta-hash-start=w-11eba2991cc62daa4a85be5c0cfdae97[[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2월 10일
제15대김석원
ta-hash-start=w-b63a2d3b4c63524cd10abe39420dc68c[[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1998년 2월 17일달성군
박근혜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8년 4월 3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이종진
ta-hash-start=w-17440cbf2d556ce0c945559586426aaa[[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추경호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
ta-hash-start=w-ba7823cd997cd9060a584b25db1b0d05[[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현재


2.1. 달성군·고령군 (13~14대)[편집]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성군·고령군
달성군 일원, 고령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용택(李龍澤)29,154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1.46%낙선
2배영수(裵泳壽)5,3463위

ta-hash-start=w-34474dcb1ae25c15ec2439bc39eec736[[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60%낙선
3구자춘(具滋春)35,8181위

ta-hash-start=w-88c9fa3fe1d45256fa6514834cda55ad[[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50.93%당선
선거인 수86,315투표율
86.00%
투표 수71,352
무효표 수1,034

2.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성군·고령군
달성군 일원, 고령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구자춘(具滋春)30,1471위

ta-hash-start=w-3f4366aeb9c157cf9a30c90693eafc55[[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1.59%당선
2김창문(金昌文)4,8724위


6.72%낙선
3이용택(李龍澤)16,9733위

ta-hash-start=w-b5c0275ce9836aa2f2afaafbdd1a061b[[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23.41%낙선
4김문조(金文祚)20,4912위

무소속

28.27%낙선
선거인 수99,587투표율
80.80%
투표 수73,657
무효표 수1,174
달성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기 전의 마지막 선거이다.


2.2. 달성군 (15대~현재)[편집]



2.2.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성군
달성군 일원[달성]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석원(金錫元)31,9581위

ta-hash-start=w-bd3de59766d9c085a2ba706784e9006a[[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62.71%당선
2이원철(李源鐵)2,2893위

ta-hash-start=w-588cb956d6bbe67078f29f8de420a13d[[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4.49%낙선
3김정훈(金政薰)16,7072위

ta-hash-start=w-ee2b2692ff3e044ddf966729caefb36a[[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32.78%낙선
선거인 수83,854투표율
63.85%
투표 수53,538
무효표 수2,584
쌍용그룹의 김석원 회장이 출마해 당선되었다. 공교롭게도 전북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선거구에서도 쌍용그룹의 임원이었던 정세균이 출마해 당선되었다.

2.2.2. 1998년 재보궐선거[편집]


달성군
달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근혜(朴槿惠)34,2711위
62.50%당선
2엄삼탁(嚴三鐸)20,5632위
37.50%낙선
선거인 수94,605투표율
59.43%
투표 수56,223
무효표 수1,389
전임자 김석원 의원이 쌍용그룹 회장 복귀를 이유로 사직해 치르게 된 재보궐선거.

추미애와 같이 박근혜를 반대하는 측에서는 박근혜가 아주 손쉽게 승리했고 박근혜를 종교인처럼 추앙했다니 하는데, 이는 사실과 다르고 당시 박근혜는 정치 신인으로서 박정희의 자녀라는 것 외에 이점이 없었다. 그에 비해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출마한 엄삼탁은 노태우 정부의 정권 실세로서 거물로 불렸던 인물로 엄삼탁이 당선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졌던 선거였다.

특히 엄삼탁은 거리 유세장에서 대놓고 돈봉투를 뿌리는 돈 선거까지 행했는데, 수 억을 썼다는 얘기가 전해졌다. 그러나 이 당시에는 이와 같은 부정 선거 운동이 흔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에 별다른 수사는 없었고, 때문에 박근혜가 이 선거에 출마하자 선거 자금이 부족해 어려움이 있을 것 같다는 관계자들의 조언이 전해졌다. 후에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가 발생하며 박근혜는 최순실의 모친 임선이로부터 선거 자금을 지원 받았다는 증언이 나오기도 했다.

이와 같은 정치자금 부정 수수 및 사용 행태는 2002년 대통령 선거때 크게 문제가 된 후로 인식이 바뀌기 시작했고, 2007년 대통령 선거까지 남아 있다가 개선되었다.

2.2.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성군
달성군 일원[달성]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근혜(朴槿惠)37,8051위
61.39%당선
2엄삼탁(嚴三鐸)23,7742위
38.60%낙선
선거인 수98,776투표율
63.51%
투표 수62,738
무효표 수1,159
지난 1998년 재보궐선거에 이어 다시 한번 박근혜와 엄삼탁 후보가 대결하게 되었다.

