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국/행정구역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중국

[ 정치 · 군사 ]

상징국호 · 오성홍기(국기) · 국장 · 의용군 진행곡(국가)
정치 · 행정정치 전반(홍콩 · 홍콩 입법회 · 마카오 · 마카오 입법회) ·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 국무원(판공청 · 조성부서 · 국무원 직속기구) · 국가감찰위원회 · 홍콩 행정장관 · 마카오 행정장관 · 헌법(홍콩 기본법) · 행정조직(홍콩 · 마카오) · 국가주석 · 성급행정구 영도인 · 인민대회당 · 공무원 · 중국의 판다 소유권 정책
정당 · 사상중국공산당 규약 · 정당(중국공산당 · 민주당파 · 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공산당의 파벌(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 태자당 · 상하이방) · 중국몽 · 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 우마오당 · 공산당 중앙조직(중공당대회 · 중공중앙)
역대 국가원수마오쩌둥 · 류샤오치 · 리셴녠 · 양상쿤 · 장쩌민 · 후진타오 · 시진핑
역대 주석
기타 정치인덩샤오핑 · 화궈펑 · 후야오방 · 자오쯔양 · 저우언라이 · 주더 · 쑹칭링 · 예젠잉 · 차오스 · 리펑 · 우방궈 · 장더장 · 리잔수 · 주룽지 · 원자바오 · 리커창 · 왕양 · 왕치산 · 쑨춘란 · 후춘화 · 류허 · 한정 · 샤오제 · 자오러지 · 장쥔 · 뤄룽환 · 자춘왕 · 둥비우 · 샤오양
부주석 · 전인대 상무위원장 · 정협 전국위 주석 · 총리 · 최고인민검찰원장 · 최고인민법원장 · 국감위 주임
외교외교 전반(비판) · 외교부 · 여권(홍콩 · 마카오) · 비자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92공식 · 양안통일) · 중화권 · 한중관계(동중국해 · 이어도 · 6자회담 · 한한령) · 중일관계(센카쿠 열도 · 중일평화우호조약) · 한중일 · 중인관계(국경분쟁 · 아크사이친 · 아루나찰프라데시 · 평화공존 5원칙) · 난사 군도 · 둥사 군도 · 시사 군도 · 상임이사국 · G20 · G2 · 신냉전 · 일대일로 · 미중관계(패권 경쟁 · 전망) · 미중러관계 · 호주-중국 관계(무역분쟁) · 중국 제국주의 · BRICS
사법사법 전반 · 최고인민법원 · 검찰원 · 사법부 · 엄타 · 사형제도 · 라오가이 · 민법 · 베이징 친청 교도소
공안경찰(공안부 · 국가안전부 · 이민관리국 · 계급 · 경찰대학 · 경찰법 · 경찰차) · 응급관리부(소방구원대 · 계급 · 소방학원 · 소방법 · 소방차) · 해관총서(계급) · 홍콩 보안국(경무처 · 소방처 · 비행대 · 입경사무처 · 징교처 · 해관) · 마카오 보안부대(치안경찰국 · 소방국) · 청관 · 정보기관
군사 전반중국 인민해방군 · 계급 · 중앙군사위원회(기능부서) · 국방부 · 퇴역군인사무부 · 역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전구(서부 · 중부 · 북부 · 남부 · 동부 · 구 편제) · 역사 · 초한전 · 사관학교 · SCO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장비 장비(보병장비 · 기갑장비 · 항공병기 · 함선 · 둥펑 미사일) · 군복 · 군장 · 중국북방공업 · 중국선박집단 · 중국항공공업집단
군종 · 부대 육군 · 해군(육전대) · 공군(공강병군) · 로켓군 · 전략지원부대(우주비행사대대) · 무장경찰(해경) · 연합참모부 · 주홍콩부대 · 주마카오부대 · 해외 주둔 중국군

[ 역사 ]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백년국치
시대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우한정부 · 국민정부 · 만주국) · 중화인민공화국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사서 흠정24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 국공합작 · 초공작전(대장정) · 중일전쟁(백단대전) · 국공내전 · 반우파 투쟁 · 중인전쟁 · 대약진 운동(7천인 대회 · 제사해 운동 · 신양 사태) · 문화대혁명(해서파관 사건 · 5.16 사건 ·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 베이징 8월 폭풍 사건 · 경험 대교류 운동 · 상하이 1월 폭풍 사건 · 2월 역류 · 경서빈관 대소동 · 7.20 사건 · 주중 영국 대표부 점령 사건 · 9.13 사건 · 비림비공운동 · 상산하향 운동) · 중소 국경분쟁 · 닉슨-마오쩌둥 회담 · 중월전쟁 · 흑묘백묘론 · 중영공동선언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홍콩 반환 · 천안문 6.4 항쟁 · SARS · 재스민 혁명 · 멜라민 파동 · 홍콩 우산혁명 · 2018년 중국 백신 파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2019년 중국 우한시 환경 시위 · COVID-19(우한 봉쇄 · 상하이 봉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 정풍운동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
왜곡 중국의 역사왜곡 · 동북공정 · 만물중국기원설 ·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 · 중국의 김치 왜곡)

[ 사회 · 경제 ]

경제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기업 · 산업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중앙 관리 기업) · 은행 · IT 기업(바이두 · 알리바바 그룹) · 5대 자동차 제조사(상하이자동차의 계열사) · 건설사 · 만년필 회사 · BBK#중국의 대기업(산하 제조사) · Lenovo · 비야디 자동차 · HNA그룹 · 메이드 인 차이나 · 대기업
지리지리 전반 · 자연자원부(임업초원국) · 수리부 · 중국 대륙 · 오악#중국의 오악 · 창장 강 · 황허(위수) · 랴오허 · 목단강 · 송화강 · 헤이룽장 강 · 주장 강 · 화이허 강 · 톈산 산맥 · 쿤룬 산맥 · 다오청 삼신산 · 루산 · 망탕산 · 북망산 · 티베트 고원 · 쿤룬 산맥 · 타클라마칸 사막 · 화북 평야 · 만주 · 둥팅 호 · 칭하이호 · 웨량 섬 · 창허 섬 · 하이난 섬 · 홍콩섬 · 행정구역( · 지급시 · 부성급시 · 특별행정구#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 · 도시 목록 · 7대 고도 · 박물지 ·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페트로차이나) ·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 · 국경통상구 · 환경오염
사회사회 전반 · 중국인 여성의 해외 성매매 · 신분증 · 민정부 · 중국사회과학원 · 중국 관련 뉴스 · 인구 · 중국인(민족 · 한족) · 공휴일(국경일#중화인민공화국 · 홍콩) · 중국 표준시 · 국수주의 · 중화사상 · 중국 붕괴론 · 중국 위협론 · 인권 탄압 · 분청 · 황금방패 · 계획생육정책(소황제) · 양두혼 · 문명점수 · 동타이왕 · Shadowsocks · 탕핑족 · 노동법 · 민주화 운동
정보 · 통신국가우정국 · 중국우정집단공사 · 홍콩우정 · 통신장비 제조사(화웨이 · ZTE · 다탕텔레콤) · 샤오미 · 이동통신사(차이나모바일 ·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 · 중국광전네트워크) · 광전총국 · 중관춘 · 화창베이
과학 · 기술 과학기술부 · 중국과학원 · 중국공정원 · 우주개발(국가항천국 · 창정 · 동방홍 위성 · 선저우 계획 · 창어 계획 · 톈궁) · 양탄일성 ·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교육부 · 수학 교육과정 · 초급중학 학력시험 · 가오카오 · HKDSE · ARWU · 중국교우회망 대학평가(순위) · 구교연맹(목록) · BHUA ·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 985공정 · 211공정 · 공자학원 · 천인계획 · 중국정부장학금 · 대외한어과
교통교통 전반(홍콩 · 마카오) · 교통운수부(국가철로국 · 민용항공국) · 고속공로(강주아오 대교) · 철도(CRH · 도시철도 · 중국국가철로집단 · 중국중차 · 중국철도박물관) · 항공사(중국국제항공 · 중국남방항공 · 중국동방항공 · 하이난항공) · 공항 목록 · 중국교통건설 · 교통카드(옥토퍼스 카드) · 차량 번호판

[ 문화 ]

문화 전반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음식음식 전반 · 지리적 표시제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백주 · 황주 · 맥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 경극(변검) · 잡극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중국기원 · 중국 바둑 기전 · 갑조리그 · 몽백합배 · 춘란배 · 바이링배 · 봉황고성배 · CCTV 하세배 · 황룡사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궁륭산병성배 · 오청원배)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현대문화만화(웹코믹 · 홍콩) · 애니메이션 · 게임 · 텐센트 · 빌리빌리(빌리빌리 매크로 링크 VR) · 넷이즈 · miHoYo · SUNBORN · Hypergryph · X.D. Global · Gaea · Yostar · LPL · 메이드 카페 · 차이나조이 · 차이나 인터내셔널 코믹 페스티벌 · COMICUP · ComiAi · 코미데이 · 선협소설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四靈 · 오룡#다섯 마리의 용 · 사흉) · 동방번개
스포츠체육총국 · 중국 올림픽 대표팀 · 전국운동회 · 중국축구협회 ·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마카오) · 풋살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 · FA컵 · 슈퍼 리그 · 갑급 리그 · 여자 슈퍼 리그 · 홍콩 프리미어 리그 · 홍콩 퍼스트 디비전 · 차이나컵 · 홍콩 구정컵 · 축구굴기 · 공한증 · 중국 농구 협회 · 농구 국가대표팀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남자 배구 리그 · 여자 배구 리그 · 야구 국가대표팀 · 중국권법(실전) · 태극권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기아 서킷 · 베이징 올림픽 · 올림픽공원
언어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표준중국어) · 관화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백화문 · 한자(간체자 · 방언자 · 측천문자 · 한어대사전) · 병음(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언어문자공작위원회 · HSK · BCT · TSC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관광 전반(홍콩 · 마카오) · 세계유산 · 9단8묘 · 5A급 여유경구 · 중국국가박물관 · 중화민족원 · 유니버설 베이징 리조트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상하이 디즈니랜드) · 홍콩 디즈니랜드 · 스튜디오 시티 워터파크 ·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 베이징 대관원
전시장베이징 전시센터 · 전국농업전람관 · 중국국제전람센터 · 국가회의센터 · 국립전시컨벤션센터 · 상하이 국제엑스포센터 · 충칭 국제엑스포센터 · 수출입상품교역회전시관 · 선전세계전시컨벤션센터 · 선전전시컨벤션센터 · 우한 국제엑스포센터 · 난징 국제엑스포센터 · 쑤저우 국제엑스포센터 · 쿤밍뎬츠국제컨벤션센터 · 홍콩 컨벤션센터 · 아시아월드엑스포



1. 개요
2. 역사
3. 행정구역 체계
3.1. 성급행정구
3.1.1. 목록
3.1.2. 성급행정구역 영도인
3.2. 지급행정구
3.3. 현급행정구
3.4. 향급 이하 행정구역
4. 행정구역 코드
4.1. 특징
4.2. 코드 예시
5. 지급·현급행정구 목록 틀 모음



1. 개요[편집]


중국 행정구획
성급행정구
(省级行政区)
지급행정구
(地级行政区)
현급행정구
(县级行政区)
향급행정구
(乡级行政区)
촌급행정구
(村级行政区)
자치구부성급자치주시할구
현급시

자치현
기(旗)
자치기
가도(街道)
진(镇)
향(乡)
민족진
민족향
현할구
소목(苏木)
민족소목
사구(社区)
거민위원회
촌/알사(嘎查)
촌민위원회
지급시
자치주
지구
맹(盟)
현급시
지급시시할구
특구
현급시

자치현
자치주
지구
현급시
임구(林区)
직할시시할구
현/자치현
특별행정구홍콩특별행정구
마카오특별행정구

현재 중국 행정구역 체계는 가장 큰 단위에서 가장 작은 리·동급 단위까지 보편적으로 성급-지급-현급-향급-촌급 5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어떤 지역에만 있는 행정구역 단위가 있거나 행정구역 단위를 한, 두개 생략하여 매우 복잡하다. 한국은 행정구역 위계를 생략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차이가 있다.


