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종철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파일:국방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 범례

## 1번째 줄 - 1공









제30대

권영해
제31대

이병태
제32대

이양호
제33대

김동진






-2 {{{#fff [[틀:역대 대한제국 군부대신|{{{#fff 대한제국 군부대신}}}]] · [[틀:역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장|{{{#fff 임시정부 군무부장}}}]]}}} [[:분류:둘러보기 틀/직위/군인|{{{#FFF ※ 관련 직위 둘러보기}}}]]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
서종철
3-4대
이웅희
5대
이상훈
6대
오명
7대
권영해
8대
김기춘
9-10대
홍재형
11대
정대철박용오대행
12-14대
박용오
15-16대
신상우
17대
유영구
18대
유영구이용일대행
19-21대
구본능
22대
정운찬
23대
정지택류대환대행
24-25대
허구연
※ 둘러보기: 역대 사무총장




||
[ 펼치기 · 접기 ]

한국아시아민족반공연맹 이사장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제1대제2대제3대제4-6대제7-8대
공진항박관수김정렬이응준손원일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제9-10대제11-13대제14-15대제16대제17대
임병직이형근서종철주영복유학성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한국자유총연맹 총재
제18대제19대제20-21대제22대제1대
신상초이진희박원근정일권정일권
한국자유총연맹 총재
제2-3대제4-5대제6대제7대제8-10대
노재현최호중안응모양순직권정달
한국자유총연맹 총재
제11-13대제14대제15대제16대직무대행
박창달김명환허준영김경재이세창
한국자유총연맹 총재
제17-18대
제19-20대제21대
박종환송영무강석호




파일:liujuncanmou_2.png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
||<width=20%> 초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이응준 ||<width=20%> 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채병덕 ||<width=20%> 3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신태영 ||<width=20%> 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채병덕 ||<width=20%> 5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정일권 ||
|| 6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이종찬 || 7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백선엽 || 8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정일권 || 9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이형근 || 10대
백선엽 ||
|| 11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송요찬 || 12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최영희 || 13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최경록 || 14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장도영 || 15대
김종오 ||
|| 16대
민기식 || 17대
김용배 || 18대
김계원 || 19대
서종철 || 20대
노재현 ||
|| 21대
이세호 || 22대
정승화 || 23대
이희성 || 24대
황영시 || 25대
정호용 ||
|| 26대
박희도 || 27대
이종구 || 28대
이진삼 || 29대
김진영 || 30대
김동진 ||
|| 31대
윤용남 || 32대
도일규 || 33대
김동신 || 34대
길형보 || 35대
김판규 ||
|| 36대
남재준 || 37대
김장수 || 38대
박흥렬 || 39대
임충빈 || 40대
한민구 ||
|| 41대
황의돈 || 42대
김상기 || 43대
조정환 || 44대
권오성 || 45대
김요환 ||
|| 46대
장준규 || 47대
김용우 || 48대
서욱 || 49대
남영신 || 50대
박정환 ||
||<bgcolor=#e0ffdb,#202210> 51대
박안수 || || || || ||

