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페트르 피알라

덤프버전 :





체코 공화국 제13대 총리
페트르 피알라
Petr Fiala
파일:fiala-petr-01.jpg
출생1964년 9월 1일 (59세)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브르노
(現 체코 남모라바주 브르노)
국적
파일:체코 국기.svg

재임기간제13대 총리
2021년 12월 17일 ~ 현직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학력마사리크 대학교 (사학, 체코어)
카를로바 대학교 (정치학)
소속 정당
시민민주당
직업정치인, 학자
약력마사리크 대학교 총장 (2004~2011)
교육청소년체육부장관 (2012~2013)
시민민주당 대표 (2014~현재)
제13대 체코 총리 (2021~현재)
서명파일:페트르 피알라 서명.svg

1. 개요
2. 생애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체코정치인이자 교수로, 안드레이 바비시의 뒤를 이어 12월 17일 총리로 취임하였다.


2. 생애[편집]


보수적인 가톨릭 집안 출신인데, 아버지가 나치 독일홀로코스트 생존자였다. 이후 체코 브르노에 있는 마사리크 대학교에서 체코어문과 역사학을 전공하고 2002년부터 마사리크 대학교에서 정교수로 임용되고 2011년에는 대학교 총장이 되는 등 인생 전반부를 학계에서 보냈다.

그러나 2011년, 시민민주당 출신의 페트르 네차스 총리의 요청을 받아 총리실 고문이 되어 정계에 입문하게 되었으며 1년뒤에는 교육청소년체육부장관까지 역임하게 되었다.

2013년 10월에 열린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당선한 뒤 시민민주당에 입당하여 본격적인 선출직 정치인으로서의 행보를 시작하게 됐다. 이후 2014년 시민민주당 당대표가 되었고, 2년 뒤인 2016년 당대표 재선에 성공했다.

2017년 열린 총선에서 피알라가 이끄는 시민민주당이 의석을 9석 불렸지만, 무려 31석을 늘린 안드레이 바비시ANO 2011에는 턱이 없는 수준이었는데, 피알라 대표가 ANO 2011과의 연정 구성을 거부하면서 야당으로 남게 되었다.#

하지만 바비시 총리의 독단적 행보에 염증을 느낀 유권자들을 규합해 2018년, 2020년 지방선거에서 연이어 소기의 성과를 내더니 2021년 열린 총선에서 같은 보수주의 성향의 기독교민주연합-체코슬로바키아 인민당, TOP 09와 함께(SPOLU)라는 선거 연대를 구성해 ANO 2011에 불과 1석 부족한 71석을 확보하며 크게 선전했다.

반 바비시를 기치로 범중도 선거 연대인 해적과 시장[1]과 빠르게 연정 구성에 동의했고 총 108석의 의석을 확보, 사민당공산당의 몰락으로 연정 구성의 방법이 사라진 바비시 총리는 바로 패배를 인정하고 물러났다.

이후 밀로시 제만 대통령이 바비시의 패배에 충격 받고 쓰러져 총리 지명이 지연되는 등 여러 우여곡절이 있긴 했지만, 11월 9일 퇴원한 제만 대통령이 피알라를 공식적으로 총리 후보자로 지명했고 28일 임명식이 진행되었다.#

한편 임명을 앞두고 현재 3,770억 코루나로 추산되는 2022년 재정적자를 축소, 공공 부문 격차를 국내총생산(GDP)의 약 4.4%로 줄일 것이라고 공언했다.#

예정대로면 12월 13일까지 내각 구성을 마무리하고 공식적으로 정부를 출범시켜 공식적으로 체코의 제13대 총리로 취임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12월 10일 뜬금없이 제만 대통령이 각료 후보자를 만나는 과정에서 해적당 소속의 외무장관 후보자인 얀 리파브스키(Jan Lipavský)의 인준을 거부하여 다시 취임이 늦어지게 되었다. 이유는 리파브스키가 학사에 불과하며 학사 학위 논문의 성적이 나빴다는 것. 또다른 이유는 친EU 성향인 그의 비셰그라드 그룹이스라엘에 대한 관점이 자신과 다르다는 것이다.[2]

