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형일(1923)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파일:Lieutenant General_white.png
특무부대장
초대2대3대4대5대
김형일백인엽이한림김종면김창룡
6대7대8대9대
정인택김재현하갑청이소동


육군방첩부대장
10대11대12대
박창록이철희김재춘
13대14대15대
정승화박영석윤필용


육군보안사령관
16대17대18대19대
김재규강창성김종환진종채


국군보안사령관
19대20대21대22대
진종채전두환노태우박준병
23대24대25대26대27대
안필준이종구고명승최평욱조남풍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사무총장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원내총무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width=20%><height=50> (대수미상)
김형일 ||<width=20%> 박정희 ||<width=20%> 한신 ||<width=2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최갑석 ||<width=2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임복진 ||
||<height=50> 안병호 || 조영길 || 정두근 || 오정석 || 권태오 ||
||<height=50> 임국선 || 안병태 || 박삼득 ||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이재형 || 이석구 ||
||<height=5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정형희 ||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함희성 || 여운태 || ||
||<-5><bgcolor=#2e3192>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 초대
이응준 || 2대
윤병현 || 3대
장도영 || 4대
유재흥 || 5대
장도영 ||
|| 6대
김종오 || 7대
최경록 || 8대
김형일 || 9대
장창국 || 10대
김용배 ||
|| 11대
김계원 || 12대
임충식 || 13대
문형태 || 14대
김상복 || 15대
한신 ||
|| 16대
심흥선 || 17대
서종철 || 18대
노재현 || 19대
이민우 || 20대
이희성 ||
|| 21대
윤성민 || 22대
황영시 || 23대
차규헌 || 24대
정호용 || 25대
소준열 ||
|| 26대
이기백 || 27대
김홍한 || 28대
박희도 || 29대
오자복 || 30대
최세창 ||
|| 31대
정동호 || 32대
박명철 || 33대
이진삼 || 34대
신말업 || 35대
이문석 ||
|| 36대
이문석 || 37대
김연각 || 38대
김진선 || 39대
김형선 || 40대
이재관 ||
|| 41대
길형보 || 42대
박영익 || 43대
강신육 || 44대
선영제 || 45대
신일순 ||
|| 46대
홍갑식 || 47대
박흥렬 || 48대
방효복 || 49대
한민구 || 50대
임관빈 ||
|| 51대
조정환 || 52대
김요환 || 53대
황인무 || 54대
김유근 || 55대
박찬주 ||
|| 56대
정연봉 || 57대
구홍모 || 58대
최병혁 || 59대
김승겸 || 60대
박주경 ||
|| 61대
황대일 || 62대
안병석 || 63대
여운태 || 64대
고현석 || ||
||<-5><bgcolor=#2A5034> ※ 초대~현재 : 중장 ||
||<-5><bgcolor=#2A5034>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제2군단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bgcolor=#F08080,#5c6169> 초대
김백일 ||<bgcolor=#F08080,#5c6169> 2대
유재흥 || 3대
백선엽 || 4대
유재흥 || 5대
정일권 ||
|| 6대
장도영 || 7대
함병선 || 8대
장창국 || 9대
김형일 || 10대
민기식 ||
|| 11대
박경원 || 12대
김익열 || 13대
문형태 || 14대
이상철 || 15대
김상복 ||
|| 16대
노재현 || 17대
윤태호 || 18대
김종환 || 19대
김종수 || 20대
이범준 ||
|| 21대
유학성 || 22대
최영식 || 23대
장성열 || 24대
김응렬 || 25대
장기오 ||
|| 26대
민경배 || 27대
신말업 || 28대
천용택 || 29대
장성 || 30대
김길부 ||
|| 31대
유재열 || 32대
조영길 || 33대
박노숙 || 34대
황규식 || 35대
김기성 ||
|| 36대
김관진 || 37대
정동한 || 38대
김현석 || 39대
정승조 || 40대
오정석 ||
|| 41대
박선우 || 42대
양종수 || 43대
고현수 || 44대
김운용 || 45대
최영철 ||
|| 46대
김혁수 || 47대
박정환 || 48대
정철재 || 49대
장광선 || 50대
박후성 ||
||<-5><bgcolor=#ed1c24> ※ 초대~2대: 소장 · 3대~현재: 중장 ||
||<-5><bgcolor=#ed1c24>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초대 특무부대장
김형일
金炯一 | Kim Hyung-il
파일:997634365ABFFFF917.jpg
출생1923년 10월 28일
경기도 화성시
사망1978년 6월 3일 (향년 54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본관김녕 김씨
재임기간초대 특무부대장
1950년 10월 20일 ~ 1950년 12월 15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안화식
자녀슬하 3남 1녀
학력강서 약송소학교 (졸업)
평양 경기중학교 (졸업)
경성법학전문학교 (법학 / 학사)
의원 선수4
의원 대수6, 7, 8, 9
경력민정당 당무위원
민중당 경기제10지구당위원장
APUㆍIPUㆍUN한국대표
신민당 정무위원
신민당 당기위원장
신민당 훈련원장
신민당 사무총장
신민당 원내총무
군사 경력
임관군사영어학교 (1기)
복무대한민국 육군
1946년 ~ 1962년
최종 계급중장 (대한민국 육군)
주요 보직제2군단장
육군참모차장
국방부 장관 보좌관
참전6.25 전쟁


1. 개요
2. 선거이력
3. 관련 문서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군인, 정치인.

1923년 경기도 화성시에서 태어났다. 1941년 경기중학교, 1945년 경성법학전문학교(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

8.15 광복 후 1946년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하였다. 제7보병사단장, 특무부대장, 제2군단장, 육군참모차장 등을 역임하였다. 군인 시절 박정희를 좌익 성향이라며 매우 싫어하며 정군 문제로 내내 박정희와 대립했다. 그러다가 5.16 군사정변 이후 국방부 장관 특별보좌관 자리에서 해임당하고 중장으로 예편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65년 한일협정 당시 한일회담 비준 반대투쟁을 전개하던 도중 "군일부반정부음모사건"에 연루된 혐의로 중앙정보부에 연행 구속되었다가 그해 7월 22일 석방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경기도 화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처음에는 낙선했다. 그러나 애초에 당선자였던 민주공화당 권오석 후보가 부정선거를 자행했음이 밝혀져 구속되자 다시 당선자로 발표되었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신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72년까지 신민당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경기도 수원시-화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이병희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4년 9월 신민당 김영삼 총재 체제가 출범하자 신민당 원내총무에 임명되었다.

국회의원 임기 중이던 1978년 뇌출혈로 별세했다.


2. 선거이력[편집]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연도선거종류소속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국회의원)
ta-hash-start=w-1a59ef90d1ea801448e1567d0896a99f[[파일:민정당 글자.svg
1,870,976 (20.1%)당선 (7번)초선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10)[1]
ta-hash-start=w-3d47cfcbeb05718274c74e0bf12768b1[[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36,852 (48.89%)낙선→당선재선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11)[2]42,197 (58.88%)당선3선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2)[3]61,150 (41.74%)당선[4]4선


3. 관련 문서[편집]




4.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5:45:35에 나무위키 김형일(192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화성군[2] 화성군[3] 수원시-화성군[4] 민주공화당 이병희 후보와 동반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