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성주군 농어촌버스

덤프버전 :




1. 개요
2. 요금
2.1. 기본요금
2.2. 군계외 구간
3. 운행노선
3.1. 경일교통 노선
3.1.1. 대구(문양역, 북부정류장/서부정류장), 김천, 왜관, 고령 방면
3.1.2. 성주군내(0번)
4. 시간표
4.1. 대구 방면
4.2. 초전 방면
5. 타 지역 버스와 연계
6. 기타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로 운영주체는 성주군청과 경일교통이다. 이 중 경일교통은 칠곡군 농어촌버스도 운행한다.



2. 요금[편집]


칠곡군 농어촌버스를 운행하는 경일교통이 동시에 성주군 농어촌버스도 면허를 발급받아 운행하지만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 요금제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계열사인 대가야여객이 위치한 고령군과 더불어서 경상북도 시내버스에서 요금 단일화가 아직 이뤄지지 않은 두 곳이며[1], 그래서 성주군민들의 불만이 매우 많다. 또한 칠곡군과 다르게 교통카드 운임과 현금 운임이 동일하며 환승할인 제도도 없다.

2022년 상반기 내에 단일요금제가 도입될 예정이였으나 # 하반기로 미뤄졌다고 하며, # 2023년 기준으로도 경일교통에 지급하는 손실보상금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해 계속 미뤄지고 있다. 2024년 대구권 광역철도 개통에 맞춰 대구권 광역환승할인이 적용될 예정이다.

2.1. 기본요금[편집]


구분교통카드현금
일반버스
일반1,5001,500
청소년1,2001,200
어린이800800
좌석버스일반2,0002,000
청소년1,6001,600
어린이1,0001,000
10km 초과시 구간요금 1km당 131원 82전


2.2. 군계외 구간[편집]


250번(성주-대구북부정류장) 구간요금
구간성인청소년어린이
광영200016001000
소학리210017001100
동곡270022001400
문양310025001700
대실역360029001900
강창역(동산병원)380030002000
계명대400032002100
성서공단~북부정류장420034002200
성주 ⇨ 고령 ⇨ 대구(서부정류장) : 8,100원/6,500원/4,300원 성주 버스 성주-고령-대구서부
성주 ⇨ 김천(구미)역 (4,200원/3,400원/2,200원) ⇨ 김천 (5,300원/4,200원/2,800원) 김천 버스 14, 14-0
성주 ⇨ 월항 ⇨ 왜관 : 2,400원/1,900원/1,300원 칠곡 버스 400
성주 ⇨ 도흥리 ⇨ 왜관 : 3,600원/2,900원/1,900원 칠곡 버스 0


3. 운행노선[편집]


||


모든 노선이 성주버스정류장이 기종점이다.


3.1. 경일교통 노선[편집]



3.1.1. 대구(문양역, 북부정류장/서부정류장), 김천, 왜관, 고령 방면[편집]


  • 성주, 칠곡 버스 250 (일 34회)
  • 성주읍 - 김천터미널 (일 3회) - 김천 버스 14, 14-0 배차 별도 3회[2]
  • 성주읍 - 월항 - 왜관 (일 14회)[3]
  • 성주읍 - 창천 - 수륜 - 고령 - 서부 (일 16회)[4]
  • 성주읍 - 용암면 - 문양역 (일 6회)

3.1.2. 성주군내(0번)[편집]


  • 성주읍 - 용암 (일 9회)
  • 성주읍 - 송계/수륜/백운동 (일 6회)[5]
  • 성주읍 - 선남/도흥 (일 7회)
  • 성주읍 - 금수 (일 7회)
  • 성주읍 - 초전 (일 21회)[6][7][8]
  • 성주읍 - 칠산(성주)/용흥(대가)방면 (일 4회)
  • 성주읍 - 벽진 (일 17회)

4. 시간표[편집]



4.1. 대구 방면[편집]


성주, 칠곡 버스 250 문서로.

4.2. 초전 방면[편집]


김천버스는 시간에서 제외. 김천버스는 김천방면 성주에서 08:20, 14:50, 19:40 / 초전에서 08:30, 15:00, 19:50 이고, 성주방면 김천에서 07:17, 13:30, 18:25 / 초전에서 08:07, 14:20, 19:15 이다.

용성, 문덕경유의 경우, 성주방향만 초전을 거치므로 성주방향에만 넣었다.