피알라는 이 문제를 헌법재판소에 넘길 것이라 반응했으며 13일 대통령과 만난 후 다음 행보를 발표할 계획이다. 체코 헌법에는 대통령이 범죄행위나 이해충돌 이외의 이유로 총리의 장관 임명을 거부할 수 있는지에 대해 명확히 언급하지 않고 있으며, 실제로 대통령에 의해 장관 인준이 거부된 사례는 제만 대통령이 바비시 총리의 장관 후보자를 거부한 것이 처음이다. 바비시의 경우 제만 대통령이 그의 소수정부를 유지시키는데 중요 역할을 했기 때문에 별 갈등없이 넘어갈 수 있었으나 피알라는 이미 의회 과반을 차지한 상황이므로 이를 따를 이유가 없었던 것.#

결국 제만 대통령과 피알라 총리 지명자가 12월 13일 면담한 결과, 제만 대통령이 리파브스키 후보자의 외무장관 인준에 동의하기로 했고,1 그로부터 4일 뒤인 12월 17일, 헌정 위기까지는 가지 않은 채로 내각 인준 절차가 완료되면서 공식적으로 총리직에 취임했다.2

2022년 1월 13일, 하원에서 열린 신임 투표에서 찬성 106표, 반대 86표로 인준에 성공하면서 마지막 관문을 넘었다.#

2022년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유럽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러시아를 상대로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러시아를 상대로 경제 제재를 추진하면서 동시에 우크라이나EU 가입을 적극 지지하고 있다. 또한 거의 개전과 동시에 우크라이나에 무기와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3월 15일에는 폴란드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총리, 슬로베니아야네즈 얀샤 총리와 함께 전격적으로 전쟁 중인 키이우에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회담하고 강력한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

그런데 총리 선출 이후로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물가 폭등을 억제하지 못해 인기가 폭락했다. 결국 대규모 반정부 시위까지 일어나며 수세에 몰렸다. 모닝컨설트 등의 여론조사에서는 요나스 가르 스퇴레 노르웨이 총리,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 리시 수낙 영국 총리 등과 함께 유럽 정부 수반 중 지지율 최하위권을 달리고 있다.

그러나 낮은 지지율에도 불구하고 2022년 체코 상원 선거에서 여당인 시민민주당이 결선투표를 통해 기존에 비해 5석을 추가하는 등 집권 여당 연합이 승리를 거두면서 집권 기반이 더 탄탄해졌다. 야당이 된 ANO와 바비시 전 총리가 이 선거를 피알라 총리에 대한 신임투표로 규정하여 맹공을 퍼붓고 있었기 때문에 오히려 바비시에게 역습의 펀치를 날린 셈이 되었다.#

2023년 체코 대통령 선거에서도 자신이 지지한 무소속 페트르 파벨 후보가 바비시 전 총리를 누르고 승리하면서 자신의 지지율은 낮은데 선거에서는 2연승을 거두는 기이한 모습을 보였다. 선거 이후 파벨 대통령 당선인의 승리를 축하하면서 아예 "우리 나라에서 바비시 시대가 끝났다."고 환영했다.

3. 둘러보기[편집]