결과는 또 다시 박근혜 후보의 승리. 득표율 역시 양 후보 다 지난 재보궐 선거와 별 다른 차이가 없었다.

2.2.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성군
달성군 일원[달성]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근혜(朴槿惠)45,2981위
70.03%당선
3윤용희(尹龍熙)15,0142위
23.21%낙선
4허경도(許慶道)4,3673위
6.75%낙선
선거인 수111,889투표율
58.69%
투표 수65,663
무효표 수953
민주당계 엄삼탁 후보가 40% 가까운 득표율을 두번이나 받기도 하고 한나라당이 노무현 탄핵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던 상황에서의 선거였으나 결과는 70% 득표율을 얻은 박근혜 후보의 승리로 싱겁게 끝났다.

2.2.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성군
달성군 일원[달성]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박근혜(朴槿惠)50,1491위
88.57%당선
4노윤조(盧潤祚)5,0802위
8.97%낙선
6임정헌(林正憲)1,3863위
2.44%낙선
선거인 수121,397투표율
47.30%
투표 수57,416
무효표 수801

전국에서 한나라당 신드롬이 불었던 선거인데다가 대한민국의 보수정당텃밭 중 상텃밭인 대구광역시 지역구 중 하나라는 점, 무엇보다 지역구 현역 의원인 박근혜에 대한 평판이 하늘을 찌르던 상황이였기에 당시 민주당은 여기에 후보조차 내지 못했다. 한나라당에서도 서청원, 홍사덕, 김무성 등을 위시한 친박들이 죄다 갈려나가는 와중에도 이 지역구에서만큼은 박근혜의 입지가 워낙 절대적이였던지라 박근혜를 제외하면 공천 신청자조차 없었고, 그 결과 박근혜가 88.57%라는 전국 최고 수준의 득표율로 가볍게 4선에 성공했다.[2][3]

2.2.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성군
달성군 일원[달성]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 이종진(李鍾鎭)40,2761위
55.63%당선
2김진향(金鎭香)15,2463위
21.06%낙선
3서보강(徐甫康)--
-사퇴
6구성재(具聖宰)16,8692위
23.30%낙선
선거인 수139,824투표율
52.35%
투표 수73,193
무효표 수802
이 지역구 현역 의원인 박근혜가 새누리당 비대위원장과 대선출마 준비를 하게되면서 지역구를 떠나 비례대표로 자리를 옮기면서 새로운 인물이 나오게 되었다.

새누리당에서는 친박인 이종진 전 달성군수가 공천을 받았고 민주통합당에서는 김진향 후보를 내보냈다. 이외에도 새누리당의 공천을 받지 못한 구성재 후보 역시 무소속으로 출마하게된다. 선거결과 이종진 후보가 55%를 득표하여 다른 후보들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2.2.7.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성군
달성군 일원[달성]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추경호(秋慶鎬)40,3551위
48.07%당선
2조기석(趙基錫)12,3483위
14.71%낙선
5조정훈(趙庭焄)4,8424위
5.76%낙선
6구성재(具聖宰)26,3892위
31.44%낙선
선거인 수157,259투표율
54.20%
투표 수85,266
무효표 수1,332
현역 이종진 의원은 20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고, 그로 인해 새누리당은 또다시 새 인물을 공천해야 했다. 새누리당에서는 본래는 친박추경호국무조정실장이 단수추천 됐으나, 김무성 당시 새누리당 대표의 '옥새런'으로 무공천 지역구가 됐다가 박근혜 당시 대통령의 지역구라는 상징성으로 친박은 이 지역구를 꼭 지켜내겠다는 의지를 보였고, 김무성 대표와 친박계 협상으로 다시 추경호가 공천받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추경호 후보는 달성 출신이기는 하나, 출신만 달성일 뿐 그 외에 것들에서는 달성과 별다른 인연이 없는 낙하산 후보라는 게 지적되었고, 반면 무소속 구성재 후보는 박정희대한민국 대통령 시절 내무부장관을 지내고 달성군 지역구 국회의원이었던 구자춘의 아들이자 지난 19대 총선 때부터 이 곳에 꾸준히 도전했기에 추 후보에 비해 '지역일꾼'이란 점을 강조할 수 있었다.

