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평택시 을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평택시/정치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평택시 을
비전2동, 용이동, 팽성읍, 고덕면 등
平澤市 乙
Pyeongtaek B
||
파일:국회선거구 평택시 을.svg
선거인 수261,493명 (2020)
상위 행정구역경기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평택시 일부
신평동, 원평동, 비전2동, 용이동,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청북읍, 고덕면, 오성면, 현덕면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유의동




1. 개요[편집]


구(舊) 평택 남부+안중 지역에 해당되는 선거구다.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소속의 유의동 의원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팽성읍 + 고덕면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vs 안중읍 + 청북읍 구도이고, 비전2동은 경합지에 가깝다. 다만 2010년대 이후론 고덕국제신도시의 개발로 원래 보수세가 강했던 고덕면에서도 진보세가 강해지고 있다. 삼성전자 공장 건설과 신도시개발 등으로 인해 화성시와 함께 현재 국내에서 젊은층들이 가장 빠르게 몰려들고 있는 지역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
제13대이자헌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1]
제14대
ta-hash-start=w-43ae9925db5ddfb25bf7f772d8069788[[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2]
제15대허남훈
ta-hash-start=w-c2d1167fab91da842af123b3f191c659[[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정장선
ta-hash-start=w-272c21e07e86292504773b7877bbf975[[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
ta-hash-start=w-09b7a4a038775fbc2e32531b8e7d104d[[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ta-hash-start=w-62c8d075dc4cffa2b9e0796f43bc1c2a[[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이재영
ta-hash-start=w-6f1c6f3176b948e3aa502b28923ae1ff[[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4년 1월 16일
유의동2014년 7월 31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
ta-hash-start=w-c5895d728dd6528f739d5c6d8019ee97[[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2.1. 평택군 (13대~14대)[편집]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평택군
진위면, 청복면, 서탄면, 포승면, 현덕면, 고덕면, 오성면, 팽성읍, 안중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자헌(李慈憲)27,134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8.15%당선
2장기천(張基天)11,9283위

ta-hash-start=w-2ca08c36017c3ab230e9defea907d8f8[[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1.16%낙선
3장순식(張淳植)3,7204위

ta-hash-start=w-9cacbaace915f068ec66dcdd13979088[[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6.60%낙선
4서화택(徐華澤)13,5662위

ta-hash-start=w-b90fb5ee9fbe7d902255ae154e446f08[[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4.07%낙선
선거인 수74,655투표율
76.40%
투표 수57,062
무효표 수714


2.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평택군
진위면, 청복면, 서탄면, 포승면, 현덕면, 고덕면, 오성면, 팽성읍, 안중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자헌(李慈憲)24,5121위

ta-hash-start=w-0df5fcb5ab87cc8dd75a36baadb6f3f1[[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3.87%당선
2서화택(徐華澤)18,6472위


33.37%낙선
3정기용(鄭基用)12,7053위

무소속

22.74%낙선
선거인 수74,915투표율
75.40%
투표 수56,517
무효표 수653


2.2. 평택시 을 (15대~ )[편집]



2.2.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평택시 을
팽성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포승면, 현덕면,
안중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자헌(李慈憲)19,4083위

ta-hash-start=w-19873725ed76e249281f495eb7d547ac[[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4.28%낙선
2서화택(徐華澤)19,7572위

ta-hash-start=w-4fde5f9ed5793b8a08d66fc307dcaa46[[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24.72%낙선
3장기천(張基天)10,2214위
12.79%낙선
4허남훈(許南薰)30,5231위
38.19%당선
선거인 수123,381투표율
66.32%
투표 수81,831
무효표 수1,922


2.2.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평택시 을
팽성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포승면, 현덕면,
안중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자헌(李慈憲)25,6992위
33.67%낙선
2정장선(鄭長善)27,3641위
35.85%당선
3허남훈(許南薰)18,9373위
24.81%낙선
4조성용(趙成勇)4,3184위
5.65%낙선
선거인 수130,812투표율
59.09%
투표수77,298
무효표수980