2. 역사[편집]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직후까지 중화민국 행정구역(대만/영유권 주장 지역도 참조)을 그대로 사용했다. 그러나 1949년에 6대지리구를[1] 6대행정구(六大行政区) 및 둥베이9성[2]이 랴오둥성(辽东省), 랴오시성(辽西省), 헤이룽장성, 쑹장성, 지린성 5개 성과 내몽골 자치구 동4맹으로 개편되었으며, 장쑤성이 쑤베이성(苏北省)과 쑤난성(苏南省)으로, 안후이성이 완베이성(皖北省)과 완난성(皖南省)으로 분할되었으며, 쓰촨성이 촨둥성(川东省), 촨시성(川西省), 촨난성(川南省), 촨베이성(川北省)으로 분할되었고, 산둥성 서부 및 허난성 북부를 핑위안성(平原省)으로 분할했다.

1952년, 장쑤성과 안후이성, 쓰촨성이 기존 형태로 복원되었으며 핑위안성, 차하얼성(察哈尔省)이 폐지되고 주변 성급행정구역으로 합병되었다. 이후 난징시가 장쑤성에 합병되고 창춘시가 직할시로 승격된다. 그러나 직할시는 1953년, 베이징시, 톈진시, 상하이시만 남기고 모두 폐지됐다. 이와 동시에 둥베이 5성이 현 둥베이 3성 체계로 개편됐다.

1954년에 닝샤성(宁夏省)이 폐지되었고 대행정구가 폐지되고 현재와 같이 지리구분으로 사용되기 시작되었으며 1955년에 러허성(热河省)과 시캉성(西康省)이 해체되고, 신장성이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1957년에 구 닝샤성 중 간쑤성으로 편입된 지역과 광시성이 각각 닝샤 후이족 자치구광시 좡족 자치구로 개편된다.

1958년톈진시가 허베이성에 편입되었으며, 향급행정구와 촌급행정구가 일괄 인민공사(人民公社) 체제로 변경되었다.

1965년에 티베트지방이 티베트 자치구로 변경되었고 하위 행정단위인 기교(基巧)와 종(宗)이 각각 전구(专区)와 현(县)으로 개칭되었으며 1967년에 톈진시가 다시 직할시로 지정되었다.

1980년대부터 지구, 전구를 상당수 지급시 체제로 전환하였으며, 1982년에 인민공사를 폐지하고 향급행정구와 촌급행정구으로 환원하였다. 단 관할구역은 인민공사 관할구역을 기준으로 했다. 1988년광둥성에서 하이난성이 분리되었다.

1997년충칭시가 직할시로 분리되고 동년에 홍콩이 반환과 함께 특별행정구로 지정되었다. 한편 1999년에는 마카오가 반환과 함께 특별행정구로 지정되었다.

2.1. 중국의 행정구역 개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6.2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행정구역 체계[편집]


  • 성급행정구 / 省级行政区(1급 행정구, 33개[3]) - 직할시(直辖市), (省), 자치구(自治区), 특별행정구(特别行政区) - 규모는 제안된 고려민주연방공화국의 남북한 지역정부, 위상으로는 한국의 특별시·광역시(직할시), (성), 특별자치도(자치구), 대한민국 정부의 북한 정권에 대한 입장(특별행정구)에 상당한다[4].
  • 지급행정구 / 地级行政区(2급 행정구, 334개) - 부성급시(副省级市), 지급시(地级市), 자치주(自治州), 지구(地区), 맹(盟) - 규모는 정도, 위상으로는 특례시 정도[5].
  • 현급행정구 / 县级行政区(3급 행정구, 2,852개) - 현급시(县级市), 현(县), 자치현(自治县), 시할구(市辖区), 기(旗), 자치기(自治旗), 특구(特区), 임구(林区) - 한국 (현급시), (현), (시할구) 정도이나 좀 더 인구가 많음.
  • 향급행정구 / 乡级行政区(4급 행정구, 40,466개) - 가도(街道), 진(镇), 향(乡), 민족향(民族乡), 소목(苏木), 민족소목(民族苏木), 虚拟镇 - 한국 (진), (향), (가도) 정도.
  • 촌급행정구 / 村级行政区(5급 행정구, 704,386개) - 촌(村), 알사(嘎查), 사구(社区) - 한국 (촌), (사구) 정도.

중국 행정구역은 단계에 따라 5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1단계(법인격 필수), 4단계 이하(법인격 비필수)를 뺀 2~3단계는 자치권이 있는 행정구역(지급시, 주, 현급시, 현, 기)과 자치권이 없는 행정구역(지구, 맹, 시할구)이 혼재되어 있다. 촌급 행정구역은 단순하게 도시사구와 농촌사구로 번역하기도 한다. 자세히 들여다 보면 머리만 아프니 해당 행정구역을 대표하는 행정단위에는 강조 표시를, 내몽골에만 있는 팔기군에서 유래한 행정구역은 기울임 표시를 해놓았다.

행정구역마다 당위원회(당위), 정부가 있으며 현급행정구부터는 인민대표대회(인대), 정치협상회의(정협)이 존재한다. 권력 서열은 명목상으로는 당위>인대>정부>정협 순이지만 실질적인 서열은 당위>정부>인대>정협 순이다. 정부의 수장은 당위원회의 부서기를 겸하는 경우가 많으며 소개할 때에도 당위 부서기 타이틀이 정부 직함의 앞에 나온다.

성급보다 높은 대행정구(大行政区)도 존재하였다. 대행정구 관할구역을 베이징 기준 방위로 정해, 예를 들어 베이징 기준 방위가 같은 화중과 화난이 중난으로 묶여 있다. 폐지되었지만 현재도 지방구분 용도로 사용한다. 제일 널리 쓰이는 예시가 바로 동북(东北)3성이다.

역사적인 이유로 두 행정구역 등급 사이에 행정구역이 끼어있는 경우가 매우 드물게 존재한다.
  • 현할구(县辖区) - 말 그대로 현이 관할하는 구다. 과거에는 향급행정구 여러개(대개 4~5개)를 구로 묶어 이를 상위 현급행정구가 관할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후 향급행정구를 합병하며 거의 사라져 현재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줘루현(涿鹿县) 난산구(南山区)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카슈가르지구 저푸현(泽普县) 쿠이이바거구(奎依巴格区) 딱 2개가 잔존해있다.
  • 통상적으로 민족자치주(民族自治州)는 지급행정구에 속하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이리 카자흐 자치주는 3개 현급시와 지급행정구에 해당하는 2개 지구(地区)를 관할하는, 어떻게 보면 부성급행정구역에 해당하는 지위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이리주의 행정구역 등급에 대해선 여전히 논쟁이 남아있다.


3.1. 성급행정구[편집]



||
[ 펼치기 · 접기 ]

베이징시
· 톈진시
· 허베이성
· 산시성
· 내몽골 자치구
랴오닝성
· 지린성
· 헤이룽장성
화둥 지구
상하이시
파일:1px 투명.svg
· 장쑤성
· 저장성
· 안후이성
· 푸젠성
· 장시성
· 산둥성
· 타이완성
중난 지구
허난성
· 후베이성
· 후난성
· 광둥성
· 광시 좡족 자치구
· 하이난성
· 홍콩 특별행정구
· 마카오 특별행정구
시난 지구
충칭시
· 쓰촨성
파일:1px 투명.svg
· 구이저우성
파일:1px 투명.svg
· 윈난성
파일:1px 투명.svg
· 티베트 자치구
시베이 지구
산시성
파일:1px 투명.svg
· 간쑤성
파일:1px 투명.svg
· 칭하이성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신장 위구르 자치구
한자
: 행정 약칭



파일:중국 행정구역.svg
중국 성급 행정구역 구별 지도.

중국을 나누는 가장 큰 단위의 행정구역은 성급행정구(省级行政区)이다. , 직할시, 자치구, 특별행정구가 있다. 22개 성, 4개 직할시, 5개 자치구, 2개 특별행정구가 있다.

각 성과 자치구에 한국 도청 소재지에 해당하는 성회(省会)와 수부(首府)가 존재하며, 그 외에도 인구가 대단위로 있는 직할시도 존재한다. '성회' 자체가 성도, 도청 소재지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중국의 규모를 알 수 있는 대목으로 중국의 22개 성 중 10개 성은 한국(휴전선 이남)보다 인구가 많으며 5개 성과 4개의 자치구는 한반도보다 면적이 넓다. 경제력에서도 거의 국가급이다. 광둥성장쑤성의 GRDP는 한국을 뛰어넘는다. 충칭의 경우 인구가 약 7,000만 명에 달했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좀 정책적으로 줄인 상태(그래도 3,000만 명 이상). 충칭이 무진장 크기도 하지만. 거의 모든 중국 직할시(와 면적이 매우 넓은 일부를 제외한 지급시)는 한국 도 면적과 비슷하다. 그리고 각 성(과 면적이 매우 넓은 지급시) 면적은 한국보다 넓은 성이 많다. 따라서 면적으로 비슷하게 대응시키자면 중국 시, 지구 - 한국 도, 중국 현, 자치현, 시할구 - 한국 시, 군, 자치구, 이렇게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쓰촨성 성회(성정부 소재지)인 청두 면적만 해도 경기도, 인천광역시, 서울특별시 면적을 합친 것과 거의 비슷하다. 반면에 특별행정구를 제외한 성급 행정구역 중 가장 면적이 작은 행정구역인 상하이시하이난성은 크기가 한국의 도 수준이거나 조금 더 크다.

