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민권 운동

덤프버전 :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사상의 분파
[ 펼치기 · 접기 ]

사상적 기초
계몽주의공화주의세속주의평등주의인민주권
합리주의자연권표현의 자유자유무역민주주의
초기 자유주의
고전적 자유주의급진주의시민국민주의국민자유주의자유방임주의
지공주의공리주의종교적 자유주의자유주의 페미니즘
일반적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보수자유주의고전적 자유주의문화적 자유주의세속 자유주의
국민자유주의시민국민주의급진적 자유주의종교적 자유주의이슬람 자유주의
제3의 길신자유주의자유지상주의자유주의 신학자유 가톨릭주의
자유주의 페미니즘녹색 자유주의기술 자유주의입헌자유주의민주자유주의
진보주의신고전적 자유주의자유국제주의
지역별 자유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제퍼슨주의파일:미국 국기.svg 잭슨주의파일:미국 국기.svg 뉴 내셔널리즘파일:미국 국기.svg 뉴 프리덤파일:미국 국기.svg 뉴딜 자유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자유주의파일:영국 국기.svg 휘그주의파일:영국 국기.svg 글래드스턴주의파일:영국 국기.svg 근력 자유주의파일:영국 국기.svg 새자유주의
파일:그리스 국기.svg 베니젤로스주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치니주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를루스코니주의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수정 시오니즘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자유 시오니즘
파일:이란 국기.svg 개혁주의파일:멕시코 국기.svg 마곤주의파일:프랑스 국기.svg 오를레앙주의파일:호주 국기.svg 현대자유주의파일:브라질 국기.svg 룰라주의
파일:독일 국기.svg 질서자유주의
나라별 현황
대한민국의 자유주의독일의 자유주의러시아의 자유주의몽골의 자유주의미국의 자유주의
영국의 자유주의인도의 자유주의일본의 자유주의중국의 자유주의캐나다의 자유주의
프랑스의 자유주의호주의 자유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아메리카의 자유주의아시아의 자유주의아프리카의 자유주의오세아니아의 자유주의유럽의 자유주의
한반도의 자유주의
연관 이념
자유보수주의자유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자유지상주의반권위주의
근대주의개인주의친유럽주의세계시민주의탈국민주의
중도개혁주의재정보수주의자유민주주의자유주의 신학기독교 좌파
성해방급진적 중도반공주의반파시즘반군국주의
흑인 자유주의성소수자 자유주의경제적 자유주의시장 자유주의자유제국주의
법적 평등주의반교권주의해적 정치
기타
중도주의자유주의 엘리트뉴딜 정책차티스트 운동자유주의적 매파
라이시테자코뱅주의제한된 정부서프러제트정치적 올바름



1. 개요
2. 상세
3. 관련 운동,주제
4. 대표적 민권운동가
4.1. 성소수자 민권운동가
4.2. 성평등 민권운동가[1]
4.3. 소수인종 민권운동가
4.4. 장애인 민권운동가
4.5. 기타
5. 여담
6. 같이 보기


Civil rights movements

1. 개요[편집]


현대적 의미의 '민권 운동'은 1960년대 미국에서 등장한 표현으로 차별을 반대하고 법 앞의 평등을 옹호하는 일련의 인권운동들, 말 그대로 민권을 지지하는 운동들을 가리킨다.


2. 상세[편집]


주로 차별받는 소수자 집단이 제도적,사회적 차별을 철폐하기 위한, 즉 같은 시민으로써 다수자와 동등한 권리를 지지하는 운동들을 가리킨다. 미국 흑인 민권 운동이 대표적이며, 그 외의 장애인 민권 운동, 성소수자 민권 운동, 자유 발언 운동 등이 있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민권운동이 집중적으로 벌어졌던 1964년부터 1980년까지의 시기를 민권 시대(Civil Right Movement)라고 칭한다. 이 시기에 벌어졌던 일들에 대해서는 분류:민권 시대를 참조하라.


3. 관련 운동,주제[편집]


정체성 정치, 소수자 권리와 상당 부분 겹친다.









4. 대표적 민권운동가[편집]



4.1. 성소수자 민권운동가[편집]




4.2. 성평등 민권운동가[2][편집]


  • 에멀린 팽크허스트
  • 이태영 - 호주제와 동성동본 반대, 이혼녀의 재산분할 청구권 인정 등 한국 여성의 제도적 차별 폐지와 민권 향상에 기여하였다.


4.3. 소수인종 민권운동가[편집]




4.4. 장애인 민권운동가[편집]




4.5. 기타[편집]




5. 여담[편집]


민권운동은 자유주의적 운동이지만, 반드시 비폭력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블랙 파워 운동가들의 테러 행위, 조지 플로이드 사망 항의 시위[3] 당시 일부 시위대의 폭력, 90년대 영국 장애인 인권운동가들의 교통수단 점거/훼손 시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전동열차 운행방해 사태[4] 같이 폭력적인 방식으로 관철될 수도 있다.


6. 같이 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6:46:27에 나무위키 민권 운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페미니즘(특히 서프러제트 운동, 낙태권 운동 등)과도 연관이 있다.[2] 페미니즘(특히 서프러제트 운동, 낙태권 운동 등)과도 연관이 있다.[3] Black Lives Matter와 연관 있다. BLM도 당연히 민권운동으로 분류된다.[4]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좌파성향 민권운동 단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