2.2.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평택시 을
팽성읍, 안중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포승면,
현덕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홍규(金弘奎)25,8012위
32.40%낙선
2이병진(李炳鎭)4,2914위
5.38%낙선
3정장선(鄭長善)39,2701위
49.32%당선
4박준호(朴俊浩)8085위
1.01%낙선
5김용한(金容漢)9,4463위
11.86%낙선
선거인 수141,825투표율
56.73%
투표 수80,463
무효표 수847


2.2.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평택시 을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현덕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장선(鄭長善)34,6191위
48.14%당선
2박상길(朴相吉)30,2382위
42.05%낙선
4이현주(李賢珠)5,8653위
8.15%낙선
6전주원(全胄沅)1,1834위
1.64%낙선
선거인 수164,456투표율
44.16%
투표 수72,618
무효표 수713


2.2.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평택시 을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현덕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재영(李在暎)40,0361위
44.94%당선
2오세호(吳世鎬)37,9932위
42.65%낙선
6김연식(金年式)2,0745위
2.32%낙선
7이세종(李世宗)5,2873위
5.93%낙선
8이인숙(李仁淑)3,6894위
4.14%낙선
선거인 수186,095투표율
48.47%
투표 수90,204
무효표 수1,125


2.2.6.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편집]


평택시 을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현덕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의동(兪義東)31,2301위
52.05%당선
2정장선(鄭長善)25,3772위
42.30%낙선
5김득중(金得中)3,3823위
5.63%낙선
선거인 수201,765투표율
29.84%
투표 수60,203
무효표 수214
관할 전 읍면동에서 유의동 후보가 이겼다.

농촌 전 지역에서 유의동이 승리를 거두었다. 특히 연고지인 팽성읍에선 유의동이 무려 63.2% 정도의 몰표를 줬다. 그 밖에도 농촌지역인 오성면, 현덕면, 고덕면에서도 각각 65.8%, 68.6%, 58.7%[3] 정도의 몰표를 던지며 승리에 견인했다. 또한 평택역 근처인 신평동, 원평동에선 각각 699표, 386표 차이로 이기고 공단 지역인 포승읍에선 754표로 승리를 거두었다.

그렇기에 정장선 후보는 시내인 비전1,2동과 소형 아파트가 많아 젊은 층이 많이 거주하는 안중읍이나 신도시 지역인 청북면에서 열세를 메꿔야 했지만 안중읍에서 155표 차이, 청북면에서 150표 차이, 비전1동과 비전2동에서도 각각 207표, 156표 차이로 패하면서 열세를 메꾸는 데 실패하였다.

2.2.7.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평택시 을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현덕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의동(兪義東)45,3651위
40.54%당선
2김선기(金善基)37,4952위
33.51%낙선
3이계안(李啓安)26,4203위
23.61%낙선
5김현래(金鉉來)2,6094위
2.33%낙선
선거인 수218,106투표율
51.87%
투표 수113,141
무효표 수1,252
새누리당에선 지난 재보궐선거에서 전 평택시장인 정장선 후보를 여유로운 격차로 꺾은 현역 유의동 후보가 출마했고, 더불어민주당에선 전 평택시장인 김선기 후보가 나왔다. 국민의당에선 지난 총선에서 동작구 을에 나와서 정몽준 후보에게 석패한 이계안 후보가 출마했다.

결과는 유의동 후보의 7.03% 차이의 승리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유의동 후보는 거소투표와 안중읍을 제외한 나머지 동에서 이겼다. 민주당 입장에선 국민의당으로의 표 분산과 해당 후보의 잦은 철새 행보가 패배의 원인이 되었다.

이로 인해 유의동 후보는 지난 재보궐에 이어서 평택시장 경력을 가진 정치인과 싸워서 이기게 된 기록을 세웠다.