성주방면의 경우, 늦게 출발한 차가 초전에 먼저 온다고 해도 종점 출발 시간 기준으로 순번을 정했으므로 주의할 것.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농어촌버스 0번(성주→초전방면)출처(성주군 배차(22쪽 63번))
성주초전경유지종점시간목적지
106:20106:30어산 06:35, 인촌 06:4006:45모방
206:30206:40소성 06:5007:00달밭
307:10307:20용봉 07:2507:30소성
407:25407:35부상 07:50, 김천(구미)역 08:0508:25김천
508:00508:10용봉 08:1508:20소성
608:10608:20고산정 08:23, 유곡 08:2608:30자양
710:10710:20장산 10:23, 지방 10:27, 인촌 10:3010:35선석사
812:00812:10장산 12:13, 지방 12:1712:20인촌
913:30913:40고산정 13:43, 유곡 13:4613:50홈실
1013:451013:55부상 14:10, 김천(구미)역 14:2514:40김천
1114:201114:30소성 14:4014:50달밭
1215:201215:30장산 15:3315:35보암
1316:051316:15부상 16:30, 김천(구미)역 16:4517:05김천
1416:301416:40용봉 16:4516:50소성
1517:001517:10어산 17:15, 인촌 17:2017:25선석사
1618:251618:35용봉 18:4018:45소성
1719:101719:20소성 19:3019:40달밭
1819:201819:30장산 19:33, 지방 19:37, 인촌 19:4019:45모방
1920:101920:20동포 20:2520:30홈실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농어촌버스 0번(초전→성주방면)출처(성주군 배차(22쪽 63번))
순번출발지출발시간경유지초전성주
1모방06:45지방 06:49, 장산 06:5307:0007:10
2달밭06:50홈실 06:55, 동포 07:0007:05보암 07:10, 월항 07:15
성주 07:25
3소성07:30용봉 07:3507:4007:50
4소성08:20용봉 08:2508:3008:40
5자양08:35고산 08:4208:45보암 08:50, 월항 08:55
성주 09:05
6김천08:55김천(구미)역 09:15, 부상 09:3009:4509:55
7선석사10:35인촌 10:40, 지방 10:43, 장산 10:4710:5011:00
8용봉10:45봉정 10:4710:5011:00
9인촌12:20지방 12:23, 장산 12:2712:3012:40
10홈실13:50동포 13:5514:0014:10
11달밭14:50소성 15:0015:1015:20
12김천[9]14:55김천(구미)역 15:15, 부상 15:3015:4515:55
13용성16:40문덕 16:4516:5017:00
14소성16:50용봉 16:5517:0017:10
15김천17:15김천(구미)역 17:35, 부상 17:5018:0518:15
16선석사17:25인촌 17:30, 어산 17:3517:4017:50
17소성18:45용봉 18:5018:5519:05
18달밭19:40홈실 19:45, 동포 19:5019:5520:05
19모방19:45인촌 19:50, 지방 19:53, 장산 19:5720:0020:10
20홈실20:40동포 20:4520:5021:00

4.3. 성주읍 순환버스[편집]


군청에서 직접 운영한다. 문서 참조.

5. 타 지역 버스와 연계[편집]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 250번이 수시로 성주와 대구를 오가고 있으며, 그 외 성주-문양역 버스가 대구로 들어온다. 옆동네 칠곡에 비해서는 한참 선택지가 빈약한 편이다.

  • 김천시 시내버스
    • 초전면, 성주읍으로 김천버스경일교통이 1일 6회 버스가 들어온다. 그 외 성주-달밭간 버스를 타고 '달밭'에서 내려 5km 정도 걸어가면 노곡종점이 나오는데, 거기서 김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고, 성주-별미령간 버스를 타고 종점인 별뫼에서 내려 3.7km 정도 걸어가면 사실종점이 나오는데, 거기서 김천가는 버스를 탈 수 있으며, 성주-하후/봉두간 버스를 타고 '후평'에서 내려 3.7km 정도 걸으면 사기점이 나오는데 거기서 김천 가는 72, 772번을 탈 수 있다. 영천리에서는 김천 가는 버스가 1일 3회 정도 들어오며, 성주버스도 증산면에 1일 2회 버스가 들어온다.[10]

사실 두 버스는 같은 업체에서 운영한다. 400번이 수시로 왜관과 성주를 오가고 있고, 42번이 인촌에 들어오며, 그 외 시간에는 지방가는 아무 버스나 탄 뒤 '지방리 삼거리'에서 내려 각산리까지 조금 걸으면 41번을 탈 수 있다. 그 외에는 50번51번이 광영검문소에 들어온다.