※ 초대~8대: 육군총참모장 / 9대~현재: 육군참모총장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
||<width=20%> 초대
백선엽 ||<width=20%> 2대
송요찬 ||<width=20%> 3대
유재흥 ||<width=20%> 4대
김종오 ||<width=20%> 5대
이한림 ||
|| 6대
박임항 || 7대
민기식 || 8대
장창국 || 9대
김계원 || 10대
서종철 ||
|| 11대
한신
|| 12대
최세인 || 13대
이소동 || 14대
정승화
|| 15대
김학원 ||
|| 16대
윤성민 || 17대
김윤호
|| 18대
소준열 || 19대
정진권
|| 20대
안필준 ||
|| 21대
정호근
|| 22대
이진삼
|| 23대
이문석 || 24대
조남풍 || 25대
이준
||
|| 26대
오영우 || 27대
이재관 || 28대
김석재 || 29대
김판규
|| 30대
김종환
||
|| 31대
정수성 || 32대
김병관 || 33대
김태영 || 34대
김근태 || 35대
정승조 ||
|| 36대
박정이 || 37대
박성규 || 38대
신현돈 || 39대
장준규
|| 40대
김영식 ||
|| 41대
박종진 ||<-4>지상작전사령부 통합 이전 ||
||<-5><#006633> ※ 명칭 변천: 제1군사령관(초대~37대) ▸ 제1야전군사령관(37대~41대) ||
||<-5><#006633>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 초대
이응준 || 2대
윤병현 || 3대
장도영 || 4대
유재흥 || 5대
장도영 ||
|| 6대
김종오 || 7대
최경록 || 8대
김형일 || 9대
장창국 || 10대
김용배 ||
|| 11대
김계원 || 12대
임충식 || 13대
문형태 || 14대
김상복 || 15대
한신 ||
|| 16대
심흥선 || 17대
서종철 || 18대
노재현 || 19대
이민우 || 20대
이희성 ||
|| 21대
윤성민 || 22대
황영시 || 23대
차규헌 || 24대
정호용 || 25대
소준열 ||
|| 26대
이기백 || 27대
김홍한 || 28대
박희도 || 29대
오자복 || 30대
최세창 ||
|| 31대
정동호 || 32대
박명철 || 33대
이진삼 || 34대
신말업 || 35대
이문석 ||
|| 36대
이문석 || 37대
김연각 || 38대
김진선 || 39대
김형선 || 40대
이재관 ||
|| 41대
길형보 || 42대
박영익 || 43대
강신육 || 44대
선영제 || 45대
신일순 ||
|| 46대
홍갑식 || 47대
박흥렬 || 48대
방효복 || 49대
한민구 || 50대
임관빈 ||
|| 51대
조정환 || 52대
김요환 || 53대
황인무 || 54대
김유근 || 55대
박찬주 ||
|| 56대
정연봉 || 57대
구홍모 || 58대
최병혁 || 59대
김승겸 || 60대
박주경 ||
|| 61대
황대일 || 62대
안병석 || 63대
여운태 || 64대
고현석 || ||
||<-5><bgcolor=#2A5034> ※ 초대~현재 : 중장 ||
||<-5><bgcolor=#2A5034>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제3군단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 초대
이형근 || 2대
유재흥 || 3대
강문봉 || 4대
송요찬 || 5대
이성가 ||
|| 6대
오덕준 || 7대
양국진 || 8대
박병권 || 9대
최석 || 10대
최창언 ||
|| 11대
서종철 || 12대
이창정 || 13대
황엽 || 14대
심흥선 || 15대
박춘식 ||
|| 16대
최세인 || 17대
이동화 || 18대
김재규 || 19대
정승화 || 20대
김학원 ||
|| 21대
윤성민 || 22대
전성각 || 23대
이상훈 || 24대
한철수 || 25대
신치구 ||
|| 26대
이진삼 || 27대
박익순 || 28대
편장원 || 29대
김종배 || 30대
이규환 ||
|| 31대
김석재 || 32대
박봉식 || 33대
신일순 || 34대
권영기 || 35대
박흥렬 ||
|| 36대
최용주 || 37대
김일생 || 38대
이성호 || 39대
이용광 || 40대
한동주 ||
|| 41대
나상웅 || 42대
김병주 || 43대
김승겸 || 44대
박상근 || 45대
전동진 ||
|| 46대
신희현 || 47대
김봉수 || || || ||
||<-5><bgcolor=#1d2088>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대한민국 제20대 국방부 장관
서종철
徐鐘喆 | Seo Jong-chul
파일:서종철 장군.jpg
출생1924년 5월 26일
경상남도 양산군 동면 사송리#
(現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사송리 사배마을)
사망2010년 11월 20일 (향년 86세)
서울특별시
묘소국립대전현충원
본관달성 서씨[1]
홍대(鴻大)
재임기간제19대 육군참모총장
1969년 9월 1일 ~ 1972년 6월 1일
제20대 국방부 장관
1973년 12월 4일 ~ 1977년 12월 20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서갑수, 어머니 순흥 안씨
배우자정효기
자녀아들 서정환, 서국환, 서진환, 서승환, 서주환
딸 서성림
친인척손자 서배준
손녀 서지영
학력육군보병학교 (졸업)
육군포병학교 (졸업)
육군대학교 (졸업)
종교유교(성리학) → 불교 → 개신교
신체185cm
경력육군보병학교 교장
대통령비서실 안보담당 특별보좌관
제20대 국방부 장관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한국총력안보중앙협의회 회장
제1-2대 KBO 총재
신민주공화당 외교안보행정특보위원
자유민주연합 외교안보행정특임고문
군사 경력
임관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1기)
복무일본제국 육군
1943년 ~ 1945년
대한민국 육군
1946년 ~ 1972년
최종 계급대장 (대한민국 육군)
주요 보직제31사단장
제25사단장
제3군단장
제6군관구사령관
육군참모차장
육군제1야전군사령관
참전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1. 개요
2. 일생
2.1. 출생
2.2. 일본군
2.3. 대한민국 육군
2.4. 관료 시절
2.5. 기관단체장 시절
2.7. 사망
3. 여담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의 전 군인.


