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울프 크리스테르손

덤프버전 :




스웨덴 제35대 총리
울프 얄마르 에드 크리스테르손
Ulf Hjalmar Ed Kristersson
파일:크리스테르손 총리.jpg
출생1963년 12월 29일 (60세)
스웨덴 스코네 주 룬드
관저스웨덴 스톡홀름주 스톡홀름 사게르스카 관저
사저스웨덴 쇠데르만란드 주 스트렝네스시
국적
파일:스웨덴 국기.svg

현직스웨덴 총리 (2022 ~ 현직)
온건당 대표 (2017 ~ 현직)
스웨덴 의회 국회의원 (2014 ~ 현직)
재임기간제35대 총리
2022년 10월 18일 ~ 현직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브리기타 에드 (1991년 결혼)
자녀슬하 3녀
학력웁살라 대학교 (경제학 / 학사)
신체169cm
정당

의원선수3
지역구스톡홀름
군사경력
복무스웨덴군
1983년 ~ 1984년
최종계급
최종보직업플랜드 연대 소대장


1. 개요
2. 경력
3. 생애
3.1. 정계 입문
3.2. 온건당 당수
3.3. 제35대 총리 시절
4. 여담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Ulf-kristersson.png

"Vart du är på väg är viktigare än var du kommer ifrån."

당신이 어디에서 왔느냐보다 어디로 가느냐가 더 중요하다.

스웨덴의 정치인. 제35대 총리(현직), 중도우파 보수정당 온건당의 대표, 전 사회안전부 장관. 2022년 총선에서 범우파의 승리와 연립정부 협상 타결에 따라 총리로 취임하였다.


2. 경력[편집]


  • 1988. 온건당 청년동맹 회장
  • 1991. ~ 2000. 스웨덴 의회 국회의원
  • 1995. 팀브로 마케팅 책임자
  • 2000. Connecta/Adcore 커뮤니케이션 디렉터
  • 2001. Nextwork 커뮤니케이션 컨설턴트
  • 2003. 스트렝네스 금융청장
  • 2003. 스트렝내스 지방자치위원회 위원
  • 2006. 스톡홀름시 사회부시장
  • 2010. 스웨덴 사회안전부 장관
  • 2014. 온건당 경제정책 대변인
  • 2014.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 2014. 스웨덴 의회 국회의원
  • 2017. ~ 현재. 온건당 당대표
  • 2022. ~ 현재. 제35대 스웨덴 총리

3. 생애[편집]


1963년 룬드에서 태어났으며, 에스킬스투나(Eskilstuna) 외곽의 토셰헬라(Torshälla)에서 자랐다. 어려서는 운동은 좋아해 체육 선수로도 활동하기도 했으며, 사진 판매원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잠시 군대에 입대하기도 했었다.


3.1. 정계 입문[편집]


고등학생 시절 에스킬스투나에 있는 성 에스킬스 체육관에서 몇몇 친구들과 함께 온건당 청년동맹에 가입하며 정치에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엔셰핑에서 군복무를 했으며 웁살라 대학교에서 경제학 공부를 하였다.

1985년에는 온건당의 선거운동원으로 활동하였고, 이후 1988년부터 1992년까지 온건당 청년동맹의 회장을 역임하였다. 1991년에는 중도우파인 칼 빌트 내각이 정권을 잡았으며, 그해에 국회에 입성하였다. 1992년에는 프레드리크 라인펠트로부터 온건당 청년동맹의 회장직을 도전받았고, 결국 패배하며 일선 정계에서 물러나게 된다.

2000년에는 국회의원직을 내려놓으며 한 IT 회사의 2년간 근무했다. 그 이후에 스트렝네스(Strängnäs)에서 금융청장으로 임명되어 정계에 복귀하였다. 이후 2006년까지 재직했다. 2006년부터는 스톡홀름의 사회 복지 및 노동 분업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또한 프레드리크 라인펠트로부터 당을 위한 새로운 가족 정책을 개발하는 위원회를 이끌 것을 요청받았다. 이당시에 아빠에게도 한달간의 보육휴가를 주어야 온 가족이 혜택을 누릴 수 있다고 제안해 논란을 일으켰다. 이 제안은 개인의 선택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온건당의 정책과 충돌했다.

그러던 2010년, 프레드리크 라인펠트의 2기내각에서 사회안전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이후 온건당의 경제정책 대변인 겸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4년 스웨덴 의회 총선거에서 쇠데르만란드(Södermanland)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돼 다시 국회에 입성하는데 성공한다.


3.2. 온건당 당수[편집]


2017년 8월 25일 안나 신베리 바트라 온건당 대표는 당내 갈등 끝에 대표직을 사임했다. 이후 크리스테르손은 2017년 9월 1일에 온건당 대표 출마를 선언했고, 2017년 10월 1일에 당대표에 선출되었다. 크리스테르손이 당대표가 되고 난 이후 역대 최저치를 찍었던 바트라 대표 시절에 비해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급격히 증가했다. 당대표가 되고 나서 크리스테르손은 전임자들보다 이민에 대해 더 강경한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이후 사회민주노동당-온건당 정권교체 이후에는 당대표에 도전하며 2018년 총선을 이끌어나갔으나 사회민주노동당에게 패배하였다.