성과 같은 등급인 행정구역으로 주요 도시들을 직할시로 지정하였다. 과거 중화민국이 대륙을 통치할 당시에는 12개의 직할시가 있었으나 중화인민공화국이 들어선 뒤 격하되어 지금은 베이징, 톈진, 상하이, 충칭(1999년 재승격) 4개가 남아있다. [6] 유의할 점은 직할시 단위는 어디까지나 해당 자치체의 법적 위상을 분류하는 용어일 뿐, 중국 직할시 풀네임은 그냥 '○○시'이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의 광역시 중 하나인 부산의 풀네임은 "부산광역시"지만, 상하이의 풀네임은 그냥 "상하이시"다. 주소를 쓸 때는 물론, 각 행정기관 이름에도 "직할시" 세 글자가 붙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하이시 인민정부(上海市人民政府), 상하이시 공안국(上海市公安局) 등 정부기관명에도 "직할시"가 붙지 않는다.

성과 같은 등급의 다른 행정구역인 자치구는 소수민족이 모여사는 곳으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광시 좡족 자치구 5곳이 있다. 이 곳은 제한적인 법령 제정권과 지역 언어 지정 및 사용 권리, 지역 경찰 등 제한적인 자치 권한 등을 보유하고 있다. 2020년 9월부터 시행된 중국어만 교육하라는 교육 정책이 시행되어 일부 위축되었다.

또 다른 성급 행정구역인 특별행정구는 홍콩, 마카오 2개가 있는데 이전의 오랜 영국, 포르투갈 식민지배를 고려해 중국에 반환된 이후에도 1국가 2체제를 따라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외교와 국방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별개 국가로 취급될 만큼 고도의 자치권을 누린다. 여권/비자, 화폐, 법령, 올림픽 출전 등의 면에서 느낄 수 있다. 또한 중국 본토와 홍콩, 마카오를 각각 오갈 시에도 출입경[7] 심사가 필요하다.

이들 지역 휘하의 행정구역은 아래 나올 중국의 일반적인 행정구역 편제가 아닌 옛 식민지 시절 행정구역을 따른다. 홍콩은 영국 식민지 시절에 나뉘어진 구를 사용하는데 한국의 자치구처럼 약간의 자치권이 있다. 반면 마카오에 설치된 당구(堂區)[8]는 한국 일반구처럼 법인 지위가 없다. 따라서 마카오 특별행정구 정부가 마카오 전역의 행정을 담당한다.

타이완 성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일본이 지배하는 댜오위다오를 제외하고 중화민국이 영유하고 있어 명목상 행정구역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푸젠성일부 도서 지역(진먼다오, 마쭈 열도) 중화민국이 지배하고 있어 분단되어 있다. 하이난성의 작에 속한 섬들 중에도 실질적으로 다른 나라(중화민국 포함)들이 영유하고 있는 곳들이 많다.

각 성급 행정구역은 모두 한자 한 자짜리 약자를 가지고 있는데, 지역 이름에서 한 자를 따온 경우도 많지만, 과거 지명에서 가져오거나 춘추전국시대 나라 이름에서 가져온 것 등도 많다.


3.1.1. 목록[편집]


파일:중국 지역 구분1.png
6대지리구
명칭약칭성회/자치구수부/시정부소재지
(省会/自治区首府/市政府所在地)
비고
화베이 지방(华北地方)
베이징시(北京市)京(Jīng/징)퉁저우구(通州区)
톈진시(天津市)津(Jīn/진)허시구(河西区)
허베이성(河北省)冀(Jì/지)스자좡시(石家庄市)
산시성(山西省)晋(Jìn/진)타이위안시(太原市)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內蒙古(Nèiměnggǔ/네이멍구)후허하오터시(呼和浩特市) / 후흐허트(Hoh Hot)차량 번호판(车配)에는 蒙이라고 표기한다.
둥베이 지방(东北地方)
헤이룽장성(黑龙江省)黑(Hēi/헤이)하얼빈시(哈尔滨市)
지린성(吉林省)吉(Jí/지)창춘시(长春市)
랴오닝성(辽宁省)辽(Liáo/랴오)선양시(沈阳市)
화둥 지방(华东地方)
상하이시(上海市)沪(Hù/후)
申(Shēn/선)
황푸구(黃浦区)
안후이성(安徽省)皖(Wǎn/완)허페이시(合肥市)
푸젠성(福建省)闽(Mǐn/민)푸저우시(福州市)중화민국일부지역 실효 지배중
2018년에 중화민국 푸젠성 정부 허급화
장쑤성(江苏省)苏(Sū/쑤)난징시(南京市)
장시성(江西省)赣(Gàn/간)난창시(南昌市)
산둥성(山东省)鲁(Lǔ/루)지난시(济南市)
저장성(浙江省)浙(Zhè/저)항저우시(杭州市)
타이완성(台湾省)台(Tái/타이)타이베이시(台北市)중화민국이 댜오위다오(钓鱼岛, 일본이 센카쿠 열도(尖閣諸島)라는 이름으로 실효지배)를 뺀 전역을 실효지배하여 명목상 행정구역이다.
중화민국 타이완성 정부(2019년 허급화)를 타이베이시에서 난터우시로 이이전과 타이베이시 직할시 승격-승격 후 약칭: 北-을 부인하여 명목상 성회를 타이베이시로 정함.
중난 지방(中南地方)
허난성(河南省)豫(Yù/위)정저우시(郑州市)
후베이성(湖北省)鄂(È/어)우한시(武汉市)
후난성(湖南省)湘(Xiāng/샹)창사시(长沙市)
광둥성(广东省)粤(Yuè/웨)광저우시(广州市)
하이난성(海南省)琼(Qióng/충)하이커우시(海口市)
광시 좡족 자치구(广西壮族自治区)桂(Guì/구이)난닝시(南宁市)
홍콩 특별행정구(香港特别行政区)港(Gǎng/강)중사이구(中西區, 중시구)본토와 달리 현지어인 광둥어 기준
마카오 특별행정구(澳门特别行政区)澳(Ào/아오)마카오반도(澳門半島)
시베이 지방(西北地防)
간쑤성(甘肃省)甘(Gān/간)
陇(Lǒng/룽)
란저우시(兰州市)
칭하이성(靑海省)青(Qīng/칭)시닝시(西宁市)
산시성(陕西省)陕(Shǎn/산)
秦(Qín/친)
시안시(西安市)
닝샤 후이족 자치구(宁夏回族自治区)宁(Níng/닝)인촨시(银川市)
신장 위구르 자치구(新疆维吾尔自治区)新(Xīn/신)우루무치시(乌鲁木齐市) / 위륌치(Ürümqi)시위구르어: '위륌치'
시난 지방(西南地方)
충칭시(重庆市)渝(Yú/위)위중구(渝中区)
구이저우성(贵州省)黔(Qián/첸)
贵(Guì/구이)
구이양시(贵阳市)
쓰촨성(四川省)川(Chuān/촨)
蜀(Shǔ/수)
청두시(成都市)
윈난성(云南省)滇(Diān/뎬)
云(Yún/윈)
쿤밍시(昆明市)
티베트 자치구(西藏自治区)藏(Zàng/짱)라싸시(拉萨市 / Lhasa)
간쑤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성, 티베트 자치구는 중앙아시아에 포함되기도 하고, 윈난성, 구이저우성, 화난지방은 동남아시아로 간주되기도 한다. 네이멍구자치구 중에서 다싱안링(大兴安岭) 동부 후룬베이얼, 싱안맹, 츠펑(赤峰), 퉁랴오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과 함께 둥베이 지방에 포함되기도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1.2. 성급행정구역 영도인[편집]


||
[ 지방정부 영도인 ]