2. 일생[편집]



2.1. 출생[편집]


1924년 경상남도 양산군(현 양산시) 동면 사송리 사배마을에서 아버지 서갑수(徐甲洙)와 어머니 순흥 안씨 사이의 2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달성 서씨이며 종교는 불교에서 개신교로 개종.


2.2. 일본군[편집]


일제강점기 말기(19~21세) 동안 일본군 소위를 지냈다. 인터넷엔 소좌(소령) 출신이라고 잘못된 정보가 돌아다니는데 1945년 종전 당시에 21세인 사람이 소좌 계급일리가 없다. 황족이나 왕공족은 가능하겠지만 서종철은 황족은커녕 귀족도 아니다. 학병 출신으로 강제 징병되어 그 군속에서 초급 장교 양성제도인 일본육군예비사관학교를 졸업했고, 강제였기 때문에 친일인명사전에는 등재되지 않았다.


2.3. 대한민국 육군[편집]


1946년 조선경비사관학교(1기)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국군의 전신인 국방경비대에 입대하여 장교생활을 시작하였다.

6.25 전쟁 초기 수도지구방위 임무를 맡고 있던 연대장이었다. 다만 연대장으로써는 흑역사가 있는데, 초기 낙동강 전선에서 전투가 치열해지자 7월 3일 권총으로 엉덩이를 쏴서 자해를 한 후 적 포탄의 파편에 의한 것으로 조작하여 후방으로 후송되었고, 지휘관을 잃은 연대는 부대 병력을 70% 정도 손실했다. 이 사실은 휘하 중대장이었던 안태갑(安泰甲)이 가루가 되도록 깠다.[2]

1961년 박정희5.16 군사정변을 일으킬 때 당시 제6군관구사령부의 사령관[3]으로 자신의 사령부가 쿠데타 지휘본부로 쓰이자, 5월 17일 참모장 김재춘 대령을 통해, 쿠데타 참여를 권유 받아 쿠테타 세력에 참여하였다. 당시 박정희의 육사 1기 선배였다. 육군사관학교 교관 시절 가르쳤던 생도 중에 전두환노태우가 있었다.

박종규 대통령경호실장, 차지철 대통령경호실장과 유학성, 황영시 등과 같이 전두환, 노태우, 손영길, 김복동, 정호용 등이 결성한 군부 내 사조직 하나회를 후원하였다. 영남출신 장교들의 대부로 불렸다.

