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약수역

덤프버전 :

약수역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Yaksu
한자藥水
간체자药水
가나薬水(ヤクス
주소
3호선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지하122 (신당동 369-44)
6호선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지하115 (신당동 369-2)
운영 기관
3호선서울교통공사
6호선
개업일
3호선1985년 10월 18일
6호선2001년 3월 9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3호선)
지하 3층 (6호선)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3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6호선)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기타
7. 연계 버스
7.1. 동호로
7.1.1. 1번 출구
7.1.2. 4번 출구
7.1.3. 5번 출구
7.1.4. 10번 출구
7.2. 다산로
7.2.1. 2번 출구
7.2.2. 3번 출구
7.2.3. 7번 출구
7.2.4. 8번 출구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 역 정보[편집]


파일:약수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파일:약수역 3호선.jpg
파일:약수6.jpg
3호선 대합실6호선 대합실

6호선 약수역은 공사 도중 시공사 부도로 인하여 2000년 12월 15일부터 2001년 3월 8일까지 열차가 무정차 통과하였다.

역명은 인근에 금호터널 건설 이전에 약수터가 있었다는 데서 유래했다. 법정동 '신당동'에 속해있지만 이 일대가 약수동이라고 불려왔고, 실제로 1955~1970년까지 이 일대에 '약수동'이라는 행정동이 있었다가 신당3동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다가 2013년 7월에 행정동 신당3동이 '약수동'으로 변경되었다. 즉, 43년 만에 환원된 셈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을 만들 때 상대식 승강장을 위에 짓고, 섬식 승강장을 아래에 짓지만, 이 역은 섬식 승강장을 가지고 있는 3호선이 지하 2층에 먼저 지어지고(1985년 10월 18일), 그 다음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6호선이 지하 3층으로 나중에 지어진(2001년 3월 9일) 특이한 케이스다. 군자역, 보문역, 보라매역, 석계역, 부천종합운동장역도 이 경우에 해당하는데, 환승은 군자역과 보라매역이 더 편하다.

환승이 조금 불편한 편인데, 6호선 건설 당시 지하철 역사 구조물 위에 약수고가차도까지 있는 관계로[2] 3호선 플랫폼에서 아래쪽으로 통로를 뚫기 어려워 3호선에서 위층 맞이방으로 올라갔다가 터널을 통해 내려가야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특이하게도 환승통로 중간에 화장실이 위치하게 되었다.

이 역 10번 출구가 빌딩과 연계되어 있다.

3호선은 막차시간에 이 역에서 종착하는 열차가 있다.

우연의 일치로 3호선, 6호선 두 역 모두 역번호가 '33'이다. 오금역, 삼각지역, 상봉역, 검암역, 회룡역, 서면역, 반월당역, 청라언덕역, 광운대역과 같은 케이스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역 주변은 주거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근에 장충중학교, 장충고등학교, 약수하이츠아파트, 남산타운아파트, 서울중구청소년센터, 주한스리랑카대사관 등이 있다.

약수역에서 동대입구역으로 가는 길목에는 일부 오피스존이 있으며 점심시간의 주변 풍경은 여의도를 방불케 하기도 한다. 유유제약 본사가 약수역 10번 출구 주변에 있다.

약수역 주변으로 식당가가 형성되어 있다.


3.1. 출구 정보[편집]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약수역 출구 정보
1장충동 방면
2다산치안센터
중구정보도서관
장충초등학교
3청구동주민센터
신당우체국
약수하이츠아파트
청구초등학교
4금호터널
금호역 방면
5약수시장
남산타운아파트
약수지구대
금호터널
서울중구청소년센터
6약수동
7약수시장
약수동주민센터
서울송도병원
약수노인복지관
신당119안전센터
8버티고개역 방면
다산동주민센터
장충중·고등학교
장원중학교
9신당종합사회복지관
10장충체육관
신라면세점
유유제약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파일:Seoulmetro3_icon.svg파일:Seoulmetro6_icon.svg총합비고
[ 1994년~2009년 ]

1994년33,986명
1995년34,444명
1996년28,805명
1997년24,818명
1998년23,508명
1999년자료없음
2000년26,222명비고
2001년26,617명4,872명31,489명[1]
2002년26,836명5,587명32,423명
2003년26,406명6,320명32,726명
2004년27,108명6,453명33,561명
2005년27,561명6,646명34,207명
2006년27,871명6,879명34,750명
2007년28,061명6,783명34,844명
2008년27,894명6,785명34,679명
2009년28,305명6,907명35,212명