2.2.8.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평택시 을
신평동, 원평동, 비전2동, 용이동,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청북읍, 고덕면, 오성면, 현덕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현정(金鉉正)57,5402위
46.11%낙선
2유의동(兪義東)59,4911위
47.67%당선
7김양현(金良玹)1,8624위
1.49%낙선
8장재혁(張宰赫)9146위
0.73%낙선
9허승녕(許昇寧)1,4435위
1.15%낙선
10이인숙(李仁淑)3,5363위
2.83%낙선
선거인 수214,797투표율
58.83%
투표 수126,373
무효표 수1,587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평택시 을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김현정유의동
득표수
(득표율)
57,540
(46.11%)
59,491
(47.67%)
-1,951
(▼1.56)
126,373
(58.83%)
신평동39.80%53.35%▼13.5453.22
원평동40.84%52.03%▼11.2058.08
비전2동45.98%47.83%▼1.8560.44
용이동52.81%41.44%△11.3661.54
팽성읍36.27%59.07%▼22.8152.21
안중읍50.39%43.04%△7.3556.06
포승읍48.68%44.77%△3.9150.45
청북읍52.54%41.12%△11.4255.00
고덕면44.11%49.86%▼5.7453.78
오성면34.77%59.30%▼24.5459.46
현덕면35.56%60.34%▼24.7963.80
후보김현정유의동격차
거소·선상투표46.19%36.24%△9.96
관외사전투표51.28%42.35%△8.93
재외투표68.22%25.23%△42.99
친 유승민계의 핵심인 현역 유의동 미래통합당 국회의원이 재출마를 위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그 외에 공재광 전 평택시장, 허승녕 예비후보가 후보 신청을 넣었다.

여당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기성, 오세호, 유병만, 이인숙, 오중근 예비후보가 공천 신청을 하였으나, 전략공천 지역으로 분류되어 전국사무금융노동조합연맹 위원장 출신의 김현정 후보가 전략공천되었다. 이에 반발한 이인숙 후보가 민주당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

민중당에서는 김양현이 예비후보 등록을 하였다.

선거 결과 현역인 미래통합당 유의동 의원이 불과 약 1.6%차 신승을 거두면서 아슬아슬하게 3선에 성공하였다. 세부 결과를 분석해보면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후보는 안중읍, 포승읍, 청북읍, 용이동과 관외사전투표에서 승리하였으며, 미래통합당 유의동 후보는 팽성읍, 고덕면, 오성면, 현덕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2동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유의동 후보 입장에선 연고지인 팽성읍에서 무려 2,707표 차이로 압승한 것이 승리에 꽤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김현정 후보 입장에선 무소속 이인숙 후보와의 단일화가 끝내 불발된 것이 가장 뼈아픈 실책이었다.[4][5] 공천배제에 반발하여 무소속 출마를 강행한 후보를 결국 설득하여 민주당 홍기원 후보가 당선된 옆 지역구 평택시 갑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2.2.9.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평택시 을
신평동, 원평동, 비전2동, 용이동, 팽성읍,
안중읍, 포승읍, 청북읍, 고덕면, 오성면, 현덕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갑, 을 선거구 할 것 없이 평택시 인구가 늘어나면서 상한선을 넘어섰기 때문에 세 선거구로 분구할 가능성이 확실해졌다.

[1] 평택군[2] 평택군[3] 농촌이면서 그나마 여기가 보수성향이 약한 이유는 알다시피 고덕신도시가 여기에 생기고 있었기에 외지인들이 많이 유입되었기 때문이다.[4] 21대 총선에서 민주당이 공천문제로 날린 2개의 지역구 중 하나로, 다른 한 곳은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이다.[5] 이후 이인숙 전 후보는 국민의힘에 합류해 평택시장 출마에 도전하였으나# 최호 후보와의 경선에서 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