같은해, 당시 총리였던 스테판 뢰벤이 내각 불신임 결의안 가결로 총리직을 내려놓게 되며 크리스테르손은 차기 총리직에 도전했다. 10월 2일 국회의장인 안드레아스 노를렌에 의해 총리 후보로 지명되었고, 11월 5일에 국회의장은 울프 크리스테르손을 총리로 추천했다. 그러면서 크리스테르손은 자유당기독교민주주의자와 함께 연정을 구성하려고 하였으나 스웨덴 의회는 반대 195표 대 찬성 154표로 크리스테르손의 총리 지명을 거부했다.

의장의 총리 제안이 표결에서 패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중도우파 정당인 중앙당자유당이 중도우파 총리 후보에게 거부권을 행사한 것은 40년 만에 처음이다. 결국 총리직은 다시 당시 사민당 대표였던 스테판 뢰벤에게 넘어갔다.

2022년 총선에서 사민당은 물론 극우 성향 민주당에도 밀려 제3당으로 전락하긴 했지만 의석수를 합계했을 때 범보수 진영이 승리하면서 총리가 되는데 성공했다.

파일:969e9a8f-4ee7-4c17-b08c-4c346d5da05f.png
자유당 대표 요한 페르손 · 민주당 대표 임미 오케손 · 울프 크리스테르손 · 기민당 대표 에바 부쉬

당초에는 민주당이 입각을 주장하고, 자유당이 이에 반대하면서 내각 구성이 쉽지 않으리라 보였지만 10월 14일 온건당-기민당-자유당 3당이 중도우파 연정을 출범시키고 극우 민주당은 각료로 합류하지 않는 대신 신임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내각을 인정하기로 합의하고, 10월 17일 의회의 승인을 받았다.

3.3. 제35대 총리 시절[편집]


10월 18일, 스웨덴의 제35대 총리로 취임하고 내각을 공식 발표했다. 내각은 온건당 13명, 기민당 6명, 자유당 5명으로 배분되었다. 2014년 퇴임한 프레드리크 라인펠트 전 총리 이후 8년만에 스웨덴에 등장한 보수 성향 총리다.

10월 27일, 기민당의 에바 부슈 부총리와 함께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전력 요금 인상에 대비해 550억 크로나 규모의 보조금 지급안을 발표했다.#

2023년 기준으로 인기가 심각하게 없는듯 하다. 여론조사에서 여당이 야당에서 크게 밀리고 있고, 심지어 1월 말 발표된 조사에 의하면 국민의 단 4%만이 정부를 신뢰한다고 한다. 튀르키예와의 불필요한 마찰로 인해 NATO 가입이 무산될 것이라는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는데다, 불법 장어잡이 스캔들을 비롯한 각종 의혹 제기로 국민들의 정부 신뢰도가 수직 하락하고 있다.

2023년 2월 2일엔 핀란드의 총리인 산나 마린과의 정상회담에서 스웨덴과 핀란드의 나토에 동시 가입하겠다는 입장과 동시에 어느 한 국가도 먼저 가입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핀란드가 먼저 나토에 가입하며 난처한 입장에 빠지게 되었다.

2월 15일에는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 회담하고 지속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2023년 3월 기준으로도 제1야당인 사회민주노동자당이 40%대에 육박하는 지지율을 기록하며 온건당과 지지율 격차를 더블스코어 이상으로 벌리고 있는데다 총리 선호도 조사에서도 직전 총리이자 현 사회민주노동자당 대표인 마그달레나 안데르손에게 적게는 20%p에서 크게는 30%p의 격차로 밀리고 있다.

거기다 우파 연합 내에서도 연일 내홍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좌파 연합에 비해 고작 3석 앞선 소수 정부를 구성하고 있는 입장에서 임기를 정상적으로 채울 수 있을지부터 의문인 상황이다.


4. 여담[편집]


  • 북유럽 사람 치고 키가 작은 편이다. 169cm로, 한국인 평균 신장보다도 작은데 가뜩이나 180~190cm인 사람들이 넘쳐나는 북유럽에서는 유달리 작아 보인다. 연립정부 파트너 당대표들과 찍힌 위 사진에서도 가장 작다(...)