[ 아시아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공산국가의 수상
*** 대통령 권한대행
**** 사실상 군부 소속
*****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네팔 공산당 (마오주의 센터)
민주진보당
무소속
푸슈파 카말 다할 (3기)천젠런한덕수 (2기)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라오 인민혁명당
무소속
샤나나 구스망 (2기)쏜싸이 씨판돈나지브 미카티 (3기)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파일:몽골 국기.svg 몽골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인민정의당
몽골 인민당
무소속
안와르 이브라힘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민 아웅 흘라잉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무소속
아와미 연맹
베트남 공산당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셰이크 하시나 (4기)팜민찐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부탄연합당
조선로동당
무소속
로타이 체링김덕훈하사날 볼키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무소속
스리랑카 인민전선
바트당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디네쉬 구나와데나후세인 아르누스 (2기)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인민행동당
무소속
탈레반
리셴룽 (5기)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하산 아훈드 (권한대행)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파일:오만 국기.svg 오만*****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국민전체회의
무소속
무소속
마인 압둘말리크 사이드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비셰르 알카사우네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이슬람 다와당
리쿠드
압둘라 아리포프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베냐민 네타냐후 (6기)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인도 인민당
자유민주당
중국공산당
나렌드라 모디 (2기)기시다 후미오 (2기)리창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아마나트
무소속
캄보디아 인민당
앨리한 스마이을로프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훈 마넷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무소속
아르 나므스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의 장남)아킬베크 자파로프코히르 라술조다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태국인당
발루치스탄 아와미당
파타
세타 타위신안와르 울 하크 카카르 (권한대행)무함마드 이슈타이야
[ 유럽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신민주주의당
무소속
자유민주인민당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기)주소이트 콘스탄틴마르크 뤼터 (4기)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노동당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요나스 가르 스퇴레메테 프레데릭센 (2기)올라프 숄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단결
무소속
사회민주당
크리샤니스 카린시 (2기)미하일 미슈스틴마르첼 치올라쿠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민주당
무소속
애국연합
그자비에 베텔 (2기)잉그리다 시모니테다니엘 리쉬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개혁행동연대
무소속
피에르 다르투드리탄 아바조비치도린 레체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노동당
무소속
Open VLD
로버트 아벨라 (2기)피에트로 파롤린알렉산더르 더크로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무소속
독립사회민주연대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라만 할로우찬카 (2기)보랴나 크리슈토디미타르 코바체프스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국민통일당
우리는 변화를 계속한다
세르비아 진보당
위날 위스텔니콜라이 덴코프아나 브르나비치 (3기)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온건당
중도당
스페인 사회노동당
울프 크리스테르손발터 투른헤어 (2기)페드로 산체스 (2기)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방향-사회민주주의
자유운동
시민계약
로베르트 피초로베르트 골로프니콜 파시냔 (3기)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좌파녹색운동
피너 게일
무소속
카트린 야콥스도티르 (2기)리오 버래드커알리 아사도프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안도라 민주당
알바니아 사회당
아이타이라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기)에디 라마 (3기)알렉산드르 안콰브 (2기)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 개혁당
보수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카야 칼라스 (3기)리시 수낙카를 네하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무소속
이탈리아의 형제들
조지아의 꿈
데니스 시미할조르자 멜로니이라클리 가리바슈빌리 (2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시민민주당
자결당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페트르 피알라알빈 쿠르티 (2기)안드레이 플렌코비치 (2기)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사회당
법과 정의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안토니우 코스타 (3기)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2기)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
국민연합당
청년민주동맹
엘리자베트 보른 (2기)페테리 오르포오르반 빅토르 (5기)
[ 아메리카 ]
[ 아프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파일:기니 국기.svg 기니*,**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무소속
무소속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레몽 은동 시마 (임시)베르나르 구무 (임시)제랄도 마틴스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무소속
번영을 위한 혁명
사라 쿠공겔롸 (2기)알리 라민 제인샘 마테카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사회민주당
무소속
무소속
에두아르 응기렌테 (2기)압둘 하미드 드베이베크리스티앙 은차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무소속
독립국민연합
모리셔스 사회주의 운동
쇼겔 코칼라 마이가 (임시)아지즈 아칸누시프래빈드 주그노트 (2기)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공정당
모잠비크 해방전선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모하메드 울드 빌랄아드리아누 말레이안제르베 은디라코부차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무소속
폴리사리오 전선
독립민주행동당
아폴리네르 조아킴 키엘렘 드탐벨라 (임시)보우치라야 함무디 비요운파트리스 에메리 트루부아다 (2기)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무소속
평화개발연합당
무소속
아마두 바함자 압디 바레오스만 후세인 (권한대행)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아이멘 베나브데라마네음과과 가메체 (권한대행)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번영당
민족저항운동
무소속
아비 아머드로비나 나반자무스타파 아드불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적도 기니 민주당
연합마음운동
진보인민연합
마누엘라 로카 보테이펠릭스 몰루아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기)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민주재건국가연합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민주운동
살레 케브자보조셉 응구테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기)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공화연합
콩고 노동당
콩고의 미래
로베르 뵈그레 맘베아나톨 콜리넷 마코소장미셸 사마 루콘데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파일:토고 국기.svg 토고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탄자니아 혁명당
공화국을 위한 연합
무소속
카심 마잘리와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아메드 하차니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1] Piráti a Starostov, 시장과 무소속해적당으로 구성되어 있다.[2] 당장 제만 대통령은 주이스라엘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옮기자는 입장이지만 리파브스키는 국제법과 EU의 입장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