#FFF ||<-4><table width=100%><tablebgcolor=#ee1c25> '''{{{#ffff00 직할시장}}}''' || || [[베이징시|{{{#ffff00 베이징시}}}]] || [[톈진시| {{{#ffff00 톈진시}}}]] || [[상하이시|{{{#ffff00 상하이시}}}]] || [[충칭시|{{{#ffff00 충칭시}}}]]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인융]] ||<width=25%> [[장궁(정치인)|장궁]] ||<width=25%> [[궁정]] ||<width=25%> {{{#000000 [[후헝화]]}}} || ||<-4> '''{{{#ffff00 성장}}}''' || || [[허베이성|{{{#ffff00 허베이성}}}]] || [[산서성| {{{#ffff00 산시성}}}]] || [[랴오닝성|{{{#ffff00 랴오닝성}}}]] || [[지린성|{{{#ffff00 지린성}}}]]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왕정푸]] ||<width=25%> [[진샹쥔]] ||<width=25%> [[리러청]] ||<width=25%> [[한쥔]] || || [[헤이룽장성|{{{#ffff00 헤이룽장성}}}]] || [[장쑤성| {{{#ffff00 장쑤성}}}]] || [[저장성|{{{#ffff00 저장성}}}]] || [[안후이성|{{{#ffff00 안후이성}}}]] || ||<rowbgcolor=#fff,#191919><width=25%> [[량후이링]] ||<width=25%> [[쉬쿤린]] ||<width=25%> [[왕하오(정치인)|왕하오]] ||<width=25%> [[왕칭셴]] || || [[푸젠성|{{{#ffff00 푸젠성}}}]] || [[장시성| {{{#ffff00 장시성}}}]] || [[산둥성|{{{#ffff00 산둥성}}}]] || [[허난성|{{{#ffff00 허난성}}}]]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자오룽]] ||<width=25%> [[예젠춘]] ||<width=25%> [[저우나이샹]] ||<width=25%> [[왕카이(정치인)|왕카이]] || || [[후베이성|{{{#ffff00 후베이성}}}]] || [[후난성| {{{#ffff00 후난성}}}]] || [[광둥성|{{{#ffff00 광둥성}}}]] || [[하이난성|{{{#ffff00 하이난성}}}]]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왕중린]] ||<width=25%> [[마오웨이밍]] ||<width=25%> {{{#000000 [[왕웨이중(정치인)|왕웨이중]]}}} ||<width=25%> [[펑페이]] || || [[쓰촨성|{{{#ffff00 쓰촨성}}}]] || [[구이저우성| {{{#ffff00 구이저우성}}}]] || [[윈난성|{{{#ffff00 윈난성}}}]] || [[섬서성|{{{#ffff00 산시성}}}]] || ||<rowbgcolor=#fff,#191919><width=25%> [[황창]] ||<width=25%> [[리빙쥔]] ||<width=25%> [[왕위보]] ||<width=25%> [[자오강]] || ||<-2> [[간쑤성|{{{#ffff00 간쑤성}}}]] ||<-2> [[칭하이성| {{{#ffff00 칭하이성}}}]] || ||<-2><rowbgcolor=#fff,#191919> [[런전허]] ||<-2> [[우샤오쥔]] || ||<-4> '''{{{#ffff00 자치구 주석}}}''' || || [[내몽골 자치구| {{{#ffff00 내몽골 자치구}}}]] || [[광시 좡족 자치구| {{{#ffff00 광시 좡족 자치구}}}]] || [[티베트 자치구|{{{#ffff00 티베트 자치구}}}]] || [[닝샤 후이족 자치구|{{{#ffff00 닝샤 후이족 자치구}}}]]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왕리샤]] ||<width=25%> [[란톈리]] ||<width=25%> [[옌진하이]] ||<width=25%> [[장위보]] || ||<-4> [[신장 위구르 자치구| {{{#ffff00 신장 위구르 자치구}}}]] || ||<-4><rowbgcolor=#fff,#191919> [[에르킨 투니야즈]] || ||<-4> '''{{{#ffff00 특별행정구 행정장관}}}''' || ||<-2><bgcolor=#de2910> [[홍콩| {{{#fff 홍콩 특별행정구}}}]] ||<-2><bgcolor=#00785D> [[마카오| {{{#fff 마카오 특별행정구}}}]] || ||<-2><rowbgcolor=#fff,#191919> [[존 리(1957)|존 리]] ||<-2> [[호얏셍]] ||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FFF ||<-4><table width=100%><tablebgcolor=#ee1c25> '''{{{#ffff00 직할시}}}''' || || [[베이징시|{{{#ffff00 베이징시}}}]] || [[톈진시| {{{#ffff00 톈진시}}}]] || [[상하이시|{{{#ffff00 상하이시}}}]] || [[충칭시|{{{#ffff00 충칭시}}}]]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인리(정치인)|인리]] ||<width=25%> [[천민얼]] ||<width=25%> [[천지닝]] ||<width=25%> [[위안자쥔]] || ||<-4> '''{{{#ffff00 성}}}''' || || [[허베이성|{{{#ffff00 허베이성}}}]] || [[산서성| {{{#ffff00 산시성}}}]] || [[랴오닝성|{{{#ffff00 랴오닝성}}}]] || [[지린성|{{{#ffff00 지린성}}}]] || ||<rowbgcolor=#fff,#191919><width=25%> [[니웨펑]] ||<width=25%> [[란포안]] ||<width=25%> [[하오펑]] ||<width=25%> [[징쥔하이]] || || [[헤이룽장성|{{{#ffff00 헤이룽장성}}}]] || [[장쑤성| {{{#ffff00 장쑤성}}}]] || [[저장성|{{{#ffff00 저장성}}}]] || [[안후이성|{{{#ffff00 안후이성}}}]]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쉬친]] ||<width=25%> [[신창싱]] ||<width=25%> [[이롄훙]] ||<width=25%> [[정자제]] || || [[푸젠성|{{{#ffff00 푸젠성}}}]] || [[장시성| {{{#ffff00 장시성}}}]] || [[산둥성|{{{#ffff00 산둥성}}}]] || [[허난성|{{{#ffff00 허난성}}}]]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저우쭈이]] ||<width=25%> [[인훙]] ||<width=25%> [[린우]] ||<width=25%> [[러우양성]] || || [[후베이성|{{{#ffff00 후베이성}}}]] || [[후난성| {{{#ffff00 후난성}}}]] || [[광둥성|{{{#ffff00 광둥성}}}]] || [[하이난성|{{{#ffff00 하이난성}}}]]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왕멍후이]] ||<width=25%> [[장칭웨이]] ||<width=25%> [[황쿤밍]] ||<width=25%> [[선샤오밍]] || || [[쓰촨성|{{{#ffff00 쓰촨성}}}]] || [[구이저우성| {{{#ffff00 구이저우성}}}]] || [[윈난성|{{{#ffff00 윈난성}}}]] || [[섬서성|{{{#ffff00 산시성}}}]]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왕샤오후이]] ||<width=25%> [[쉬린]] ||<width=25%> [[왕닝]] ||<width=25%> [[자오이더]] || ||<-2> [[간쑤성|{{{#ffff00 간쑤성}}}]] ||<-2> [[칭하이성| {{{#ffff00 칭하이성}}}]] || ||<-2><rowbgcolor=#fff,#191919> [[후창성]] ||<-2> [[천강]] || ||<-4> '''{{{#ffff00 자치구}}}''' || || [[내몽골 자치구| {{{#ffff00 내몽골 자치구}}}]] || [[광시 좡족 자치구| {{{#ffff00 광시 좡족 자치구}}}]] || [[티베트 자치구|{{{#ffff00 티베트 자치구}}}]] || [[닝샤 후이족 자치구|{{{#ffff00 닝샤 후이족 자치구}}}]]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쑨사오청]] ||<width=25%> [[류닝]] ||<width=25%> [[왕쥔정]] ||<width=25%> [[량옌순]] || ||<-4> [[신장 위구르 자치구| {{{#ffff00 신장 위구르 자치구}}}]] || ||<-4><rowbgcolor=#fff,#191919> [[마싱루이]] || ||<-4> '''{{{#ffff00 특별행정구 공작위원회 서기}}}''' || ||<-2><bgcolor=#de2910> [[홍콩| {{{#fff 홍콩 특별행정구}}}]] ||<-2><bgcolor=#00785D> [[마카오| {{{#fff 마카오 특별행정구}}}]] || ||<-2><rowbgcolor=#fff,#191919> [[정옌슝]] ||<-2> [[정신충]] || ||<-4>{{{-2 {{{#ffff00 특별행정구 공작위원회 서기는 본토 공산당원이 임명되며, 지방당 서기는 아니지만 지방당 서기직에 준한다.}}}}}}||

[ 지방인민대표대회 주임 ]

#FFF ||<-4><table width=100%><tablebgcolor=#ee1c25> '''{{{#ffff00 직할시}}}''' || || [[베이징시|{{{#ffff00 베이징시}}}]] || [[톈진시| {{{#ffff00 톈진시}}}]] || [[상하이시|{{{#ffff00 상하이시}}}]] || [[충칭시|{{{#ffff00 충칭시}}}]] || ||<rowbgcolor=#fff,#191919><width=25%> [[리슈링]] ||<width=25%> [[위윈린]] ||<width=25%> [[둥윈하오]] ||<width=25%> [[왕중]] || ||<-4> '''{{{#ffff00 성}}}''' || || [[허베이성|{{{#ffff00 허베이성}}}]] || [[산서성| {{{#ffff00 산시성}}}]] || [[랴오닝성|{{{#ffff00 랴오닝성}}}]] || [[지린성|{{{#ffff00 지린성}}}]] || ||<rowbgcolor=#fff,#191919><width=25%> [[니웨펑]] ||<width=25%> [[란포안]] ||<width=25%> [[하오펑]] ||<width=25%> [[징쥔하이]] || || [[헤이룽장성|{{{#ffff00 헤이룽장성}}}]] || [[장쑤성| {{{#ffff00 장쑤성}}}]] || [[저장성|{{{#ffff00 저장성}}}]] || [[안후이성|{{{#ffff00 안후이성}}}]]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쉬친]] ||<width=25%> [[신창싱]] ||<width=25%> [[이롄훙]] ||<width=25%> [[정자제]] || || [[푸젠성|{{{#ffff00 푸젠성}}}]] || [[장시성| {{{#ffff00 장시성}}}]] || [[산둥성|{{{#ffff00 산둥성}}}]] || [[허난성|{{{#ffff00 허난성}}}]]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저우쭈이]] ||<width=25%> [[인훙]] ||<width=25%> [[린우]] ||<width=25%> [[러우양성]] || || [[후베이성|{{{#ffff00 후베이성}}}]] || [[후난성| {{{#ffff00 후난성}}}]] || [[광둥성|{{{#ffff00 광둥성}}}]] || [[하이난성|{{{#ffff00 하이난성}}}]]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왕멍후이]] ||<width=25%> 공석 ||<width=25%> [[황추핑]] ||<width=25%> [[선샤오밍]] || || [[쓰촨성|{{{#ffff00 쓰촨성}}}]] || [[구이저우성| {{{#ffff00 구이저우성}}}]] || [[윈난성|{{{#ffff00 윈난성}}}]] || [[섬서성|{{{#ffff00 산시성}}}]]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왕샤오후이]] ||<width=25%> [[쉬린]] ||<width=25%> [[왕닝]] ||<width=25%> [[자오이더]] || ||<-2> [[간쑤성|{{{#ffff00 간쑤성}}}]] ||<-2> [[칭하이성| {{{#ffff00 칭하이성}}}]] || ||<-2><rowbgcolor=#fff,#191919> [[후창성]] ||<-2> [[천강]] || ||<-4> '''{{{#ffff00 자치구}}}''' || || [[내몽골 자치구| {{{#ffff00 내몽골 자치구}}}]] || [[광시 좡족 자치구| {{{#ffff00 광시 좡족 자치구}}}]] || [[티베트 자치구|{{{#ffff00 티베트 자치구}}}]] || [[닝샤 후이족 자치구|{{{#ffff00 닝샤 후이족 자치구}}}]] || ||<rowbgcolor=#fff,#191919><width=25%> [[쑨사오청]] ||<width=25%> [[류닝]] ||<width=25%> 공석 ||<width=25%> [[량옌순]] || ||<-4> [[신장 위구르 자치구| {{{#ffff00 신장 위구르 자치구}}}]] || ||<-4><rowbgcolor=#fff,#191919> [[줌레트 오불]] || ||<-4> '''{{{#ffff00 특별행정구 입법회 주석}}}''' || ||<-2><bgcolor=#de2910> [[홍콩| {{{#fff 홍콩 특별행정구}}}]] ||<-2><bgcolor=#00785D> [[마카오| {{{#fff 마카오 특별행정구}}}]] || ||<-2><rowbgcolor=#fff,#191919> [[앤드류 렁콴위엔]] ||<-2> [[쿠호이인]] || ||<-4>{{{-2 {{{#ffff00 특별행정구 입법회는 지방인민대표대회와 같은 역할을 하는 입법기관이지만, 시정부 위에 존재하는 지방인대와는 다르게 시정부와 동등한 위치에 있는 기관이다.}}}}}}||





3.2. 지급행정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지급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총 294개 지급시와 7개 지구, 30개 자치주, 3개 맹이 있다.


3.3. 현급행정구[편집]


현급행정구(县级行政区)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지급행정구역 아래에 설치되는 행정구역이다. 954개 시할구, 366개 현급시, 1360개 현, 117개 자치현, 49개 기, 3개 자치기, 1개 특구(特区)[9], 1개 임구(林区)[10]가 있다. 일반적으로 현과 자치현은 도시화가 덜 된 농촌지역, 현급시는 현에서 도시화가 어느정도 진행되었으며 일부 독립적인 경제권한을 갖는 지역, 시할구는 한국의 일반구처럼 해당 지급시의 중심 도시지역을 의미한다. 물론 예외도 많은데, 예를 들면 2015년 모두 현(县)에서 구(区)로 전환되었으나 여전히 농촌과 다름없는 베이징의 북부 구들, 본래 현급시였다가 상위 지급시에서 시할구로 흡수합병되었으나 여전히 구시가지와 완전히 연담화되지 않고 독립적인 생활권을 보이는 일부 시할구들.