1966년 9월부터 1969년 4월까지 제1야전군사령관[4], 1969년 4월부터 9월까지 육군참모차장, 1969년 9월부터 1972년 5월까지 육군참모총장을 지냈다. 육군참모총장 시절 전두환, 노태우가 그의 수석부관이었다.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2.4. 관료 시절[편집]


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201011221119061661.jpg

이후 1972년 9월부터 1973년 12월까지 대통령비서실 안보담당 특별보좌관을, 1973년 12월부터 1977년 12월까지 국방장관을, 1978년 4월부터 1980년 5월까지 다시 대통령비서실 안보담당 특별보좌관을 지냈다.

국방장관 재직 당시였던 1975년 4월 9일. 인민혁명당 사건 '인혁당재건위' 사건 당사자들에 대한 사형 집행에 최종 사인을 했다. 당시 사형 집행은 18일도 아니고 불과 18시간 만에 집행되었으며, 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은 이후 무죄로 판명되었다.


2.5. 기관단체장 시절[편집]


1981년 3월부터 반공연맹(현 한국자유총연맹) 이사장을 지냈다. 반공연맹 이사장이던 1981년 12월 KBO가 출범하면서 초대 총재에 선출되었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집권 세력들이 함부로 대할 수 없는 위치에 있었기에 프로야구가 정치권의 입김에 더 이상 휘말리지 않게 하는 데에 큰 역할을 했다. 그리고 그러한 위치에 있었던 덕에 프로야구 출범이 순조로웠다. 프로야구 출범 직전 정부에 신청한 야구장 조명탑 설치, 보수공사 예산이 거부당하자 노태우 정무2장관한테 전화 한 통으로 바로 해결한 사례도 있다. 그리고 군복무에 지장을 주지 않는 선에서 방위병의 홈경기 출전 허가를 전두환 대통령으로부터 받아냈다. 이후 1983년 4월까지 반공연맹 이사장을 지냈고, 1988년 3월까지 한국야구위원회 총재를 지냈다.


2.6. KBO 리그 총재[편집]


KBO 출범 이후 초대 총재로 추대되었는데 KBO 리그 출범이후 정치권의 입김에 흔들릴수 있는 상황에서 기틀을 잡아준 총재로 평가받는다. 동대문야구장에서 펼쳐진 MBC 청룡-삼성 라이온즈의 개막전에서 전두환이 시구할 때 뒤에 서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전두환, 노태우와의 인연을 통해 야구계에 대한 정부지원을 이끌어 냈고 대기업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해 낼수 있게 했다. 1988년에 임기를 마치고 물러나면서 KBO 명예총재직에 올랐다.

KBO 총재로서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였다.관련 블로그

재임기간은 1981년 12월 11일~1985년 4월 1일, 1985년 4월 1일~1988년 3월 27일.


2.7. 사망[편집]


2010년 11월 20일에 사망했다. 향년 86세.


3. 여담[편집]


  • 키가 185cm로 엄청나게 컸다. 거기에다 풍채까지 좋아서 대구 달성 서씨 집안에서 전해지는 말로는, 누가 봐도 장군 같았다고 하며 육군참모총장에 대통령비서실 보좌관, 국방부 장관 등 고위직을 지냈으면 자신의 가족이나 친척들을 군으로 불러들여 키워주면서 파벌 같은 것을 형성할 법도 한데 그러지도 않았기에 주변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

  • 일본 미야자키 상업고등학교에 다녔을 때 야구부에 있으면서 투수와 1루수를 오가며 팀의 4번타자를 했다고 한다. 1961년에는 육군야구단 단장을 맡기도 했다.

  • 1970년대 국방부 장관 재직 시, 대구에 주둔하던 제2야전군사령부의 운전병으로 꽂아줘서 편하게 군생활을 하던 당조카 하나가 있었는데 집안의 독자라 오냐오냐 커서 그런지 그것도 못 참고 맨날 징징대다가 어느 날 군용차로 사고를 내고 탈영을 하는 대형사고를 쳤다.
    그러나 서종철 장관이 수습을 해준 덕에 아무 일도 없이 그냥 외출 처리 되어 소대장 손을 잡고 그 날 밤에 원대복귀 할 수 있었다고 한다. 탈영한 조카는 아무 대책도 없이 기차를 타고 집으로 와서 휴가 나왔다고 뻥친다음 속 편하게도 밥먹고 잠을 자고 있었다는데, 사실 그가 집에 도착하기 훨씬 전에 아들내미가 사고치고 탈영해서 아마 집으로 갈텐데, 뒷처리 해주러 사람들이 갈 거니까 혹시 집으로 오거들랑 어디 허튼 짓 하러 못 가게 밥이나 먹여서 붙잡아 놓으라고 연락이 갔다고 한다.

