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쿄도 제20구

덤프버전 :


도쿄도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도쿄도 제20구
東京都第20区
||




1. 개요[편집]


도쿄도히가시무라야마시, 히가시야마토시, 키요세시, 히가시쿠루메시, 무사시무라야마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기하라 세이지. 굉지회 소속, 기시다 후미오의 측근으로 기시다 내각 하에서 내각관방 부장관과 내각총리대신 보좌관을 맡고 있다.


2. 상세[편집]


민주당이 근소하게 우세를 점하는 곳이었으나, 2012년 제46회 총선부터 급격하게 자민당 우세 선거구로 변모했다. 특히 제46회 총선에서 낙선한 민주당 가토 고이치(加藤公一 )[1] 의원이 더이상 출마를 하지 않자, 자민당 후보와 야당 후보와의 격차가 계속 벌어지고 있다.

도쿄도내 선거구 중 공산당 지지율이 비교적 높게 나오는 선거구 중 하나이다. 심지아 최근 두 번의 총선에서는 공산당 미야모토 도루 후보가 각각 희망의 당일본 유신회 후보를 제치고 2등을 차지했다. 미야모토 도루는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되었고, 현재는 중의원 3선 의원이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20구
히가시무라야마시, 히가시야마토시, 키요세시,
히가시쿠루메시, 무사시무라야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오노 유리코
(大野由利子)
55,559표1위


26.9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시미즈 세이치로
(清水清一朗)
54,582표2위


26.52%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나카노 시노부
(中野志乃夫)
41,705표3위


20.2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마에사와 노부히로
(前沢延浩)
35,150표4위


17.08%낙선
아사키 나오코
(朝木直子)
13,957표5위

무소속

6.78%낙선
파일:신사회당 흰색.png나가타 에츠코
(永田悦子)
4,878표6위


2.37%낙선
유효표 수205,831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20구
히가시무라야마시, 히가시야마토시, 키요세시,
히가시쿠루메시, 무사시무라야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가토 고이치
(加藤公一)
93,236표1위


39.46%당선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오노 유리코
(大野由利子)
58,613표2위


24.81%낙선
시미즈 세이치로
(清水清一朗)
48,613표3위

무소속

20.5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스즈키 이쿠오
(鈴木郁雄)
35,826표4위


15.16%낙선
유효표 수236,288표투표율
64.87%
선거인 수371,592인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20구
히가시무라야마시, 히가시야마토시, 키요세시,
히가시쿠루메시, 무사시무라야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가토 고이치
(加藤公一)
111,041표1위


50.6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시미즈 세이치로
(清水清一朗)
81,588표2위


37.2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케다 마리코
(池田真理子)
26,434표3위


12.07%낙선
유효표 수219,063표투표율
60.09%
선거인 수380,991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20구
히가시무라야마시, 히가시야마토시, 키요세시,
히가시쿠루메시, 무사시무라야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하라 세이지
(木原誠二)
112,634표1위
44.55%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가토 고이치
(加藤公一 )
107,916표2위
42.68%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케다 마리코
(池田真理子)
32,299표3위
12.77%낙선
유효표 수252,849표투표율
66.95%
선거인 수388,041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20구
히가시무라야마시, 히가시야마토시, 키요세시,
히가시쿠루메시, 무사시무라야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가토 고이치
(加藤公一)
136,294표1위
51.2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하라 세이지
(木原誠二)
95,718표2위
35.9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케다 마리코
(池田真理子)
31,475표3위
11.83%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아베 카즈유키
(阿部一之)
2,560표4위
0.96%낙선
유효표 수266,047표투표율
68.10%
선거인 수398,174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20구
히가시무라야마시, 히가시야마토시, 키요세시,
히가시쿠루메시, 무사시무라야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하라 세이지
(木原誠二)
98,070표1위
[2]40.41%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가토 고이치
(加藤公一 )
61,519표2위
[3]25.35%낙선
파일:일본유신회(2012년) 심볼.png노다 카즈사
(野田数)
50,031표3위
20.6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케다 마리코
(池田真理子)
33,092표4위
13.63%낙선
유효표 수242,712표투표율
63.13%
선거인 수402,763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20구
히가시무라야마시, 히가시야마토시, 키요세시,
히가시쿠루메시, 무사시무라야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하라 세이지
(木原誠二)
110,273표1위
[4]52.1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타케다 미츠아키
(手塚仁雄)
51,362표2위
[5]24.2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케다 마리코
(池田真理子)
49,902표3위
23.58%낙선
유효표 수211,537표투표율
54.47%
선거인 수404,949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20구
히가시무라야마시, 히가시야마토시, 키요세시,
히가시쿠루메시, 무사시무라야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하라 세이지107,686표1위
[6]49.89%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미야모토 도루57,141표2위
[7]26.75%비례당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카노 아키라50,439표3위
23.37%낙선
유효표 수215,866표투표율
53.64%
선거인 수415,565인

야권 표 분열로 자민당 기하라 후보가 손쉽게 이겼다. 공산당 후보가 희망의 당을 후보를 제치고 2위에 올랐으며, 동시에 공산당 도쿄 블록 비례대표 상위순번에 배치되는 바람에 당선되었다.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도쿄도 제20구
히가시무라야마시, 히가시야마토시, 키요세시,
히가시쿠루메시, 무사시무라야마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기하라 세이지121,621표1위
[8]52.60%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미야모토 도루66,516표2위
[9]28.77%비례당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마에다 준이치로43,089표3위
18.64%낙선
유효표 수231,226표투표율
56.77%
선거인 수418,245인

현역 자민당 기하라 세이지 의원이 재출마한다. 기하라 의원은 기시다 후미오 총리의 측근으로 현재 내각관방 부장관을 맡고 있다.

지난 총선에 지역구 후보로 출마해 패했지만, 석패율제를 통한 비례대표로 당선된 공산당 미야모토 도루 의원도 공천을 받았다. 입헌민주당은 굳이 공산당이 강세인 반면에 전체적인 야권 지지율은 미약한 이곳에, 야권단일화등을 고려해 최종적으로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다. 일본 유신회는 공인회계사인 마에다 준이치로 후보를 공천했다.

투표 결과, 자민당 기하라 세이지 후보가 과반을 넘는 득표율로 여유있게 당선되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자유민주당에서는 기하라 세이지 의원이 재출마할 것으로 보인다.

공산당에서도 석패율로 두번 연속 당선된 미야모토 도루 의원이 다시 공천을 받았다.

일본 유신회에서는 이곳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던 다케다 미츠아키 전 의원을 공천했다. 중의원을 지낸 곳은 이 곳이 아닌 2009년에 원래 지역구인 25구에 나와 석패율 당선된 것 1번이였다.


[1] 야마가타현 출신인 자민당 가토 고이치(加藤紘一) 前 내각관방장관과는 동명이인이다.[2] 추천[3] 추천[4] 추천[5] 도쿄도 총지부 추천[6] 추천[7]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5dbd3f,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녹색당 그린스 재팬)] 추천[8] 추천[9] 도쿄도 연합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