5. 둘러보기[편집]


파일:스웨덴 의회 로고.svg
스웨덴 의회
원내정당 대표
||




[ 아시아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공산국가의 수상
*** 대통령 권한대행
**** 사실상 군부 소속
*****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네팔 공산당 (마오주의 센터)
민주진보당
무소속
푸슈파 카말 다할 (3기)천젠런한덕수 (2기)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라오 인민혁명당
무소속
샤나나 구스망 (2기)쏜싸이 씨판돈나지브 미카티 (3기)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파일:몽골 국기.svg 몽골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인민정의당
몽골 인민당
무소속
안와르 이브라힘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민 아웅 흘라잉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무소속
아와미 연맹
베트남 공산당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셰이크 하시나 (4기)팜민찐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부탄연합당
조선로동당
무소속
로타이 체링김덕훈하사날 볼키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무소속
스리랑카 인민전선
바트당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디네쉬 구나와데나후세인 아르누스 (2기)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인민행동당
무소속
탈레반
리셴룽 (5기)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하산 아훈드 (권한대행)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파일:오만 국기.svg 오만*****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국민전체회의
무소속
무소속
마인 압둘말리크 사이드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비셰르 알카사우네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이슬람 다와당
리쿠드
압둘라 아리포프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베냐민 네타냐후 (6기)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인도 인민당
자유민주당
중국공산당
나렌드라 모디 (2기)기시다 후미오 (2기)리창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아마나트
무소속
캄보디아 인민당
앨리한 스마이을로프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훈 마넷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무소속
아르 나므스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의 장남)아킬베크 자파로프코히르 라술조다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태국인당
발루치스탄 아와미당
파타
세타 타위신안와르 울 하크 카카르 (권한대행)무함마드 이슈타이야
[ 유럽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신민주주의당
무소속
자유민주인민당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기)주소이트 콘스탄틴마르크 뤼터 (4기)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노동당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요나스 가르 스퇴레메테 프레데릭센 (2기)올라프 숄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단결
무소속
사회민주당
크리샤니스 카린시 (2기)미하일 미슈스틴마르첼 치올라쿠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민주당
무소속
애국연합
그자비에 베텔 (2기)잉그리다 시모니테다니엘 리쉬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개혁행동연대
무소속
피에르 다르투드리탄 아바조비치도린 레체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노동당
무소속
Open VLD
로버트 아벨라 (2기)피에트로 파롤린알렉산더르 더크로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무소속
독립사회민주연대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라만 할로우찬카 (2기)보랴나 크리슈토디미타르 코바체프스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국민통일당
우리는 변화를 계속한다
세르비아 진보당
위날 위스텔니콜라이 덴코프아나 브르나비치 (3기)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온건당
중도당
스페인 사회노동당
울프 크리스테르손발터 투른헤어 (2기)페드로 산체스 (2기)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방향-사회민주주의
자유운동
시민계약
로베르트 피초로베르트 골로프니콜 파시냔 (3기)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좌파녹색운동
피너 게일
무소속
카트린 야콥스도티르 (2기)리오 버래드커알리 아사도프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안도라 민주당
알바니아 사회당
아이타이라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기)에디 라마 (3기)알렉산드르 안콰브 (2기)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 개혁당
보수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카야 칼라스 (3기)리시 수낙카를 네하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무소속
이탈리아의 형제들
조지아의 꿈
데니스 시미할조르자 멜로니이라클리 가리바슈빌리 (2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시민민주당
자결당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페트르 피알라알빈 쿠르티 (2기)안드레이 플렌코비치 (2기)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사회당
법과 정의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안토니우 코스타 (3기)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2기)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
국민연합당
청년민주동맹
엘리자베트 보른 (2기)페테리 오르포오르반 빅토르 (5기)
[ 아메리카 ]
[ 아프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파일:기니 국기.svg 기니*,**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무소속
무소속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레몽 은동 시마 (임시)베르나르 구무 (임시)제랄도 마틴스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무소속
번영을 위한 혁명
사라 쿠공겔롸 (2기)알리 라민 제인샘 마테카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사회민주당
무소속
무소속
에두아르 응기렌테 (2기)압둘 하미드 드베이베크리스티앙 은차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무소속
독립국민연합
모리셔스 사회주의 운동
쇼겔 코칼라 마이가 (임시)아지즈 아칸누시프래빈드 주그노트 (2기)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공정당
모잠비크 해방전선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모하메드 울드 빌랄아드리아누 말레이안제르베 은디라코부차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무소속
폴리사리오 전선
독립민주행동당
아폴리네르 조아킴 키엘렘 드탐벨라 (임시)보우치라야 함무디 비요운파트리스 에메리 트루부아다 (2기)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무소속
평화개발연합당
무소속
아마두 바함자 압디 바레오스만 후세인 (권한대행)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아이멘 베나브데라마네음과과 가메체 (권한대행)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번영당
민족저항운동
무소속
아비 아머드로비나 나반자무스타파 아드불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적도 기니 민주당
연합마음운동
진보인민연합
마누엘라 로카 보테이펠릭스 몰루아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기)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민주재건국가연합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민주운동
살레 케브자보조셉 응구테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기)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공화연합
콩고 노동당
콩고의 미래
로베르 뵈그레 맘베아나톨 콜리넷 마코소장미셸 사마 루콘데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파일:토고 국기.svg 토고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탄자니아 혁명당
공화국을 위한 연합
무소속
카심 마잘리와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아메드 하차니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7:16:21에 나무위키 울프 크리스테르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