  • 이리역 폭발사고 당시 군의관으로 복무 중이던 윤장현 前 광주시장이 상부 보고 없이 사고 현장에서 구호 활동을 했을 때 징계 대신 오히려 빠른 초동 대처가 훌륭했다고 크게 칭찬하고 격려한 일화가 있다.

  • 가수 조영남과도 인연이 있는데, 조영남이 군복무했을 당시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이었다. 복무 당시 어느 날 육군회관에서 열리는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는 비밀 연회가 있다는 부름을 받고 황성옛터와 보리밭 등 박정희 대통령의 애창곡을 준비해 연회에 참석했는데, 막상 무대에 올라보니 더 잘 보이고 싶은 마음에 준비한 노래 대신 "얼씨구 씨구씨구씨구 들어간다 저리저리저리씨구 들어간다 작년에 왔던 각설이가 죽지도 않고 또 왔네"라는 각설이 타령을 부른 것이다. 처음에는 다들 즐거워했지만 가사가 참석자들을 자극하다 보니 분위기가 험악해졌고 결국 준비한 노래를 부르려고 했는데 이번에는 가사가 생각이 안나 무대에서 내려갔다고 한다. 그 때 서종철 총장이 조영남에게 따라오라며 총장관사에서 재우고 조영남은 다음 날 조사기관에 체포되어 육군교도소에 구속되었던 적이 있다.

  • 넷째 아들이 서승환 연세대학교 총장으로 박근혜 정부국토교통부 장관을 지냈으며, 배우 서배준과 그룹 샵 출신 배우 서지영은 그의 손자·손녀이다.[5]


4. 둘러보기[편집]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ddd><tablebgcolor=#003764><width=30%><rowbgcolor=#575757> 직위 || 명단 ||
|| 경제기획원장관 ||<colbgcolor=#ffffff,#1f2024><colcolor=#DAA520> 태완선남덕우신현확 ||
|| 국토통일원장관 || 김영선김용식신도성유상근이용희 ||
|| 외무부장관 || 김용식김동조박동진 ||
|| 내무부장관 || 김현옥홍성철박경원김치열구자춘 ||
|| 재무부장관 || 남덕우김용환김원기 ||
|| 법무부장관 || 신직수이봉성황산덕이선중김치열 ||
|| 국방부장관 || 유재흥서종철노재현 ||
|| 문교부장관 || 민관식유기춘황산덕박찬현 ||
|| 농수산부장관 || 김보현정소영최각규장덕진이희일 ||
|| 상공부장관 || 이낙선장예준최각규 ||
|| 건설부장관 || 장예준이낙선김재규신형식고재일 ||
|| 보건사회부장관 || 이경호고재필신현확홍성철 ||
|| 교통부장관 || 김신최경록민병권황인성 ||
|| 체신부장관 || 신상철문형태장승태박원근이재설 ||
|| 문화공보부장관 || 윤주영이원경김성진 ||
|| 총무처장관 || 서일교심흥선심의환 ||
|| 과학기술처장관 || 최형섭최종완 ||








[1] 감찰공 근중(近中)파. 달성 서씨 22세.#[2] 육사 8기생 회고록인 "노병들의 증언"에서 등장하는 내용[3]수도군단[4] 당시는 중장 보직이었다.[5] 두 사람 모두 차남 서국환(徐國煥) 소생이다. 장남 서정환, 차남 서국환, 3남 서진환, 4남 서승환, 5남 서주환, 장녀 서성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