현급까지 오면 지방의 시군구 정도로 내려온 것이다[11]. 중국 제도 상 의미있는 자치권을 가진 최말단 행정구역이나, 중국 특유의 넓은 행정구역 설정과 촌락에도 많은 인구가 분포하는 특성상 현급행정구임에도 인구 100만을 바라보는 경우가 흔하다. 일례로 쑤저우시 관할 쿤산시(昆山市)는 실거주인구가 210만명에 달한다.

겉으로 보기에는 구(区)라는 이름을 달고 있지만, 실제로는 국무원 승인을 받지 않아 정식 시할구로 인정받지 못하는 아주 골때리는 상황도 존재한다. 예를들면 광둥성 선전시 다펑신구[12], 쓰촨성 청두시 톈푸신구(天府新区)[13], 장쑤성 쑤저우시 공업원구(工业园区)[14], 그리고 무수히 많은 도시들에 존재하는 각종 경제개발구(经济开发区), 고신구(高新区) 등. 이러한 구들은 행정구역 코드도 없고 구청, 인민대표대회 등 조직도 없지만, 워낙 자주 언급되기도 하고 주소에도 당당히 쓰이는 경우도 있어 사람을 굉장히 헷갈리게 만든다.

지급행정구는 행정 낭비라는 지적이 심해 일부 성에서는 지급행정구를 건너뛰고 성에서 현급행정구를 직접 관할하는 제도, 일명 성직할현(省直辖县)을 시범 시행중이지만, 현급은 고금을 막론하고 중국 지방행정의 기초가 되는 단위이기 때문에 현급이 생략되는 경우는 광둥성 둥관시(东莞市), 중산시(中山市), 간쑤성 자위관시(嘉峪关市), 하이난성 단저우시(儋州市) 이 4개 시가 전부다. 참고로 이 4개 도시는 이러한 특이점 때문에 '구(区)를 설치하지 않은 도시'라는 뜻인 '부설구적시(不设区的市)', 속칭 '직통자시(直筒子市)'라고 묶여 불리며, 현, 현급시, 구 없이 바로 향급행정구인 진(镇) 혹은 가도(街道)를 관할한다.

3.4. 향급 이하 행정구역[편집]


향급행정구(乡级行政区)는 현급 아래에 설치되는 행정구역이다. 향급까지 오면 읍면동 정도로 내려온 것이다. 8,122개 가도, 20,942개 진, 9,660개 향, 2개 현할구, 285개 민족향, 152개 소목, 1개 민족소목[15]이 있다. 향급 밑에 역시 주민자치조직인 촌급행정구로 개 촌(村), 개 알사(嘎查), 개 사구(社区)가 있다. 소목, 민족소목, 알사는 내몽골 자치구에만 있는 행정구역단위다.

대략적으로 가도는 , 진은 , 향은 과 유사하다. 그러나 한국에서 동은 자치구와 시 아래에만, 읍면은 군과 도농복합시 아래에만 둘 수 있고 자치구 아래에는 동만 둘 수 있는 제약이 있는 것과 달리, 중국의 가도, 진, 향은 그런 제한이 없다. 때문에 중국에서는 시할구나 현급시 아래에도 진과 향을 둘 수 있고, 반대로 현 아래에도 가도를 둘 수 있다.

향이 진으로 승격할 수 있는 기준은 1984년에 제정되었으며, 이 기준에 따르면 인구가 2만 이상이고 주민의 10% 이상이 농업 이외의 산업에 종사하거나 인구가 2만 미만이라도 2000명 이상의 인구가 농업 이외의 산업에 종사하는 향이 진으로 승격될 수 있다. 또한 소수민족 거주 지역이나 산간지역, 공업지대, 항구, 명승지, 국경 통상구 등은 이 기준을 만족하지 않아도 필요 시 진으로 승격할 수 있다.

과거 현할시 잔재 등으로 최근 진급시를 (자체적으로) 지정하는 경우가 있다. 연장선으로 2012년 5월 8일에 리롄청(李連成)이 허난성 푸양시 푸양현(濮阳县) 칭주진(庆祖镇)에 속한 시신좡촌(西辛庄村)을 전국 유일 촌급시인 시신좡시(西辛庄市)로 개편하고 현판을 개수했으나 위안에 불과하다.#


4. 행정구역 코드[편집]


중국은 1980년부터 모든 행정구역에 12자리의 행정구역 코드번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촌급행정구 단위까지 고유 부호가 배정되어있다. 코드는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가 관리하며,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코드가 부여된다.


현급 이상 행정구역 코드와 2012년 이후 향급 이하 행정구역 코드 변천을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4.1. 특징[편집]




4.2. 코드 예시[편집]


베이징시 둥청구 징산가도 룽푸쓰사구
성급지급현급향급촌급
110101002004

광둥성 광저우시 웨슈구 베이징가도 류수이징사구
성급지급현급향급촌급
440104003104

허난성 뤄양시 이촨현 핑덩향 구청촌
성급지급현급향급촌급
410329203200

내몽골 자치구 아라산맹 아라산좌기 바옌눠르소목 이허부라거알사
성급지급현급향급촌급
152921214200


5. 지급·현급행정구 목록 틀 모음[편집]


||
[ 펼치기 · 접기 ]

현급행정구 시할구 16
둥청구
东城区
시청구
西城区
차오양구
朝阳区
펑타이구
丰台区
스징산구
石景山区
하이뎬구
海淀区
먼터우거우구
门头沟区
팡산구
房山区
퉁저우구
通州区
순이구
顺义区
창핑구
昌平区
다싱구
大兴区
화이러우구
怀柔区
핑구구
平谷区
미윈구
密云区
옌칭구
延庆区
: 시정부 소재지



파일:중국 국장.svg
||
[ 펼치기 · 접기 ]

현급행정구 시할구 16
허핑구
和平区
허둥구
河东区
허시구
河西区
허베이구
河北区
난카이구
南开区
훙차오구
红桥区
둥리구
东丽区
시칭구
西青区
진난구
津南区
베이천구
北辰区
우칭구
武清区
바오디구
宝坻区
닝허구
宁河区
징하이구
静海区
지저우구
蓟州区
빈하이신구
滨海新区
: 시정부 소재지 |
국가급신구(부성급행정구)



파일:중국 국장.svg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11
현급행정구
시할구 49, 현급시 21, 91, 자치현 6
스자좡시
성도
石家庄市
창안구
长安区
차오시구
桥西区
신화구
新华区
위화구
裕华区
징싱광구
井陉矿区
가오청구
藁城区
루취안구
鹿泉区
롼청구
栾城区
신지시[1]
辛集市
진저우시
晋州市
신러시
新乐市
징싱현
井陉县
정딩현
正定县
싱탕현
行唐县
링서우현
灵寿县
가오이현
高邑县
선쩌현
深泽县
잔황현
赞皇县
우지현
无极县
핑산현
平山县
위안스현
元氏县
자오현
赵县
탕산시
唐山市
루베이구
路北区
루난구
路南区
구예구
古冶区
카이핑구
开平区
펑난구
丰南区
펑룬구
丰润区
차오페이뎬구
曹妃甸区
쭌화시
遵化市
첸안시
迁安市
롼저우시
滦州市
롼난현
滦南县
라오팅현
乐亭县
첸시현
迁西县
위톈현
玉田县
친황다오시
秦皇岛市
하이강구
海港区
산하이관
山海关区
베이다이허구
北戴河区
푸닝구
抚宁区
창리현
昌黎县
루룽현
卢龙县
칭룽 만족 자치현
青龙满族自治县
한단시
邯郸市
충타이구
丛台区
한산구
邯山区
푸싱구
复兴区
펑펑광구
峰峰矿区
융녠구
永年区
페이샹구
肥乡区
우안시
武安市
린장현
临漳县
청안현
成安县
다밍현
大名县
서현
涉县
츠현
磁县
추현
邱县
지쩌현
鸡泽县
광핑현
广平县
관타오현
馆陶县
웨이현
魏县
취저우현
曲周县
싱타이시
邢台市
샹두구
襄都区
신두구
信都区
런쩌구
任泽区
난허구
南和区
난궁시
南宫市
사허시
沙河市
린청현
临城县
네이추현
内丘县
바이샹현
柏乡县
룽야오현
隆尧县
닝진현
宁晋县
쥐루현
巨鹿县
신허현
新河县
광쭝현
广宗县
핑샹현
平乡县
웨이현
威县
칭허현
清河县
린시현
临西县
바오딩시
保定市
징슈구
竞秀区
롄츠구
莲池区
만청구
满城区
칭위안구
清苑区
쉬수이구
徐水区
줘저우시
涿州市
딩저우시[1]
定州市
안궈시
安国市
가오베이뎬시
高碑店市
라이수이현
涞水县
푸핑현
阜平县
딩싱현
定兴县
탕현
唐县
가오양현
高阳县
룽청현[2]
容城县
라이위안현
涞源县
왕두현
望都县
안신현[2]
安新县
이현
易县
취양현
曲阳县
리현
蠡县
순핑현
顺平县
보예현
博野县
슝현[2]
雄县
장자커우시
张家口市
차오둥구
桥东区
차오시구
桥西区
쉬안화구
宣化区
샤화위안구
下花园区
완취안구
万全区
충리구
崇礼区
장베이현
张北县
캉바오현
康保县
구위안현
沽源县
상이현
尚义县
위현
蔚县
양위안현
阳原县
화이안현
怀安县
화이라이현
怀来县
줘루현
涿鹿县
츠청현
赤城县
청더시
承德市
솽차오구
双桥区
솽롼구
双滦区
잉서우잉쯔광구
鹰手营子矿区
핑취안시
平泉市
싱룽현
兴隆县
롼핑현
滦平县
룽화현
隆化县
청더현
承德县
펑닝 만족 자치현
丰宁满族自治县
콴청 만족 자치현
宽城满族自治县
웨이창 만족 몽골족 자치현
围场满族蒙古族自治县
창저우시
沧州市
윈허구
运河区
신화구
新华区
보터우시
泊头市
런추시[3]
任丘市
황화시
黄骅市
허젠시
河间市
창현
沧县
칭현
青县
둥광현
东光县
하이싱현
海兴县
옌산현
盐山县
쑤닝현
肃宁县
난피현
南皮县
우차오현
吴桥县
셴현
献县
멍춘 후이족 자치현
孟村回族自治县
랑팡시
廊坊市
광양구
广阳区
안츠구
安次区
바저우시
霸州市
싼허시
三河市
구안현
固安县
융칭현
永清县
샹허현
香河县
다청현
大城县
원안현
文安县
다창 후이족 자치현
大厂回族自治县
헝수이시
衡水市
타오청구
桃城区
지저우구
冀州区
선저우시
深州市
짜오창현
枣强县
우이현
武邑县
우창현
武强县
라오양현
饶阳县
안핑현
安平县
구청현
故城县
징현
景县
푸청현
阜城县
국가급 신구
슝안신구
雄安新区
단열관할구
화베이유전지구
华北油田地区
성직관현급시[1]
신지시 · 딩저우시
辛集市 · 定州市
[1] 성직관현급시는 지급행정구 수준의 자주권을 갖지만, 명목상 기존의 지급시 소속이다. 신지시스자좡시 소속, 딩저우시바오딩시 소속.
[2] 룽청현, 안신현, 슝현 및 주변 지역은 실질적으로 국가급 신구인 슝안신구의 관리를 받고 있다.
[3] 런추시 내부의 화베이유전지구는 허베이성의 지급행정구 대우를 받으며, 허베이성 인민정부와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 양자의 관리를 받는다.
부지급행정구 부지급시



