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우네부

덤프버전 :




파일:attachment/hauneb2.jpg
"Hauneburg"

1. 개요
2. 실상
3. 대중매체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나치의 비밀 무기로 알려진 특수병기 중 하나. 비펠드 브라운 효과를 이용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자세한 비행 원리와 매커니즘은 전해지지 않는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아담스키형 UFO가 이것이라는 설이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 병사가 독일 상공에서 본 푸 파이터즈가 이 하우네부라는 설도 있다. 라스트 바탈리온 음모론 중 월면 나치와 결합하기도 한다.

프로젝트 명은 V-7, V-7이란 베르너 폰 브라운 박사가 개발했던 V 시리즈 무인 로켓의 후속 모델을 말한다. V-7 계획을 기초로 설계되어 툴레 모터 시스템이라는 정체불명의 동력이 사용되거나 마하 5로 날 수 있었다는 등 여러가지 억측이 나돌고 있지만 설계도조차 지금까지 남아있지 않은 수수께끼의 기체이다.

기록이나 증언에 의하면 V-7 계획은 1930년대 후반부터 갑작스럽게 연구가 개시된 것으로 보이며 아돌프 히틀러SS는 그 당시 뮌헨 공대의 W.O. 슈만 박사가 개발한 자기부상장치를 입수하여 비행 접시의 제작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게 된다. 원래 나치 독일의 비행 접시는 Thule & Vril 사가 만들었는데, 1935년부터 SS의 E-4 소속 과학자들이 대거 투입되어 새로운 원반 전투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그들이 비밀리에 연구를 한 곳이 독일의 북서부 지방에 있는 하우네부르크(Hauneburg)였다. 이곳에 SS E-4는 시험 비행장과 연구 장비를 모두 갖추고 새로운 비행 접시 H-Gerät(Hauneburg Device)의 제작에 들어갔다. 1939년부터는 보안상의 이유로 하우네부(Haunebu)로 줄여 불렀다.

하우네부는 여러 종류가 검토되어 있었는데 기체 하부에 판터 전차의 포탑을 붙인 소형의 하우네부I은 독일의 국영공창이, 대형화해 포탑식의 기총좌를 기체 하부에 장착한 II는 도르니에가, III는 여러가지 설이 있지만 BMW의 플뤼겔라트라는 별도의 비행 원반이 이에 해당한다는 설이 있으며 좀 더 대형화가 진행되어 공중요새급이 된 하우네부 IV는 메서슈미트가 개발했다는 등 여러가지 소문이 나돈다.

베를린이 함락되기 직전 당시의 나치 친위대(SS) 장관 겸 경찰장관이던 하인리히 힘러의 지휘를 받고 있던 연구 기관에 의해 그 증거의 대부분이 인멸되었거나 어둠 속으로 매장되었다고 한다. 사이트, 영상

한국의 신생 모형메이커인 손과머리[1]에서 이 물건을 1/72 스케일로 발매했다. 그러나 유럽 발매시 현지 언론에서 어린이들에게 나치에 대한 긍정적인 역사적 사실을 전달시킬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비판을 받고 발매 중지되었다. 그러나 이것이 오히려 희귀 절판품이라는 입소문을 불러 이베이 등에서 상당히 고가로 거래되고 있다.


2. 실상[편집]


시제로 제작된 실물 기체는커녕 설계도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로 하우네부라는 이름의 병기가 존재하였더라도 9 / 10호 전차의 경우처럼 프로파간다를 겸해 유출시킨 낚시용 정보이거나 P.1000 라테의 경우처럼 상세한 제작 설계도는커녕 상상도만 존재하던 병기일 것이다.

실제로 제작된 물건이더라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독일에서 음모론에서 떠도는 수준의 미친 스펙[2]을 지닌 비행 물체를 만들어낼 과학 기술력은 죽었다 깨어나도 없었다. 당장 독일이 대전 중의 최첨단 기술력을 응집하여 완성한 제트전투기인 Me 262가 마하 1을 못 넘었다. 비행 원리라고 알려진 비펠드 브라운 효과 자체는 실재하는 현상이지만, 이것으로 무거운 비행체를 띄움은 경제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이다.[3]

하물며 과학기술이 제2차 세계 대전 때보다 훨씬 발전한 현대에서도 순항속도가 마하 3 이상인 비행물체를 손쉽게 개발하기란 어렵다. 더군다나 음모론에서 나도는 하우네부의 형태는 UFO 같은 원반형인데, 그러한 형태는 항공역학적으로 속도를 내기엔 최악이다. 몇십~몇백 년 뒤의 오버 테크놀로지를 가져온다면 모를까, 현대 기술력으로는 원반형 형태로 해당 제원을 개발하기란 불가능하다.


3. 대중매체[편집]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640px-Valkyrie_3.jpg
  • 아이언 스카이에서는 발키리란 폼나는 이름을 달고 등장한다. 월면 나치군의 주력기로 기체 수준은 40년대에서 정체되었지만, 작중 F-22를 격추하는 위엄을 보여준다.[4]


  •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에서 뜬금없이 프리미엄 중폭격기로 출시되었다. 일단 이 녀석이 출시되었을 때 유저들 사이에서 너도나도 이 기체를 사서 타고 다녔는데, 그 이유는 이 녀석에게 사기적인 옵션이 2개나 붙어 있었기 때문이다. 공격력 10%에 방어력 20% 옵션이라는 그야말로 행성파괴급 비행성능이었다. 후에 공방 10%로 너프먹긴 했지만 그래도 중폭격기 트리 유일의 2옵션 기체였기에 점령전에서 너도나도 이 녀석을 타고 융단폭격을 날리는 유저들이 많았다.

파일:Febebe.jpg
  • 울펜슈타인 2: 더 뉴 콜로서스에서도 등장하는데, 설정상 원래 미국이 먼저 다트 이슈드의 기술로 만든 것을[5] 나치가 역설계했다고 한다. 작중에서는 베르너 폰 브라운의 V-3와 함께 나치의 우주 개척에 쓰이고 있다.


4. 관련 문서[편집]




5. 둘러보기[편집]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4:04:03에 나무위키 하우네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표제품으로 H행거 격납고와 1/48 아담스키 타입 비행 접시가 있다.[2] 항행 속도 마하 3 이상[3] 띄우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로 티거 2를 수십 대 더 돌릴 수 있다. 또한 유튜브를 찾아보면 알루미늄 포일 쪼가리로 만든 몇 그램 남짓한 장난감들을 띄우는 영상들이 있을 뿐이다.[4] 물론 이내 미군의 기술력과 물량을 견디질 못하고, 지구에 투입된 발키리 병력들은 전멸한다.[5] 첫 비행을 로스웰에서 했다고 한다.