  • 합천군 농어촌버스
    • 두 지역은 서로 붙어 있지만 서로 오가는 버스가 없다. 성주와 합천의 교류량이 적기 때문이다. 가려면 고령이나 대구에서 갈아타야 하는데, 정 바로 가려면 중간에 걸어야 한다. 성주-백운동간 버스를 탄 뒤 백운동종점에서 내려 가야합동버스정류장까지 걸으면 합천 버스 808을 탈 수 있고, 그외 야로나 묘산 등지로 가는 지선버스도 탈 수 있다. 가야에서는 서흥여객 가조-거창행까지 탈 수 있으니 참고하자. 하지만 도보 거리가 6km나 되는데다가 시간이 잘 안 맞으므로 어지간하면 고령에서 갈아타자.

6. 기타[편집]


  • 칠곡군 농어촌버스만큼은 아니지만 경일교통 아니랄까봐 좀 밟는 편이다. 특히 250번이 타 버스에 비해 좀 밟는 편. 하지만 칠곡 버스에 비해서는 천천히 가며 대부분의 농촌 지역으로 가는 버스의 경우 정속한다.
  • 고령, 칠곡과 더불어 삼원FA 3세대를 사용하는 지역이다.[11][12] 하지만 세 곳 역시 향후 광역환승이 예정되어 있어 교체될 확률이 높으며, 이들의 지역을 끝으로 삼원 3세대 단말기는 전멸될 것으로 보인다.

7. 둘러보기[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근교지역간 시내·농어촌버스
[ 펼치기 · 접기 ]

4권역
(청도군)
00-1
5권역
(칠곡군)
성서27920
2750250
5권역
(성주군)
250성주-대구서부
6권역
(고령군)
650달성1606
6권역
(창녕군)
달성6달성7
7권역
(칠곡군)
급행3급행9급행9-1527
730칠곡2칠곡3팔공3
38200250300
7권역
(구미시)
칠곡373-378-3
8, 9권역
(경산/영천)
틀:대구-경산/영천간 시내버스
권역 외
(의성군)
군위-탑리, 백학군위-달산군위-상곡
권역 외
(의령군)
의령/신반-대구[1]
[1] 시외버스→농어촌버스 전환



관내 무제한 구간요금제 실시 지역
[ 펼치기 · 접기 ]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 강원특별자치도평창군1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고령군2, 성주군3
1: Happy 700 평창 우리동네 평화마을버스 제외
2: 대구광역시 구간은 단일요금제, 시행 검토중
3: 대구광역시 및 칠곡군 구간은 단일요금제, 시행 검토중. 성주읍 순환버스 제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0:55:32에 나무위키 성주군 농어촌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국으로 보자면 관내 무제한 구간요금제를 실시하는 곳은 강원도 평창군까지 해서 3곳이다. 반면 도 내에서 청송버스농어촌버스를 운행하는 청송군은 2023년 1월 1일 전국 최초로 전면 무료화가 이뤄졌으며, 영주여객에서 운행하는 봉화군도 2024년 1월 1일부터 전면 무료화된다.[2] 해당 노선은 시기미상으로 경일교통 버스 LED에 1번으로 등록되었다.[3] 성주군 구간에 진입을 하긴 하지만 면허는 엄연히 칠곡군이다. 단, 진짜 성주 면허도 몇대 있다.[4] 대구서부행 일 6회, 고령행 일 3회. 가천행 일 4회.[5] 수륜면내행 중, 성주-대구서부 노선은 산정에서 제외한다.[6] 1일 2회는 용성 및 문덕을 거쳐가는 우회노선이다. 특히 16:30은 초전 직행-소성행이 같이 있어서 용성, 문덕 경유 버스를 탈 이유가 전혀 없다. 단, 용성, 문덕 경유는 돌아올 때는 정상적으로 운행한다. 그런데 문덕에서 초전으로 나온 후 1회는 다시 용봉까지 올라갔다가 초전으로 내려와서 정상적으로 성주로 간다.[7] 김천시 시내버스는 산정에서 제외한다.[8] 성주읍내행도 우회노선이 하나 있는데, 장산, 월항 경유 우회 노선이다. 특히 성주 출발 08:10 버스는 초전에 올 때는 정상적으로 오다가, 고산정 및 자양으로 가며, 자양에서 다시 고산정으로 나와 초전면에서 나오는데, 읍내로 가지 않고 월항까지 갔다가 성주로 들어온다.[9] 서울-부산 시내버스 여행을 할 때 꼭 타는 차다.[10] 1대는 성주읍까지 가며, 1대는 창천에서 종착한다. 증산~영천은 공통구간이라 1일 5회 버스가 운행한다.[11] 성주읍 순환버스는 신형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12] 반면 다음 세대인 삼원 4세대 단말기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를 끝으로 전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