파일:중국 국장.svg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11
현급행정구
시할구 26, 현급시 11, 80
타이위안시
성도
太原市
싱화링구
杏花岭区
샤오뎬구
小店区
잉쩌구
迎泽区
젠차오핑구
尖草坪区
완바이린구
万柏林区
진위안구
晋源区
구자오시
古交市
칭쉬현
清徐县
양취현
阳曲县
뤄판현
娄烦县
다퉁시
大同市
핑청구
平城区
윈강구
云冈区
신룽구
新荣区
윈저우구
云州区
양가오현
阳高县
톈전현
天镇县
광링현
广灵县
링추현
灵丘县
쭤윈현
左云县
훈위안현
浑源县
양취안시
阳泉市
청구
城区
쾅구
矿区
자오구
郊区
핑딩현
平定县
위현
盂县
창즈시
长治市
루저우구
潞州区
상당구
上党区
툰류구
屯留区
루청구
潞城区
샹위안현
襄垣县
핑순현
平顺县
리청현
黎城县
후관현
壶关县
장쯔현
长子县
우샹현
武乡县
친현
沁县
친위안현
沁源县
진청시
晋城市
청구
城区
가오핑시
高平市
친수이현
沁水县
양청현
阳城县
링촨현
陵川县
쩌저우현
泽州县
숴저우시
朔州市
숴청구
朔城区
핑루구
平鲁区
화이런시
怀仁市
산인현
山阴县
잉현
应县
유위현
右玉县
진중시
晋中市
위츠구
榆次区
타이구현
太谷区
제슈시
介休市
위서현
榆社县
쭤취안현
左权县
허순현
和顺县
시양현
昔阳县
서우양현
寿阳县
치현
祁县
핑야오현
平遥县
링스현
灵石县
윈청시
运城市
옌후구
盐湖区
융지시
永济市
허진시
河津市
린이현
临猗县
완룽현
万荣县
원시현
闻喜县
샤현
夏县
지산현
稷山县
신장현
新绛县
장현
绛县
위안취현
垣曲县
핑루현
平陆县
루이청현
芮城县
신저우시
忻州市
신푸구
忻府区
위안핑시
原平市
딩샹현
定襄县
우타이현
五台县
다이현
代县
판스현
繁峙县
닝우현
宁武县
징러현
静乐县
선츠현
神池县
우자이현
五寨县
커란현
岢岚县
허취현
河曲县
바오더현
保德县
폔관현
偏关县
린펀시
临汾市
야오두구
尧都区
허우마시
侯马市
훠저우시
霍州市
취워현
曲沃县
이청현
翼城县
샹펀현
襄汾县
훙둥현
洪洞县
구현
古县
안쩌현
安泽县
푸산현
浮山县
지현
吉县
샹닝현
乡宁县
다닝현
大宁县
시현
隰县
융허현
永和县
푸현
蒲县
펀시현
汾西县
뤼량시
吕梁市
리스구
离石区
샤오이시
孝义市
펀양시
汾阳市
원수이현
文水县
자오청현
交城县
싱현
兴县
린현
临县
류린현
柳林县
스러우현
石楼县
란현
岚县
팡산현
方山县
중양현
中阳县
자오커우현
交口县



파일:중국 국장.svg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9, 3
현급행정구
시할구 23, 현급시 11, 17, 49, 자치기 3
후허하오터시
성도
呼和浩特市
신청구
新城区
후이민구
回民区
위취안구
玉泉区
싸이한구
赛罕区
퉈커퉈현
托克托县
허린거얼현
和林格尔县
칭수이허현
清水河县
우촨현
武川县
투모터 좌기
土默特左旗
바오터우시
包头市
둥허구
东河区
쿤두룬구
昆都仑区
칭산구
青山区
스과이구
石拐区
바이윈어보광구
白云鄂博矿区
주위안구
九原区
구양현
固阳县
투모터 우기
土默特右旗
다얼한마오밍안 연합기
达尔罕茂明安联合旗
우하이시
乌海市
하이보완구
海勃湾区
하이난구
海南区
우다구
乌达区
츠펑시
赤峰市
훙산구
红山区
위안바오산구
元宝山区
쑹산구
松山区
린시현
林西县
닝청현
宁城县
아루커얼친기
阿鲁科尔沁旗
바린 좌기
巴林左旗
바린 우기
巴林右旗
커스커텅기
克什克腾旗
웡뉴터기
翁牛特旗
카라친기
喀喇沁旗
아오한기
敖汉旗
퉁랴오시
通辽市
커얼친구
科尔沁区
훠린궈러시
霍林郭勒市
카이루현
开鲁县
커얼친 좌익중기
科尔沁左翼中旗
커얼친 좌익후기
科尔沁左翼后旗
쿠룬기
库伦旗
나이만기
奈曼旗
짜루터기
扎鲁特旗
어얼둬쓰시
鄂尔多斯市
둥성구
东胜区
캉바스구
康巴什区
다라터기
达拉特旗
준거얼기
准格尔旗
어퉈커 전기
鄂托克前旗
어퉈커기
鄂托克旗
항진기
杭锦旗
우선기
乌审旗
이진훠뤄기
伊金霍洛旗
후룬베이얼시
呼伦贝尔市
하이라얼구
海拉尔区
자라이눠얼구
扎赉诺尔区
만저우리시
满洲里市
야커스시
牙克石市
자란툰시
扎兰屯市
어얼구나시
额尔古纳市
건허시
根河市
아룽기
阿荣旗
천바얼후기
陈巴尔虎旗
신바얼후 좌기
新巴尔虎左旗
신바얼후 우기
新巴尔虎右旗
어룬춘 자치기
鄂伦春自治旗
어원커족 자치기
鄂温克族自治旗
모리다와 다우르족 자치기
莫力达瓦达斡尔族自治旗
바옌나오얼시
巴彦淖尔市
린허구
临河区
우위안현
五原县
덩커우현
磴口县
우라터 전기
乌拉特前旗
우라터 중기
乌拉特中旗
우라터 후기
乌拉特后旗
항진 후기
杭锦后旗
우란차부시
乌兰察布市
지닝구
集宁区
펑전시
丰镇市
줘쯔현
卓资县
화더현
化德县
상두현
商都县
싱허현
兴和县
량청현
凉城县
차하얼 우익전기
察哈尔右翼前旗
차하얼 우익중기
察哈尔右翼中旗
차하얼 우익후기
察哈尔右翼后旗
쓰쯔왕기
四子王旗
싱안맹
兴安盟
우란하오터시
乌兰浩特市
아얼산시
阿尔山市
투취안현
突泉县
커얼친 우익전기
科尔沁右翼前旗
커얼친 우익중기
科尔沁右翼中旗
자라이터기
扎赉特旗
시린궈러맹
锡林郭勒盟
시린하오터시
锡林浩特市
얼롄하오터시
二连浩特市
둬룬현
多伦县
아바가기
阿巴嘎旗
쑤니터 좌기
苏尼特左旗
쑤니터 우기
苏尼特右旗
둥우주무친기
东乌珠穆沁旗
시우주무친기
西乌珠穆沁旗
타이푸쓰기
太仆寺旗
샹황기
镶黄旗
정샹바이기
正镶白旗
정란기
正蓝旗
아라산맹
阿拉善盟
아라산 좌기
阿拉善左旗
아라산 우기
阿拉善右旗
어지나기
额济纳旗
부지급행정구 부지급시



파일:중국 국장.svg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14
현급행정구
시할구 59, 현급시 16, 17, 자치현 8
선양시
성도
沈阳市
허핑구
和平区
선허구
沈河区
다둥구
大东区
황구구
皇姑区
톄시구
铁西区
쑤자툰구
苏家屯区
훈난구
浑南区
선베이신구
沈北新区
위훙구
于洪区
랴오중구
辽中区
신민시
新民市
캉핑현
康平县
파쿠현
法库县
다롄시
大连市
중산구
中山区
시강구
西岗区
사허커우구
沙河口区
간징쯔구
甘井子区
旅顺口区
진저우구
金州区
푸란뎬구
普兰店区
와팡뎬시
瓦房店市
좡허시
庄河市
창하이현
长海县
안산시
鞍山市
톄둥구
铁东区
톄시구
铁西区
리산구
立山区
첸산구
千山区
하이청시
海城市
타이안현
台安县
슈옌 만족 자치현
岫岩满族自治县
푸순시
抚顺市
순청구
顺城区
신푸구
新抚区
둥저우구
东洲区
왕화구
望花区
푸순현
抚顺县
칭위안 만족 자치현
清原满族自治县
신빈 만족 자치현
新宾满族自治县
번시시
本溪市
핑산구
平山区
시후구
溪湖区
밍산구
明山区
난펀구
南芬区
번시 만족 자치현
本溪满族自治县
환런 만족 자치현
桓仁满族自治县
단둥시
丹东市
전싱구
振兴区
위안바오구
元宝区
전안구
振安区
둥강시
东港市
펑청시
凤城市
콴뎬 만족 자치현
宽甸满族自治县
진저우시
锦州市
타이허구
太和区
구타구
古塔区
링허구
凌河区
링하이시
凌海市
베이전시
北镇市
헤이산현
黑山县
이현
义县
잉커우시
营口市
잔첸구
站前区
시스구
西市区
바위취안구
鲅鱼圈区
라오볜구
老边区
가이저우시
盖州市
다스차오시
大石桥市
푸신시
阜新市
하이저우구
海州区
신추구
新邱区
타이핑구
太平区
칭허먼구
清河门区
시허구
细河区
장우현
彰武县
푸신 몽골족 자치현
阜新蒙古族自治县
랴오양시
辽阳市
원성구
文圣区
바이타구
白塔区
훙웨이구
宏伟区
궁창링구
弓长岭区
타이쯔허구
太子河区
덩타시
灯塔市
랴오양현
辽阳县
판진시
盘锦市
싱룽타이구
兴隆台区
솽타이쯔구
双台子区
다와구
大洼区
판산현
盘山县
톄링시
铁岭市
인저우구
银州区
칭허구
清河区
댜오빙산시
调兵山市
카이위안시
开原市
톄링현
铁岭县
시펑현
西丰县
창투현
昌图县
차오양시
朝阳市
솽타구
双塔区
룽청구
龙城区
베이퍄오시
北票市
링위안시
凌源市
차오양현
朝阳县
젠핑현
建平县
카라친쭤이 몽골족 자치현
喀喇沁左翼蒙古族自治县
후루다오시
葫芦岛市
룽강구
龙港区
롄산구
连山区
난퍄오구
南票区
싱청시
兴城市
쑤이중현
绥中县
젠창현
建昌县
부성급행정구 부성급시



