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여군(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부여군 문서
부여군번 문단을
부여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부여군/정치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폐지된 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부여군
{{{-1 {{{#fff 부여군 일원
扶餘郡
Buyeo County
}}}}}}
||
선거인 수70,070명 (2000)
상위 행정구역충청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부여군 전체
부여읍, 남면, 규암면, 은산면, 외산면, 내산면, 구룡면, 홍산면, 옥산면, 충화면, 양화면, 임천면, 장암면, 세도면, 석성면, 초촌면
신설년도1988년
이전 선거구부여군·보령군·서천군
이후 선거구부여군·청양군
국회의원
ta-hash-start=w-5a2038a5c5cc18eb8abb5abfbc4c95d9[[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김학원




1. 개요[편집]


16대 국회까지 부여군을 관할하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제13대 국회부터 제15대 국회까지는 김종필이 이 지역구 국회의원이였고 제16대 국회에서는 김종필이 비례대표로 옮겨가서 이 지역구에서 김학원이 국회의원 생활을 했다. 제17대 국회부터는 청양군과 선거구가 통합되어 부여군·청양군이 되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선거 결과[편집]



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부여군
부여군 일원[부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임두빈(任斗彬)10,009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5.19%낙선
2김택수(金澤洙)1,9263위

ta-hash-start=w-9c652755d0405ed9e0455803b3a8b824[[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92%낙선
3김종필(金鍾泌)53,9671위

ta-hash-start=w-a12eaded8a6e8dfb3d9d0024ef1db0cc[[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81.89%당선
선거인 수83,540투표율
79.80%
투표 수66,667
무효표 수765

2.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부여군
부여군 일원[부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종필(金鍾泌)42,3581위

ta-hash-start=w-09ff1a75bb4584e13ff875b93b9c379d[[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72.54%당선
2김택수(金澤洙)6,7962위


11.64%낙선
3조종구(趙鍾九)6,2503위

ta-hash-start=w-30fcae2df94da8a1dfcb51e5f75933b3[[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10.70%낙선
4김홍조(金洪祚)2,9904위

ta-hash-start=w-89cd49a1ca48ba8cbf78592fb44ba9ff[[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5.12%낙선
선거인 수75,414투표율
78.83%
투표 수59,452
무효표 수1,058


2.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부여군
부여군 일원[부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진삼(李鎭三)13,7862위

ta-hash-start=w-642970b987a0c5bbbc5e8fd0be974b42[[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5.92%낙선
2정용환(鄭用煥)2,0343위

ta-hash-start=w-a39d360115c841484ea31ddc31936ee4[[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3.82%낙선
3김택수(金澤洙)1,0904위


2.05%낙선
4김종필(金鍾泌)35,2921위

ta-hash-start=w-d06b58b0ed72336fda5e50e0c2fda0b9[[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66.36%당선
5조종구(趙鍾九)9825위

무소속

1.13%낙선
선거인 수72,563투표율
75.88%
투표 수55,058
무효표 수1,874

2.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부여군
부여군 일원[부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일호(趙壹鎬)10,643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3.37%낙선
2정용환(鄭用煥)5,2963위
11.63%낙선
3김학원(金學元)29,5961위
64.99%당선
선거인 수70,070투표율
66.45%
투표 수46,561
무효표 수1,026
김종필비례대표로 옮겨가면서 이 지역구는 김학원이 새로 들어오게 된다. 이에 맞서 한나라당에서는 조일호 후보를, 새천년민주당에서는 정용환 후보를 내보냈으나, 김학원이 60% 이상의 득표율로 싱겁게 이겼다.

[부여] A B C D 부여읍, 남면, 규암면, 은산면, 외산면, 내산면, 구룡면, 홍산면, 옥산면, 충화면, 양화면, 임천면, 장암면, 세도면, 석성면, 초촌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