[1] 6호선의 자료는 개통일인 3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9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2010년28,717명7,000명35,717명
2011년28,983명7,122명36,105명
2012년29,211명7,286명36,497명
2013년29,665명7,188명36,853명
2014년29,670명7,137명36,807명
2015년29,154명7,243명36,397명
2016년28,809명7,337명36,146명
2017년28,261명7,300명35,561명
2018년28,256명7,478명35,734명
2019년28,554명7,797명36,351명
2020년21,296명5,879명27,175명
2021년21,182명5,933명27,115명
2022년22,996명6,442명29,438명
출처
파일:Seoulmetro3_icon.svg 파일:Seoulmetro6_icon.svg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3]

전형적인 강북 주택가에 자리잡은 전철역으로서, 이용객들도 대부분 여기에 볼일이 있어서가 아니라 타지로 볼일이 있어서 나가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외부인들의 유입 요인이 거의 없어 대체로 지역 주민들이 고정적으로 이용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런 역들의 특징은 승하차객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도 지난 21년 동안의 승하차객은 두 노선을 합해 3만명 대 중반 정도로 거의 차이가 없다. 2022년 두 노선의 승하차 합계는 29,438명이다.

대부분의 이용객이 지역 주민이라는 것은 그들이 볼 업무가 3호선 쪽이냐/6호선 쪽이냐에 따라서 이용객 숫자가 달라진다는 말이기도 하다. 3호선이 사대문안과 강남을 전부 가기 때문에 3호선 이용객이 6호선보다 약 네 배씩이나 더 많이 잡힌다. 하지만 실제 두 노선의 전체 이용객 비율은 그렇게까지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3호선 게이트를 통과해 6호선을 타는 승객들이 일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쏠림 현상 때문인지 6호선에서는 전체 34위로 뒤에서 4위다. 반면 3호선은 전체 15위 정도로 중상위권 정도의 이용객을 유지하고 있다.

환승면에서는 특히 6호선 기준 동·북쪽(고려대, 태릉 등)과 3호선 기준 동·남쪽(옥수, 강남권)을 오가는 환승 유형이 선형이 가장 좋아서 압도적이다.


5. 승강장[편집]



5.1. 수도권 전철 3호선[편집]


파일:attachment/yaksu3.jpg
3호선 승강장

동대입구
금호


스크린도어가 닫힐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는데, 다른 역들과는 다르게 음정이 높고 3번만 송출된다. 게다가 열차 출입문이 닫혀도 들릴정도로 음량이 크다.[4]

심야시간대에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1편성이 이 역에서 주박 후 첫차 시간대에 출발한다.
-평일
#S3423->(다음날)#S3012
-주말 및 공휴일
#S3357->(다음날)#S3008


5.2. 서울 지하철 6호선[편집]


파일:약수역1.jpg
6호선 승강장

파일:2791399536_3d7d930184_c.jpg
스크린도어 설치 이전 6호선 승강장

버티고개
청구



6. 기타[편집]


  • 2013년에 빗물이 계단 천장으로 새는 흑역사가 있었다. 관련 게시물
  • 6호선 청구역, 신당역, 심지어 합정역에서도 안 해주는 중국어/일본어 방송을 6호선 약수역에서는 해준다. 중국어일본어로도 방송을 한다는 것은 그만큼 하차 및 환승이 많다는 것이다. 당연히 출근시간 응암순환행 열차를 타면 이 역에서 엄청나게 사람들이 내린다.[5]
  • 2007년 무한도전 서울구경특집에서 박명수와 유재석이 6호선 응암방면 승강장에서 촬영되었다.
  • 2023년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초반에 서울에 일어난 초거대지진으로 인해 본 역이 파괴되는 장면이 나온다.


7. 연계 버스[편집]



7.1. 동호로[편집]



7.1.1. 1번 출구[편집]






7.1.2. 4번 출구[편집]



약수역4번출구.금호터널입구(02193)
간선



7.1.3. 5번 출구[편집]



약수역5번출구.금호터널입구(02194)
간선


약수역3.6호선(02501)
마을


약수지구대(02524)
마을



7.1.4. 10번 출구[편집]






7.2. 다산로[편집]



7.2.1. 2번 출구[편집]






7.2.2. 3번 출구[편집]






7.2.3. 7번 출구[편집]






7.2.4. 8번 출구[편집]








8.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4:17:26에 나무위키 약수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개정 전 23번. 현재 3호선의 23번은 녹번역이 가져갔다.[2] 약수고가차도는 2014년 9월 4일 철거 완료되었다.[3]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4] 2호선 신촌역도 마찬가지로 경고음이 굉장히 크다. 신촌역은 급커브 승강장이라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서 그렇다 쳐도, 약수역은...[5] 대부분 강남 가는 사람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