파일:중국 국장.svg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8, 자치주 1
현급행정구
시할구 21, 현급시 20, 16, 자치현 3
창춘시
성도
长春市
난관구
南关区
콴청구
宽城区
차오양구
朝阳区
얼다오구
二道区
뤼위안구
绿园区
솽양구
双阳区
주타이구
九台区
위수시
榆树市
더후이시
德惠市
궁주링시
公主岭市
눙안현
农安县
지린시
吉林市
창이구
昌邑区
룽탄구
龙潭区
촨잉구
船营区
펑만구
丰满区
자오허시
蛟河市
화뎬시
桦甸市
수란시
舒兰市
판스시
磐石市
융지현
永吉县
쓰핑시
四平市
톄시구
铁西区
톄둥구
铁东区
솽랴오시
双辽市
리수현
梨树县
이퉁 만족 자치현
伊通满族自治县
랴오위안시
辽源市
룽산구
龙山区
시안구
西安区
둥펑현
东丰县
둥랴오현
东辽县
퉁화시
通化市
둥창구
东昌区
얼다오장구
二道江区
메이허커우시
梅河口市
지안시
集安市
퉁화현
通化县
후이난현
辉南县
류허현
柳河县
바이산시
白山市
훈장구
浑江区
장위안구
江源区
린장시
临江市
푸쑹현
抚松县
징위현
靖宇县
장백 조선족 자치현
长白朝鲜族自治县
쑹위안시
松原市
닝장구
宁江区
푸위시
扶余市
창링현
长岭县
첸안현
乾安县
첸궈얼뤄쓰 몽골족 자치현
前郭尔罗斯蒙古族自治县
바이청시
白城市
타오베이구
洮北区
타오난시
洮南市
다안시
大安市
전라이현
镇赉县
퉁위현
通榆县
연변 조선족 자치주
延边朝鲜族自治州
연길시
延吉市
도문시
图们市
돈화시
敦化市
훈춘시
珲春市
용정시
龙井市
화룡시
和龙市
왕청현
汪清县
안도현
安图县
부성급행정구 부성급시
|
부지급행정구 부지급시



파일:중국 국장.svg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12, 지구 1
현급행정구
시할구 54, 현급시 21, 45, 자치현 1
하얼빈시
성도
哈尔滨市
쑹베이구
松北区
다오리구
道里区
난강구
南岗区
다오와이구
道外区
핑팡구
平房区
샹팡구
香坊区
후란구
呼兰区
아청구
阿城区
솽청구
双城区
상즈시
尚志市
우창시
五常市
이란현
依兰县
팡정현
方正县
빈현
宾县
바옌현
巴彦县
무란현
木兰县
퉁허현
通河县
옌서우현
延寿县
치치하얼시
齐齐哈尔市
젠화구
建华区
룽사구
龙沙区
톄펑구
铁锋区
앙앙시구
昂昂溪区
푸라얼지구
富拉尔基区
녠쯔산구
碾子山区
메이리쓰 다우르족구
梅里斯达斡尔族区
너허시
讷河市
룽장현
龙江县
이안현
依安县
간난현
甘南县
푸위현
富裕县
커산현
克山县
커둥현
克东县
바이취안현
拜泉县
지시시
鸡西市
지관구
鸡冠区
헝산구
恒山区
디다오구
滴道区
리수구
梨树区
청쯔허구
城子河区
마산구
麻山区
후린시
虎林市
미산시
密山市
지둥현
鸡东县
허강시
鹤岗市
샹양구
向阳区
궁눙구
工农区
난산구
南山区
싱안구
兴安区
둥산구
东山区
싱산구
兴山区
뤄베이현
萝北县
쑤이빈현
绥滨县
솽야산시
双鸭山市
젠산구
尖山区
링둥구
岭东区
쓰팡타이구
四方台区
바오산구
宝山区
지셴현
集贤县
유이현
友谊县
바오칭현
宝清县
라오허현
饶河县
다칭시
大庆市
싸얼투구
萨尔图区
룽펑구
龙凤区
랑후루구
让胡路区
훙강구
红岗区
다퉁구
大同区
자오저우현
肇州县
자오위안현
肇源县
린뎬현
林甸县
두얼보터 몽골족 자치현
杜尔伯特蒙古族自治县
이춘시
伊春市
이메이구
伊美区
우추이구
乌翠区
유하오구
友好区
진린구
金林区
톄리시
铁力市
자인현
嘉荫县
탕왕현
汤旺县
펑린현
丰林县
다칭산현
大箐山县
난차현
南岔县
자무쓰시
佳木斯市
첸진구
前进区
샹양구
向阳区
둥펑구
东风区
자오구
郊区
퉁장시
同江市
푸진시
富锦市
푸위안시
抚远市
화난현
桦南县
화촨현
桦川县
탕위안현
汤原县
치타이허시
七台河市
타오산구
桃山区
신싱구
新兴区
체쯔허구
茄子河区
보리현
勃利县
무단장시
牡丹江市
둥안구
东安区
양밍구
阳明区
아이민구
爱民区
시안구
西安区
쑤이펀허시
绥芬河市
하이린시
海林市
닝안시
宁安市
무링시
穆棱市
둥닝시
东宁市
린커우현
林口县
헤이허시
黑河市
아이후이구
爱辉区
베이안시
北安市
우다롄츠시
五大连池市
넌장시
嫩江市
쉰커현
逊克县
쑨우현
孙吴县
쑤이화시
绥化市
베이린구
北林区
안다시
安达市
자오둥시
肇东市
하이룬시
海伦市
왕쿠이현
望奎县
란시현
兰西县
칭강현
青冈县
칭안현
庆安县
밍수이현
明水县
쑤이링현
绥棱县
다싱안링지구
大兴安岭地区
모허시
漠河市
후마현
呼玛县
타허현
塔河县
자거다치구
加格达奇区
쑹링구
松岭区
신린구
新林区
후중구
呼中区
부성급행정구 부성급시
|
부지급행정구 부지급시



파일:중국 국장.svg
||
[ 펼치기 · 접기 ]

현급행정구 시할구 16
황푸구
黄浦区
쉬후이구
徐汇区
창닝구
长宁区
징안구
静安区
푸퉈구
普陀区
훙커우구
虹口区
양푸구
杨浦区
민항구
闵行区
바오산구
宝山区
자딩구
嘉定区
진산구
金山区
쑹장구
松江区
칭푸구
青浦区
펑셴구
奉贤区
충밍구
崇明区
푸둥신구
浦东新区
: 시정부 소재지 |
국가급신구(부성급행정구)



파일:중국 국장.svg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13
현급행정구
시할구 55, 현급시 21, 19
난징시
성도
南京市
쉬안우구
玄武区
친화이구
秦淮区
젠예구
建邺区
구러우구
鼓楼区
푸커우구
浦口区
치샤구
栖霞区
위화타이구
雨花台区
장닝구
江宁区
류허구
六合区
리수이구
溧水区
가오춘구
高淳区
우시시
无锡市
량시구
梁溪区
시산구
锡山区
후이산구
惠山区
빈후구
滨湖区
신우구
新吴区
장인시
江阴市
이싱시
宜兴市
쉬저우시
徐州市
윈룽구
云龙区
구러우구
鼓楼区
자왕구
贾汪区
취안산구
泉山区
퉁산구
铜山区
신이시
新沂市
피저우시
邳州市
펑현
丰县
페이현
沛县
쑤이닝현
睢宁县
창저우시
常州市
신베이구
新北区
톈닝구
天宁区
중러우구
钟楼区
우진구
武进区
진탄구
金坛区
리양시
溧阳市
쑤저우시
苏州市
구쑤구
姑苏区
후추구
虎丘区
우중구
吴中区
샹청구
相城区
우장구
吴江区
창수시
常熟市
장자강시
张家港市
쿤산시
昆山市
타이창시
太仓市
난퉁시
南通市
충촨구
崇川区
퉁저우구
通州区
하이먼구
海门区
치둥시
启东市
루가오시
如皋市
하이안시
海安市
루둥현
如东县
롄윈강시
连云港市
하이저우구
海州区
롄윈구
连云区
간위구
赣榆区
둥하이현
东海县
관윈현
灌云县
관난현
灌南县
화이안시
淮安市
화이안구
淮安区
화이인구
淮阴区
칭장푸구
清江浦区
훙쩌구
洪泽区
롄수이현
涟水县
쉬이현
盱眙县
진후현
金湖县
옌청시
盐城市
팅후구
亭湖区
옌두구
盐都区
다펑구
大丰区
둥타이시
东台市
샹수이현
响水县
빈하이현
滨海县
푸닝현
阜宁县
서양현
射阳县
젠후현
建湖县
양저우시
扬州市
한장구
邗江区
광링구
广陵区
장두구
江都区
이정시
仪征市
가오유시
高邮市
바오잉현
宝应县
전장시
镇江市
징커우구
京口区
룬저우구
润州区
단투구
丹徒区
단양시
丹阳市
양중시
扬中市
쥐룽시
句容市
타이저우시
泰州市
하이링구
海陵区
가오강구
高港区
장옌구
姜堰区
싱화시
兴化市
징장시
靖江市
타이싱시
泰兴市
쑤첸시
宿迁市
쑤위구
宿豫区
쑤청구
宿城区
수양현
沭阳县
쓰양현
泗阳县
쓰훙현
泗洪县
부성급행정구 부성급시
|
부지급행정구 부지급시