구성재 후보가 친박 추경호 후보를 여론조사에서 앞지르기도 하는 이변을 낳기도 하였고, # 구 후보의 관계자는 "대구는 정치적으로 굉장히 배타적이다. 오래도록 여당을 지지한 풍토가 있어서 1번을 찍겠다고 얘기를 안 하면 죄 짓는 듯한 느낌을 갖는 사람도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실제로 투표장에서 무소속을 찍는 사람이 지금 보이는 것보다 더 많을 것"이라고 구 후보의 승리를 기대했다. #

그러나 결과는 추경호 후보의 승리. 추 후보가 딱히 논란이 없고 친박, 새누리당 후보라는 점이 작용한 듯 하다.

2.2.8.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성군
달성군 일원[달성]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형룡(朴亨龍)35,6492위
27.01%낙선
2추경호(秋慶鎬)88,8461위
67.33%당선
7조정훈(趙庭焄)1,9924위
1.50%낙선
8김지영(金志瑛)1,3045위
0.98%낙선
9서상기(徐相箕)4,1473위
3.14%낙선
선거인 수208,115투표율
64.20%
투표 수133,611
무효표 수1,673

21대 총선 달성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형룡추경호
득표수
(득표율)
35,649
(27.01%)
88,846
(67.33%)
- 53,197
(▼40.32)
133,611
(64.20%)
화원읍22.82%71.64%▼48.8263.15
논공읍21.35%71.13%▼49.7858.00
다사읍29.40%65.78%▼36.3762.17
가창면19.79%75.01%▼55.2265.68
하빈면19.20%76.14%▼56.9469.47
옥포읍21.83%73.33%▼51.4963.01
현풍읍25.10%68.02%▼42.9256.98
유가읍[4]35.61%58.25%▼22.6463.70
구지면[5]26.52%67.18%▼40.6660.23
후보박형룡추경호격차
거소·선상투표25.00%60.47%▼35.48
관외사전투표33.79%59.96%▼26.17
재외투표60.29%35.29%△25.00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67,894
(52.87%)
22,699
(17.67%)
8,006
(6.23%)
11,191
(8.71%)
4,040
(3.14%)
+ 45,195
(△35.20)
133,633
(64.17%)
화원읍57.01%14.81%5.66%8.14%2.49%△42.2063.16
논공읍56.93%13.98%5.66%6.40%2.88%△42.9558.00
다사읍50.51%19.38%6.43%10.24%3.16%△31.1362.17
가창면62.03%12.77%4.73%6.53%2.65%△49.2665.68
하빈면63.61%14.14%3.83%6.38%2.31%△49.4769.44
옥포읍58.99%14.76%4.82%7.52%2.32%△44.2263.01
현풍읍54.14%16.71%6.48%7.70%2.91%△37.4356.98
유가읍43.49%23.15%7.98%10.64%4.38%△20.3563.70
구지면54.71%16.88%5.93%7.18%3.42%△37.8360.20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45.78%16.11%3.83%7.92%3.06%△29.67
관외사전투표46.39%21.15%7.62%8.37%4.41%△25.24
재외투표30.52%24.21%12.63%2.10%13.68%△6.32
이재용 후보가 나왔던 중구·남구 지역구에서 지역구 관리를 했던 박형룡 후보와 현역 후보인 추경호 후보의 매치였다. 단, 여긴 역시 달성군에서 인지도가 높은 (대구) 북구 을 출신의 서상기 후보도 있어서 박형룡 후보에게 좀 더 유리해질 것으로 보였지만, 서상기 후보는 불과 3%만 가져가면서 추경호 후보가 무려 40% 격차로 깔끔하게 이겼다.


2.2.9.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달성군
달성군 일원[달성]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1] 다만 이 테크노폴리스는 박근혜 당시 의원이 힘을 써서 유치해온 것이라는 점이 아이러니한 점. 비슷한 예로는 박정희 정부가 주도해서 공단을 유치했지만, 지금은 경북에서 보수세가 약한 포항시구미시가 있다.[달성] A B C D E F G H 화원읍, 논공읍, 다사읍, 유가읍, 옥포읍, 현풍읍, 가창면, 하빈면, 구지면[2] 참고로 박근혜는 당시 공천 심사를 받고 나오면서 그 유명한 "나도 속고 국민도 속았다.", "살아서 돌아오라." 등의 어록을 남겼는데, 이 때문인지 당의 지원 유세 요청에도 응하지 않고 오로지 지역구 선거 운동에만 집중했다. 득표율이 높았던 데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던 셈.[3] 하지만 광주광역시 동구에서 88.7%로 당선된 박주선이 있어서 전국 1등은 아니었다. 박근혜 본인은 전국 2등.[4] 대구테크노폴리스가 있는 동네.[5] 대구국가산업단지가 있는 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