파일:중국 국장.svg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11
현급행정구
시할구 37, 현급시 20, 32, 자치현 1
항저우시
성도
杭州市
상청구
上城区
첸탕구
钱塘区
궁수구
拱墅区
시후구
西湖区
빈장구
滨江区
샤오산구
萧山区
위항구
余杭区
린핑구
临平区
푸양구
富阳区
린안구
临安区
젠더시
建德市
퉁루현
桐庐县
춘안현
淳安县
닝보시
宁波市
하이수구
海曙区
장베이구
江北区
베이룬구
北仑区
전하이구
镇海区
인저우구
鄞州区
펑화구
奉化区
위야오시
余姚市
츠시시
慈溪市
샹산현
象山县
닝하이현
宁海县
원저우시
温州市
루청구
鹿城区
룽완구
龙湾区
어우하이구
瓯海区
둥터우구
洞头区
루이안시
瑞安市
웨칭시
乐清市
룽강시
龙港市
융자현
永嘉县
핑양현
平阳县
창난현
苍南县
원청현
文成县
타이순현
泰顺县
사오싱시
绍兴市
웨청구
越城区
커차오구
柯桥区
상위구
上虞区
주지시
诸暨市
성저우시
嵊州市
신창현
新昌县
자싱시
嘉兴市
난후구
南湖区
슈저우구
秀洲区
하이닝시
海宁市
핑후시
平湖市
퉁샹시
桐乡市
자산현
嘉善县
하이옌현
海盐县
타이저우시
台州市
자오장구
椒江区
황옌구
黄岩区
루차오구
路桥区
원링시
温岭市
린하이시
临海市
위환시
玉环市
싼먼현
三门县
톈타이현
天台县
셴쥐현
仙居县
진화시
金华市
우청구
婺城区
진둥구
金东区
이우시
义乌市
융캉시
永康市
둥양시
东阳市
란시시
兰溪市
우이현
武义县
푸장현
浦江县
판안현
磐安县
후저우시
湖州市
우싱구
吴兴区
난쉰구
南浔区
더칭현
德清县
창싱현
长兴县
안지현
安吉县
취저우시
衢州市
커청구
柯城区
취장구
衢江区
장산시
江山市
창산현
常山县
카이화현
开化县
룽유현
龙游县
리수이시
丽水市
롄두구
莲都区
룽취안시
龙泉市
칭톈현
青田县
진윈현
缙云县
쑤이창현
遂昌县
쑹양현
松阳县
윈허현
云和县
칭위안현
庆元县
징닝서족자치현
景宁畲族自治县
저우산시
舟山市
딩하이구
定海区
푸퉈구
普陀区
다이산현
岱山县
성쓰현
嵊泗县
부성급행정구 부성급시
|
부지급행정구 부지급시



파일:중국 국장.svg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16
현급행정구
시할구 45, 현급시 9, 50
허페이시
성도
合肥市
수산구
蜀山区
야오하이구
瑶海区
루양구
庐阳区
바오허구
包河区
차오후시
巢湖市
창펑현
长丰县
페이둥현
肥东县
페이시현
肥西县
루장현
庐江县
우후시
芜湖市
주장구
鸠江区
징후구
镜湖区
이장구
弋江区
완즈구
湾沚区
판창구
繁昌区
우웨이시
无为市
난링현
南陵县
벙부시
蚌埠市
벙산구
蚌山区
룽쯔후구
龙子湖区
위후이구
禹会区
화이상구
淮上区
화이위안현
怀远县
우허현
五河县
구전현
固镇县
화이난시
淮南市
톈자안구
田家庵区
다퉁구
大通区
셰자지구
谢家集区
바궁산구
八公山区
판지구
潘集区
서우현
寿县
펑타이현
凤台县
마안산시
马鞍山市
위산구
雨山区
화산구
花山区
보왕구
博望区
당투현
当涂县
한산현
含山县
허현
和县
화이베이시
淮北市
샹산구
相山区
두지구
杜集区
례산구
烈山区
쑤이시현
濉溪县
퉁링시
铜陵市
퉁관구
铜官区
이안구
义安区
자오구
郊区
쭝양현
枞阳县
안칭시
安庆市
다관구
大观区
잉장구
迎江区
이슈구
宜秀区
퉁청시
桐城市
첸산시
潜山市
화이닝현
怀宁县
타이후현
太湖县
쑤쑹현
宿松县
왕장현
望江县
웨시현
岳西县
황산시
黄山市
툰시구
屯溪区
황산구
黄山区
후이저우구
徽州区
서현
歙县
슈닝현
休宁县
이현
黟县
치먼현
祁门县
추저우시
滁州市
랑야구
琅琊区
난차오구
南谯区
톈창시
天长市
밍광시
明光市
라이안현
来安县
취안자오현
全椒县
딩위안현
定远县
펑양현
凤阳县
푸양시
阜阳市
잉저우구
颍州区
잉둥구
颍东区
잉취안구
颍泉区
제서우시
界首市
린취안현
临泉县
타이허현
太和县
푸난현
阜南县
잉상현
颍上县
쑤저우시
宿州市
융차오구
埇桥区
당산현
砀山县
샤오현
萧县
링비현
灵璧县
쓰현
泗县
루안시
六安市
진안구
金安区
위안구
裕安区
예지구
叶集区
훠추현
霍邱县
수청현
舒城县
진자이현
金寨县
훠산현
霍山县
보저우시
亳州市
차오청구
谯城区
궈양현
涡阳县
멍청현
蒙城县
리신현
利辛县
츠저우시
池州市
구이츠구
贵池区
둥즈현
东至县
스타이현
石台县
칭양현
青阳县
쉬안청시
宣城市
쉬안저우구
宣州区
닝궈시
宁国市
광더시
广德市
랑시현
郎溪县
징현
泾县
지시현
绩溪县
징더현
旌德县
부지급행정구 부지급시



파일:중국 국장.svg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9
현급행정구
시할구 31, 현급시 11, 42
샤먼시
厦门市
쓰밍구
思明区
하이창구
海沧区
후리구
湖里区
지메이구
集美区
퉁안구
同安区
샹안구
翔安区
푸저우시
성도
福州市
구러우구
鼓楼区
타이장구
台江区
창산구
仓山区
마웨이구
马尾区
진안구
晋安区
창러구[2]
长乐区
푸칭시
福清市
민허우현
闽侯县
롄장현[2]
连江县
뤄위안현
罗源县
민칭현
闽清县
융타이현
永泰县
핑탄현[1]
平潭县
푸톈시
莆田市
청샹구
城厢区
한장구
涵江区
리청구
荔城区
슈위구[2]
秀屿区
셴유현
仙游县
싼밍시
三明市
싼위안구
三元区
사셴구
沙县区
융안시
永安市
밍시현
明溪县
칭류현
清流县
닝화현
宁化县
다톈현
大田县
유시현
尤溪县
장러현
将乐县
타이닝현
泰宁县
젠닝현
建宁县
취안저우시
泉州市
펑쩌구
丰泽区
리청구
鲤城区
뤄장구
洛江区
취안강구
泉港区
스스시
石狮市
진장시
晋江市
난안시
南安市
후이안현
惠安县
안시현
安溪县
융춘현
永春县
더화현
德化县
진먼현[2]
金门县
장저우시
漳州市
샹청구
芗城区
룽원구
龙文区
룽하이구[2]
龙海区
창타이구
长泰区
윈샤오현
云霄县
장푸현
漳浦县
자오안현
诏安县
둥산현
东山县
난징현
南靖县
핑허현
平和县
화안현
华安县
난핑시
南平市
젠양구
建阳区
옌핑구
延平区
사오우시
邵武市
우이산시
武夷山市
젠어우시
建瓯市
순창현
顺昌县
푸청현
浦城县
광쩌현
光泽县
쑹시현
松溪县
정허현
政和县
룽옌시
龙岩市
신뤄구
新罗区
융딩구
永定区
장핑시
漳平市
창팅현
长汀县
상항현
上杭县
우핑현
武平县
롄청현
连城县
닝더시
宁德市
자오청구
蕉城区
푸안시
福安市
푸딩시
福鼎市
샤푸현
霞浦县
구톈현
古田县
핑난현
屏南县
서우닝현
寿宁县
저우닝현
周宁县
저룽현
柘荣县
[1] 핑탄현은 실질적으로 푸젠성 핑탄종합실험구가 관리하고 있다.
[2] 취안저우시진먼현, 푸저우시 롄장현마쭈향, 창러구의 둥취안섬, 시취안섬, 푸톈시 슈위구 메이저우진의 우추섬, 장저우시 룽하이구의 둥딩섬중화민국실효 지배를 하고 있다.
부성급행정구 부성급시
























[1] 중화민국 시기에는 변경지역을 지리 및 방위에 따라 세 개의 권역으로 나누고 전통적인 영역인 한지(汉地)를 북, 중, 남 세 권역으로 나누어서, 동북(만주지역), 새북(내·외몽골), 서부(신장, 칭하이, 시캉, 시짱), 화북(허베이, 산둥, 산서, 섬서, 허난, 간쑤), 화중(저장, 장쑤, 안후이, 후베이, 후난, 장시, 쓰촨), 화남(푸젠, 타이완, 광둥, 광시, 하이난, 구이저우, 윈난) 6개 지역으로 구분했다.[2] 동북부 만주에 있는 지린성(吉林省), 헤이룽장성(黑龙江省), 랴오닝성(辽宁省), 랴오베이성(辽北省), 싱안성(兴安省), 안둥성(安东省), 넌장성(嫩江省), 쑹장성(松江省), 허장성(合江省) 9개 성[3] 명목상으로는 34개지만 그중 하나는 대만(타이완성)이므로 여기서는 제외한다. 아래에서의 행정구 개수도 타이완성을 제외한 실효 지배 영토를 기준으로 한다.[4] 성마다 법이 아주 미세하게 다르나, 높은 수준의 자치를 보장받는 홍콩마카오를 제외하면 미국이나 브라질 같은 완전한 연방국가처럼 어디에서 불법인 것이 어디에서 합법인 정도는 아니다.[5] 법인격으로서 지급시는 특례시와 거의 격이 같지만 인구만으로 지정되는 특례시와는 다르게 인구와 지역에 따라 전국적으로 설치되면서 일반시,군을 도 대신 관리하는 형태이다.[6] 다만 중국의 대표적인 대도시를 지칭할때는 4대 직할시보다 4대 "1선 도시(一线城市)"라고 해서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을 더 많이 강조하는 편.[7] 국가는 아니지만 경계가 있으므로 출입(出入)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같은 이치로 남북한을 오갈 때에도 출입국이 아닌 출입경이라고 한다.[8] 가톨릭 교구에서 유래한 포르투갈 식민지 시절 행정구역단위[9] 구이저우성 류판수이시(六盘水市) 류즈특구(六枝特区)[10] 후베이성 직할 선눙자임구(神农架林区)[11] 한국도 전통적으로 군과 동급인 행정단위로 현을 사용했다.[12] 행정구역상 룽강구 소속[13] 행정구역상 솽류구(双流区), 룽취안이구(龙泉驿区) 등으로 구성됨[14] 행정구역상 우중구(吴中区)의 일부[15] 내몽골 자치구 후룬베이얼시 천바얼후기(陈巴尔虎旗) 어원커민족소목(鄂温克民族苏木)이 유일.[16] 자치구, 지구, 자치주, 맹 등의 행정구역 산하 현급행정구에만 적용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